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선수의 진짜 정체로 추정되는 인물}}}에 대한 내용은 [[채드 게이블]]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채드 게이블#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채드 게이블#|]]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선수의 진짜 정체로 추정되는 인물: }}}[[채드 게이블]]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채드 게이블#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채드 게이블#|]]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EL GRANDE AMERICANO |
1. 프로필
| |
RAW | |
<colbgcolor=#fff><colcolor=#eb1926> 링네임 | <colbgcolor=white,#1f2023> El Grande Americano |
본명 | ? ? ? ? |
생년월일 | 1945년 7월 4일 ([age(1945-07-04)]세) |
출신지 |
아메리카만[1] |
신장 | 174cm |
체중 | 92kg |
유형 | 루차 리브레 + 힐 스타일 + |
피니쉬 무브[2] | 앵클락 다이빙 헤드벗 |
주요 커리어 | ? ? ? ?[3] |
테마곡 | Gracias |
2. 개요
✌GRACIAS~! ✌[4]
미국의 프로레슬러. 스페인어로 위대한 미국인이란 뜻이다.[5]3. 커리어
3.1. 데뷔 초기
멕시코만에서 태어난 그는 어렸을 때부터 최고의 루차 리브레가 되기 위해 훈련을 계속 받았었고 빠르게 업계 정상에 올랐다. 그렇게 수십 년간 루차 리브레를 대표하는 프로레슬러가 되었다. 하지만 질투에 휩싸인 다른 이들에게 의해 배척되고 그렇게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3.2. 그의 화려한 복귀
2025년 3월 10일 RAW에서 LWO와 더 뉴 데이의 경기 도중 갑작스럽게 난입하여 복귀를 알린다. 하지만 당시 채드 게이블이 어둠의 루차 리브레의 기술을 배워 온다고 했었기에 많은 사람들은 그가 채드 게이블일것이라 예측을 했지만...[6]
인터뷰하는 채드 뒤로 경비원들에게 붙잡힌 아메리카노의 모습이 보이며 결국 아메리카노의 정체는 채드가 아닌 것으로 판결났다. 이후 3월 17일 RAW에서 아메리칸 메이드를 상대로 승리한 LWO를 기습하여 한 번 더 모습을 드러낸다. 채드 게이블이 아닌 것이 밝혀졌지만 여전히 비슷한 기술들을 구사하며 의심을 산다.
3월 24일 채드 게이블의 건강이 좋지 않아 당분간 경기를 할 수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2주 뒤에 RAW에서 있을 채드 게이블의 경기를 엘 그란데 아메리카노가 대신 하기로 밝혀졌다.
그리고 엘 그란데 아메리카노가 드래곤 리를 상대하여 데뷔전을 치르게 된다. 하지만 LWO 멤버들은 여전히 그가 게이블일거라 의심을 한다. 결과는 엘 그란데 아메리카노가 드래곤 리의 마스크를 벗겨 무방비하게 만든 다음 앵클락[7]을 사용하여 승리.
이후 4월 7일에 아픈 게이블을 대신 하여 아메리칸 메이드의 멤버들과 함께 LWO를 상대한다. 근데 가면 안에 작은 철판을 넣은 상태로 다이빙 헤드벗을 사용하는 반칙을 하여 승리를 챙긴다. 그렇게 엘 그란데 아메리카노가 루차도르의 전통과 예술. 자신이 평생을 걸어온 길을 욕보였다 여긴 레이 미스테리오는 애덤 피어스를 찾아가 레슬매니아 41에서 경기를 가지겠다 선언한다.
4월 14일엔 줄리어스 크리드와 레이 미스테리오의 경기에 난입하지만 승패엔 영향을 미치진 못했다. 그 뒤에 벌어진 LWO와의 난투에선 드래곤 리와 레이 미스테리오를 쓰러트린 뒤 다이빙 헤드벗을 사용했는데, 이번에도 가면 안에 철판을 넣는 모습이 포착됐다.
4월 18일 이번에는 스맥다운에 뜬금없이 등장해서, 좀 전 배틀로얄 경기에서 루차도르들에게 다굴을 당하고 탈락한 채드 게이블의 복수를 하려고 나온건지 경기 중인 똑같은 루차도르 레이 페닉스를 방해해서 대놓고 탈락시킨다. 이 후 감쪽같이 사라졌으며, 다음 경기에서는 아메리칸 메이드만 나오고 엘 그란데 아메리카노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레슬매니아 41에선 전설의 복귀를 위해 WWE에서도 루차도르와 그들의 마스크에 대한 설명과 그 마지막에 루차도르의 전설이자 아이콘은 엘 그란데 아메리카노란 프로모를 보여줬으며, 이어진 개인 인터뷰를 통해 자신이 그렇게나 많은 기여를 했음에도 자신을 퇴출시킨 루차도르 커뮤니티에 얼굴을 감싸면서 억울함을 호소했다. 그리곤 레이 미스테리오와 그 꼬마들은 역대 최고의 루차도르인 자신의 복제품일 뿐이라 주장하며, 부상을 입은 레이 미스테리오는 너무나 약해빠져서 레슬매니아에 못올라온다 하니 아무라도 덤벼보라 도발한다.
