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fff,#101010> 정사(正史) 국가 공인 역사서 | 삼국사기 (▶ 관련 틀) | 고려사 (▶ 관련 틀) | ||||||
실록(實錄) 제왕의 일대기를 다룬 편년체 기록물 | †고려실록 | 조선왕조실록 (▶ 관련 틀) | |||||||
절요(節要) 방대한 정사 기록을 요약한 기록물 | 고려사절요 | 삼국사절요 | |||||||
기전(紀傳) 정사 이외에 기전체를 적용한 기록물 | 휘찬려사 | 동사세가 | 동사찬요 | ||||||
동사 | |||||||||
통감(通鑑) 통치에 도움이 되는 기록물 | 동국통감 | ||||||||
강목(綱目) 강목체를 적용한 기록물 | 동사강목 | 동국통감제강 | †본조편년강목 | ||||||
여사제강 | 동사회강 | 대동사강 | |||||||
국조정토록 | |||||||||
사략(史略) | †본조사략 | 동국사략 | |||||||
일기(日記) 국가 공문서 | 승정원일기 | 일성록 | 동궁일기 | ||||||
각사등록 | 비변사등록 | ||||||||
역사시(歷史詩) | 응제시주 | 제왕운기 | |||||||
기타 | 삼국유사 (▶ 관련 틀) | †개황력 | 대사편년 | ||||||
대사기 | 속무정보감 | 국조통기 | |||||||
발해고 | 해동고승전 | 동국병감 | |||||||
단군세가 | 기자지 | ||||||||
해동명장전 | †단군고기 | †신라고기 | |||||||
†백제고기 | †해동고기 | †본국고기 | |||||||
†삼한고기 | †고려고기 | 연려실기술 | |||||||
동사보유 | 동국역대총목 | 열조통기 | |||||||
해동역사 | |||||||||
기타 실전(失傳) | |||||||||
<colbgcolor=#fff,#191919> 고구려 | †유기 | †신집 | |||||||
신라 | †국사 | †제왕연대력 | †화랑세기 | ||||||
백제 | †백제기 | †백제신찬 | †백제본기 | †서기 | |||||
고려 | †구삼국사 | †가락국기 | †편년통록 | †왕대종족기 | †성원록 | †금경록 | |||
위서(僞書) | 환단고기 | 규원사화 | 단기고사 | ||||||
부도지 | 화랑세기 박창화 필사본 | 격암유록 | |||||||
†: 실전(失傳)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 | |||||||||
번외: 현대 역사서 한국사 |
1. 개요
麗史提綱.조선 후기의 학자 유계(兪棨:1607년 ~ 1664년)가 고려사를 바탕으로 지은 강목체 역사서. 휘찬려사가 17세기 남인의 고려사 인식을 반영한다면, 여사제강은 17세기 서인의 고려사 인식을 반영한다
2. 상세
유계가 충청도 임천에서 유배된 시기인 1637년~1640년 사이에 저술되었으며 1667년(현종 6년)에 간행되었다. 이후 1749년(영조 25년) 개판되면서 공양왕 시기를 다룬 공양왕기는 삭제되었다.송시열이 써준 서문에는 12권으로 언급하는데, 현재 판본은 23권 12책이다.
3. 평가
강목체를 적용하여 한 권으로 역사의 본말을 모두 파악할 수 있는 사서를 편찬할 의도로 만들어졌고 실제로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으나, 강목체의 엄격한 적용이라는 측면에서는 범례가 불완전한 등 한계가 있었고, 사료 역시 과도하게 고려사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 하지만 고려의 역사를 간편하게 읽고자 하는 의도로 편찬되었다는 점에서는 어느정도 참작할 부분이 있고, 무엇보다 당대 고려가 쓰던 황제국의 예법을 그대로 서술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이러한 여사제강의 역사서술 의식은 후대에 동사회강으로 계승된 것으로 여겨진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fff,#101010> 정사(正史) 국가 공인 역사서 | 삼국사기 (▶ 관련 틀) | 고려사 (▶ 관련 틀) | ||||||
실록(實錄) 제왕의 일대기를 다룬 편년체 기록물 | †고려실록 | 조선왕조실록 (▶ 관련 틀) | |||||||
절요(節要) 방대한 정사 기록을 요약한 기록물 | 고려사절요 | 삼국사절요 | |||||||
기전(紀傳) 정사 이외에 기전체를 적용한 기록물 | 휘찬려사 | 동사세가 | 동사찬요 | ||||||
동사 | |||||||||
통감(通鑑) 통치에 도움이 되는 기록물 | 동국통감 | ||||||||
강목(綱目) 강목체를 적용한 기록물 | 동사강목 | 동국통감제강 | †본조편년강목 | ||||||
여사제강 | 동사회강 | 대동사강 | |||||||
국조정토록 | |||||||||
사략(史略) | †본조사략 | 동국사략 | |||||||
일기(日記) 국가 공문서 | 승정원일기 | 일성록 | 동궁일기 | ||||||
각사등록 | 비변사등록 | ||||||||
역사시(歷史詩) | 응제시주 | 제왕운기 | |||||||
기타 | 삼국유사 (▶ 관련 틀) | †개황력 | 대사편년 | ||||||
대사기 | 속무정보감 | 국조통기 | |||||||
발해고 | 해동고승전 | 동국병감 | |||||||
단군세가 | 기자지 | ||||||||
해동명장전 | †단군고기 | †신라고기 | |||||||
†백제고기 | †해동고기 | †본국고기 | |||||||
†삼한고기 | †고려고기 | 연려실기술 | |||||||
동사보유 | 동국역대총목 | 열조통기 | |||||||
해동역사 | |||||||||
기타 실전(失傳) | |||||||||
<colbgcolor=#fff,#191919> 고구려 | †유기 | †신집 | |||||||
신라 | †국사 | †제왕연대력 | †화랑세기 | ||||||
백제 | †백제기 | †백제신찬 | †백제본기 | †서기 | |||||
고려 | †구삼국사 | †가락국기 | †편년통록 | †왕대종족기 | †성원록 | †금경록 | |||
위서(僞書) | 환단고기 | 규원사화 | 단기고사 | ||||||
부도지 | 화랑세기 박창화 필사본 | 격암유록 | |||||||
†: 실전(失傳)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 | |||||||||
번외: 현대 역사서 한국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