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1 02:46:35

여귀교: 구원으로 가는 길


여귀교 시리즈
<rowcolor=#ffffff,#ffffff> 영화 게임
여귀교 여귀교- 저주를 부르는 게임 여귀교: 구원으로 가는 길 여귀교2: 자유로운 영혼의 길
여귀교: 구원으로 가는 길
女鬼橋 開魂路
The Bridge Curse Road to Salvation
<nopad> 파일:여귀교: 구원으로 가는 길.jpg
<colbgcolor=#0b1c2d,#0b1c2d><colcolor=#ffffff,#ffffff> 개발 소프트스타
유통 소프트스타 / Gamera Games
플랫폼 Microsoft Windows | PlayStation 4 | PlayStation 5 | Xbox One | Xbox Series X|S | Nintendo Switch
ESD Steam | STOVE | PlayStation Store[지역제한] | Microsoft Store[지역제한] | 닌텐도 e숍
장르 어드벤처, 호러
출시 PC
2022년 8월 25일
PS4 / PS5 / XBO / XSX|S / NS
2023년 8월 30일
엔진 언리얼 엔진 4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3]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평가용.svg 평가용
파일:게관위_등급분류거부.svg 등급 분류 거부
심의 예정(한국)
심의 없음(한국)
##
파일:ESRB Everyone.svg ESRB E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파일:ESRB Teen.svg ESRB T
파일:ESRB Mature.svg ESRB M
파일:ESRB Adults Only.svg ESRB AO
파일:ESRB Rating Pending.svg ESRB RP
##
파일:CERO A.svg CERO A
파일:CERO B.svg CERO B
파일:CERO C.svg CERO C
파일:CERO D.svg CERO D
파일:CERO Z.svg CERO Z
##
파일:EOCS 전연령.gif EOCS 전연령
파일:EOCS E12.gif EOCS E12
파일:EOCS E15.gif EOCS E15
파일:EOCS 18금.gif EOCS 18금
##
파일:PEGI 3.svg PEGI 3
파일:PEGI 7.svg PEGI 7
파일:PEGI 12.svg PEGI 12
파일:PEGI 16.svg PEGI 16
파일:PEGI 18.svg PEGI 18
##
파일:USK 0 로고.svg USK 0
파일:USK 6 로고.svg USK 6
파일:USK 12 로고.svg USK 12
파일:USK 16 로고.svg USK 16
파일:USK 18 로고.svg USK 18
##
파일:ACB General.svg ACB G
파일:ACB Parental Guidance.svg ACB PG
파일:ACB Mature.svg ACB M
파일:ACB Mature Accompanied.svg ACB MA15+
파일:ACB Restricted(R18+).svg ACB R18+
파일:ACB Refused Classification.svg ACB RC
##
파일:GSRR G 로고.svg GSRR G
파일:GSRR P 로고.svg GSRR P
파일:GSRR PG 12 로고.svg GSRR PG 12
파일:GSRR PG 15 로고.svg GSRR PG 15
파일:GSRR R 로고.svg GSRR R
##
파일:CADPA-8+.png CADPA 8+
파일:CADPA-12+.png CADPA 12+
파일:CADPA-16+.svg CADPA 16+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상점 페이지 파일:스팀 아이콘.svg

1. 개요2. 시스템 요구 사항3. 등장인물
3.1. 학생들3.2. 여귀교 귀신3.3. 동호대의 귀신들3.4. 기타 인물
4. 스토리5. 엔딩6. 게임플레이
6.1. 귀신과의 추격전6.2. 스테이지별 귀신 일람
7. 평가
7.1. 긍정적 요소7.2. 부정적 요소
8. 원작과의 비교
8.1. 공통점8.2. 차이점
9. 후속작10. 기타

1. 개요

<nopad>
출시 트레일러
동명의 영화를 원작으로 한 대만호러 게임.

2. 시스템 요구 사항

<rowcolor=#ffffff,#ffffff>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Windows
<colbgcolor=#0b1c2d,#0b1c2d><colcolor=#ffffff,#ffffff> 운영체제 Windows 7/8.1/10, 64-bit Windows 7/8.1/10, 64-bit
프로세서 Intel Core i5 4590
AMD equivalent
Intel Core i7 7700
AMD equivalent
메모리 8 GB RAM 16 GB RAM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960 NVIDIA GeForce RTX 2060
API DirectX 버전 11 DirectX 버전 11
저장 공간 20 GB 사용 가능 공간 20 GB 사용 가능 공간

