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종 보스 일람 (스포일러 주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rowcolor=white> 오프라인 | 온라인 | 오프라인 | 온라인 | 오프라인 | 온라인 | |
일각룡(一角竜) 모노블로스 | 흑룡(黒龍) 밀라보레아스 | 노산룡(老山龍) 라오샨룽 | 홍룡(紅龍) 밀라보레아스 | 염비룡(炎妃龍) 나나 테스카토리 | 선조룡(祖龍) 밀라보레아스 | |
<rowcolor=white> 오프라인 | 온라인 | 오프라인 | 온라인 | 오프라인 | 온라인 | |
굉룡(轟竜) 티가렉스 | 패룡(覇竜) 아캄토름 | 패룡(覇竜) 아캄토름 | 붕룡(崩竜) 우캄루바스 | 대해룡(大海龍) 나발데우스 | 황흑룡(煌黒龍) 알바트리온 | |
<rowcolor=white> 오프라인 | 온라인 | 오프라인 | 온라인 | 오프라인 | 온라인 | |
뇌랑룡(雷狼竜) 진오우거 | 폭풍룡(嵐龍) 아마츠마가츠치 | 백해룡(白海竜) 라기아크루스 아종 | 연흑룡(煉黒龍) 그란 밀라오스 | 천회룡(天廻龍) 샤가르마가라 | 사왕룡(蛇王龍) 다라 아마듈라 | |
<rowcolor=white> 오프라인 | 온라인 | 오프라인 | 온라인 | 오프라인 | 온라인 | |
창강룡(錆鋼龍) 녹슨 크샬다오라 | 거극룡(巨戟龍) 고그마지오스 | 참룡(斬竜) 디노발드 | 해룡(骸龍) 오스트가로아 | 천혜룡(天彗龍) 발파루크 | 각당랑(閣蟷螂) 아트랄 카 | |
<rowcolor=white> 월드 | 아이스본 | 업데이트 | 오프라인 | 온라인 | 업데이트 | |
파일:제노 지바 월드 아이콘.png 명등룡(冥灯龍) 제노 지바 | 지제룡(地啼龍) 안 이슈왈다 | 흑룡(黒龍) 밀라보레아스 | 원호룡(怨虎竜) 마가이마가도 | 뇌신룡(雷神龍) 나루하타타히메 | 백룡 연원 나루하타타히메 | |
| ||||||
<rowcolor=white> 본편 | 업데이트 | 하위 | 상위 | | | |
명연룡(冥淵龍) 가이아델름 | 폭풍룡(嵐龍) 아마츠마가츠치 | 백열룡(白熾龍) 조 시아 | 쇄인룡(鎖刃竜) 알슈베르도 | | | |
|MHST | ||||||
<rowcolor=white> 처완 | G급 | | ||||
노암룡(弩岩竜) 오디바트라스 | 천상룡(天翔龍) 샨티엔 | 치동룡(熾凍龍) 디스피로아 | 가장 흉악한 검은 빛 마키리 노와 | 알투라 | | }}}}}}}}} |
역대 간판 몬스터 일람 | |||||
{{{#!wiki style="margin:-1px -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0 | 2.0 | 3.0 | 4.0 | 5.0 |
| | | | ||
6.0 | 7.0 | 8.0 | 9.0 | 10.0 | |
| | | | ||
Forward.1 | Forward.2 | Forward.3 | Forward.4 | Forward.5 | |
| | | | | |
G1 | G2 | G3 | GG | G5 | |
| | | | | |
G6 | G7 | G8 | G9 | G10 | |
| | | | ||
Z | 10th | ZZ | |||
| | | |||
| | | |||
※올가론, 고우갈프는 각각 한쌍이 모두 간판에 등장. | }}}}}} |
|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온라인 |
1. 개요
|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포워드.5의 표지 |
| <colbgcolor=#353535><colcolor=white> 이름 | 오디바트라스 / オディバトラス |
별명 | 노암룡(弩岩竜)[1] | |
종별 | 비룡종 | |
아이콘(MHF) | 등장 | MHFF.5 |
전용 BGM | 폭사의 거성 (暴砂の巨城) |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온라인 포워드 5의 간판 몬스터이자 프론티어의 최종보스.[2]
사막에 서식하는 초대형 비룡종으로 설정상 고룡급 생물로 어지간한 몬스터들보다 훨씬 큰 덩치를 지니고 있으며, 아크라-바심을 잡아먹는 무지막지한 모습을 보여준다. #
우캄루바스 이후로 새로운 원시비룡종 계열[3] 몬스터가 본가 시리즈에서 만들어질 거라 예상을 했으나, 그 예상을 깨고 프론티어에서 원시비룡종을 내놓았다. 비룡종 중에서는 특이하게도 붉은 거북이처럼 생긴 외형에 등짝에는 거대한 포대가 달려있다. 얼굴은 마치 초대형 거인과 흡사하다.
