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2 16:15:02

오베라는 남자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소설을 원작으로 한\}}}에 대한 내용은 [[오토라는 남자]]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오토라는 남자#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오토라는 남자#|]]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오토라는 남자]]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오토라는 남자#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오토라는 남자#|]]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external/hundredin.net/ove.jpg파일:external/d.gr-assets.com/18774964.jpg
한국판 표지 해외판 표지
오베라는 남자
A Man Called Ove
En Man Som Heter Ove
장르 드라마
쪽수 452
저자 프레드릭 배크만
옮긴이 최민우
출판사 다산책방
ISBN 9791130605210
국내 출간일 2015년 5월 20일

1. 개요2. 줄거리3. 등장인물4. 기타5. 영화
5.1. 개요5.2. 예고편5.3. 시놉시스5.4. 등장인물5.5. 평가5.6. OST 관련

1. 개요

스웨덴의 작가 프레드릭 배크만의 장편 소설. 한국에는 다산책방 출판사를 통해 2015년 5월 20일에 발매되었다.

2016년 5월 25일에 동명의 영화로 영화화되어 한국에 개봉되었다. 2023년에는 톰 행크스 주연의 오토라는 남자라는 제목의 영화로 미국에서 리메이크 되었다.

2. 줄거리

프롤로그는 주인공 오베가 애플 스토어에서 점원을 윽박지르면서 시작한다.[1]

오베는 아내 소냐가 죽은 이후 살아갈 이유가 없다며 죽기를 바란다. 하지만 죽기로 다짐할 때마다 오베를 필요로 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이웃으로 온 패트릭의 차를 고쳐주기도 하고, 갈 곳 없는 고양이를 키우기도 하고, 기차에 치일 뻔한 사람을 구하기도 한다. 오베는 괴팍한 성격과 꼰대다운 편향된 사고를 가지고 있지만 우직하게 자신의 일을 처리하고, 남을 도울 수 있을 때는 돕는 성격으로 나와서 사건들을 처리할 때까지 죽음을 미루게 된다.

자신도 의식하지 못한 채 다양한 사람에게 좋은 영향을 주게 되는데 파르바네의 운전 연습을 돕다가 패닉에 빠져 운전을 하지 못하는 파르바네의 차 뒤에서 클락션을 울려대는 차에 초보니까 꺼지라며 거칠게 혼내고서 파르바네에게 '당신은 괜찮은 사람 중에 하나다'라고 말하여 파르바네가 운전을 할 수 있게 하였고, 또 다른 옆집인 지미는 어릴 적 가정폭력을 당하던 걸 루네와 함께 구해내기도 하였다. 미르사드가 아버지와 화해하게 만들었으며, 요양원에 끌려갈 뻔한 루네를 패트릭과 함께 구해내기도 한다.

파르바네의 딸에게 선물로 애플의 최신기기를 선물하고 집으로 돌아가던 중에 도망치던 도둑을 막다가 칼에 찔리게 되고, 이제 죽을 수 있겠다고 생각했지만 병원에서 깨어난 뒤 자신을 위해 병문안을 해주고 있는 이웃 사람들을 보게 된다. 이 후에도 괴팍한 성격을 지니지만 일부러 죽기를 바라지는 않고, 패드릭같이 차량 정비를 하지 못하는 이웃들을 도우면서 살아간다. 소냐의 무덤에서도 그리 나쁘지 않다는 말을 하며 계속 살아갈 의지를 보이게 된다.

이 후 침대에서 조용히 영면하게 되고 파르바네에게 유언장을 남긴다. 이 때, 파르바네는 소냐에게 말하듯이 '당신의 남편을 잠시 빌려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말한다.

사실, 오베의 장인이자 소냐의 아버지가 주식으로 많은 돈을 상속했었고, 오베는 그 돈을 파르바네 가족이 쓰기 바랬지만 파르바네는 소냐의 이름으로 된 기부 단체를 만들었고, 오베가 살아있었다면 정말 싫어할 이웃 모두가 모여서 고인을 기리는 장례식을 한다. 얼마후, 신혼부부가 오베의 집을 보러 온다. 오베의 유언장을 의식한 파르바네는 신랑에게 어떤 차를 모냐고 묻고, 신랑은 오베와 똑같은 브랜드, 사브를 몬다고 대답하는 것으로 오베라는 남자는 막을 내린다.