3.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3.1. 학생들

  • 자오 신챠오: 매스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1학년이며, 여귀교 캠프의 홍보를 담당하고 있다. 2012년에 있었던 사건 이후 캠프를 부활시키는데 기여한 사람 중 한 명으로, 대학원 과정이 주는 부담에도 불구하고 학부생들이 다가오는 담력훈련 행사를 준비하는 것을 도왔다.
  • 지 더취안: 매스 커뮤니케이션학과 2학년이며, 여귀교 캠프의 차장을 맡고 있다. 잘생긴 외모로 여러 여학우들의 인기를 얻고 있다. 15년도 때는 자오 신챠오와 사귀고 있었지만, 모종의 이유로 이별, 현재는 멍 바루와 사귀고 있다.
  • 멍 바루: 법대 3학년이며, 여귀교 캠프의 부장을 맡고 있다. 안경을 낀 여학생으로, 지 더취안과 연인관계이다. 더취안과의 관계 때문에 신챠오와는 상극이 되었다. 2016년도 때 캠프 활동에서 학교 측과의 협의를 깨고 귀신을 더 크게 자극하려는 신챠오와 충돌하게 되고, 결국 신챠오의 의견대로 귀신을 자극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던 도중, 진짜로 귀신이 나타나는 바람에 멤버들이 하나둘씩 죽음으로 내몰리던 중에도 냉정하게 상황을 파악하고 단서를 찾으러 다닌다. 이후 어찌저찌 하여 더취안과 재회하지만 귀신에게 납치되어 여귀교로 끌려가고, 결국 귀신에게 빙의당한 신챠오에 의해 여귀교에서 목이 부러져 죽고 만다.
  • 리 웬야오: 정보기술학과 4학년이며, 여귀교 캠프의 총무를 맡고 있다. 다소 허당끼가 넘치는 남학생. 비과학적인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2주간 아침식사를 무료로 제공해주겠다는 꼬드김에 캠프 총무가 되었다고 한다. 신챠오에게 내몰려서 귀신을 자극하는 역할로 여귀교에서 의식을 진행하다 결국 귀신이 나타나는 바람에 기숙사로 도망쳐 숨어있다가 바루와 함께 단서를 찾으러 다닌다. 귀신을 퇴치할 수 있는 칠성검의 자루 부분을 찾았지만, 그것만으로 귀신을 퇴치하겠답시고 혼자 여귀교로 돌아오는 바람에 가장 먼저 귀신에게 죽고 빙의당하게 된다.
  • 리 티엔밍: 철학과 1학년이며, 여귀교 캠프의 소품을 담당하고 있다. 힙합 패션을 하고 있는 남학생으로, 유독 귀신을 겁내어 부적을 항시 차고 다닌다. 귀신이 나타났을 때 린언과 함께 학회실로 도망치고, 여러 단서들을 찾다가 칠성검의 칼날 부분을 찾게 된다. 하지만, 갑자기 장에서 신호가 오는 바람에 화장실로 가서 용변을 보던 중, 귀신이 나타나 죽고 빙의당하게 된다.
  • 정 린언: 예대 1학년이며, 여귀교 캠프의 디자인을 담당하고 있다. 성격이 당돌하고 왈가닥인 여학생. 티엔밍과 함께 칠성검의 칼날 부분을 찾아서 더취안과 재회하지만, 귀신에 씌인 신챠오와 티엔밍에게 쫓기고 설상가상으로 신챠오를 막던 더취안까지 반쯤 빙의당하는 바람에 혼자 옥상에서 지하실 열쇠를 숨겨놓은 뒤, 이성이 나간 더취안에게 붙잡혀 옥상에서 추락사하게 된다.

3.2. 여귀교 귀신

본 작품의 메인 빌런. 귀신 본체뿐만 아니라 귀신의 원혼이 씌인 여러 사물들까지 등장하여 플레이어의 게임 진행을 방해한다.
  • 첸 신후이: 여귀교 귀신의 정체. 1960년생으로 모종의 이유로 여귀교에서 죽음을 맞이하고 귀신이 되어버리고 만다.
  • 아기인형: 여귀교 귀신의 기운이 씌인 아기인형. 정황상 신후이가 임신한 상태로 살해당하는 과정에서 태어나지 못한 아기의 원혼인 것으로 추정된다. 더취안과 바루가 기숙사로 들어가서 일행을 찾을 때 빌런으로 등장. 기숙사로 들어가는 배전반을 고장 내고, 그걸 고치고 들어오는 더취안 일행을 방해한다. 빠르게 아기 울음소리가 들리는 인형을 찾아서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으면 갑자기 달려들어 끔살당하게 되므로 주의. 이후 웬야오가 기숙사에 들렀을 때도 등장하지만, 깜놀 요소로만 출연하고 직접 해를 끼치진 않는다.
  • 마네킹: 여귀교 귀신의 기운이 씌인 마네킹. 작품 초기에 신챠오가 여귀교 계단을 오를 때 소품으로 나무에 매달린 채로 등장하는데, 이후 악령이 씌인 채로 공원에서 신챠오를 추적하는 역할로 활동한다. 이후 후반부에 더취안과 바루가 미용학과실에 갇혔을 때 대거 등장하여 더취안을 죽이려 든다.

3.3. 동호대의 귀신들

여귀교 귀신을 제외한 나머지 동호대학교의 귀신들. 게임 진행 중 특정 구간을 지나거나 트리거를 발동시키면 깜놀 요소로 등장하거나, 특정 장소에서 여러 수집템을 주는 등 여러 곳에서 제각각으로 활동한다.
  • 자판기 선배: 건물 옥상에서 자판기 위로 굴러떨어져 죽은 남학생의 영혼이 씌였다고 전해진다. 영혼의 기분에 따라서 무작위로 음료를 뱉어내곤 한다. 원래 있던 자판기가 폐기되고 몇 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여러 자판기를 돌고 있다고 전해진다. 인게임에서는 기숙사 1층에 위치한 자판기에서 볼 수 있다. 다른 귀신들과는 달리 학생들에게 우호적으로, 메모지로 그때그때 기분을 말하며, 각 학생마다 자판기에 동전을 넣을 때 주는 것들이 그때그때 다르다.[4] 최후반부에 신챠오로 플레이하면서 기숙사 지하에 성불하러 갈 때는, 기존의 자판기 선배 대신에 죽은 웬야오가 대신 경전이 적힌 휴지를 주며, 자판기 위에 실루엣의 형태로 앉아있다가 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 노란 옷의 낚시꾼: 밤이 되면 여귀교 주변에 노란 우비를 입은 목 없는 낚시꾼들이 출몰한다고 전해진다. 여귀교에서 더 취안으로 멍 바루와 합류하여 진행하는 파트를 하다 보면 볼 수 있다. 여귀교 난간에 낚싯대가 보이는데, 이를 확인하면 낚싯대가 물 밖으로 끌려가 사라지고, 강 너머에서 노란 우비를 입은 낚시꾼 여러 명이 강을 걸어다니다 사라지는 장면을 목격할 수 있다.
  • 숲 속의 그림자: 밤 늦게 텅 빈 정원을 헤매다 보면 그림자 속에서 들여다 보는 괴상한 그림자와 마주치게 된다고 전해진다. 실제 인게임에서 구현되어 있는지는 불명.
  • 빨간 구두 소녀: 한 여학생이 캠퍼스 건물에서 뛰어내려 자살할 때 주홍색 하이힐을 신고 있었으며, 사건 이후에 캠퍼스에서 스스로 걸어다니는 하이힐을 볼 수 있다고 전해진다. 정황상 웬야오 파트에서 기숙사 315호실로 들어가서 빨간 물감으로 귀신의 형상이 그려지는 캔버스 우측에 가지런히 놓여있는 하이힐인 것으로 추정된다.

