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8 14:20:16

엔도 테츠야

엔도 테츠야의 소속 그룹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white><colcolor=#000000> 파일:DDT프로레슬링 로고.png
타카기 산시로 <colbgcolor=white> 아키토 <colbgcolor=white> KUDO <colbgcolor=white> 요시히코
나야 유키오 타카오 소우마 나카무라 케이고 루키야
HARASHIMA 오오와시 토오루 히라타 카즈키 이이노 유우키
코로쿠 유우야 사토 다이치 하쿠 타케치 카이세이
카사이 히나타


<colbgcolor=white><colcolor=#000000> 파일:Pwnoah.png
헤비급
마루후지 나오미치 <colbgcolor=white> 이나무라 요시키 <colbgcolor=white> KENTA <colbgcolor=white> 후지타 카즈유키
권왕 앤서니 그린 사사키 우루카 타니구치 슈헤이
엔도 테츠야
주니어 헤비급
AMAKUSA 미야와키 쥰타 LJ 클리어리 Eita
콘도 슈지 수퍼 크레이지 알파 울프 드래곤 베인
오다시마 다이키 블랙 멘소~레 HAYATA


파일:BURNINGSTAR.jpg
<[ruby(Elegant Avenger, ruby=エレガント・アベンジャー)]>
[ruby(遠藤 哲哉, ruby=えんどう てつ や)] / Tetsuya Endo
파일:엔도테츠야프로필.webp
DDT
<colcolor=#000000><colbgcolor=#ffffff> 본명 엔도 테츠야
[ruby(遠藤 哲哉, ruby=えんどう てつ や)]
생년월일 1991. 8. 11 ([age(1991-08-11)]세)
신장 180cm
체중 94kg
혈액형 O형
출생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야기현 시로이시시([ruby(白石市, ruby=しろいし し)])
학력 나토리([ruby(名取, ruby=な とり)])고교 (졸업)[1]
유형 올라운더 + 하이 플라이어[2]
시그니쳐 무브 오버헤드 킥
핸드스프링 오버헤드 킥[3]
스프링보드 포어암 스매쉬[4]
프랑켄 슈타이너[5]
패키지 캐내디언 디스트로이어[6]
파워밤식 백브레이커
익스플로이더[7]
엔도 스페셜[8]
테츠야 인 더 스카이[9]
토처렉 밤
피니시 무브 테츠야 인 더 스카이 with Diamonds[10]
토처렉 밤
유리카모메
버닝 스타 프레스[11]
별명 칠흑의 선풍 ([ruby(漆黒, ruby=しっこく)]の[ruby(旋風, ruby=せんぷう)])[12]
버닝 스타 (バーニングスター)[13]
[ruby(Elegant Avenger, ruby=エレガント・アベンジャー)][14]
테마곡 Flying Bomb (2014 - 2016.7)
Damnit (2016.7 - 2021.9)
Core Tool - 스즈키 오사무 (2022.2 - )[15]
데뷔 2012년 4월 1일 (20세)
도쿄도 분쿄구 코라쿠엔 홀
DDT Aprilfool 2012
vs 아키토 & 후쿠다 히로시
(w/이시이 케이스케)
SN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경력3. 여담4. 둘러보기

1. 개요

일본의 프로레슬러. DDT 프로레슬링 소속.

180cm의 하이 플라이어로는 작지 않은 신장에 무너지지 않는 육체미, 걸출한 하이 플라잉 실력으로 DDT 하이 플라이어의 필두 중 한명으로 활약하고 있는 선수이다.

2. 경력

2.1. DDT 프로레슬링

월드 프로레슬링 중계에서 이부시 코타를 보고 프로레슬러가 되겠다고 결심하여, 미야기현 나토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DDT 프로레슬링에 입단하였다.

2013년부터 후배 타케시타 코우노스케와 함께 태그 팀으로 활약하면서 KO-D 태그팀 챔피언십을, 안토니오 혼다까지 세 명이서 '해피 모텔'을 결성해서 KO-D 6인 태그팀 챔피언십을 확득하기도 하는 등 2016년까지 타케시타와 함께 젊은 DDT의 중심축으로 활약했다.

2016년 7월 17일, Road To Ryogoku 2016에서 타케시타의 KO-D 오픈웨이트 챔피언십에 도전했으나 패배한 이후, 사사키 다이스케가 나와 엔도에게 사사키가 이끄는 힐 유닛인 DAMNATION 티셔츠를 내밀며 입단을 권유하는 동시에 타케시타가 우정을 확인하려고 악수를 청했는데, 타케시타의 손을 뿌리치고 DAMNATION의 티셔츠를 받아들며 DAMNATION 에 가입하면서 턴힐했다.

2021년까지 DAMNATION소속으로 활동했으나 2021년 9월, 패배 유닛 해체를 걸고 드라마틱 서바이버 토너먼트에 참여했다가 THE37MANIA에 패배하며 DAMNATION이 강제 해체되자 다시 사사키와 행동을 함께하지 않게 되었다.

