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오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오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페이즈 1 | ||||
아이언맨 | 워 머신 | 페퍼 포츠 | 해피 호건 | 필 콜슨 | |
하워드 스타크 | 닉 퓨리 | 헐크 | 썬더볼트 로스 | 어보미네이션 | |
블랙 위도우 | 토르 | 로키 | 오딘 | 제인 포스터 | |
달시 루이스 | 호크아이 | 스티브 로저스 | 윈터 솔져 | 페기 카터 | |
마리아 힐 | 타노스 | ||||
페이즈 2 | |||||
샘 윌슨 | 샤론 카터 | 스칼렛 위치 | 스타로드 | 가모라 | |
드랙스 | 로켓 | 그루트 | 네뷸라 | 욘두 우돈타 | |
크래글린 | 울트론 | 비전 | 스콧 랭 | 캐시 랭 | |
행크 핌 | 호프 밴 다인 | 재닛 밴 다인 | |||
페이즈 3 | |||||
트찰라 | 스파이더맨 | 에버렛 로스 | 제모 남작 | 닥터 스트레인지 | |
에인션트 원 | 웡 | 맨티스 | 네드 리즈 | MJ | |
발키리 | 코르그 | 슈리 | 오코예 | 음바쿠 | |
고스트 | 지미 우 | 캡틴 마블 | 탈로스 | 모니카 램보 | |
신 로키 | |||||
페이즈 4 | |||||
애거사 하크니스 | U.S. 에이전트 | 남아 있는 자 | 발렌티나 폰테인 | 옐레나 벨로바 | |
우아투 | 캡틴 카터 | 샹치 | 세르시 | 이카리스 | |
파스토스 | 테나 | 길가메시 | 마카리 | 스프라이트 | |
킨고 | 드루이그 | 에이잭 | 케이트 비숍 | 에코 | |
데어데블 | 문 나이트 | 아메리카 차베즈 | 미즈 마블 | 쉬헐크 | |
아이언하트 | 실비 | 킹핀 | |||
페이즈 5 | |||||
정복자 캉 | 하이 에볼루셔너리 | 아담 워록 | 가이아 | 소냐 팰즈워스 | |
데드풀 | 울버린 | 퍼니셔 | }}}}}}}}} |
1. 페이즈 1
1.1. 토르: 천둥의 신
소설판의 묘사에 따르면, 아버지 보르와 형제를 전쟁으로 잃고 일찍이 왕위에 올라 수천 년 동안 아스가르드를 통치해 왔다. 왕위에 오른 오딘은 외계 행성들을 침공하고 강력한 적들과 싸웠으며, 수많은 적들을 물리쳤다고 언급된다.[1]<nopad> | |
<nopad> |
<nopad> |
토르: 아버지! 함께 놈들을 쓸어버립시다!
(Father! We'll finish them together!)
오딘: 조용히해라!
(Silence!)
라우페이: 만물의 아버지여, 많이 노쇠했군.
(Allfather. You look weary.)
오딘: 라우페이, 이 정도로 해 두세.
(Laufey, end this now.)
라우페이: 네 아들이 자초한 일이다.
(Your boy sought this out.)
오딘: 그래. 이런 일들은 어린 아이의 치기라고 봐주게나. 더 피를 보기 전에 우리끼리 처리함세.
(You're right. And these are the actions of a boy. Treat them as such. You and I can end this here and now, before there's further bloodshed.)
라우페이: 협상으로 끝날 단계는 이미 지났다, 만물의 아버지여. 저 놈이 여기서 얻어갈 건 전쟁과 죽음 뿐이다.
(We are beyond diplomacy now, Allfather. He'll get what he came for. War, and death.)
오딘: ...그러하겠지.[3][4]
(So be it.)
(Father! We'll finish them together!)
오딘: 조용히해라!
(Silence!)
라우페이: 만물의 아버지여, 많이 노쇠했군.
(Allfather. You look weary.)
오딘: 라우페이, 이 정도로 해 두세.
(Laufey, end this now.)
라우페이: 네 아들이 자초한 일이다.
(Your boy sought this out.)
오딘: 그래. 이런 일들은 어린 아이의 치기라고 봐주게나. 더 피를 보기 전에 우리끼리 처리함세.
(You're right. And these are the actions of a boy. Treat them as such. You and I can end this here and now, before there's further bloodshed.)
라우페이: 협상으로 끝날 단계는 이미 지났다, 만물의 아버지여. 저 놈이 여기서 얻어갈 건 전쟁과 죽음 뿐이다.
(We are beyond diplomacy now, Allfather. He'll get what he came for. War, and death.)
오딘: ...그러하겠지.[3][4]
(So be it.)
토르: 왜 저희를 데려오신 겁니까?
(Why did you bring us back?)
오딘: 아직도 네가 무슨 짓을 한 건지 모르는 게냐?
(Do you realize What you've done, what you've started?)
토르: 제 조국을 지키려고 했을 뿐입니다!
(I was protecting my home!)
오딘: 네 친구 하나 제대로 지키지 못하는 놈이 무슨 재주로 이 왕국을 수호하겠다는 말이냐?! (비프로스트의 키홀에서 검 호푼드[5]를 뽑아 헤임달에게 던져버리고는) 치료실로 데려가라! 어서!!
(You cannot even protect your friends! How can you hope to protect the kingdom?! Get him to the healing room! Now!!)
토르: 나서는 것을 두려워 한다면 아스가르드가 남아나질 않을 겁니다! 요툰 놈들은 마땅히 절 두려워해야 합니다. 아버지를 두려워하듯이.
(There won't be a kingdom to protect if you're afraid to act! The Jotun's must learn to fear me. Just as they once feared you.)
오딘: 그건 자존심과 오만함에 불과하지 결코 통솔력이라고 할 수 없다. 내가 '전사의 인내'에 대해 가르친 것을 모조리 잊었구나.[6]
(That's pride and vanity talking, not leadership. You've forgotten everything I taught you about a 'Warrior's Patience'.)
토르: 기다리며 참기만 해서는 아홉 왕국이 저희를 비웃을 겁니다. 낡은 방식이 통하던 시대는 이미 지났습니다. 아버지가 연설이나 하시는 동안 아스가르드가 멸망한다는 말입니다!
(While you wait and be patient the Nine Realms laugh at us. The old ways are done. You'd stand giving speeches while Asgard falls.)
오딘: 이 오만하고! 욕심 많고! 잔인한 놈 같으니!!
(You're a Vein! Greedy! Cruel Boy!!)
토르: 그러는 아버지는 다 늙은 머저리가 아닙니까![7]
(Then you're an old man and a fool!)
오딘: ...그래, 내가 머저리였구나. 네가 준비를 다 마쳤다고 믿고 말았다니.
(...Yes, I was a fool. to think you were ready.)
-이 때 로키가 "아버지..."라며 무언가를 말하려 하지만,[8] 버럭하는 오딘 때문에 로키는 움츠러든다.[9][10]
토르, 오딘의 아들이여, 너는 왕명을 거역했으며, 오만하고 어리석은 망동으로 평화로운 이 왕국과 무고한 생명들을 전쟁의 공포와 황폐함으로 몰아넣을 뻔하였느니라.
(Thor Odinson, You have betrayed the express command of your king, through your arrogance an stupidity, You opened these peaceful realm and innocent lives to the horror and desolation of war!)
이제 네게는 이 세계에 속할 자격이 없고, 그 이름을 사용할 자격도 없으며, 네 손으로 배신한 사랑하는 이들에게 사랑받을 자격 또한 없다!