타이틀은 '사막에 떠오른 누각'이며, 이례적으로 일반 필드에서 뛰어다니는 원시비룡종으로 되어 있으며 전용 BGM도 있다. 트레일러 영상에서 갑자기 튀어올라 아크라-바심을 향해 뛰어드는 모습을 본 유저들은 경악을 금치 못했다. 그만큼 기존 초대형 원시 비룡종과는 차원이 다른 스케일의 패턴을 구사한다.
1.1. 특이개체
특이하게 처음 나올 때에도 하드코어 퀘스트는 있었으나 특이개체 취급을 받지 않았다. 그러다 G9.1에서 정식 특이개체가 추가되었다.1.2. 패종
2. 특징
오디바트라스는 HR 100부터 수주 가능한 강종 퀘스트에서 처음 만날 수 있다. 보통 신 몬스터를 하위에 못 풀어도 상위부터 보여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 녀석은 무조건 강종 퀘스트에서부터 볼 수 있다. 그마저도 강종 퀘스트에서는 오디바트라스를 격퇴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완전히 때려잡으려면 SR 100 이상부터 수주 가능한 하드코어 강종 퀘스트 및 패종 퀘스트에서 토벌할 수 있다. 더불어 격퇴하면 격퇴증을 주므로 토벌증을 얻을 려면 어쩔 수 없이 SR 랭크를 올리는 수밖에 없다.
오디바트라스는 아캄토름 골격을 사용한 것이므로 가장 기본적인 패턴은 아캄과 비슷하지만, 해당 패턴에 기믹을 추가하는 동일 골격의 몬스터와는 달리 오디바트라스는 일부 패턴을 제외하면[4] 거의 오리지널 패턴 위주로 유저와 전투를 벌인다.
사막의 2번맵에서 출몰하며 맵 이동은 없으며, 입장하는 순간 모래폭풍우가 오디바트라스를 감싸면서 헌터를 맞이한다.
오디바트라스의 패턴은 한 마디로 요약가능하다. 엄청나게 넓고, 엄청나게 아프다. 범위가 워낙에 넓다 보니 일반적인 회피로도 피하기가 참으로 애매한 패턴이 있어서 위험하다 싶으면 무조건 헐리우드 회피를 하는 것을 권장한다. 일단 최소 강종퀘에서 등장하는 몬스터다 보니 공격력이 어마어마하므로 정신줄 놨다간 3수레는 우습다.
오디바트라스가 마냥 새롭게 추가된 몬스터가 아니라, 대부분의 천람/패종무기 및 방어구가 "노암룡 붕린"을 어마어마하게 잡아먹어서 천람/패종작을 할 경우 제1순위로 잡고 또 계속해서 잡게 될 몬스터다.
2.1. 패턴
- 보디 프레스
아캄토름의 보디프레스라고 얕봤다간 모래늪에 빠지기 일쑤다. 간혹 보디프레스 후에 머리 때리려고 앞쪽으로 나와서 대기타는 경우가 있는데 보디프레스 후 오디바트라스의 전방 좌우에 모래기둥이 솟아오른다. 여기에 걸리면 조작 버튼을 마구 눌러 탈출해야 되는데 타이밍 좋게 오디바트라스의 추가공격이 이어진다면 그 길로 황천길.
- 수직 모래탄 발사
잘 안보이겠지만 오디바트라스의 등짝에는 커다란 구멍 말고도 그 주변에 자그마한 구멍이 있다. 오디바트라스의 광범위한 원거리 공격은 주로 이 구멍에서 나오는 것인데, 한번 노암룡이 크게 숨을 들이쉬고 모래탄을 발사한다. 착탄지점은 미묘하게 달라진다.
