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Aerovelocity.jpg | ||
| 이름 | Aerovelocity 友瑩格 エアロヴェロシティ | |
| 출생 | 2008년 9월 8일 ([age(2008-08-01)]세) | |
| 성별 | 거세 | |
| 털색 | 갈색 (Bay) | |
| 아비 | 핀스 (Pins) | |
| 어미 | 엑소더스 (Exodus) | |
| 외조부 | 카프스타드 (Kaapstad) | |
| 생산자 | N. E. 식 & S. J. 틸 | |
| 마주 | 고처 부인 외[1] → 영응아이[2] | |
| 조교사 | 앤드루 스콧 (뉴질랜드) → 폴 오설리번 (홍콩) | |
| 성적 | 25전 12승 [12-4-3-6]
| |
| 총상금 | 7,810 뉴질랜드 달러NZ 45,262,368 홍콩 달러HK+JPN+SG | |
| 주요 우승 | G1 | 홍콩 스프린트(2014, 2016) 센터너리 스프린트 컵(2016)[HK] |
| HKG2[HK] | 프리미어 볼(2014) | |
| HKG3[HK] | 샤틴 바즈(2014) | |
| 주요 수상 | 홍콩 최우수 스프린터 (S 2014-15·2015-16) | |
| 레이팅 | WBRR | S118 (2014/2015) / S120 (2016) |
| 상세 정보 | # | |
1. 개요
| 비보를 찾아서 秘宝を求めて |
| 2019년 명마의 초상 |
비보를 찾아서
가는 곳마다
금화 은화를 손에 쥐고도
아직 만족을 모른 채
다음 땅으로 향한다
거품 이는 파도를 넘고
떠다니는 구름을 가르며
섬에서 섬으로 여행하는
그는 트레저 헌터
머나먼 이국에 잠든
비보를 찾아서
JRA 명마의 초상
홍콩의 경주마. 이적 전 뉴질랜드에서 사용하던 마명은 나이소소 워리어(Naisoso Warrior).가는 곳마다
금화 은화를 손에 쥐고도
아직 만족을 모른 채
다음 땅으로 향한다
거품 이는 파도를 넘고
떠다니는 구름을 가르며
섬에서 섬으로 여행하는
그는 트레저 헌터
머나먼 이국에 잠든
비보를 찾아서
JRA 명마의 초상
2. 혈통
3. 생애
| 2015년 타카마츠노미야 기념 영상 |
4. 기타
5. 경주 성적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e6e><rowbgcolor=#002e6e><tablebgcolor=#fff,#2d2f34><rowcolor=#fff><width=3%> 경주일 || 경마장 ||
(2위마) ||
경기명
||<width=3%> 등급 || 트랙
||<width=3%> 배당 ||<width=3%> 인기 || 순위 || 기수 || 1위마(2위마) ||
| <rowcolor=#000> 2011-12시즌 (3세, 뉴질랜드) | |||||||||
| 2012. 4.25 | 아와푸니 | 메이든 | 잔디 1300m | 2.3 | 1 | 1위 | 헤이든 틴슬리 | (프리페어드) | |
| <rowcolor=#fff> 2012-13시즌 (4세, 이하 홍콩) | |||||||||
| 2013. 2.12 | 샤틴 | 팻 초이 핸디캡 | C3 | 잔디 1000m | 17.0 | 7 | 10위 | 데릭 렁[6] | 리틀 카우 |
| 3.17 | 샤틴 | 컬렉션 핸디캡 | C3 | 잔디 1200m | 99+ | 10 | 2위 | T. 클라크 | 빅토리우스 |
| 4.7 | 샤틴 | 길드퍼드 핸디캡 | C3 | 잔디 1400m | 6.2 | 3 | 2위 | 시크릿 섐 | |
| 5.5 | 샤틴 | 아크틱 오션 핸디캡 | C3 | 잔디 1400m | 4.6 | 3 | 7위 | 더글러스 화이트 | 슈퍼 라이프라인 |
| <rowcolor=#fff> 2013-14시즌 (5세) | |||||||||
| 10.12 | 샤틴 | 척키우 핸디캡 | C3 | 잔디 1200m | 10.0 | 6 | 3위 | 잭 퍼튼 | 벌린스키 |
| 11.9 | 샤틴 | 서베일런스 시스템 핸디캡 | C3 | 잔디 1200m | 7.3 | 4 | 1위 | (하츠 키퍼) | |
| 12.8 | 샤틴 | 런던 핸디캡 | C3 | 잔디 1200m | 4.0 | 2 | 1위 | (실리 버디스) | |
| 2014. 1.26 | 샤틴 | 서리 핸디캡 | C2 | 잔디 1200m | 3.3 | 2 | 1위 | (슈퍼자키) | |
| 2.23 | 샤틴 | 퍼스널 론 서비시스 핸디캡 | C2 | 잔디 1200m | 2.0 | 1 | 1위 | (아워 포크스) | |
| 5.25 | 샤틴 | 샤틴 바즈 | HKG3 | 잔디 1200m | 6.0 | 3 | 1위 | (디바인 텐) | |
| 6.8 | 샤틴 | 프리미어 컵 | HKG3 | 잔디 1400m | 3.8 | 1 | 2위 | 헬린 스피릿 | |
| <rowcolor=#fff> 2014-15시즌 (6세) | |||||||||
| 10.26 | 샤틴 | 프리미어 볼 | HKG2 | 잔디 1200m | 4.0 | 1 | 1위 | 잭 퍼튼 | (슈퍼자키) |
| 11.23 | 샤틴 | 자키 클럽 스프린트 | G2 | 잔디 1200m | 2.9 | 1 | 14위 | 피니어포비아[7] | |
