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19:36:41

엔도스켈레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Five Nights at Freddy's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FNAF 제목.png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 애니매트로닉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개인 제작
시리즈
Five Nights at Freddy's
(프레디, 보니, 치카, 폭시, 미스터 컵케이크)
Five Nights at Freddy's 2
(퍼펫, 토이 프레디, 토이 보니, 토이 치카, 맹글, 벌룬보이)
Five Nights at Freddy's 3
(스프링트랩)
Five Nights at Freddy's 4
(프레드베어, 스프링 보니, 나이트메어, 나이트마리오네)
Five Nights at Freddy's: Sister Location
(서커스 베이비, 발로라, 펀타임 프레디, 펀타임 폭시, 에너드)
Freddy Fazbear's Pizzeria Simulator
(스크랩 베이비, 몰튼 프레디, 스크랩트랩, 레프티, 헬피)
Ultimate Custom Night
공동 제작
시리즈
Five Nights at Freddy's: Help Wanted
(드레드베어)
Five Nights at Freddy's AR: Special Delivery
Five Nights at Freddy's: Security Breach
(글램록 프레디, 글램록 치카, 몽고메리 게이터, 록산느 울프, 보육 도우미, 미믹)
Five Nights at Freddy's: Secret of the Mimic
(미믹, 재키, 빅 탑, 간호사 돌리)
스핀오프 FNaF World
Freddy in Space 2
Five Nights at Freddy's: Into The Pit
(스프링 보니(ITP))
소설판 Fazbear Frights 시리즈
(스프링 보니, 엘레노어)
Tales from the Pizzaplex 시리즈
미분류 환각
(골든 프레디, 섀도우 프레디, RWQFSFASXC, 팬텀 애니매트로닉스)
혹스 애니매트로닉스
(퍼플 가이 애니매트로닉)
기울임체: 공개 예정 작품 }}}}}}}}}
Endoskeleton
엔도스켈레톤
파일:BareEndoClean.png
엔도-01(Endo-01)의 모습
포지션 애니매트로닉스 내골격
제작자 에드윈 머레이
소속 머레이 컴퍼니
파즈베어 엔터테인먼트
애프튼 로보틱스



1. 개요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에 등장하는 애니매트로닉스 혹은 환각.

한국어로 번역하면 내골격이다.[1] 모든 애니매트로닉스의 기본 뼈대가 되는 로봇이다.[2]

겉에 코스튬을 입히지 않은 순수한 엔도스켈레톤의 모습으로 등장하는 작품은 1, 2, SL, SB, SOTM이 있다. 외전작까지 포함한다면 FNaF World, FNaF AR: SD[3]에서도 등장한다.[4]

에드윈 머레이가 그의 아들인 데이비드를 위해 로봇 가정부를 만들기 위해 코스튬에 넣을 엔도스켈레톤을 만든 것이 시초였으며, 프로토타입으로 만든 엔도스켈레톤이 원인불명의 원인으로 인격이 삽입되면서 미믹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2. 작중 등장

2.1. FNaF 1

파일:옌도-1.png

1편의 애니매트로닉스들의 뼈대가 되는 로봇. 엔도-01(Endo-01)이라고 불린다.

Cam 5에 등장한다. 그냥 앉아 있을 뿐. 이스터에그카메라를 쳐다본다.[5] 그럼과 동시에 부품실에 있던 가면들도 카메라를 응시한다.

2.2. FNaF 2

파일:엔도02이스터에그.jpg
파일:Endo-023.png
[6]

왼쪽 환풍구에 설치된 CCTV를 통해 확인한 엔도-02의 환각

구형 애니매트로닉스들과 토이 애니매트로닉스들의 뼈대가 되는 로봇. 엔도-02(Endo-02)라고 불린다.