3.4. 기타 인물

  • 시 유칭: 자오 신챠오와 동기이자 절친으로, 현 시점에서는 고인. 2012년 여귀교 캠프에서 행사 중 귀신을 봉인하고 있던 부적이 훼손당하는 바람에 귀신에게 희생당한 5명의 캠프 인원 중 한 명이다. 노란머리를 하고 있다.
  • 왕 진렁: 1960년생. 여귀교 귀신이 된 첸 신후이와 장래를 약속한 약혼남으로, 현 시점에선 고인.

4. 스토리

스토리 정리글
  • 1979년: 과거 동호대를 다니고 있었던 첸 신후이와 왕 진렁. 이 둘은 연인관계로 신후이는 대만 핑동현의 명망 높은 가문 출신인 반면, 진렁의 가족은 보잘것없이 가난했다. 그러던 중 4월 경 신후이가 임신을 하게 되고, 하층민을 경멸하는 사상이 퍼져 있던 신후이의 본가에서 이 사실을 알게 되면 신후이의 뱃속의 태아가 무사하지 못할 것이라 판단한 진렁은 6월 9일 신후이에게 편지를 보내어 다음날 저녁, 경관교에서 만나 함께 사랑의 도피를 하기로 약조하게 된다. 약속의 날 경관교에 신후이가 나타났지만 모종의 이유로 진렁은 나타나지 않았고, 이에 신후이가 실망하여 돌아가려던 찰나 누군가가 신후이를 부른다. 그녀는 진렁이 부르는 줄 알고 찾아갔지만 그것은 평소에 신후이를 노리던 다섯 남자들이었고, 그녀는 붙잡혀 집단강간을 당한 후에[5] 호수에 빠져 시체가 되고 만다. 결국 도피 후 열흘 뒤인 6월 20일날 진렁과 치를 예정이었던 비공개 결혼식은 끝내 이루지 못하게 된다. 이후 진렁은 신후이를 지켜주지 못했다는 죄책감에 자살한다.[6][7]

    하지만 죽으면서 원한이 쌓여 악귀가 되어버린 신후이는 자신을 강간 살해한 다섯 남자들을 똑같이 경관교 호수에서 익사하게 만들어버리고, 교내에 이 연쇄 변사 사건이 터진 것을 파악하게 된 학교 측은 1979년 6월 18일 도사를 불러 굿을 진행하게 된다. 도사는 경관교에 부적을 붙이고 절대 떨어지게 둬서는 안 된다는 말과 함께, 부적이 떨어지는 상황을 대비해 칠성검을 건네주고 음기(陰氣)가 가장 강해지는 날인 2월 29일을 조심해야 한다고 충고한 뒤 떠난다. 그 후 경관교는 여귀교라는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 2012년: 자오 신챠오와 시 유칭을 포함한 6명의 여귀교 캠프 멤버들은 2012년 2월 29일 여귀교에서 담력 훈련을 하게 되는데, 담력 훈련을 준비하던 중 신챠오가 실수로 다리 밑에 붙어있던 부적을 훼손하지만, 그녀는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하지만 이로 인해 봉인되어있던 신후이가 해방되어 담력 훈련을 진행하던 중 캠프 멤버들은 하나둘씩 기이한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결국 여귀교 캠프 멤버 여섯 중 과거 신후이를 강간살해한 남자들의 숫자처럼 다섯 명이 사망하고, 혼자 남은 신챠오는 살아남기 위해 귀신에게 목숨을 구걸한다. 그러자 귀신은 매 4년마다 돌아오는 2월 29일에 다섯 명의 제물을 바친다는 약속을 대가로 그녀를 살려주면서 신챠오는 2012년 여귀교 캠프 멤버 중 유일한 생존자가 된다. 이 사건 이후 신챠오는 절친이었던 유칭을 지키지 못하고 혼자 살아남았다는 죄책감에 불면증과 우울증에 시달리게 된다.
  • ~2016년: 4년 동안 신챠오는 대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원에 진학하면서도 여귀교 캠프를 계속 운영했다. 그리고 신후이의 부활로부터 4년이 지난 2016년에도 새로운 캠프 멤버들을 모집했으며, 그렇게 멍 바루, 지 더취안, 리 웬야오, 리 티엔밍, 정 린언이 모이면서 2012년과 같은 행사를 개최할 수 있을 정도의 인원을 확보했다. 그러는 한편 신챠오는 더취안과 연애 중이었지만, 더취안은 과거에 있었던 일로 생긴 우울증 때문에 점점 이상해져가는 신챠오에게 더 이상 사랑의 감정을 느낄 수 없었고, 신챠오와 제대로 헤어지지도 않은 채로 바루와 연애를 시작한다. 여러 상황이 겹쳐 더욱 힘들어진 신챠오는 결국 자살 시도까지 하지만 신후이가 그녀에게 빙의해 방해하면서 자살마저 무산된다.
  • 2016년 2월 29일: 작중 시간대. 결국 여귀교 캠프는 2월 29일 담력 훈련을 진행하게 된다. 2012년의 사건으로 인해 본래 대학측은 그동안 행사를 허가해주지 않았었지만, 계단의 개수를 세고 뒤를 돌아보는 과정을 생략한다는 조건으로 여귀교 캠프는 학교 측의 허락을 얻어낸다. 하지만 귀신에게 다섯 명의 제물을 바쳐야 했던 신챠오는 담력 훈련 과정에서 원래대로 진행하자고 제안하게 된다. 행사가 그녀의 의견대로 진행되는 바람에 신후이가 강림하게 되고, 2012년 참사 때처럼 캠프 멤버들이 하나둘씩 귀신과 이상 현상에 시달리다 죽어나가고 만다.