3.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external/9db4b4b3385c7ee1603f0855b8881b2b1c8e6e2c9af17ea6ad9c2289798546ca.jpg
가운데의 할아버지가 오베, 만삭의 여인이 파르바네, 뚱뚱한 청년이 지미
  • 오베
사는 것보다 죽는 게 더 힘들다.
오프닝 기준으로 59세의 중년 남자. 16살 때 철도 회사에서 일하던 아버지가 열차에 치여 사망한 후, 학교를 그만두고 철도 회사에서 일하게 된다. 해고되기 전까지 43년 동안 일했다고. 처음 산 차는 사브 92인데, 그의 아버지가 임원의 오펠 만타를 고쳐준 뒤 받은 자동차다. 전 주민 자치회 의장이고, 사브가 아니면 차를 사려고 하지 않으며, 인정하는 차는 오직 스웨덴 볼보 밖에 없다.[2] 그렇게 좋아하던 사브도 제네럴 모터스가 모든 주식을 전부 인수하자 더 이상 사지 않을 정도. 소설에서는 사브 9-5 디젤 모델을 몰지만 영화에선 사브 9000 CS를 몬다. 어쨌든 스웨덴제 자동차 말고는 아니꼽게 보는지 BMW, 르노, GM, 토요타, 현대자동차 등의 외제차 회사들을 쓰레기로 본다.[3] 엔딩에서 아드리안이 차를 사려고 할 때 현대를 보고 있었다고 성을 낼 정도. 이래저래 꽉 막히고 깐깐한 사람처럼 보이지만 옳은 일은 옳기 때문에 해야 한다거나 남자는 행동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남자인 거라는 명언을 날려주는 행동파 상남자에 아내가 죽고 그녀의 무덤에 매일 찾아가는 등 애처가이기도 하다.
  • 소냐
    오베의 아내. 본편 시작 반년 전에 병사했다. 따라서 본편 현대 시점에선 이미 고인. 오베와는 취향도 성격도 전혀 달랐지만 서로 지극히 사랑하는 사이였다. 오베와 함께 스페인으로 버스여행을 갔을 때 버스기사의 음주운전으로 인하여 하반신 마비가 되었다. 거기다 뱃속의 아이마저 잃고 만다. 이후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특수아동들을 위해 문학을 가르치다 병이 악화되어 오베 곁을 떠나게 된다.
  • 파르바네
    오베의 집 근처로 가족과 함께 최근에 이사온 이란인 여인. 두 딸의 엄마이자 만삭의 임산부이기도 하다. 직업은 부동산 중개업자. 모든 일이 종결 된 이후 무사히 아들을 출산한다.
  • 패트릭
    파르바네의 남편. 직업은 IT 컨설턴트. 오베가 상당히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그런 부류의 사람이다. 소설판에서는 아마 프리우스로 추정되는 차를 몰지만, 영화판에서는 생뚱맞게도 i30 CW를 몰고 있다. 소설의 막바지에서 루네를 강제로 요양원에 데려가려는 공무원들의 구린점을 찾아네어 루네를 데려가지 못하게 한다. 모티브는 작가 본인이다.[4]
  • 지미
    오베의 집 근처에서 사는 뚱뚱한 청년. 그의 모친이[5] 사망한 이후 소냐가 일주일에 한번씩 식사를 챙겨주곤 했었다고 한다. 소냐가 죽은 후 "아주머니의 음식솜씨는 정말 최고였어요."[6]라며 그녀를 그리워한다. 아이폰 앱을 프로그래밍하는 일을 한다고 하며, 에필로그에선 어린 여자아이를 입양해 한 아이의 양부가 된다.
  • 루네
    오베의 라이벌이자 친구. 나중에 오베를 밀어내고 주민자치회 의장이 되어버리자 오베는 그에게서 등을 돌린다. 모는 차는 항상 볼보의 에스테이트였다가 아내인 아니타가 불임이란것을 알고 세단을 샀다가 마지막에 BMW를 사버린다. 오베는 이때까지만 해도 앙금을 털어버리고 화해를 하려 했지만, 이 행동으로 루네가 볼보를 배신했다면서 마음을 닫아버리곤 그를 상당히 싫어하게되었다. 소설의 시점에서는 치매에 걸려 요양원에 강제로 끌려갈 뻔 하지만 오베와 패트릭의 도움으로 가지 않는다.
  • 아니타
    루네의 아내. 여러 번 임신을 시도하였지만 모두 유산. 결국 불임 상태라는 것을 진단받는다.[7] 루네를 지키려고 시의회에 편지도 써보고 모든 관료제적 행동을 해보지만 막지 못해서 오베에게 도움을 청하게 된다.
  • 아드리안
    좋아하는 여자애의 자전거를 고쳐주고 싶어하는 아이이다. 소냐의 제자인 10대 소년.