DAMNATION 해체 이후 엔도는 DDT에 입단해 있던 전일본~NOAH의 레전드이자 BURNING의 일원이었던 아키야마 쥰과 행동을 함께했는데, 서로 의기 투합을 거쳐 새로운 유닛 결성으로 이어졌다.

파일:엔도테츠야프로필3.png
팀명은 당초에는 '비틀즈'[16]가 후보로 올랐지만, 엔도는 아키야마에게 BURNING의 부활을 제안했고 사이버 파이트의 어드바이저로 활동 중인 BURNING의 총수 코바시 켄타의 허락으로 2021년 12월 7일 BURNING이 공식적으로 재결성되었다. 팀원은 엔도, 아키야마와 DDT의 젊은 선수들인 오카다 유스케, 코로쿠 유우야로 구성되었다.

2023년 11월 16일 아키야마가 'BURNING은 엔도에게 맏긴다'면서 BURNING을 탈퇴했으나 새로운 파트너 이이노 유키를 얻어 다시금 KO-D 태그팀 챔피언십 벨트를 차지하는 활약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팀원인 오카다 유스케가 암 투병 끝에 2024년 11월 23일에 은퇴하면서 BURNING에 단 세 명만 남게 되자 결국 12월 28일, Ultimate Party 2024에서 열린 85대 KO-D 태그팀 챔피언십 결정전에서 패한 엔도 테츠야는 코로쿠 유우야가 더 이상 자신이 함께 있을 필요가 없을 정도로 성장했다고 판단했다 말하면서 4차 BURNING의 해산을 선언하였다.

2.2. 프로레슬링 NOAH 참전기

2025년 1월 2일 프로레슬링 NOAH의 New Year Reboot에서 등장한 엔도는 같은 사이버 파이트의 계열사이기도 한 NOAH에서 정점을 노려보겠다는 포부를 밝히며 2025년에는 NOAH에서만 활동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그리고 1월 11일 바로 소야 마나부GHC 내셔널 챔피언십에 도전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1월 11일에 열린 STAR NAVIGATION PREMIUM에서 소야 마나부와의 GHC 내셔널 챔피언십 매치 도중 요시 타츠가 난입하여 방해하는 틈을 타 소야 마나부를 톤파로 공격한후 GHC 내셔널 챔피언에 등극하면서 TEAM 2000 X에 가입하며 DAMNATION 이후 오랫만에 턴힐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5월 18일 경기 도중, TEAM 2000 X 동료들이 반칙을 하라고 요구하자 이를 거부했고 시합 후에는 스기우라 타카시의 제안을 받아들여 TEAM 2000 X를 떠나 진심으로 NOAH의 정점을 노리겠다고 선언하며 TEAM 2000 X에서 탈퇴했다.

하지만 자신에게 제안을 준 스기우라 타카시가 역으로 TEAM 2000 X에 가입하며 충격의 턴힐을 선보이자, 엔도를 배신한 스기우라에게 복수를 다짐하며 활동을 시작했다.

3. 여담

  • 가장 큰 취미는 사슴벌레 사육. 곤충 가게의 일일 점장을 맡은 적도 있을 정도의 프로 사육러로 어렸을 때 아버지에게 한 마리를 선물받은 것을 계기로 계속 키워나가서, 20종류 200마리에 이르는 사슴벌레를 키우고 있다고 한다. 여동생에게 사슴벌레에밖에 흥미가 없다고 까인 적이 있다.
  • 2024년에는 같은 사슴벌레 애호가이자 사슴벌레로 어린이 이벤트를 하고 있는 전 프로레슬러 카키하라 마사히토의 이벤트 기믹인 미야마 가면의 2호로 일일 활동을 한 적도 있다.
  • 본가에서 고양이 두 마리를 키우고 있다.

  • 엔도 하루카(遠藤 遥香)라는 이름의 8살 연하 여동생이 있으며, 히로시마시캬바쿠라에서 캬바걸 넘버 1까지 차지한 적이 있다. 엔도 테츠야의 시로이시시 개선 대회 이후 DDT 프로레슬링 유튜브 영상에서 출연하여 남매토크를 벌인 적도 있다. 오빠가 데뷔한 것을 계기로 프로레슬링 팬이 되었으며, DDT 뿐만 아니라 드래곤 게이트도 좋아한다고 한다.
  • 초등학생 때부터 엔도 테츠야가 소중히 기르던 거북이를 여동생이 근처 강에 놓아줘 버려서 서로 엄청 싸운 적이 있다고 한다. 그 일이 있은 뒤로 엔도 테츠야가 프로레슬러로 데뷔할 때까지 서로 별로 얘기를 안 나눴다고 하며, 오히려 엔도 테츠야가 데뷔한 이후 이야기 나눌 일이 늘었다고 한다.
  • 어머니도 제법 비범한 편이여서, 어머니한테 가슴을 엄청 좋아한다는 성벽을 폭로당했다(...) 결혼 압박은 덤으로 당하고 있는 듯.
  • 2020년 11월 1일부터 고향 시로이시시의 관광 대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2023년 9월 1일 갱신되었다.
  • 보디빌딩 피지크 부문 선수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경력을 살려 경기가 없는 날에는 퍼스널 트레이너로 활동하고 있다.