    비록 본인이 벌인 일이었지만, 4년 전 친구 유칭을 지켜주지 못했다는 후회와 새 캠프 멤버들이 죽어가는 광경을 보면서 죄책감이 극도로 달하게 된 신챠오는 아직 죽지 않고 살아남았던 더취안에게 벽돌을 건네며 자신을 죽여달라는 요구를 하게 된다. 이에 플레이어의 선택 유무와 상관없이 신챠오가 벽돌에 맞아죽는[8] 바람에 원래 희생당했어야 했을 더취안 대신 신챠오가 귀신의 제물로 바쳐지고, 더취안은 신챠오의 역할을 이어받아 신후이에게 4년 후 다시 제물을 바친다는 조건으로 목숨을 건진다.
  • 2020년: 하지만 더취안은 5명의 제물을 바치는 대신에, 귀신을 제령하면서 2016년도 때 죽었던 모두의 저주를 풀어 성불하게 만드는 길을 선택했다. 그는 자신에게 주어진 4년의 시간 동안, 학교에서 보관하고 있던 칠성검의 소재를 파악하거나 죽은 이들이 묶여있는 저주를 풀 수 있는 방법 등을 조사했고 꿈을 통해 동호대 이면에 존재하는 귀신의 세계를 드나들기도 했다. 신후이에게 제물로 바쳐진 멤버들은 전부 죽음을 맞이했던 당시인 2016년 2월 29일의 장면들을 자각 없이 계속해서 반복하고 있었던 것이다.[9] 즉 더취안은 신후이를 돕는 척 하면서 그녀에게 들키지 않고 영혼들 스스로가 저주에서 해방될 수 있도록 직간접적으로 계속해서 멤버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었다. 하지만 더취안 역시 2020년 2월 29일까지 5명을 제물로 바치거나 신후이의 저주를 풀지 못하면 그 대가로 죽을 것이고, 이미 사망한 다른 희생자들처럼 저주받은 세계에 갇힐 것이기 때문에 그에겐 시간이 없었다.

    그렇게 계속 반복하는 2016년 2월 29일의 세계 속에서 점차 희생자들은 칠성검의 존재를 자각하거나 신후이의 저주가 서려있는 퇴마 장소인 지하실 열쇠를 찾아내는 등 점차 분기점을 생성하기 시작했다.[10] 더취안은 영혼들의 행적에 개입하는 한편 직접 도움을 주기도 하면서 신후이를 물리칠 방법을 찾아냈지만, 결국 신후이에게 들키는 바람에 배신자로 몰리게 되고 여귀교 위에서 그녀에게 잡아먹힐 위기에 처한다.[11] 그런 찰나, 유칭을 구할 수 있다라는 말에 정신을 차린 신챠오가 칠성검의 자루와 칼날을 합쳐 완성하고 신후이의 등을 찔러 더취안을 구해낸다.

    반복된 죽음 속에서 드디어 유의미한 변화를 이끌어냈다고 판단한 더취안은 2020년 2월 29일 마지막 날 새벽에 자신을 구해준 신챠오에게 진실을 밝힌다. 그리고 칠성검에 찔려 임시로 퇴치된 신후이가 돌아오기 전에 멤버들의 저주를 풀 수 있도록, 의식의 재료가 있는 위치가 담긴 약도를 신챠오에게 건네준다. 신챠오는 모든 재료를 모아 기숙사 지하실의 문을 열고 직접 신후이의 세계로 건너갔고, 그곳에서 멤버 5명의 영혼을 저주에서 해방시키는 동시에 신후이의 근원인 거대한 심장을 칠성검으로 찔렀다.

5. 엔딩

더취안과 신챠오의 활약으로 2016년의 세계에 갖힌 영혼들은 반복되는 저주에서 풀려났고 신후이의 저주도 힘을 잃었지만, 신챠오는 이미 2016년도에 죽은 사람이라 되살아날 수 없었다. 이 사실을 알고 있었기에 더취안은 신챠오에게 사과를 했고, 이에 신챠오는 더취안의 뺨을 때려 현실로 돌려보내고 영혼의 세계에 혼자 남아 울게 된다. 신후이의 증오와 저주의 원인을 모두 알게 된 더취안은 현실로 되돌아온 후, 그녀의 원한을 풀어주기 위해 마찬가지로 고인이 된 진렁과의 영혼결혼식을 계획하고 유가족들[12]을 찾아간다. 더취안의 설명을 들은 양쪽 유가족은 영혼결혼식에 동의[13]했으며, 덕분에 신후이는 완전히 성불하게 된다. 한편, 신후이가 성불하면서 동호대의 이면세계에서 해방된 신챠오와 다른 멤버들 또한 햇살을 받아 밝아진 경관교[14]에 모여 죽은 후의 윤회를 기다리며 이야기를 나누던 중, 신챠오는 마찬가지로 저주에서 벗어난 유칭과 결국 재회하게 된다.

모든 수집품을 모은 상태라면 스탭롤이 모두 올라간 후 100% 업적 달성과 함께 짧은 추가 영상이 나온다. 작중 아기 귀신으로 등장했던 태아가 의료실 바닥에 핏덩이로 싸여진 미숙아 형태로 방치되어 있는 영상인데, 플레이어들은 이를 후속작의 떡밥으로 생각했지만 여귀교 2편이 다른 대학교의 전설을 소재로 출시되는 바람에 맥거핀으로 남게 되었다.