4. 기타

주인공 오베가 가진 자동차에 대한 확고한 취향은 오베가 사랑하는 자동차 제조사로서의 사브가 어떤 곳이었는지를 잘 이해하면 더욱 재미있다. 오베가 단순히 국수주의 성향을 갖고 있어 스웨덴 자동차들에 유독 애착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두 스웨덴 자동차 회사가 공통적으로 지향해온 가치가 오베, 그리고 스웨덴이라는 국가 자체가 지향하는 가치와 들어맞는 구석이 있는 것이다. 오베 개인적으로 보면 일단 기계에 통달했고 그에게 기계를 다루는 법을 전수해준 아버지가 사브는 최고의 자동차라고 이야기해주기도 했으며 교통사고로 인해 아내가 하반신 마비와 유산이라는 끔찍한 비극을 겪은 바 있어 안전을 최우선의 가치로 삼는 사브와 볼보 두 브랜드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것이기도 하다. 다만 사브와 볼보는 일견 비슷해보이지만 살짝 다른 철학과 감성을 갖고 있었는데 사브는 모기업이 항공기 회사였다는 점에서 항공기에서 검증된 신기술을 남들보다 먼저 자동차에 적용하는 면모가 있었다. 공기역학적 차체설계[8]나 스포츠카에나 쓰이던 터보차저[9]를 승용차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기 시작한 것이 그 예이다. 이런 배경 때문에 사브는 볼보에 비해 스포츠성이 강하다는 이미지가 있었다. 한편 볼보는 중장비와 선박을 제조해온 기업이었기에 안전을 제외한 다른 측면에서는 좀 더 보수적인 철학을 갖고 있었고 신뢰성을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판매량과 회사 규모 측면에선 볼보가 압승이었지만 두 브랜드는 서로 치열하게 기술개발 경쟁을 벌였고 그 과정에서 두 브랜드의 차에는 수많은 최초 타이틀이 붙었으며 오랫동안 업계를 선도해왔다. 이 과정에서 둘 다 급변하는 디자인과 트렌드를 경시하고 전통적인 디자인을 고수하다가 판매량이 떨어진 것도 공통점이다. 볼보와 사브가 모두 승용차 시장에서 철수하거나 회사를 타 기업에 넘긴 지금도 두 회사의 자강두천은 상용차분야에서 볼보와 스카니아의 경쟁으로 명맥이 이어지고 있다.