4. 둘러보기


파일:damnationta.jpg
<colbgcolor=white> 사사키 다이스케 <colbgcolor=white> MJ 포 <colbgcolor=white> 후지타 미노루
일루시온 오카타니 히데키 사쿠라바 하루토
{{{#!folding 【 전 멤버 】 엔도 테츠야 이시카와 슈지 타카오 소우마
시마타니 노부히로 야마토 히로시 히노 유지
카와카미 "파이어" 류이치 KANON
}}} ||
<colbgcolor=black><colcolor=#000000> 파일:4차버닝로고.png
엔도 테츠야 코로쿠 유우야 이이노 유우키
{{{#!folding 【 전 멤버 】 코바시 켄타 카네마루 요시노부 KENTA 리키오 타케시
시오자키 고 혼다 타몬 아오키 아츠시 키쿠치 츠요시
시가 켄타로 타니구치 슈헤이 이토 아키히코 스즈키 코타로
아키야마 쥰 오카다 유스케
}}} ||

<colbgcolor=#271E1D><colcolor=#000000> 파일:team 2000 x 로고.webp
요시 타츠 다가 OZAWA
오오와다상 타다스케 스기우라 타카시
마사 키타미야
{{{#!wiki style="color: #333"
{{{#!folding 【 전 멤버 】
오모스 엔도 테츠야 잭 모리스
}}}}}} ||
파일:프로레스대상 로고.svg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기능상
이부시 코타
(2019)
엔도 테츠야
(2020)
그레이트-O-칸
(2021)
파일:indinooshigoto.png일본 인디 대상 베스트 바웃 [★]
2014년
9월 28일
DDT 프로레슬링
DDT 드라마틱 총선거 2014 최종투표일
~최후의 부탁 스페셜~
KO-D 태그팀 챔피언십
Golden☆Lovers(C) (케니 오메가(X) & 이부시 코타)
vs
_타케시타 코우노스케(O) & 엔도 테츠야_
2020년
11월 3일
DDT 프로레슬링
Ultimate Party 2020
BLACK OUT presents KO-D 오픈웨이트 챔피언십
사사키 다이스케(C) vs _엔도 테츠야_

[1] 이와누마시 소재로 시로이시시와는 약 30km 거리. 남자 신체조부 소속이었다.[2] 사실 하이플라이어로써의 기량도 출중한 편이지만, 여러 가지 스타일의 프로레슬링 기술을 적절히 사용하는 올라운더로도 구분되는 편이다.[3] 윌 오스프레이, 이시모리 타이지, 블레이크 크리스찬, 세드릭 알렉산더 등의 기술로 유명한 기술. 이시모리 타이지식으로 종방향 움직임이 큰 편이다.[4] 스프링보드 바깥에서 안쪽으로 단숨에 점프하면서 상대에게 날아들어 날리는 포어암 스매쉬. 다리를 교차시키며 날아오는 윌 오스프레이와 달리 다리는 교차시키지 않아 역동감은 약간 떨어지나 좀더 부유감이 있게 날아온다. 프랑켄 슈타이너 이후에 바로 링 밖으로 나가서 이걸 사용하면서 링으로 들어오는 경우도 있다.[5] 간혹 탑 로프에 있는 상대에게 단숨에 뛰어올라 사용한다.[6] 일반적인 캐내디언 디스트로이와 다르게 상대 양 팔을 교차해서 묶은 다음에 사용한다.[7] BURNING 당시 개발자 아키야마 쥰과 함께 있으면서 익힌 기술.[8] 사스케 스페셜 I. 더 그레이트 사스케의 오리지널 기술로 유명하며, 사용자가 극히 드문 기술이다.[9] 스탠딩 스패니시 플라이. 반격기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10] 탑 로프 스패니시 플라이. 이름은 사사키 다이스케가 붙였다.[11] 슈팅스타 프레스. 전체적인 선수들의 기량이 상승한 지금도 사용자가 몇 없는 초고난도 기술이지만, 우아한 폼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12] DAMNATION시절 사용하던 별명.[13] 4차 BURNING시절에 사용한 별명.[14] 2025년 7월부터 사용. 엔도에게 정정당당하게 NOAH의 톱을 노리자고 조언해 주어놓고 엔도를 배신하고 TEAM 2000 X 소속으로 턴힐한 스기우라 타카시에게 복수를 다짐하며 사용하기 시작한 별명이다.[15] DAMNATION을 벗어나 4차 BURNING을 결성하고부터 사용하는 테마곡. 프로레슬링계의 명곡 제조기 스즈키 오사무의 곡이다.[16] 엔도가 곤충 오타쿠라서 나온 작명 중 하나였다.[★]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