(You are unworthy of these realms, You're unworthy of your title! You're unworthy! Of the loved ones you have betrayed.)
이에 네 힘을 거두노라![11]
(And now I take from you, your Power!)
나의 아버지, 또 그의 아버지의 이름으로, 나, 만물의 아버지[12]인 오딘은 너를 추방하노라![13]
(In the name of my father, and his father before!! I Odin allfather cast you out!!!)
누구든 이 망치를 드는 자. 그에 합당한 자격을 증명한다면, 마땅히 토르의 힘을 얻을 지어다.[14]
(Whosoever holds this hammer, if he be worthy, shall possess the power of Thor.)
라우페이와의 대화로 시간을 벌다가 공격당하기 직전에 적을 날려버리며 탈출, 토르 일행을 데리고 아스가르드로 귀환한다. 그러나 토르는 여전히 정신을 못 차리고 오딘에게 대들었고, 이에 크게 실망한 오딘은 토르의 권능과 묠니르를 빼앗아 인간 수준으로 격하시키고 지구(미드가르드)로 추방한다. 실제로 이때 토르가 일으킨 난동은 고대의 전쟁 이후 아홉 왕국의 평화를 지키기로 한 아스가르드의 대의명분에 정면으로 반하는 것으로, 그 왕세자가 평화를 보호하기는커녕 한 곳을 명확한 증거도 없이 전쟁 직전까지 공격한 것은 아스가르드의 입지를 크게 위협하는 일이다. 그러므로 오딘이 토르를 추방한 건 백번 타당하다. 머지 않아 어벤져스 사태까지 이어지자 아홉 왕국 내에서 연쇄적인 반란이 일어났으며, 이걸 토르, 워리어즈 쓰리, 레이디 시프가 수습하러 돌아다니는 게 후속작 다크 월드의 초반 장면.(Why did you bring us back?)
오딘: 아직도 네가 무슨 짓을 한 건지 모르는 게냐?
(Do you realize What you've done, what you've started?)
토르: 제 조국을 지키려고 했을 뿐입니다!
(I was protecting my home!)
오딘: 네 친구 하나 제대로 지키지 못하는 놈이 무슨 재주로 이 왕국을 수호하겠다는 말이냐?! (비프로스트의 키홀에서 검 호푼드[5]를 뽑아 헤임달에게 던져버리고는) 치료실로 데려가라! 어서!!
(You cannot even protect your friends! How can you hope to protect the kingdom?! Get him to the healing room! Now!!)
토르: 나서는 것을 두려워 한다면 아스가르드가 남아나질 않을 겁니다! 요툰 놈들은 마땅히 절 두려워해야 합니다. 아버지를 두려워하듯이.
(There won't be a kingdom to protect if you're afraid to act! The Jotun's must learn to fear me. Just as they once feared you.)
오딘: 그건 자존심과 오만함에 불과하지 결코 통솔력이라고 할 수 없다. 내가 '전사의 인내'에 대해 가르친 것을 모조리 잊었구나.[6]
(That's pride and vanity talking, not leadership. You've forgotten everything I taught you about a 'Warrior's Patience'.)
토르: 기다리며 참기만 해서는 아홉 왕국이 저희를 비웃을 겁니다. 낡은 방식이 통하던 시대는 이미 지났습니다. 아버지가 연설이나 하시는 동안 아스가르드가 멸망한다는 말입니다!
(While you wait and be patient the Nine Realms laugh at us. The old ways are done. You'd stand giving speeches while Asgard falls.)
오딘: 이 오만하고! 욕심 많고! 잔인한 놈 같으니!!
(You're a Vein! Greedy! Cruel Boy!!)
토르: 그러는 아버지는 다 늙은 머저리가 아닙니까![7]
(Then you're an old man and a fool!)
오딘: ...그래, 내가 머저리였구나. 네가 준비를 다 마쳤다고 믿고 말았다니.
(...Yes, I was a fool. to think you were ready.)
-이 때 로키가 "아버지..."라며 무언가를 말하려 하지만,[8] 버럭하는 오딘 때문에 로키는 움츠러든다.[9][10]
토르, 오딘의 아들이여, 너는 왕명을 거역했으며, 오만하고 어리석은 망동으로 평화로운 이 왕국과 무고한 생명들을 전쟁의 공포와 황폐함으로 몰아넣을 뻔하였느니라.
(Thor Odinson, You have betrayed the express command of your king, through your arrogance an stupidity, You opened these peaceful realm and innocent lives to the horror and desolation of war!)
이제 네게는 이 세계에 속할 자격이 없고, 그 이름을 사용할 자격도 없으며, 네 손으로 배신한 사랑하는 이들에게 사랑받을 자격 또한 없다!
(You are unworthy of these realms, You're unworthy of your title! You're unworthy! Of the loved ones you have betrayed.)
이에 네 힘을 거두노라![11]
(And now I take from you, your Power!)
나의 아버지, 또 그의 아버지의 이름으로, 나, 만물의 아버지[12]인 오딘은 너를 추방하노라![13]
(In the name of my father, and his father before!! I Odin allfather cast you out!!!)
누구든 이 망치를 드는 자. 그에 합당한 자격을 증명한다면, 마땅히 토르의 힘을 얻을 지어다.[14]
(Whosoever holds this hammer, if he be worthy, shall possess the power of Thor.)
<nopad> |
Loki: Why? You were knee deep in Jotunn blood. Why would you take me?
로키: 어째서죠? 아버지는 수많은 서리거인들을 해치우셨잖아요. 왜 저를 데려오신 거예요?
Odin: You were an innocent child.
오딘: 너는 그저 무고한 아기에 불과했단다.
Loki: No. You took me for a purpose, what was it? Tell me!!!!
로키: 아뇨. 목적이 있어서 데려온 거잖아요, 그게 뭐였어요? 말해주세요!!!!
Odin: I thought we could unite our kingdoms one day, bring about an alliance, bring about a permanent peace, through you.
오딘: 언젠가 우리의 왕국들을 통합하고, 동맹을, 영구적인 평화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생각했느니라. 너를 통해서 말이다.
Loki: What?
로키: 뭐라고요?
Odin: But those plans no longer matter.
오딘: 하지만 그 계획은 이제 중요하지 않다.[15]
Loki: So I am no more than another stolen relic, locked up here until you might have use of me.
로키: 그럼 전 또 다른 훔쳐온 전리품에 불과하다는 거군요, 아버지가 절 써먹을 때까지 여기 갇혀 지내는 그런 신세 말이에요.
Odin: Why do you twist my words?
오딘: 왜 내 말을 곡해하느냐?
Loki: You could have told me what I was from the beginning. Why didn't you?
로키: 제가 누군지 처음부터 말해 주실 수 있었잖아요. 왜 그러지 않으셨던 거죠?
Odin: You are my son. I wanted only to protect you from the truth.
오딘: 넌 내 아들이다. 단지 진실로부터 너를 보호하고 싶었다.
Loki: What? Because I.. I, I'm the monster that parents tell their children about at night?
로키: 무슨 진실요? 제.. 제, 제가 밤에 부모님들이 아이들에게 얘기해 주는 괴물이라는 진실이요?
Odin: Don't....
오딘: 그만하거라....
Loki: You know, it all makes sense now! Why you favored Thor all these years. Because no matter how much you claim to love me, you couldn't never have a frost giant sitting on the throne of Asgard!