6. 게임플레이

총 6명의 여귀교 캠프 멤버들의 시점으로 플레이할 수 있으며, 스토리를 진행함에 따라 플레이 시점이 바뀐다. 분기점 없이 메인 스토리는 바뀌지 않기 때문에 진행 방식은 같으며, 중간중간 여러 단서들을 찾으며 진행할 수 있다. 중요한 사건마다 귀신과의 목숨을 건 추격전이 발생하므로 재빠르게 달려서 위험에서 벗어나거나 적절히 숨거나 숙여서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6.1. 귀신과의 추격전

  • 적대적인 귀신, 혹은 귀신이 씌인 무언가와의 추격전이 발생하는 파트가 존재한다. 보통은 귀신에게 잡히지 않고 정해진 구간으로 도망치면 다음 파트로 넘어가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잡히게 되면 귀신에게 여러 방식으로 죽어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특정 세이브 포인트에서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다.
  • 귀신은 플레이어를 발견하지 않으면 일정 구간을 순찰하며, 만약 시야에 보이거나, 걷거나 뛰는 등의 동작이 감지되어 들키게 되면 약간의 대기 모션을 취한 후 플레이어를 추격하게 된다. 플레이어를 인지하는 시점에서부터 놓치고 다시 배회하기 전까지 심장박동 소리와 흡사한 긴급한 느낌을 주는 사운드 이펙트가 들리며 화면 양 옆에 붉은색 핏줄이 생기므로 눈치껏 숨거나 도망치면 된다.
  • 귀신과 추격을 하는 곳에선 귀신만 드나들 수 있는 지름길이 있거나, 귀신이 순간이동을 하는 등 추격을 따돌리기 어려운 경우도 있으니 주의해야 된다.
  • 귀신을 피해 캐비닛이나 간이화장실에 숨을 수 있다. 숨은 상태에서는 귀신이 플레이어를 발견할 수 없지만, 귀신이 플레이어가 숨는 것을 보았다면 캐비닛이나 간이화장실 문을 열고 플레이어를 죽인다. 귀신이 플레이어를 인지하고 추격하고 있었으나 숨는 것을 보지 못했을 경우 근처에 캐비닛이나 간이화장실이 있더라도 열어보지 않고 다시 배회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 특정 파트에서는 귀신이 씌인 무언가를 찾아내어 해제하지 않으면 귀신에게 죽는 파트도 있다.

6.2. 스테이지별 귀신 일람

  • 목각인형: 신챠오 파트에서 여귀교 리허설 중 신챠오가 조우한 목각인형. 원래는 린언이 분장하여 신챠오를 습격하는 식의 시나리오를 짰었지만, 깜놀용으로 나무에 걸어놓은 이 목각인형이 난입하여 신챠오를 습격한다. 여귀교 뒤에 붙어있는 공포 체험용으로 만들어진 공원[15]으로 들어간 뒤 출구로 나와야 클리어가 되며, 기본적인 인터페이스를 익힐 수 있다. 공원 내부에 설치된 간이화장실에 숨을 수 있으며, 귀신의 경우는 풀밭을 드나들 수 있다.
  • 아기인형: 상술한 등장인물 귀신 문단 참고. 더취안이 바루와 함께 기숙사로 들어갔을 때 등장. 아기가 우는 소리를 찾아내어 소리의 근원지인 인형을 작동 정지시켜야 되는데, 제한시간 안에 트리거가 되는 파란 인형을 작동 정지시키지 못하면 맵 어디에 있든 즉시 달려들어서 끔살시킨다. 우측 하단에 소리 크기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가 생기니 그것을 보고 인형이 정확히 어딨는지 파악할 수 있다.
  • 귀신의 머리카락: 주로 캠퍼스 건물 내부 곳곳에 자라나 길을 막고 있지만, 특정한 상황에는 이것이 사람에게 들러붙어 얽혀서 죽게 만든다. 2번 얽히면 죽게 되며, 플레이 도중 얻을 수 있는 반얀잎을 가지고 있으면 얽힌 머리카락 스택을 1회 풀어준다. 신챠오가 기숙사 옥상에서 신후이를 조우하여 내려오는 길목을 막고 있으며, 이후 린언이 기숙사 옥상에 열쇠를 숨길 때, 바루가 옥상에 올라와 열쇠를 찾을 때 방해요소로 등장한다.
  • 리 웬야오: 칠성검 자루만 들고 여귀교로 와서 귀신에게 덤비려다 죽은 웬야오. 귀신에 빙의당하는 바람에 다시 일어나서 신챠오를 쫓게 된다. 초기에 등장했던 목각인형과 똑같이 공원에서 진행되며, 목각인형과 비슷한 패턴이지만 중간중간에 길목이 트리거로 막히는 등의 방해요소가 추가되었다. 맨 처음 목각인형을 피해 들어갔던 공원 입구 대신 반대쪽 입구로 들어가지는데, 상술했던 공원 입구[16] 쪽 샛길로 들어가서 칠성검 자루를 찾으면 클리어된다.
  • 리 티엔밍: 기숙사 화장실에서 용변을 보다 귀신에게 습격당해 죽은 티엔밍. 상술한 웬야오처럼 귀신에 빙의당해 린언을 쫓는다. 속도가 느리지만, 기숙사 복도라서 숨는 구간이 존재하지 않고 지나왔던 복도가 바뀌기도 하며 진행하다가 앞에 있는 방이나 골목으로 순간이동하여 앞에서 튀어나오기도 한다. 튀어나오는 걸 확인하면 바로 유턴하여 뒤로 도망가자. 맵도 일정 구간을 지나 뒤를 돌 때마다 바뀐다. 유턴을 3~4번 반복한 뒤, 복도문을 열고 나가면 클리어.
  • 마네킹: 더취안과 바루가 IT동에서 재회했을 때 미용교실에 갇혔을 때 등장. 걸어다닐 때마다 '배신자', '나빠' 등의 소리를 내며 다닌다. 속도가 빠르고 인식 범위가 넓어서 멀리 있어도 들키면 빠르게 쫓아오지만, 허리를 숙일 수 없기 때문에 책상 밑에 숨기만 하면 바로 눈앞에서 숨어도 인식하지 못하므로 책상 밑으로 돌아다니며 뒷문 열쇠를 찾아 탈출해야 된다.
  • 첸 신후이(영혼 형태): 첫 등장은 티엔밍 파트에서 여귀교 캠프 본 방송을 진행 중 등장. 본 방송에서 웬야오가 계단을 14개째 올라서는 순간 나타나게 된다. 1~2초 단위로 투명해졌다가 돌아오는 것을 반복한다. 티엔밍 파트에서는 갈래길마다 막다른 곳으로 점멸을 사용, 올바른 길을 찾지 못하고 엉뚱한 곳으로 들어가면 십중팔구 귀신에게 잡혀 죽게 된다. 캠퍼스로 가는 터널을 넘어가면 들어오진 않는다. 이후 웬야오가 조우하는 시점부터는 점멸을 사용하는 대신, 여러 사물들을 머리카락이나 염동력으로 움직여 길막을 시전한다.[17]
  • 첸 신후이(육체가 있는 형태): 바루가 린언이 숨겨둔 열쇠로 기숙사 지하실에 있는 자물쇠에 끼워맞춘 뒤, 돌아갈 때 신후이가 등장하며 육체가 있는 형태로 현현하게 된다. 속도가 빠르지만 기존의 영혼 형태 때 사용하던 투명화·점멸·진로방해 등의 능력은 사용하지 않는다. 이후 더취안 파트에서 빙의되어있던 신챠오를 조종하여 바루를 죽이고 빙의를 풀며 등장하지만 바로 뒤로 도망치면 넘어가는 구간이라 의미는 없다.