상술했듯 소설과 영화판에서 오베가 타는 차량이 다른데 사실 소설판에서 오베의 차로 나오는 9-5는 GM 인수 후 생산된 모델이니 영화판 고증이 좀 더 맞다. 9000의 후속모델인 9-5부터는 차의 뼈대인 플랫폼부터 사브가 자체 개발한 플랫폼이 아닌 GM 유럽에서 개발된 2900 플랫폼이 사용되었다. 사브는 내구성과 성능을 위해 모든 부품을 최대한 독자개발하는 기조를 갖고 있었고 이 기조는 오베같은 충성고객을 양산해내기도 했지만 엄청난 개발비로 인해 회사가 GM에 넘어가고 결국 역사속으로 사라지는 단초가 되기도 했다. 실제로 몇몇 보수적인 사브 매니아들은 란치아와 공동개발하긴 했지만 어쨌든 플랫폼 개발 단계부터 사브가 참여한 9000까지를 진짜 사브로 간주하기도 하고 이때부터 사브의 충성고객층들이 빠져나가기 시작했다. 빠듯한 사정과 GM 경영진의 원가절감 압박에도 불구하고 사브 엔지니어들은 도저히 이 플랫폼 그대로는 차를 만들 수 없다고 판단하여 사브 900 2세대와 사브 9-3, 사브 9-5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플랫폼의 수천 곳에 달하는 부분을 뜯어고쳐 환골탈태 수준으로 다른 차를 만들어냈다. 덕분에 같은 플랫폼을 공유하는 오펠 벡트라등의 차량들이 별로 좋지 못한 평가를 받은 데 반해 사브의 차량들은 나름 호평을 받았고 초반에는 판매량도 나름 괜찮았다. 승용차업계에서 수많은 최초 타이틀을 따낸 사브답게 사브 9-5 역시 최초로 통풍시트 옵션이 적용된 승용차 타이틀을 갖고 있기도 하다.[10] 2008년 금융위기로 GM이 치명타를 맞기 전까지 사브가 GM 내에서 고집 센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으면서도 명줄을 이어나갈 수 있었던 것 역시 이 차량들 덕분이며 아직까지도 나름의 매니아들이 남아있다. 진짜로 사브의 아이덴티티가 걷잡을 수 없이 망가졌다고 평가받는 모델들은 2000년대 중반 등장한 뱃지 엔지니어링 모델인 사브 9-2X사브 9-7X이다. 이 차들은 판매고도 엄청나게 처참했으며 원판 모델들이 그렇게 나쁜 평가를 받는 것은 아니었음에도 그닥 좋은 평가를 받지도 못했다.

이런 독보적인 감성을 가진 스웨덴 자동차들이라 미국 영화판에서 오토의 자동차가 쉐보레 크루즈로 각색된 것은 여러모로 아이러니한 구석이 있다. 첫째로 쉐보레는 GM의 가장 대표적인 브랜드인데, 이 GM은 사브를 망하게 만든 브랜드이기도 하다. 경쟁사인 볼보 역시 승용차 부문을 포드한테 넘기긴 했지만 포드는 볼보의 아이덴티티 자체를 손상시키는 뱃지 엔지니어링까지 하지는 않았다. 둘째로 다들 알다시피 쉐보레 크루즈는 사실상 대우의 후신인 한국GM에서 개발한 한국차인데 오베는 한국차를 극혐하고 미국판의 오토 역시 한국차를 그닥 좋게 보지 않는다. 스웨덴 영화판에 상기 언급한 사브 9-2X가 오베의 마지막 자동차로 등장하는 셈.

5. 영화

오베라는 남자 (2015)
En man som heter Ove[11]
A man called Ove
파일:external/8a31ad14f488a73f2958e5a32bbd2e8542bccb4201da44abee53c16c725e3476.jpg
<colbgcolor=#449deb,#010101><colcolor=#ffff00,#dddddd> 장르 드라마, 코미디
감독 하네스 홀름
각본
제작 안니카 벨란데르, 니클라스 비크스트룀 니카스트로
주연 롤프 라스가드, 바하르 파르스, 필립 버그, 이다 엥볼
촬영 괴렌 홀버그
편집 프레드릭 모헤덴
음악 가우트 스토라스
촬영 기간 ○○
제작사 파일:스웨덴 국기.svg Film Väst, Nordisk Film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싸이더스
배급사 파일:스웨덴 국기.svg Nordisk Fil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싸이더스, 디스테이션
개봉일 파일:스웨덴 국기.svg 2015년 12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년 5월 25일
화면비 ○○
상영 시간 116분
제작비 ○○
월드 박스오피스 $30,726,624
북미 박스오피스 $3,479,315
대한민국 총 관객 수 92,339명
스트리밍
[[왓챠|
WATCHA
]]
#!if 링크 != null
[[https://watcha.com/contents/|▶]]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watcha.com/contents/|▶]]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watcha.com/contents/|▶]]
#!if 주석2 != null
^^^^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PG-13 로고.svg

5.1. 개요

2015년에 영화화되었고, 제89회 아카데미 시상식 외국어 영화상, 분장상에 노미네이트되었다. 2022년에 톰 행크스가 주연을 맡은 미국판이 개봉했다.