로키: 아 그래, 이제 전부 다 말이 되네요! 왜 여태껏 형만 그렇게 싸고 도셨는지. 왜나면 절 사랑한다고 아무리 말씀하셔봤자, 한낱 서리거인 따위에게 아스가르드의 왕좌를 줄 수는 없었을 테니까!
그러나 섬세하고 생각이 깊은 로키에게 필요했던 위로의 말 대신 오딘은 실제로 그를 거둔 것에는 요툰하임과의 평화를 유지하려는 정치적인 의도도 있었다는 등 부적절한 말을 꺼냈고, 완전히 격노한 로키의 비난을 듣고는 이에 딱히 대답조차 하지 못한 채 오딘의 잠에 빠진다. 그대로 자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된 오딘. 로키는 임시로 아스가르드의 섭정을 맡게 되며, 곧 지구에서 묠니르를 들려 시도하다 실패하고 좌절한 토르를 방문한다. 로키의 교묘한 거짓말로 인해 토르는 오딘이 죽었으며, 요툰하임과는 휴전 조건으로 토르의 영구 추방에 상호 동의했다고 알게 된다. 그러고도 모자라 로키는 디스트로이어를 지구로 보내 토르를 직접 처리하려고 시도하나, 토르는 인간 수준으로 격하된 몸으로 지구에서 만난 제인 일행과 소중한 친구들을 지키기 위해 홀로 맞서다 죽음에 이른다. 여전히 자고 있던 오딘은 이 순간 눈물을 흘리며, 고결함을 되찾은 토르는 동시에 묠니르를 되찾으며 다시금 천둥신으로 각성하여 디스트로이어를 파괴하는 데 성공한다. 친구들로부터 진실을 알게 된 토르는 반드시 돌아오겠다고 제인에게 약속한 후 서둘러 아스가르드로 돌아간다.로키: 어째서죠? 아버지는 수많은 서리거인들을 해치우셨잖아요. 왜 저를 데려오신 거예요?
Odin: You were an innocent child.
오딘: 너는 그저 무고한 아기에 불과했단다.
Loki: No. You took me for a purpose, what was it? Tell me!!!!
로키: 아뇨. 목적이 있어서 데려온 거잖아요, 그게 뭐였어요? 말해주세요!!!!
Odin: I thought we could unite our kingdoms one day, bring about an alliance, bring about a permanent peace, through you.
오딘: 언젠가 우리의 왕국들을 통합하고, 동맹을, 영구적인 평화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생각했느니라. 너를 통해서 말이다.
Loki: What?
로키: 뭐라고요?
Odin: But those plans no longer matter.
오딘: 하지만 그 계획은 이제 중요하지 않다.[15]
Loki: So I am no more than another stolen relic, locked up here until you might have use of me.
로키: 그럼 전 또 다른 훔쳐온 전리품에 불과하다는 거군요, 아버지가 절 써먹을 때까지 여기 갇혀 지내는 그런 신세 말이에요.
Odin: Why do you twist my words?
오딘: 왜 내 말을 곡해하느냐?
Loki: You could have told me what I was from the beginning. Why didn't you?
로키: 제가 누군지 처음부터 말해 주실 수 있었잖아요. 왜 그러지 않으셨던 거죠?
Odin: You are my son. I wanted only to protect you from the truth.
오딘: 넌 내 아들이다. 단지 진실로부터 너를 보호하고 싶었다.
Loki: What? Because I.. I, I'm the monster that parents tell their children about at night?
로키: 무슨 진실요? 제.. 제, 제가 밤에 부모님들이 아이들에게 얘기해 주는 괴물이라는 진실이요?
Odin: Don't....
오딘: 그만하거라....
Loki: You know, it all makes sense now! Why you favored Thor all these years. Because no matter how much you claim to love me, you couldn't never have a frost giant sitting on the throne of Asgard!
로키: 아 그래, 이제 전부 다 말이 되네요! 왜 여태껏 형만 그렇게 싸고 도셨는지. 왜나면 절 사랑한다고 아무리 말씀하셔봤자, 한낱 서리거인 따위에게 아스가르드의 왕좌를 줄 수는 없었을 테니까!
한편 다시 아스가르드에서, 무방비하게 잠에 빠진 오딘의 앞에 침입한 서리 거인의 왕 라우페이는 오딘을 살해하려 시도한다. 그러나 정작 라우페이의 밀항을 도와준 로키는 그를 배신하고 궁니르로 두 차례 공격해 흔적도 없이 그를 처리한다. 사실 여기까지가 로키의 계획으로, 친부일지언정 로키는 결정적인 순간에 라우페이를 직접 쓰러트려 그동안 아버지로 여겼던 오딘에게 정말로 인정받고 싶었던 것이다. 이어 로키는 비프로스트를 폭주시키고 그대로 고대 겨울의 상자로 얼려 그 힘으로 요툰헤임을 아예 박살내려고 시도하나, 토르는 제인을 다시 만나는 것조차 포기하고 비프로스트를 직접 파괴하여 로키의 계획을 끝낸다. 붕괴의 여파로 인해 둘이 우주 공간에 떨어질 뻔한 그 순간, 깨어난 오딘이 나타나 토르를 붙잡아 아들들을 구한다.
I could have done it, father! I could have done it!
로키: 제가 해낼 수 있었어요, 아버지! 해낼 수 있었다고요!
For you! For all of us....
로키: 아버지를 위해서! 우리 모두를 위해서요....
No, Loki.
오딘: 아니다, 로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아버지와 모두를 위한 일이었다고 절규하는 로키에게 오딘은 그것이 잘못된 일임을 일러주었고,[16] 상심한 로키는 붙잡고 있던 궁니르를 놓아 우주의 심연에 떨어지고 만다. 본편은 이렇게 마무리되며, 짧은 시간 내에 정신적으로 크게 성장한 토르를 칭찬한다.로키: 제가 해낼 수 있었어요, 아버지! 해낼 수 있었다고요!
For you! For all of us....
로키: 아버지를 위해서! 우리 모두를 위해서요....
No, Loki.
오딘: 아니다, 로키.
오딘: 너는 현명한 왕이 될 게다.
You will be a wise king.
토르: ...아버지보다 현명한 왕이 될 수 있는 자는 없습니다. 더 좋은 아버지도.
There will never be a wiser king than you. or a better father.
저는 아직 배워야 할 것이 많습니다. 이젠 그걸 잘 압니다.
I have much to learn. I know that now.
아마 언젠가는, 제가 아버지를 자랑스럽게 할 수 있을 때가 오겠죠.
Someday, perhaps, I shall make you proud.
오딘: 넌 이미 나를 자랑스럽게 했단다.
You've already made me proud.
후에 토르: 라그나로크가 개봉함에 따라 오딘이 과거에 어땠는지 드러남에 따라[17] 오딘은 자신이 예전에 저질렀던 과오를 아들이 저지르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 저렇게 말한 것이었다. 실제로 피에 굶주린 헬라가 계속해서 우주정복을 하고자 하자 친딸을 봉인해야했던 아픈 기억이 있는만큼, 아들들인 토르와 로키가 마찬가지로 힘에 의존한 지배의 유혹에 빠지는 걸 막고 싶었을 것이다.You will be a wise king.
토르: ...아버지보다 현명한 왕이 될 수 있는 자는 없습니다. 더 좋은 아버지도.
There will never be a wiser king than you. or a better father.
저는 아직 배워야 할 것이 많습니다. 이젠 그걸 잘 압니다.
I have much to learn. I know that now.