    이후 신챠오가 기숙사 지하실의 봉인된 문을 열고 들어가 모두의 저주를 풀어주는 마지막 챕터에서 등장하며, 이때는 신후이 주변에 검은 물이 고여있는 형태의 이펙트가 생긴다. 여러 방이 있는 복도를 배회하며 다니는데, 방마다 저주에 얽매인 캠프 멤버들을 해방시킬 때마다 즉각 인지하고 풀어준 곳을 찾아오기 때문에 재빨리 근처에 있는 캐비닛이나 화장실 안에 숨어야 된다. 멤버들을 해방시켜줄 때마다 근처에 열쇠나 단서들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확인하고 다음 방으로 지나가야 된다. 티엔밍까지 해방하고 나면 4족보행을 하며 이동속도가 대폭 증가하며, 이 시점에서부턴 들켰을 때 도망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재빨리 근처에 있는 캐비닛을 찾아 숨어야 한다. 마지막 유칭의 저주까지 풀어주고 나면 귀신의 심장을 둘러싼 머리카락들이 불타 없어지는 컷씬과 함께 심장이 있는 구역인 초반부로 되돌아오는데, 심장으로 올라가 칠성검으로 찌르면 클리어.

7. 평가

기준일:
2025-06-01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the-bridge-curse-road-to-salvation/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the-bridge-curse-road-to-salvation/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기준일:
2025-06-01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611430/#app_reviews_hash| 매우 긍정적 (9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611430/#app_reviews_hash| 매우 긍정적 (8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7.1. 긍정적 요소

  • 원작의 스토리를 게임에 맞게 재해석하고 배경과 설정을 재구현한 퀄리티가 높다. 영화 여귀교는 스토리에 한해서는 꿈도 희망도 없었던 배드 엔딩과 반전에만 너무 집중한 나머지 내용 전개가 산만하다는 평가가 있었지만, 본 게임은 연출력과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방식이 보다 직관적으로 개선됐고 특히 팬들의 기대에 보답한 엔딩이라는 점에서 원작을 초월한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 호러 게임임에도 수집 요소들 중 각종 패러디들과 더불어 여러 개그적인 요소들이 깨알같이 등장하여 분위기 전환과 소소한 재미를 준다.
  • 자동 세이브 구간이 세세하게 잘 짜여있다. 특히 마지막 챕터에서 귀신에게 잡혀죽어도 진행 과정에서 그다지 손실이 없이 진행 가능할 정도.
  • 메인 화면에서 분기별로 전체 수집 요소를 알려주고 챕터도 선택해 진행할 수 있어서, 수집 요소를 모으려는 플레이어들을 배려해주고 있다.

7.2. 부정적 요소

  • 스토리 전개상 플레이어에게 주어진 자유도가 매우 제한된 채로 진행된다. 스토리 진행과 관련된 맵 이동을 제외하고는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 자체가 거의 불가능하다. 다른 곳을 찾아보려 하면 귀신의 머리카락으로 막혀있거나, 더 중요한 일이 있다는 메시지와 함께 보이지 않는 벽에 막혀 주어진 대로만 진행할 수밖에 없는 게 다반사이다. 심지어 후반부에 들어서 분기점을 선택하는 구간에서도 결국 진행하는데 있어서 별반 다를 게 없도록 설계되어 있다.[18] 아무래도 원작 영화를 각색하여 짜맞춘 작품이다 보니 이러한 자유도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대신 공포 게임 뉴비 한정으로는 긍정적인 부분인데 헷갈릴 필요 없이 뚫린 길로 나아가면 스토리를 진행할 수 있다. 다만 게임 자체가 딱히 어렵지는 않기에 부정적인 평이 좀 많다.
  • 추적하는 귀신의 AI가 다소 위화감을 느낄 정도로 떨어진다. 캐비닛 안에 숨는 걸 귀신에게 보이더라도 간혹 추적을 포기하고 배회 모드로 돌아가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너무 근접한 상태에서 숨으면 문을 열고 끔살시키는 장면을 볼 수 있으니 주의는 필요하지만, 화이트데이수위Home Sweet Home의 벨 등의 적들은 직접 들어가는 모습을 못 봤어도 때로는 문을 열어 플레이어를 발견한다는 점에서 지능이 많이 떨어져 보인다. 이는 귀신들은 머리카락을 통과할 수 있거나 플레이어는 통과하지 못하는 지름길을 사용할 수 있고 심지어 순간이동으로 플레이어를 덮치는 경우도 있기에, 나름 조정한 밸런스적 조치로 추정된다.