- 포효 폭발
주의해야할 패턴 중 하나. 일명 뻥이요. 노암룡이 앞다리를 세우고 포효하는데 바닥에서 모래가 튀면서 후에는 폭발하게 된다. 대미지는 거의 즉사급이다. 다만 발동까지 시간이 있기에 멀리 도망치지는 못하고 헐리우드 회피면 피해진다. 폭발형이다 보니 판정시간이 워낙 짧아 랜스류의 스텝 회피로 타이밍만 맞춘다면 피할 수 있다. 하지만 겨우 피했는데 바닥에서 모래탄이 솟아오르면서 얻어맞는 일이 잦다.
- 모래 속 헤엄치기
상당히 짜증나는 패턴인데, 노암룡이 반쯤 들어가서 모래 속을 휘젓고 다닌다. 이동 중에는 계속 모래탄을 발사하면서 노암룡 주위로 떨어지는 것과 동시에, 바닥에는 좀 더 큰 모래탄이 사방팔방 튀어오른다. 이 큰 모래탄을 맞으면 정말 아픈 데다 기절까지 걸린다.
- 모래 파도
팔을 양쪽으로 뻗어서 모래 파도를 일으킨다. 모션 중에는 전신에도 공격판정이 있으며, 파도 대미지도 상당하다. 게다가 거의 맵의 끝까지 파도치기 때문에 거너는 요주의.
- 점프 보디프레스
육중한 몸매로 크게 점프 하면서 보디프레스를 쓴다. 마찬가지로 바닥에서 모래가 솟아오른다. 도약시간이 길기 때문에 보고 충분히 피할 수 있다.
- 모래 브레스
전방을 향해 브레스를 쓰는데 유형이 2가지이다.
첫번째는 몸을 돌리면서 부채꼴 형태로 2번 쏜다. 각각 일정 각도로 발사 후에 소강했다가 일정 각도로 브레스가 한번더 발사 되는 즉, 전 방향 커버하면서 브레스를 쏘는 것이다. 대미지는 물론 사정거리가 매우 길어서 건너가 한눈 팔면 단숨에 요단강 익스프레스 탈수 있다.
두번째는 전형적인 전방 브레스만 쏘는건데, 이때는 반사적으로 모래파도가 오디바쪽으로 온다. 십중팔구 브레스보다는 해당 파도에 피격당하는 일이 많다.
자주포대포 발사
오디바트라스의 시그니처로 유형이 두 가지이다.
첫번째는 노암룡이 두 발로 선 채로 상공에 대포를 쏘는데 착탄지점은 노암룡 주위이며 대미지는 즉사 수준이다.
두번째는 땅 속에 있을 때, 랜덤한 위치에서 등짝만 올라와서 전방을 향해 발사한다. 사정거리는 꽤 멀기 때문에자주포?원거리 피격 위험은 물론, 폭발 반경도 크다.
- 앞발 후리기
오디바트라스의 앞발을 전방에 향해 크게 쓸어내린다. 이 때 모션 중 모래가 퍼지면서 전방 피격거리가 더욱 더 넓어질 뿐만 아니라, 꼬리까지 같이 움직이면서 주변에 모래를 흩뿌리기 때문에 전후방을 잘 살펴야 된다.
3. 기타
- 한때 VS. 대회의 선행 PV를 본 사람들에 의해 사악룡이 프론티어로 나오는게 아니냐는 소문이 떠돌았다. 사악룡은 우캄루바스의 아종 형태이며 헌터 대전 G에 수록되어 있었지만 실제 게임으로는 나오지 않았다. 이후로 정식명칭이 "노암룡"으로 알려지면서 사악룡과는 전혀 무관한 형태로 나온 것으로 소문이 종식되었다.[5]
- 하나같이 전투면에서 악평을 받는 아캄류 몬스터 중에선 유일하게 좋은 평을 받은 몬스터다. 아캄과 우캄은 지중 잠행 빈도가 너무 높은 나머지 지루하고, 포볼바룸은 과한 체력 때문에 기피대상이 됐지만 오디바트라스는 어려우면서도 합리적인 패턴과 멋들어진 BGM, 연출 덕에 프론티어 무인편/포워드의 최종 보스다운 포스를 선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