아마 언젠가는, 제가 아버지를 자랑스럽게 할 수 있을 때가 오겠죠.
Someday, perhaps, I shall make you proud.
오딘: 넌 이미 나를 자랑스럽게 했단다.
You've already made me proud.
1.2. 어벤져스
직접적인 등장은 없다.[18] 로키를 잡고 테서랙트를 회수하기 위해 토르를 지구로 내려보냈다. 이때 비프로스트가 파괴된 상태였기에 부득이하게 암흑 에너지를 이용했다. 지구에 외계 침공이 발생했으니 원래대로라면 그 보호를 맡는 아스가르드의 왕인 오딘은 마땅히 지원군을 보냈겠지만, 전작에서 파괴된 비프로스트가 아직 복구되지 않은 상태라 토르를 지구로 보내는 것에 그친다. 다크 월드에서 알 수 있듯 나머지 아홉 왕국도 곳곳에서 반란이 터지는 등 혼란한 상태라 오딘 본인이 섣불리 직접 나서는 것도 부적절한 상황이었다. 실질적인 최강 전력인 자신과 주력 부대는 아스가르드 방어와 질서 유지를 위해 본국에 남아있는 한 편 신뢰할 수 있는 장자 토르를 지구로 대신 출정시킨 것이다. 치타우리 사태가 마무리된 후, 로키와 테서랙트와 함께 토르는 아스가르드로 귀환한다.2. 페이즈 2
2.1. 토르: 다크 월드
<nopad> |
<nopad> |
Odin: If when he comes, his men will fall on ten thousand Asgardian blades.
오딘: 만약 그 놈(말레키스)이 온다면, 놈의 병사들은 만 개의 아스가르드의 칼날 위에 쓰러질 게다.
Thor: How many our men should fall on theirs?
토르: 우리의 병사들은 얼마나 쓰러져야 하는 겁니까?
Odin: As many as are needed! ...We will fight, to the last Asgardian breath, to the last drop of Asgardian blood.
오딘: 필요한 만큼 쓰러지겠지![22] ...우린 싸울 것이니라. 아스가르드의 최후의 숨결까지, 아스가르드의 최후의 피 한 방울까지.
Thor: Then how are you different from Malekith?
토르: 그럼 아버지께서 말레키스와 다를 것이 무엇입니까?
Odin: Haha! The difference, my son, is that I will win.
오딘: 하하하![23] 차이점은 말이다, 아들아, 바로 내가 이기리라는 것이지.
아내의 죽음에 분노로 눈이 뒤집힌 오딘은 과거 정복 군주 시절 때처럼 다크 엘프들을 모조리 갈아마시기 위해 토르의 만류도 무시한 채 모든 병력을 소집해 전쟁을 준비한다. 공교롭게도 토르가 전쟁을 주장하고 오딘이 만류했던 토르 1편 천둥의 신 때와는 완전히 정반대 상황이 펼쳐지게 된 셈.[24] 이때 토르는 제인을 아스가르드 바깥으로 데려나가 말레키스를 유인하겠다고 제안했는데 오딘이 불허하여, 결국 독단적으로 움직이기로 한다. 토르가 억류된 제인을 몰래 빼내는 동안 헤임달이 오딘에게 반역자가 있다면서 거짓 보고를 하여 주의를 끌고, 비프로스트에서 헤임달이 자신이 반역자라고 말하면서 시간을 버는 동안 토르는 제인과 함께 탈출한다. 오딘은 뒤늦게 추격대를 보내지만 토르 일행은 로키가 아는 비밀통로를 통해 도주해 버린다. 이후 토르를 찾다가 스바르트알프헤임에 도착하고, 거기서 병사로부터 시신을 발견했다는 보고를 듣는다. 이에 오딘은 병사를 바라보며 '로키'라고 중얼거린다.[25] 토르가 말레키스를 해치운 뒤에는 토르의 공을 치하하고 왕위를 물려받지 않겠냐고 제안하지만, 토르는 위대한 왕보다는 훌륭한 남자가 되고 싶다며 왕위 대신에 지상에서 제인과 함께 살겠다면서 사양하고 지구로 돌아간다. 오딘은 "한 아들(로키)은 왕좌를 너무 탐하더니 다른 하나(토르)는 아예 원하질 않는구나. 작별인사나 축복같은 건 하지 않겠다. 그저 내 가슴 깊이 간직해두마."라고 토르를 보낸다. 감사를 표하며 떠나는 토르의 등 뒤에 대고 오딘은 들리지 않게 이렇게 말한다.오딘: 만약 그 놈(말레키스)이 온다면, 놈의 병사들은 만 개의 아스가르드의 칼날 위에 쓰러질 게다.
Thor: How many our men should fall on theirs?
토르: 우리의 병사들은 얼마나 쓰러져야 하는 겁니까?
Odin: As many as are needed! ...We will fight, to the last Asgardian breath, to the last drop of Asgardian blood.
오딘: 필요한 만큼 쓰러지겠지![22] ...우린 싸울 것이니라. 아스가르드의 최후의 숨결까지, 아스가르드의 최후의 피 한 방울까지.
Thor: Then how are you different from Malekith?
토르: 그럼 아버지께서 말레키스와 다를 것이 무엇입니까?
Odin: Haha! The difference, my son, is that I will win.
오딘: 하하하![23] 차이점은 말이다, 아들아, 바로 내가 이기리라는 것이지.
<nopad> |
아니, 내가 고맙지.
No, thank you.
옥좌에 앉아있던 오딘은 가짜였고, 그 정체는 다름 아닌 환술로 변장한 로키였다. 사실 이 결말은 로키 단독 포스터에 대놓고 암시되어 있다. 로키의 오른다리 옆에 떨어진 오딘의 투구, 뒤에 있는 궁니르, 부서진 왕좌, 로키 발 아래에 놓인 묠니르는 오딘이 자기 왕좌에 있지 못한 상태에서 로키가 가짜 오딘 행세를 한다는 걸 보여준다.No, thank you.
3. 페이즈 3
3.1. 토르: 라그나로크
<nopad> |
I love you, my sons.[28] Look at that. Remember this place. Home...[29]
사랑한다, 아들들아. 저기를 보렴. 그리고 여길 기억하거라. 집이 될 것이니...
유언을 남긴 후, 빛이 되어 흩어진다.
사랑한다, 아들들아. 저기를 보렴. 그리고 여길 기억하거라. 집이 될 것이니...
유언을 남긴 후, 빛이 되어 흩어진다.
<nopad> |
|
눈이 두 개일 적에도, 넌 반쪽만 보며 살아왔지.
Even when you had two eyes, you'd see only half the picture.
토르: 누님이 너무 강합니다. 망치 없이는 어찌 할 도리가 없습니다...
She's too strong. Without my hammer, I can't..
토르, 네가 망치의 신이더냐? 응? 그 망치는 네가 지닌 힘을 통제하고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에 불과할 뿐. 결코 네 힘의 근원이 아니었단다.
Are you Thor, the God of Hammers? Hmm? That hammer was to help you control your power, to focus it. It was never your source of strength.
토르: 너무 늦었습니다, 누님이 이미 아스가르드를 장악했어요.
It's too late, she's already taken Asgard.
Asgard is not a place. Never was. This could be Asgard. Asgard is where our people stand. Even now, right now, those people need your help.
아스가르드는 장소가 아니다. 단 한 번도 그랬던 적이 없지.[32] 바로 여기가 될 수도 있다. 백성들이 있는 곳이 곧 아스가르드이니라. 그리고 지금, 바로 지금, 그 백성들이 너를 필요로 하고 있다.