V 1.0.3에 추가된 이스터에그, 퍼펫이 나와있을 때의 상품 코너(CAM 11) 혹은 왼쪽 환풍구 CCTV를 확인하면 각각 1/10, 1/1,000의 확률로 나온다.[7]

귀 부분이 구형 폭시와 유사하기 때문에 구형 폭시의 내골격이라고 추정하거나 골든 프레디의 내골격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대다수이다. 골든 프레디의 귀 모양도 그렇게 큰 차이 없고, 무엇보다 골든 프레디도 같은 환각에 내골격이 없는 듯한 모습이기 때문.

다만 위의 엔도-01도 그렇고, 눈 색이 푸른색이라는 점과 프레디가 가장 기본이 되는 애니매트로닉스라는 점을 감안해보면 프레디 파즈베어를 바탕으로 모델링했을 가능성이 크다.

상품 코너의 퍼펫 음악 상자가 다 풀려야만 나오며, 엔도-02와 벌룬보이, 구형 보니 혹은 토이 치카가 동시에 있다면, 엔도-02가 우선시 되기 때문에 셋 중 하나를 막을 수 있다.

위의 엔도-01과는 달리 환각인지 원래는 정말 존재했으나 JJ와 함께 모종의 이유로 환각으로 남은 것으로 보인다.

소설에서나마 이 녀석의 본래 용도와 정체가 밝혀졌는데 알고 보니까 헨리 에밀리가 만든 자살용 애니매트로닉스였다.[8]

2.3. FNaF Worl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NaF World/캐릭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NaF World/캐릭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NaF World/캐릭터#엔도 01 (Endo-01)|엔도 01 (Endo-0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NaF World/캐릭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NaF World/캐릭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NaF World/캐릭터#엔도 02 (Endo-02)|엔도 02 (Endo-02)]]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NaF World/캐릭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NaF World/캐릭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NaF World/캐릭터#엔도플러시 (Endoplush)|엔도플러시 (Endoplush)]]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엔도-01, 엔도-02, 그리고 엔도플러시(플러시트랩의 엔도스켈레톤)가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등장한다. 애니매트로닉스들이 주인공인 작품답게 적들 중에도 엔도스켈레톤의 형태를 띄고 있는 적들[9] 등이 등장하기도 한다.

2.4. FNaF SL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1529.png

(놀람 주의) 점프스케어[10]

곰처럼 생긴 내골격 상태의 애니매트로닉스. Yenndo(옌도)라고 불린다. 이름의 유래는 Yellow+Endo로 추정된다.

펀타임 프레디와 매우 닮았으나 눈의 색이 다르기에 펀타임 프레디의 내골격인지는 불명이다.

2편의 골든 프레디처럼 카메라를 내릴 때 무작위로 등장한다.[11] 등장했다면 산소 미터가 감소하며, 산소가 0이 되기 전에 카메라를 올리지 않는다면 공격한다.

2.5. FNaF HW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ive Nights at Freddy's: Help Wanted/애니매트로닉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ive Nights at Freddy's: Help Wanted/애니매트로닉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ive Nights at Freddy's: Help Wanted/애니매트로닉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ndo-01_(Gallery).png 파일:Endo-02HW.png 파일:Nightmare_Fredbear_Endo.png 파일:Ennard_Endo.png
엔도-1[12] 엔도-2 나이트메어 엔도[13] 에너드 엔도

파일:VREndo02.jpg

FNaF 2에서 등장했던 엔도-02가 FNaF 2 스테이지에서 종종 사무실 오른쪽에 환각으로 나타날 때가 있다. 맹글이 등장하는 환기구 수리에서도 등장한다.

에너드가 등장하는 환기구 수리에서 나이트메어 프레드베어의 엔도스켈레톤이 등장한다. 나이트메어 엔도라고도 불린다.

야간공포증(Night Terrors) 챕터를 클리어 하면 언락되는 갤러리 메뉴에서 엔도-01, 엔도-02, 나이트메어 엔도의 모습을 자세히 감상할 수 있다.