8. 원작과의 비교

8.1. 공통점

  • 귀신이 봉인에서 풀려난 사건, 신챠오와 더취안이 활동을 시작한 시간대, 여귀교에 대한 괴담 내용, 신챠오가 5명의 산제물을 귀신에게 바치는 대가로 목숨을 구한 것, 그리고 신챠오가 죄책감으로 인해 더취안에게 벽돌을 건네어 죽음을 받아들이는 것까지 원작과 동일하다.

8.2. 차이점

  • 원작에서는 2020년에 여귀교 사건을 조사하는 리포터가 진실을 파헤치는 관점으로 스토리가 진행됐지만, 본작에서는 2016년 여귀교 사건 당시에 희생당한 학생들의 시점에서 스토리가 시작된다.
  • 지 더취안의 역할이 180도 바뀌었다. 본 게임에서는 귀신을 제령하고 희생당한 선후배들의 구원을 위해 활약했지만, 원래 영화에서는 주인공인 리포터의 카메라맨으로 위장해서 여귀교 사건을 취재하러 온 일행들마저 귀신의 산제물로 바치는 천하의 개쌍놈으로 등장했었다. 다만 쿠키 영상에서 리포터만큼은 살려놓고 "이 굴레를 벗어나려면 당신의 도움이 필요해"라고 말했기에 원작의 더취안도 귀신에게서 벗어날 해결책을 찾으려는 의도가 있었음은 동일하다.

9. 후속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여귀교2: 자유로운 영혼의 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여귀교2: 자유로운 영혼의 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여귀교2: 자유로운 영혼의 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기타

  • 대만에서 만든 작품이다 보니 중화권의 가치관이 담겨있어 아무래도 한국의 정서와 맞지 않는 요소가 좀 있다. 부적을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니거나 주술물품을 인터넷으로 주문해 기숙사방에 진열해두는 행동 등이 의문스러울 수 있고, 특히 대학교에서 발생한 사망사고의 뒷수습을 위해 도사를 불렀다는 신문기사나 사고 현장에 부적을 뿌려놓는 등의 장면은 황당할 수도 있다. 다만 작중 배경이 약간 대도시에서 떨어진 곳에 위치한 대학이라는 점이라든가 도사의 힘이 실제로 존재하는 세계관이라고 여기면 장르상 문제는 없으며, 정 린언처럼 미신을 부정적으로 보는 신세대의 시선을 통해서도 정서적 균형을 맞추려 노력했다.
  • 티엔밍이 화장실에서 용변을 보고 난 흔적들이 적나라하게 나오기에 플레이 시 주의해야 한다. 사실 현실에서는 물을 내리기 전의 변기라도 밑을 닦은 휴지가 위에 덮이기 때문에 그렇게까지 적나라하진 않은데, 혐짤을 네타화하고 직후의 공포 연출을 강조할 목적인지 2010년~2020년인 현대가 배경임에도 화장실 개인실에 휴지통이 배치되어 있으며, 티엔밍이 휴지를 그쪽으로 버린 탓에 다 보인다. 사실 대만에서는 한국과 달리 집에 있는 화장실에서조차 변기통에 바로 휴지를 버리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으며, 학교나 지하철역 등등 장소를 무관하고 어디에서나 변기에 휴지를 버리지 말고 휴지통에 버리라는 경고문을 찾아볼 수 있다. 제작진이 노리고 이렇게 정성들여 묘사한 것인지, 이 배설물 출력 솜씨는 후속작에서 더 훌륭히 재현되었다(...).
  • 원작 영화의 산뉘의 역할을 본작의 멍 바루가 대체했다는 오해가 있지만 동일인물로, 원작의 캐릭터 이름도 孟柏汝가 맞다. 산뉘는 바루의 별명으로, 원래 병음상 그녀의 이름은 멍 보[19]루가 맞는데 이를 애칭 삼아 간단하게 부르는 게 산뉘(三女)이다. 이는 바이루의 마지막 글자인 汝를 파자하면 삼수변(중국어로 三点水라고 한다)에 여자 녀가 되는 것에 근거한 것. 게임에서도 본명보다 산뉘라 불리는 경우가 훨씬 많으며, 이와 비슷하게 더취안도 아췐(阿全)으로, 티엔멍도 따티엔(大天)으로 자주 불리는 등 다른 캐릭터들도 본명보다 애칭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이는 대만어를 몰라 자막으로만 등장인물의 이름을 인식하는 플레이어들도, 서로 부르는 이름과 음성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자주 있기에 별명임을 짐작할 수 있다.
  • 인게임 동아리 활동 관련 자료를 모으는 구간에서 다른 대학교들의 호러스팟을 모은 자료[20]들을 볼 수 있는데, 이후 그 중 하나인 문화대학교의 유령 엘리베이터를 소재로 만들어진 영화가 후속작으로 출시되었고 연이어 이 엘리베이터를 소재로 한 게임도 여귀교 2편이란 이름으로 출시되었다. 따라서 본 초대작에서 언급된 호러스팟들을 소재로 다음 작품들이 출시되는 것이 확실시되었다.