Thor: I'm not as strong as you.
토르: 저는 아버지만큼 강하지 않습니다.
Odin: No. You're stronger.
오딘: 그렇지. 네가 더 강하니까 말이다.[33]
"What Were You The God Of?"Even when you had two eyes, you'd see only half the picture.
토르: 누님이 너무 강합니다. 망치 없이는 어찌 할 도리가 없습니다...
She's too strong. Without my hammer, I can't..
토르, 네가 망치의 신이더냐? 응? 그 망치는 네가 지닌 힘을 통제하고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에 불과할 뿐. 결코 네 힘의 근원이 아니었단다.
Are you Thor, the God of Hammers? Hmm? That hammer was to help you control your power, to focus it. It was never your source of strength.
토르: 너무 늦었습니다, 누님이 이미 아스가르드를 장악했어요.
It's too late, she's already taken Asgard.
Asgard is not a place. Never was. This could be Asgard. Asgard is where our people stand. Even now, right now, those people need your help.
아스가르드는 장소가 아니다. 단 한 번도 그랬던 적이 없지.[32] 바로 여기가 될 수도 있다. 백성들이 있는 곳이 곧 아스가르드이니라. 그리고 지금, 바로 지금, 그 백성들이 너를 필요로 하고 있다.
Thor: I'm not as strong as you.
토르: 저는 아버지만큼 강하지 않습니다.
Odin: No. You're stronger.
오딘: 그렇지. 네가 더 강하니까 말이다.[33]
진정한 천둥신으로서 각성한 토르는 이내 헬라를 쓰러트리는 대신 시간을 벌고 수르트를 부활시켜 아스가르드를 파괴하는 것이 해답임을 깨닫는다. 고향을 제 손으로 부순 꼴이 됐지만, 오딘의 아들 토르는 백성들을 구원했고 영원한 위협인 헬라를 처단했으며 동생 로키와는 다시금 가족의 인연을 공고히 했다. 토르는 파괴된 아스가르드를 뒤로 하고 우주로 나선 난민선에서 조촐하게 대관식을 치른다. 어디로 향할지 묻는 헤임달에게 오딘의 유언을 떠올린 토르는 지구로 향하자 말하고 영화는 그렇게 마무리된다. 그런데 그 순간..
결국 분량은 줄었지만 이렇게 비중은 크게 상승하였다. 사라지기 직전 땅이 아닌 백성들을 수호하는 의무를 아들들에게 가르쳤고 훗날 아스가르드인의 새로운 터전이 될 땅을 점지하였으며, 그의 죽음으로 인해 헬라의 등장과 라그나로크의 위험이 발생했으며, 소멸 이후에도 쓰러진 토르에게 나타나 결정적인 순간 각성하도록 이끌어냈다. 그 뒤로는 타노스의 침공도 실질적으로 오딘이 소멸한 덕분에 가능한 일이었으니 실질적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지녔음이 오히려 뒤에 드러나는 인물이다. 인간적인 면과 엄격한 면을 모두 보여준 1편, 까칠하고 심지어 호전적인 모습을 보여준 2편에 비해 죽음이 가까워서 그런지 훨씬 부드럽고 현자와 같은 모습으로 나왔다.[34] 헬라에 의해 드러난 과거는 무시무시했지만.[35] 여담으로 안소니 홉킨스는 토르 1, 2편을 촬영하면서 오딘의 복장이 너무 무거워서 연기하기 힘들다고 하소연한 적이 있는데, 그래서인지 이번에는 첫 등장 장면에서는 기존 의상에 비해 가벼운 가운만 걸치고 있었고, 그 뒤로는 아예 지구의 평상복을 입은 모습으로만 등장한다. 1차 촬영본에서는 노르웨이가 아닌 뉴욕에서 거지 내지는 노숙자와 다름 없는 모양새로 재회할 예정이었으나 시사회를 본 관객들이 오딘이 너무 처량한 최후를 맞는다며 반응이 좋지 않았고, 그 탓에 새롭게 촬영해 지금의 장면이 완성되었다고 한다. 트레일러에서 묠니르가 파괴되는 장면의 배경이 본편과 다른 뉴욕의 골목으로 보이던 장소이던 이유 역시 이 때문으로 보인다.
삭제 장면에서는 쓰레기통을 뒤지는 노숙자 꼴이 된 오딘을 보며 아버지께 어떤 짓을 했냐는 토르의 물음에 로키가 "일단 위장시키기 위해서 기억을 지웠는데... 이런 짓을 하진 않았어. (I had to strip him of his memories, to disguise his existence.... But I didn't do this.)"라고 말한다. 즉, 로키가 오딘의 기억을 지우고 평범한 치매노인으로 위장시켜 양로원에 넣어둔 것. 양로원이 철거된 것을 보면 갈 곳이 없어진 오딘이 노숙자 신세가 된 걸로 보인다. 여기서 헬라의 존재와 라그나로크에 대해 얘기해주고, 로키를 아들이라 부르며 용서하는 것은 최종본과 같지만 몇 가지 다른게 있는데,
- 오딘이 정신이 오락가락한다. 아들들이 다가오자 생뚱맞게 (자기가 찾아낸 뭔가를 챙기며) "내가 먼저 찾았어! 내가 찾았다고!" 하며 헛소리를 하고, "집으로 모시러 왔습니다"라는 토르의 말에는 "집? 집은 없어! 희망도 없고! 아스가르드는 장소가 아니야(Asgard is not a place)!"라고 외친다. 그러다가 토르가 "아버님, 토르이옵니다"라고 말하자 갑자기 제정신이 돌아온 듯 "알아! 내 아들 토르지. 내 아들 토르...."라고 대답한다.
- 로키를 아들로 인정하는 대사가 더욱 구체적이다. 최종본에서는 "사랑한다, 내 아들들아(I love you, my sons)."라고 말하며 로키를 아들로 인정함을 보여주기는 했지만 구체적인 이야기는 하지 않는데, 여기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아.... 내 또 다른 아들이구나. 네 녀석, 허허허. 네 무법자적인 천성, 네 안에 있는 폭풍, 그건 네가 내게서 물려받은 것들이지. 넌 내 아들이 맞다. 둘 다 내 아들이야. 미안하구나, 너희들을 실망시켜서.Ah.... It's my other son. You, ooh hoo hoo. Your lawless nature, the storms within you, you inherited (them) from me. You ARE my son. Both my sons. I'm sorry, I've failed you.
- 대사가 전반적으로 뭔가 정신이 없고 급박하다. 최종본에서는 죽음을 앞둔 오딘이 초탈한 현자와도 같은 모습으로 아들들에게 마지막 지혜를 넘겨주고 조용히 죽음을 맞는데, 여기서는 대사 내용 자체는 비슷해도 오딘이 반쯤 정신을 놓은 듯한 모습을 보이고 대사 처리도 급해서 분위기가 다르다.
- 헬라가 등장하는 상황이 바뀌었다. 최종본에서는 오딘이 끝까지 헬라를 막아냈고 그가 숨을 거둔 뒤에야 헬라가 나타나지만, 여기서는 헬라를 막고 있던 오딘이 점점 힘이 떨어졌는지[36] 결국 헬라의 재림을 허용하고 만다.