5.2. 예고편

한국 예고편
인터내셔널 예고편

5.3. 시놉시스

고집불통 까칠남 ‘오베’.
평생을 바친 직장에서 갑자기 정리해고를 당하고,
유일하게 마음을 터놓던 아내 ‘소냐’까지 세상을 떠난 이후,
그에게 남은 것은 ‘소냐’를 따라가는 것뿐이다.

모든 준비를 마친 ‘오베’.
마침내 계획을 실행할 결심을 하고,
마지막 순간을 앞둔 바로 그때!

그의 성질을 살살 긁으며
계획을 방해하기 시작한 누군가가 있었으니
바로, 아무 때나 시도 때도 없이 막무가내로 들이대는 이웃들!

그의 삶에 제멋대로 끼어든 사람들!
과연 ‘오베’ 인생 최악의 순간은 반전될 수 있을까?

5.4. 등장인물

  • 오베 - 롤프 라스고르드 (Rolf Lassgård)
  • 파르바네 - 바하르 파르스 (Bahar Pars)[12]
  • 젊은 오베 - 필립 베리 (Filip Berg)
  • 소냐 - 이다 엥볼 (Ida Engvoll)

5.5. 평가

메타크리틱
스코어 70/100
로튼 토마토
신선도 92%
관객 점수 88%
IMDb
평점 7.6/10
왓챠
사용자 평균 별점 3.9 / 5.0
네이버 영화
기자, 평론가 평점
6.86/10
네티즌 평점
9.06/10

5.6. OST 관련

  • 원작 소설, 영화, 그리고 영화 메인 테마 OST인 슈베르트의 피아노 트리오와의 연계성에 대한 포스팅이 올라 왔다. 이 피아노 트리오는 스웨덴 민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
  • 오베의 어머니의 장례식 장면에서 개신교의 신도라면 익숙하게 느낄 음악이 나오는데, 날마다 숨쉬는 순간마다 ~로 시작하는 복음성가의 원곡이다.

[1] 오베는 파르바네의 아이들에게 선물로 아이패드를 사주려고 애플 스토어에 간거였는데, 문제는 전자기기에 대해 잘 몰랐던 오베는 "아이패드라는게 뭐가 이렇게 비싸냐? 이렇게 비싸면서 아이패드에는 키보드도 안 넣어주냐?"라며 투덜댄다.[2] 슬프게도 볼보 또한 1999년 포드를 거쳐 2010년 지리자동차에 인수되었다. 즉 오베 입장에서는 1999년 이후로 나온 승용차들 중 진정한 스웨덴제 차는 없다.[3] 여담으로 작가 본인은 현대 싼타페를 몬다고 한다. 자동 주행 기능이 좋다고.[4] 작가의 블로그를 읽어보면 패트릭과 파르바네가 작가와 작가의 아네에게서 모티브를 따왔다는걸 볼수 있다.[5] 처음 이사왔을때 어린 꼬마였던 지미는 어머니와 함께 아버지의 학대를 받았다. 그러던 어느날 오베와 루네가 집에 들이닥쳐 지미의 아버지를 두들겨 패서 쫓아버린다. 거기다 소냐와 아니타는 지미가 살고있던 집을 사서 모자에게 선물로 주기까지 한다.[6] 지미를 마음에 들지 않아하는 오베도 이 말엔 동의했다.[7] 소설의 시점에서 첫 아이인 요한이 미국에 가있다고 기술되어있다. 즉 한번은 성공한 것.[8] 오베의 첫 차 사브 92가 당대 자동차들답지 않게 둥글둥글하게 생긴 이유가 바로 이것 때문이다.[9] 터보차저는 원래 비행기 엔진에 먼저 쓰이던 기술이고, 스포츠카나 고급차를 중심으로 적용되었으나 대중화에 앞장선 브랜드는 사브이다.[10] 여담으로 최초로 열선시트 옵션을 승용차에 적용한 브랜드도 사브이다.[11] 스웨덴 개봉명[12] 실제 이란계 스웨덴인 배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