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10:25:15

오사카시 교통국 30계 전동차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차량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정기 운용의 이탈 및 퇴역으로 인하여, 더이상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오사카메트로|
파일:Osaka_Metro.svg
오사카메트로의 전동차
]]
현재 운행중인 차량
신20계
30000계400계
66계70계
80계200계
퇴역한 차량
10A계20계
30계
50계60계
30000계 츄오선 차량은 엑스포 임시배속, 이후 타니마치선으로 전출 예정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Osaka_Metro_Logo.svg.pn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오사카시 교통국 30계 전동차
Osaka Municipal Transportation Bureau 30 series
大阪市交通局30系電車
}}}
파일:218467180_org.v1678233743.jpg
외부[타니마치선]
파일:seriesn30_shanai_01.jpg
차내[타니마치선]
차량 정보
용도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9량 1편성[3]
6량 1편성[4]
5량 1편성[5]
4량 1편성[6]
운행 노선 파일:Osaka Metro-M.svg 오사카메트로 미도스지선
파일:Osaka Metro-T.svg 오사카메트로 타니마치선
파일:Osaka Metro-Y.svg 오사카메트로 요츠바시선
파일:Osaka Metro-C.svg 오사카메트로 츄오선
파일:Osaka Metro-S.svg 오사카메트로 센니치마에선
파일:kitakyu_namboku.svg 키타오사카 급행전철 난보쿠선 (직통)
파일:KT-C.svg 킨테츠 케이한나선 (직통)
도입시기 1967년~1984년
제작사 가와사키 차량
일본차량제조
도큐차량제조
긴키 차량
아루나 차량
소유기관 오사카시 교통국
운영기관
운행시기 1967년 ~ 2013년
차량 제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3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전장 18,700㎜
전폭 2,890mm
전고 3,745㎜
궤간 1,435㎜
급전방식 직류 750V 제3궤조집전식
운전보안장치 WS-ATC, CS-ATC[7]
제어방식 전동 캠축식 저항제어
동력장치 농형 3상 유도전동기
기어비 16:99=1:6.19
제동방식 발전 제동 병용 전기 지령식 전자 직통 공기 제동(OEC-1)
주전동기 출력 120kW
편성출력 1,920kW
최고속도 영업 70km/h
설계 100km/h
가속도 2.5 km/h/s
감속도 상용 3.5 km/h/s
비상 5.0 km/h/s
MT 비 4M2T }}}}}}

1. 개요2. 도입
2.1. 구30계2.2. 신30계
3. 노선별 도입
3.1. 미도스지선3.2. 타니마치선3.3. 요츠바시선3.4. 츄오선3.5. 센니치마에선
4. 퇴역5. 여담
[clearfix]

1. 개요

오사카메트로에서 과거에 운행하던 차량.
미도스지선, 타니마치선, 츄오선, 요츠바시선, 센니치마에선에서 운행했으며 오사카 메트로 최오의 스테인리스 차량이다. 디자인은 1960~70년대 흔한 일본 지하철 차량과 같다.

2. 도입

2.1. 구30계

1967년 부터 1970년까지 생산
1967년 타니마치선 개통 분이있으며 도입 당시에는 3량이었으며 총 9편성이 도입되었다.
1970년 만박을 대비해 미도스지선의 구형 차량을 타 노선에 이적시킬 때 선대 30계들은 모두 미도스지선으로 이적되었다.
직사각형 출입문 가진 신30계와 달리 정사각형 출입문을 가졌다.
여담이지만 오사카시영 지하철 최초의 대형 지하철 차량이다.[8]

2.2. 신30계

구30계 단종 3년뒤인 1973년부터 요츠바시선 수요증가로 5량 편성으로 도입 시작.
1970년대 후반 부터 1980년대 초에 예정된 타니마치선 연장을 위해 1976년부터 1981년까지 도입. 가장 많은 편성이 타니마치선에 있었다.
1984년 츄오선 나가타 연장 및 케이한나선 직결 위해 2편성이 도입되었다.
구30계와 다르게 직사각형 출입문을 채택했다.

3. 노선별 도입

3.1. 미도스지선

파일:30keimidosuji.jpg
해당 사진에 나오는 3506편성은 1967년산이며[9] 초기에 타니마치선에서 뛰다가 1970년에 미도스지선으로 이적된 차량이다.
1993년 21계 도입 후 나머지 노선으로 전출되었다.

3.2. 타니마치선

파일:218467180_org.v1678233743.jpg
원래는 이 노선을 위한 차량이었으나 70년 만박 때문에 미도스지선으로 차출되었다가 10년 가까이 지나서 1977년 모리구치 연장을 대비해서 1976년부터 도입 시작. 야오미나미 연장분은 1979년부터 도입.
2013년까지 46년 간 제일 오래 운행한 노선이다.[10]

3.3. 요츠바시선

파일:30keiyotsubashi.jpg
1972년 스미노에 공원 연장 후 1년 뒤인 1973년 5량으로 5편성이나 도입됭었다.
1990년대 중반에 모두 23계로 대차되었으며 신30계들은 타니마치선으로 전량 이적.

3.4. 츄오선

파일:30keichuosen.jpg
1968년 후카에바시 연장을 위해 1편성 도입했으나 2년 뒤에 미도스지선으로 차출됨.
1985년 나가타 연장 및 50계 대채분으로 1984년 재도입.
1995년에 전량 24계로 대차되고 3090편성은 타나미차선으로 전출.

3.5. 센니치마에선

파일:30keisennichimae.jpg
센니치마에선 최초 개통시 4량으로 도입 예정이었으나 하필 개통 시기가 만박 1년전이어서 미도스지선 출신 50계가 여기서 운행하게 됨에 따라 취소되었다가 20년뒤에야 여기서 운행.
미도스지선이 21계 도입했던 1991년부터 여기로 남은 4량이 여기로 오기 시작했다.
그러나 대부분 1967~70년산이어서 이미 퇴역시기 다 되가던 차량인지라 1995년에 전량 퇴역했으며 25계가 대채했다.

4. 퇴역

신20계의 본격적 도입 이전에는 5개의 노선에서 운행했으나 차량이 2~30년 넘은 차들은 모두 1995~6년에 폐차되고 1970년대 말~1980년대초에 생산된 중간차를 개조해 신30계로 통칭해 타니마치선에서 운행하다 30년 되는 시점인 2013년에 퇴역했다.

5. 여담

파일:40028748903_4ffbc58d7f_o.jpg
키타오사카 급행전철2000형
1970년 난보쿠선의 미도스지선 직통을 위해 도입되었다.[11] 1986년 미도스지선의 9량화 때 오사카 시영 교통국으로 팔려가 중간차로 들어갔다.

특유의 경적이 좋은 평가를 받아 신20계를 비롯한 다양한 후속 차량에도 사용되고 있다.[12]


[타니마치선] 32계[타니마치선] 32계[3] 미도스지선[4] 츄오선,타니마치선[5] 요츠바시선[6] 센니치마에선[7] 센니치마에선 차량만[8] 최초의 4-4 출입문 열차[9] 초기 7006편성[10] 신30계[11] 따라서 회사만 다를 뿐 기본 사양은 같다.[12] 해당 영상 초반에 나오는 3059F편성은 1973년에 나온 신30계이며 3061F은 1975년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