이 후 엘 그란데 아메리카노는 레이 미스테리오를 대신해서 나온 레이 피닉스를 상대로 훌륭한 경기를 펼쳤다.[8] 경기 전부터 관중으로 온 엘 이호 델 비킹고를 도발하다가 킥 한대를 맞고 경기를 시작했으며, 경기 도중에는 심판 몰래 옷 안에 넣고 온 철판을 마스크에 집어넣었고, 이를 못 본 레이 피닉스가 굿바이 아미고 킥을 날리는 바람에 자신의 발을 다친다. 이 후 앵클 락과 헤드벗 반격, 다이빙 헤드벗으로 승리를 거둔다. 결국 레슬매니아에서도 그의 정체는 밝혀지지 않았다.
4월 21일 RAW에선 엘 그란데 아메리카노의 레슬매니아 승전을 기념하며 그가 루차 리브레의 왕으로 돌아왔단 내용의 영상이 나왔다.
4. 정체는 채드 게이블?
많은 이들이 다양한 근거로 엘 그란데 아메리카노의 정체가 채드 게이블이라고 생각하지만 RAW에서 인터뷰 하는 게이블 뒤로 엘 그란데 아메리카노가 지나가는 뚜렷한 증거로 인해 정확히 그의 정체가 게이블이라고 말 못하고 있다.[9] 그가 게이블이라는 근거들로는- 비슷하다 못 해 똑같은 체형
둘 다 똑같이 174cm에 92kg로 소개 되고 등 뒤에 같은 문신이 같은 위치에 있다. - 비슷한 사용 기술
둘 다 앵클락, 다이빙 헤드벗, 수플렉스를 주로 사용한다. - 비슷한 프렌차이즈
둘 다 브이자 손 모양을 머리 위로 들고 감사하다고 하는데 채드는 Thank you를 외치고 엘 그란데 아메리카노는 Gracias를 외친다. - 비열함?
채드 게이블은 턴힐을 한 뒤로 비열한 수법을 쓰기 시작했는데 엘 그란데 아메리카노도 드래곤 리의 가면을 벗기거나[10] 아메리칸 메이드와 힘을 합쳐 LWO를 상대로 반칙을 이용하여 승리하였다. - 동시에 나온적이 없음
채드 게이블이 없을 때만 나오고 있고, 반대로 엘 그란데 아메리카노가 없을 때는 채드 게이블이 나오고 있다. 위에 한번은 위기를 넘기긴 했지만, 대역일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복면을 써서 정체도 더욱 모른다.
[1] Gulf of America[2] 루차도르지만 이상하게도 피니셔는 하나같이 루차의 기술이 아니다.[3] 과거 루차도르로서 엄청나게 많은 타이틀을 들었지만 타이틀의 명칭들이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다.[4] 채드 게이블의 프렌차이즈와 매우 유사하다.[5]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루차도르는 멕시코인의 정체성을 가지고 활동하는 편이나, 엘 그란데 아메리카노는 적어도 이름만 보면 미국인을 자신의 정체성으로 잡고 있는 희귀한 케이스다.[6] 신장도 비슷하고 쓰는 기술도 비슷할 뿐더러 프렌차이즈도 매우 유사했다.[7] 채드 게이블의 피니셔이기도 하다.[8] 단순히 경기력도 좋았지만 문설트를 시전하다가 반바퀴를 더 돌며 센턴을 선보이며 멋진 스팟을 뽑아냈다.[9] 하지만 프로레슬링에서는 형제나 쌍둥이라는 점을 이용해 분신술을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대표적으로 커트 앵글이 자신의 형제를 눈속임용으로 내세워 WWE 챔피언십 경기에서 승리한 적이 있었고, 최근에도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츠지 요타가 쌍둥이 동생을 내세운 적이 있었다. 거기다 복면 루차도르라면 굳이 쌍둥이 형제가 아니라고 해도 이런 눈속임이 더 쉬울 수밖에 없다.[10] 루차들 사이에선 가면은 상당히 중요한 요소인데 같은 루차인 아메리카노가 그런 비열한 짓을 하는건 말이 안 된다.[11] That's chad gable! No it's not! 이 외에도 채드가 엘 그란데 아메리카노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팬들 사이엔 과거 엘 그란데 아메리카노의 경기를 본 적이 있거나 들어봤단 사람들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