또한 파일을 뜯어보면 본작에 등장하는 모든 애니매트로닉스의 내골격을 볼 수 있다.[14]


더미 데이터로 스프링 보니 엔도스켈레톤을 볼 수 있다.[15]

2.6. FNaF AR: S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ive Nights at Freddy's AR: Special Delivery/애니매트로닉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ive Nights at Freddy's AR: Special Delivery/애니매트로닉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ive Nights at Freddy's AR: Special Delivery/애니매트로닉스#Endo-01 (내골격)|Endo-01 (내골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7. FNaF SB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ive Nights at Freddy's: Security Breach/애니매트로닉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ive Nights at Freddy's: Security Breach/애니매트로닉스#s-3.3|3.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ive Nights at Freddy's: Security Breach/애니매트로닉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8. RUIN, SOTM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믹(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믹(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믹(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미디어 믹스

3.1. 실사 영화

실사영화에도 출현한다. 작중 마이크가 자신의 이름이 적힌 피자가게의 사원교육 비디오를 재생할 때, 애니메트로닉스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에서 엔도의 제작과정으로 보이는 영상이 짤막하게 등장한다.

4. 콜라보

4.1. DEAD BY DAYLIGHT


두 가지 버전이 등장하는데, 많은 회전톱이 장착된 엔도스켈레톤 1기가 작동 중지된 상태로 방치되어 있고, 직원 전용 출입구로 들어서면 환풍구에 붉은 눈의 엔도스켈레톤 1기가 갑자기 점프스케어를 한다. 게임엔 별 다른 영향은 주지 않는다.

파일:DBD_Blendoskeleton.webp

회전톱이 장착된 엔도스켈레톤은 정식 명칭이 나오지 않았지만, 팬들은 믹서기 + 엔도스켈레톤의 합성어인 블렌도스켈레톤(Blendoskeleton) 혹은 블렌도(Blendo)라고 부른다. 블렌도는 스프링트랩의 즉결 처형시 소환되며, 생존자를 블렌도 쪽으로 밀어버리며 생존자의 뒷면을 갈아 버린다.

모티브는 영화에서 나왔던 회전톱이 잔뜩 달린 프레디 인형탈인 것으로 보여진다.

5. 여담

  • 묘하게 취급이 은근 좋은데, FFPS[16], UCN을 제외한 모든 시리즈 및 실사 영화, 콜라보에 출현했다.

[1] 참고로 외골격은 Exoskeleton.[2] 사실 'Endoskeleton(엔도스켈레톤)'이라는 단어 자체는 동물의 신체를 지탱하는 뼈대를 의미하는 일반 명사다.[3] 1편의 엔도스켈레톤이 등장하며, 여기선 환각이 아니라 정식으로 활동한다.[4] 미니게임까지 포함한다면 사실상 UCN을 제외한 모든 시리즈에 출현했다 하더라도 과언이 아니다.[5] 이 때문인지 얘도 영혼이 있다는 추측이 있다.[6] 인게임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스터에그로, 상품 코너에 설치된 CCTV를 통해 확인한 엔도-02의 환각이다.[7] 다만 경비실로 들어온다거나 공격하진 않는다.[8] 정확히는 그와 비슷하게 생긴 혹은 같은 모델이다.[9] 프로토타입(Prototype), Mad Endo(매드 엔도), Overclock(오버클락)[10] FNaF 2의 구형 프레디와 토이 프레디의 모션을 섞은 느낌이다.[11] 1편은 아니다. 1편에서는 환각을 볼 시에 나타나기 때문[12] 발부분이 엔도-2[13] 파일:Nightmare_Endo2.png
여담으로 파일을 뜯어서 나온 다른 나이트메어 애니매트로닉스들의 엔도스켈레톤을 수정하여 나온 나이트메어 엔도의 모델은 이렇다.
[14] 물론 대부분 보이는 부분만 구현되어 있다.[15] 파일:Springlock-Endo.png[16] 몰튼 프레디의 노출된 부위(Yenndo(옌도))를 엔도스켈레톤으로 볼 수 있다면 제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