- 오딘이 토르의 각성을 이끌어내는 것이 더 직접적으로 명확하게 묘사된다. 최종본에서는 토르가 사카아르에서 위기에 처했을 때 오딘의 모습을 보는 것과, 헬라와의 최종전에서 압도당했을 때 오딘을 만나 대화하는 것으로 간접적으로만 묘사된다. 그러나 여기서는 오딘이 토르의 머리에 손을 얹고 "불을 찾거라... 불을 찾거라! (Seek out the fire.... Seek out the fire!)"라고 말하자 토르가 라그나로크의 환상을 보게 되고[37], 헬라가 오기 전에 오딘이 토르를 무릎 꿇리고 간단한 의식을 한 뒤 "내 힘을 너에게 넘겼다(I've surrendered my power to you)."라는 대사를 한다. 이후 오딘이 완전히 정신을 차려 평소 말투로 얘기를 한다.
- 오딘의 최후 묘사가 다르다. 최종본에서는 아들들에게 마지막 말을 남긴 뒤 빛으로 흩어지지만 여기에서는 헬라의 손에 살해당한다. 오딘이 힘이 다하는 바람에 그 자리에 재림한 헬라가, 오딘을 향해 "내가 당신을 위해 얼마나 많은 성과를 냈는데 왜 내게 죄를 물렸냐, 당신은 내게서 모든 걸 앗아갔다"고 직접적으로 원망한다. 이에 오딘은 "모든 걸 포기한 건 너 자신이다. 네 비뚤어진 야망 때문이지. 너의 방식은 냉혹하고 잔인했다."고 꾸짖는다. 그러자 헬라는 증오스럽다는 표정을 지으며 "지금도 그렇지(Still is.)"라고 대꾸하고는, 힘을 토르에게 넘겨주어 평범한 노인이 된 오딘을 손에서 생성한 네크로소드로 찌르고,[38] 오딘은 "아스가르드는 장소가 아니야..."라는 말을 남기며 사망한다.
전반적으로 보면 이 버전이 설정에는 좀 더 충실하다. 로키가 대체 어떤 방식으로 오딘을 추방시켰는지도 정확히 드러나고[39], 이 정신공격이 오딘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오딘이 헬라의 저항을 천년 넘게 막아냈다는 것의 어려움[40], 로키에 대한 감정들과 왜 그를 아들로 사랑하는지, 그리고 최종전에서 토르가 왜 갑자기 수르트를 불러낼 계획을 세웠는지도 잘 설명이 된다. 그러나 위에 언급된대로 비참한 오딘의 모습이 거부감을 일으켜 재촬영이 이뤄진 것. 이후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를 포함한 다른 작품에선 간접적인 언급도 없지만 앞서 서술했듯 타노스가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한 시점이 오딘의 사후라는 것만으로 위상이 엄청나게 올라갔다.
4. 페이즈 4
4.1. 로키 시즌 1
직접 등장이 아니고 영상으로 등장. 로키가 또 다른 자신의 일대를 보는데, 오딘이 두명 모두를 아들로 인정하는 것을 보고 로키가 감상에 젖고 이후 오딘의 임종까지 지켜보고 2012년의 로키는 슬픔에 빠져 눈물을 짓는다.4.2. 이터널스
작중에서 언급된다. 길가메시가 이터널스 멤버들에게 술을 대접하면서 톤스버그 전투에서 오딘을 도와준 보답으로 배운 방법을 활용해 담근 술이라는 드립을 친다. 하지만 심술이 난 스프라이트가 길가메시의 옷을 아기 옷으로 바꿔 버려 멤버들에게 웃음을 준다. 또한 킨고가 어린 시절 토르와의 일화를 언급하며 토르가 이터널스의 존재를 알고 있음을 암시하는데 이로 미루어보면 아스가르드와 이터널스 사이에 상당한 접점이 있음이 짐작가능하다.4.3. 토르: 러브 앤 썬더
뉴 아스가르드에서 라그나로크때 나온 연극 배우들이 라그나로크 장면을 재현해 연극화 한다.[41] 제우스의 입에서 오딘의 죽음 이후 아스가르드와 본인들의 왕래가 끊겼다는 대사로 언급. 이로 미루어 볼 때, 이전에 옴니포턴스 시티의 제우스 등과 왕래했던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작중에서 보여주는 신들의 오만하고 한심한 모습을 보면 자신의 백성들을 안전하게 지켜주었던 오딘의 인격과 위상을 다시금 느낄 수 있다. 또한 능력적인 부분에서도 비교가 되는데 제우스는 토르를 공격하려다 역공당해 허무하게 쓰러졌으나 오딘은 토르의 힘을 빼앗고 단숨에 그를 무력화 시켰으며, 존재만으로도 헬라를 봉인하고 있었고, 사후에도 토르앞에 나타나 힘을 이끌어주는 등 최고신의 모습을 유감없이 보여주었다.5. 페이즈 5
5.1. 로키 시즌 2
1893년 목각 동상으로 등장한다. 로키의 말론 오딘과 안닮았다고6. 기타
6.1. 왓 이프...? 시즌 1
6.1.1. 3화
직접 등장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왕세자 토르가 지구에서 죽어버렸는데, 사실상 자신이 원인제공을 했으니[42] 충격이 이만저만이 아닐 듯. 이후에는 오딘의 허락을 받았는지, 아니면 로키의 독단인지는 몰라도 로키가 토르의 죽음을 빌미로 아스가르드 군을 이끌고 지구를 침공한다.[43]6.1.2. 7화
<nopad> |
6.2. 왓 이프...? 시즌 2
6.2.1. 6화
<nopad> |
거기에 수르트는 마치 오딘이 오길 기다렸다는 것처럼 오딘의 눈 앞에서 아스가르드 중심부에 칼을 꽂아넣고, 오딘은 뭘 해보기도 전에 아스가르드와 함께 사라지게 된다.