[지역제한] [지역제한] [3] 한국어 패치가 공식 번역으로 채택되었다.[4] 신챠오는 초반에 카메라 충전을 위해 들릴 땐 귀신의 모습을 광고 표지로 만들어놓은 아스파라거스 주스를, 이후 마지막 결전 전에 들리면 경전이 적혀있는 휴지를 준다. 더취안은 퓨즈를 고치고 들어왔을 때 들리면 미니 백송 맥주를, 바루는 웬야오와 함께 기숙사를 나가기 전에 들리면 파인애플 사이다, 그리고 나중에 린언의 시체를 확인하고 들어올 때는 후추 스프레이를 주며, 티엔밍은 화장실이 급해서 기숙사로 들어가서 들릴 땐 선배의 식량 보급이라 적힌 팥죽을, 이후 린언이 기숙사에서 단서를 찾던 중 들리면 생수를 준다. 웬야오의 경우는 귀신에게 쫓겨 기숙사로 도망칠 때 들릴 수 있는데, MENGA라는 이름의 핑크빛의 호리호리한 형태를 한 무언가를 준다. 이렇게 주는 아이템들은 어디까지나 수집용일 뿐, 게임플레이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5] 이때 목소리를 따라 올라갔던 계단 개수가 총 13개이며, 이후 신후이가 원귀가 되었을 때 여귀교에서 귀신을 부르게 되는 트리거로 작동하게 된다.[6] 가해자 5명은 특별히 배경 스토리가 밝혀지지 않는 불특정 무뢰배들인 듯하다. 최종장 신후이의 방에는 벽에 '죽어'라는 말이 가득 적힌 것을 통해 신후이의 이들에 대한 분노와 증오를 볼 수 있다. 복선은 있었는데, 밤늦게까지 실험실에 있으면 위험하다고 충고해주는 진렁과 항상 마중 나와주면서 무슨 걱정이냐고 대답하는 신후이의 회상이 있다. 이후 자신을 지켜줄 거냐고 묻자 진렁은 무슨 일이 있어도 반드시 지켜주겠다고 대답하는데, 그렇게 약속해 놓고 자신을 위해 부자인 본가도 버리고 사랑의 도피를 하려 한 연인과의 약속장소에 안 나간 바람에 이런 일이 터졌으니 충격과 죄책감에 죽음을 택한 것이 전혀 이상하지 않다.[7] 5명이 애당초 신후이의 성질 더러운 본가의 사주를 받고 일을 저질렀다는 음모론도 있지만, 악하다지만 딸을 아끼는 부모가 결혼 하나 파토내겠다고 남자 다섯 명한테 그 딸을 강간하도록 지시하는 건 말도 안 된다. 또한 신후이의 원혼이 부모에게 원망을 가졌다는 어떤 묘사도 없다.[8] 기숙사 1층 빨래방에서 신챠오의 말을 들은 더취안이 벽돌을 들고 있을 때 선택지가 나오는데, 치지 않는다를 선택해도 더취안이 신챠오의 말을 부정하며 벽돌을 내리려는 찰나 신챠오가 벽돌을 뺏으려 들다 얼떨결에 머리를 맞고 죽게 된다.[9] 이를 암시하는 장면들이 게임플레이 도중 간간이 나오는데, 평범한 대학교 캠퍼스 배경을 다룬 게임 중간중간에 마치 사망 사건이 나서 건물째로 방치된 듯한 모습의 공간들이 틈틈이 등장하거나, 핸드폰 시각이 2016년으로 표기되는 다른 멤버들과 달리 더취안 혼자 2020년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 등 게임을 진행하면서 여러 위화감을 주는 장면들이 등장한다. 더취안 또한 중간중간에 멤버들이 위기에 처하거나 심지어 귀신에게 죽는 멤버가 나와도 무덤덤하고 냉담하게 반응하는데, 자신을 제외한 멤버들이 이미 고인이고, 매번 같은 전개로 죽어나갔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나오는 반응인 것.[10] 본래 2016년 당시 5명의 캠프 멤버들은 칠성검이나 기숙사 지하실의 비밀은 전혀 알지 못하는 상태로 신후이에게 죽음을 당했다. 본 게임에서 진행된 스토리는 더취안의 도움 아래 희생자들이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도달한 제일 나은 결과일 것이다.[11] 이 장면은 이미 죽은 희생자를 검은 얼룩으로 뒤덮어 조종했던 빙의와는 다르게, 신후이의 본체가 사람을 집어삼키는 장면으로 묘사된다. 더취안은 아직 살아있는 사람이었던 만큼, 귀신의 세계에 들어온 그를 신후이가 저주하거나 아예 죽이려는 의도로 추측된다.[12] 첸 신후이의 경우는 양친이 전부 살아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왕 진렁의 경우는 불명. 신후이와 진렁이 60년생이기에 정황상 양친이 살아있다면 못해도 70대 후반에서 80대인 것을 유추할 수 있다.[13] 특히 신후이의 부모는 선민사상이 심하다 못해 태아한테까지 해코지를 하고도 남았을 사람들로 묘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의를 한 것을 보면, 딸에 대한 모든 것을 받아들이고 진렁의 유가족들과 화해한 것으로 보인다.[14] 신후이의 저주에 씌인 내면세계에서는 항상 사건 당시인 한밤중 시간대를 되풀이하였지만, 이러한 저주에서 벗어나 드디어 정상적인 시간대로 되돌아왔음을 암시하고 있다.[15] 시작하자마자 다리 너머에서 목각인형이 공원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걸 보고 공원 밖 계단으로 도망치려 하면 즉각 근처 화장실에서 튀어나와 신챠오에게 달려들기 때문에, 그냥 얌전히 공원 안으로 들어가야 된다.[16] 해당 구간은 방해물로 막혀있는데, 특정 트리거를 발동시켜 이것들을 플레이어의 진로방해를 하는데 사용하게끔 유도한 뒤에 들어갈 수 있다.[17] 정확히는 트리거로 특정 구간을 지날 때 발동되기 때문에, 어느 시점에서 길막하는 장면이 연출되는지 외울 수 있다.[18] 이후 스토리 전개를 보면 인물들 거의 대부분이 귀신에게 죽어서 2016년 2월 29일 사건 당시 상황을 되풀이하는 것으로 밝혀지기 때문에 큰 틀에서 스토리가 강제되는 것에 대한 이유가 어느 정도 납득이 된다.[19] bó. 등장인물들이 가끔 본명으로 부를 때에도 이렇게 발음한다.[20] 문화대학교의 유령 엘리베이터, 종성대학교의 귀왕의 출입구, 정화대학교의 음양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