6.2.2. 7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텐 링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텐 링즈#|]][[오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텐 링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라그나로크를 보면 알겠지만, 초창기부터 오딘의 어두운 면을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외계를 침공한 것은 아홉 개의 왕국을 향한 정복 전쟁을, 강력한 적들은 라우페이나 수르트로 볼 수 있다.[2] 그러나 왓 이프에서 로키를 돌려주는 버전이 있는데 여기서는 라우페이의 아들로 잘만 자랐다.[3] 대화를 하면서 라우페이가 몰래 무기를 생성해 기습하려 하는데, 이 대사 이후 오딘이 궁니르를 들며 강력한 에너지를 뿜어내자 라우페이를 포함한 서리거인들이 날아간다. 비프로스트 소환과 동시에 이뤄졌지만 원래 비프로스트는 대상자들을 이동시킬 뿐, 해당 지역에 에너지를 광범위하게 방출시키진 않기 때문에 이건 오딘의 능력인 듯.[4] 태서렉트, 스톰브레이커를 든 토르나 캡틴 마블이 자체적으로 대량의 에너지를 발생시켜 비프로스트와 같은 방식의 이동을 하는 걸 볼 수 있듯이, 비프로스트는 초광속 우주여행이 가능하도록 암흑 에너지를 대량으로 집중 발사하는 기구이고 오딘 역시 어벤져스에서 로키의 대사로 볼 수 있듯 암흑 에너지를 다루는 존재다. 즉, 에너지 방출은 비프로스트나 오딘 둘 다 가능하기 때문에 겉으로 보기엔 비슷해 보일 것이다. 다만 비프로스트는 한정된 범위에 방출하는 것으로 고정되었을 뿐.[5] 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헤임달의 검 호푸드(Hofuð/Hofud)를 변형한 이름이다. 한국에서는 희망을 뜻하는 호프눙(Hoffnung)이라는 독일어 이름으로 알려져있지만, MCU 위키에는 분명히 호푼드(Hofund)라는 이름으로 서술하며, 마블 코믹스에 등장했을 때부터 이 이름이었다고 한다. 한국에서 퍼진 '호프눙'이라는 이름은 단순한 몬더그린으로 보이는데, 북유럽 신화를 토대로 한 작품에서 독일어를 쓸 리가 없고 실제로 한국 외에는 이 이름을 사용하는 곳이 없기에 번역가의 실수로 보인다. 당연하지만 독일에서조차 호프눙이 아닌 호푼드라는 이름으로 소개된 상태이다.[6] 오딘 본인이 과거에 과격한 정복 군주였으며, 훗날 자신의 방식을 바꾼 것을 보면 자신이 겪어봤기에 토르에게 한 충고일 가능성이 있다.[7] 더빙판: "아버지는 늙었고 아무것도 모르시죠!"[8] 아마 자신이 서리거인들에게 보물고로 향하는 비밀 통로를 말해주었다며 자신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고 말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만약 로키가 진짜로 자백을 했다면, 둘 다 똑같이 힘을 빼앗고 추방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아무리 형에 대한 걱정에서 비롯됐다 해도 어쨌든 서리거인들이 보물고에 들어오게끔 도와준 건 왕자로서의 책임을 저버린 중죄이니까.[9] 이 버럭이 배우 안소니 홉킨스의 애드립이었다고 한다. 움츠러든 것은 실제로 놀라서 움츠러든 것.[10] 더빙판에서는 이 버럭을 "입 닫아!"라는 대사로 대신한다. 물론 끼어들지 말라는 요지와 오딘의 포스는 여전히 매한가지.[11] 이 말이 끝나자마자 묠니르가 토르의 손을 떠나 오딘의 손으로 날아간다.[12] 더빙판에서는 '절대신'.[13] 이 말을 끝내고 오딘이 묠니르로 하얀 광선을 발사하자 토르가 정통으로 맞고 갑옷이 산산조각나며 날아간다.[14] 묠니르에게 말로 속삭임으로써 주문을 거는데, 이때 묠니르의 표면에 음각으로 새겨져 있던 아스가르드의 문양이 사라지고 묠니르는 자격이 있는 자 외에는 들 수 없게 됐다.[15] 즉 오딘은 처음에는 정치적인 목적으로 로키를 데려왔으나, 이제는 아들로서 정이 들었고 그를 진심으로 사랑한다는 의미이다. 실제로 오딘은 로키를 한번도 정치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정체를 철저히 숨겼으며, 요튼헤임의 왕 라우페이는 죽을때까지 로키가 자신의 친자란 점을 몰랐다.[16] 사실 오딘의 말은 로키를 부정하고자 한 것이 아니라, 그가 택한 방법이 잘못되었다고 깨우치려는 것에 가깝다. 그러나 정신적으로 완전히 궁지에 몰린 로키는 가장 부정적이고 극단적인 의미로 받아들이고 만 것. 일부 팬들은 '이 때는 로키가 잘못했다고 꾸짖을 상황이 아니었다, 적어도 이 때만큼은 어떻게든 달래서 안전한 곳으로 데려오는 게 먼저였다'며 비판한다.[17] 장녀인 헬라와 함께 아홉 세계를 침략하여 무력으로 점령하고 피와 눈물로 세상을 물들였다. 이 과정에서 무수한 학살도 일어났을 것이다. 비록 오딘이 역사를 지웠으나 아홉 세계를 무력으로 점령한 사실까지 지울 수 없었을 것이다. 다크 월드 초반에서 오딘과 대면한 로키가 어벤져스에서 지구를 침공하는 일은 아버지가 그랬던 것처럼 자비로운 신으로서 지구를 통치하려 했던 것 뿐이라고 항변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18] 대신 토르와 로키가 산봉우리에서 대화하는 장면을 보면 까마귀 두 마리가 날아가는 것이 다분히 후긴과 무닌을 연상시킨다.[19] 라우페이의 아들이라는 뜻. 너는 라우페이의 아들이지 내 아들이 아니라고 절연 선언을 한 것이다.[20] 다만, 말은 이렇게 했어도 정말 죽일 생각까지는 없었을 수도 있다. "네가 프리가를 보는 건 이번이 마지막", 즉 면회도 안 시켜 주겠다고 말했으면서 프리가가 로키를 다방면으로 챙겨주는 것을 저지하지 않았다. 물론 프리가가 로키를 찾아간 건 환영을 보낸 거였지만, 프리가가 마법을 쓰든 뭘 하든 헤임달이 보고 알리면 그만이다. 헤임달이 다 봤으면서 보고하지 않은 게 아니라면 오딘이 묵인했다는 뜻이다. 정말로 죽이려다 말고 감옥에 처박은 거라면, 로키가 종신형이 아니라 무슨 외출금지령이나 받은 것처럼 호화로운 가구를 쓰고 책을 읽으며 수시로 어머니의 면회를 받는 걸 묵인했을 리 없다.[21] 이 장면에서 오딘의 호전성이 드러나는데 제인 포스터가 "무슨 일이 있었던 거죠?"라고 묻자 자신의 아버지의 위업을 자랑하듯 "다 쓸어 버리셨지(He killed them all)"라고 말한다.[22] 이렇게 소리지른 직후 갑자기 힘이 부치는 듯 "크헉."하고 비틀거리는데, 그의 육신이 상당히 약해진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23] 어이없어서 웃는 것과 같다[24] 오딘은 과거 서리거인들과의 전쟁에서 완승을 거두고 이들의 수장인 라우페이를 죽일 수 있는 상황에 왔음에도 이들을 절멸시키지 않고 평화 협정을 맺었다. 또한 토르가 요툰헤임에서 깽판을 치자 평화가 깨질 수 있다며 화를 내며 그를 추방했다. 즉, 오딘은 평화주의자에 가까운데, 방어 체제가 무너져 불리한 상황에서 굳이 다크 엘프와의 전쟁을 선포한 것을 보면 그가 얼마나 분노에 눈이 뒤집혔는지 알 수 있다. 이후 라그나로크에서 오딘이 헬라와 수르트를 패퇴시킨 초월적인 강자임과 동시에 아스가르드의 최전성기를 이끈 장본인이라는 점이 밝혀지면서, 실제로 전쟁을 했다면 말레키스의 에테르의 유무에 상관없이 다크 엘프는 우주에서 쓸려나갈 뻔했다.[25] 흐름상 번역된 자막은 '로키의 시신이군'이라고 나오지만, 들어 보면 '로키'라고만 했다. 즉, 대사만 보면 오딘이 로키의 변장을 눈치챈 건지 아닌지 알 수 없다. 그냥 '로키로군'이라고 번역하면 "(발견했다는 그 시신이) 로키로군" 또는 "(내 앞에 있는 병사 네가) 로키로군" 하는 중의적 의미를 살릴 수 있는데, 괜히 사족을 달아 완성도를 떨어뜨린 셈. 추후 케이블 방영판에서는 "로키군"으로 번역되었다.[26] 스토리에서는 비록 로키가 위장했다는 설정이지만 연기 자체는 앤서니 홉킨스가 직접 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짜 오딘으로 위장한 로키처럼 느껴지도록 훌륭히 연기해냈다. 특히나 토르의 등장으로 인해 한껏 당황하며 "오, 젠장(Oh, shit)"이라고 나지막하게 욕지기를 내뱉고는 로키가 긴장할 때의 버릇을 그대로 재현하여 손을 만지작대거나, 떠보려고 로키를 까는 말을 술술 읊어대는 토르를 매우 재수없다는 듯한 눈빛으로 쳐다보는 등, 시리즈에서 내내 진지하고 위엄 넘치는 연기만을 보여주었던 앤서니 홉킨스 옹은 괜히 대배우가 아니라는듯 능청스럽고 코믹한 연기를 아주 훌륭하게 해냈다.[27] 두 형제는 황망하게 철거 중인 양로원을 보고 있었는데, 로키가 당황한 목소리로 '맹세하는데, 분명히 여기다 모셔뒀어.'라고 말하자 토르는 어처구니 없다는 투로 '저기 철거현장에? 아니면 길바닥에? 아주 잘하는 짓이다.'라고 갈군다.[28] 복수형으로 말했다. 토르와 로키 둘 다 자신의 아들로서 칭한 것이다. 2편 다크 월드에서 로키를 라우페이의 아들이라 부른 대목과 대조되는 부분. 'My sons'라는 말을 두 번 했는데 그 때마다 로키는 놀라면서 심란하면서도 복잡한 표정을 보인다.[29] 수르트에 의해 아스가르드가 파괴되는 라그나로크가 온 뒤 오딘의 유언에 따라 뉴 아스가르드를 노르웨이에 세우게 된다.[30] 사실 힘은 토르가 밀렸지만 이 격차를 숙련된 전투기술로 메꿔 나름 선전하고 있었다. 그러다 헐크의 분노가 극에 달하자 일방적으로 두들겨 맞은 것.[31] 그러나 그랜드마스터의 개입으로 인해 헐크를 이기기 직전에 방해받아 결국 부정패를 당하지만.[32] 더빙판에서는 대사 길이 문제인지 "아스가르드는 결코 장소가 아니다."로 번역했지만, never을 '결코'로 번역함으로써 원문의 의미를 잘 살렸다고 볼 수 있다.[33] 영어에서는 부정문을 긍정할 때 no를 쓰니까, 오딘의 말은 "그렇지. (그래 넌 나만큼 강한 게 아니지) 네가 더 강하니까" 라는 뜻이 된다. 토르가 "나는 아버지보다 약하다"는 의미로 말한 "아버지만큼 강하지 않다"는 문장을 "토르의 힘은 오딘의 힘과 같지 않다"로 해석하고, 한번 더 나아가서 "네가 나보다 더 강하니 나만큼(나와 동급으로) 강하지 않다는 건 맞는 말이다"라고 긍정해주는 언어유희적 대사로, 오딘의 지혜로움을 엿볼 수 있는 대사이다. 그러나 이 미묘한 뉘앙스를 한국어로 옮기기가 쉽지 않아, 더빙에서는 그냥 T "전 강하지 못해요." O "아니, 더 강하다."로 많이 간략하게 번역되었다.[34] 토르가 아직 오딘이 마법에 걸린 상태인줄 알고 "로키, 마법 풀어"라고 하자 인자하게 허허 웃으며 "네 녀석 마법 푸는데 시간이 꽤 걸렸단다."라고 하는 건, 기존의 엄격한 오딘으로선 상상하기도 어려운 모습이다. 게다가 아들들에 대한 애정이 깊다는 것이 간접적으로는 여러 번 묘사되었지만, 토르에게든 로키에게든 직접적으로 사랑한다고 한 건 본작이 처음이다.[35] 본작의 헬라가 무섭다면 그 헬라를 선봉장으로 부리는 오딘이 과거 어떤 존재였을지는 능히 짐작할 만하다.[36] 추정하자면, 로키에 의해 기억을 잃은 사이 헬라에 대한 방어가 약해졌고 계속 저항하는 헬라 때문에 반쯤 미쳐버렸다고 볼 수 있다.[37] 즉, 최종전에서 토르가 '영원의 불꽃으로 수르트를 부활시켜 라그나로크를 일으켜서 헬라를 없앤다'는 발상을 하는 데 대한 힌트를 오딘이 이 때 준 것이다.[38] 이때 크게 놀란 토르는 묠니르를 던지지만, 헬라는 묠니르를 받아 그대로 파괴한다. 수정된 버전보다 더 자연스러운 전개.[39] 1편에서 오딘이 토르를 지구인의 신체로 만들어 쫓아낸 적이 있지만, 이건 오딘이 워낙 강력한 존재여서 그런 것인데 로키가 자기보다 훨씬 강한 오딘을 이런 식으로 쫓아내는 건 설득력이 떨어진다. 그러나 여기서는 로키가 기억을 지우고 (스스로가 누군지 모르는 오딘을) 양로원에 넣어뒀다는 걸 알 수 있다.[40] 이 시점의 오딘은 숨 넘어가기 직전의 노인네라 힘도 하나도 없는데, 그 강력한 헬라를 살아만 있어도 막아낸다는 건 좀 어색하다. 그러나 이 버전대로라면 강건할때 (다크 월드 때까지의) 오딘은 헬라를 무난히 막아내고 있었지만, 로키의 정신공격을 받아 유약해졌을 때 방어가 점점 깨지고 스스로 약해지면서 더 이상 막아낼 수 없었다는 소리가 되는 것. 이렇게 보면 오딘이 왜 헬라에 대한 방비를 안 했는지도 설명이 된다. 다크 월드 때까지 오딘은 강건했으므로 아직 죽을 때가 멀었고 (4년 정도는 아스가르드인들의 수명으로 보면 아무것도 아니다), 아직 여유가 있다고 여긴 것.[41] 오딘이 사망하는 장면에서 대놓고 금가루를 뿌리는 모습이 보이는데 인기는 좋은지 관객 한명은 눈시울을 훔친다.[42] 자신이 토르의 힘을 빼앗아 지구인 수준으로 만든 탓에 허무하게 죽었다.[43] 원래 타임라인에 따르면 이 시점에서 이미 오딘은 오딘의 잠에 빠져든 상태였다. 토르가 추방된 후 다음날 저녁에 쉴드 시설물을 습격하고, 같은 날에 아스가르드에서 오딘이 정신을 잃기 때문. 만약 토르가 쉴드 습격할때까지 동일하게 사건이 흘러갔다고 친다면, 쉴드 습격 이후 최소 하루가 지난 이 시점에서는 로키가 벌써 섭정으로 임명된 이후일 것이다. 실제로 이때 로키는 궁니르를 들고 있다. 오딘은 오딘의 잠에 빠진 상태에서도 모든 걸 인지한다고 하니, 큰아들은 허무하게 죽고 작은아들은 보호지를 쳐들어가 점령자 놀이를 하고 있으니 환장할 노릇일 것.[44] 지구에서 파티하며 벌인 민폐들을 보면 구체적으로 무슨 일이 있었는지도 뻔할 뻔자. 토르는 본인의 권능에 속하는 날씨조종 및 번개마법과 환복 마법 외에 저런 고도의 마법은 선보인 적이 없는 것을 보면 저 제약 역시 오딘이 건 것일 가능성이 높다. 무엇보다 토르의 힘은 캡틴 마블과 비슷한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에 저렇게 꼼짝 못하는 것을 보면 둘보다 훨씬 강한 자가 마법을 걸었다고 보는 게 자연스럽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오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오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if external != "o"
[[오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오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uuid=|r186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오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uuid=#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오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from=1866|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오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오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if external != "o"
[[오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오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uuid=|r186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오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오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from=1866|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