| 12.14 | 샤틴 | 홍콩 스프린트 | G1 | 잔디 1200m | 3.9 | 2 | 1위 | (피니어포비아) | |
| 2015. 2.15 | 샤틴 | 체어맨스 스프린트 프라이즈 | HKG1 | 잔디 1200m | 2.2 | 1 | 2위 | 골드펀[8] | |
| 3.29 | | 타카마츠노미야 기념 | GI | 잔디 1200m | 6.5 | 4 | 1위 | (하쿠산 문) | |
| 5.17 | | 크리스플라이어 인터내셔널 스프린트 | G1 | 잔디 1200m | 1.6 | 1 | 1위 | (엠퍼러 맥스) | |
| <rowcolor=#fff> 2015-16시즌 (7세) | |||||||||
| 10.25 | 샤틴 | 프리미어 볼 | HKG2 | 잔디 1200m | 3.7 | 1 | 14위 | 잭 퍼튼 | 에이블 프렌드[9] |
| 2016. 1.31 | 샤틴 | 센터너리 스프린트 컵 | HKG1 | 잔디 1200m | 8.5 | 3 | 1위 | (골드펀) | |
| 5.1 | 샤틴 | 체어맨스 스프린트 프라이즈 | G1 | 잔디 1200m | 11.0 | 5 | 8위 | 샤타쿼 | |
| <rowcolor=#fff> 2016-17시즌 (8세) | |||||||||
| 10.23 | 샤틴 | 프리미어 볼 | HKG2 | 잔디 1200m | 6.8 | 4 | 3위 | 잭 퍼튼 | 럭키 버블스[10] |
| 11.20 | 샤틴 | 자키 클럽 스프린트 | G2 | 잔디 1200m | 5.1 | 3 | 3위 | 낫 리스닝톰 | |
| 12.11 | 샤틴 | 홍콩 스프린트 | G1 | 잔디 1200m | 7.5 | 4 | 1위 | (럭키 버블스) | |
| 2017. 1.30 | 샤틴 | 센터너리 스프린트 컵 | G2[11] | 잔디 1200m | 8.9 | 3 | 8위 | 피니어포비아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1999 페어리 킹 프론 |
| 국제 G3 승격 후 | |
| 2000 | |
| 국제 G2 승격 후 | |
| 2001 | |
| 국제 G1 승격 후 | |
| 2002 올 스릴스 투 | 2003 · 2004 사일런트 위트니스 | 2005 내추럴 블리츠 | 2006 앱솔루트 챔피언 | 2007 세이크리드 킹덤 | 2008 인스파이레이션 | 2009 세이크리드 킹덤 | |
| 2010 2011 럭키 나인 | 2012 · 2013 2014 에어로벨로시티 | 2015 피니어포비아 | 2016 에어로벨로시티 | 2017 · 2018 미스터 스터닝 | 2019 비트 더 클락 | |
| 2020 2021 스카이 필드 | 2022 웰링턴 | 2023 럭키 스와이니스 | 2024 카잉 라이징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타 카 마 츠 노 미 야 배 | 3세 이상, 2000m (연령 표기는 현재 기준) |
| 1971 슌사쿠 오 | 1972 조세츠 | 1973 타케덴 버드 | 1974 하이세이코 | 1975 잇토 | 1976 후지노 파시아 | 1977 토쇼 보이 | 1978 야마닌 고로 | 1979 네하이 제트 | ||
| 1980 린도 플르방 | 1981 하기노 탑 레이디 | 1982 카즈시게 | 1983 하기노 카무이 오 | ||
|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2 지정 후 | ||
| 1984 쿄에이 레어 | 1985 메지로 몽 스니 | 1986 럭비 볼 | 1987 랜드 히류 | 1988 오구리 캡 | 1989 메지로 아르당 | ||
| 1990 뱀부 메모리 | 1991 다이타쿠 헬리오스 | 1992 미스터 스페인 | 1993 롱샹 보이 | 1994 나이스 네이처 | 1995 마치카네 탄호이저 | ||
| 중앙 G1 승격 후, 1200m | ||
| 1996 플라워 파크 | 1997 신코 킹 | ||
| 타 카 마 츠 노 미 야 기 념 | 1998 신코 포레스트 | 1999 마사 럭키 | |
| 4세 이상 | ||
| 2000 킹 헤일로 | 2001 트로트 스타 | 2002 쇼난 캄프 | 2003 빌리브 | 2004 서닝데일 | 2005 어드마이어 맥스 | 2006 오레와 맛테루제 | ||
| 국제 G1 지정 후 | ||
| 2007 스즈카 피닉스 | 2008 파인 그레인 | 2009 로렐 게레이로 | ||
| 2010 · 2011 킨샤사노 키세키 | 2012 카렌짱 | 2013 로드 카날로아 | 2014 코파노 리처드 | 2015 2016 빅 아서 | 2017 세이운 코세이 | 2018 파인 니들 | 2019 미스터 멜로디 | ||
| 2020 모즈 슈퍼플레어 | 2021 다논 스매시 | 2022 나란 훌레그 | 2023 퍼스트 포스 | 2024 매드 쿨 | 2025 사토노 레브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싱가포르 G1 및 국제 G3으로 창설 |
| 2001 2002 2003~2007 취소-- | |
| 국제 등급 반납 후 | |
| 2008 2009 | |
| 국제 G1 지정 후 | |
| 2010 2011 로켓 맨| 2012 아토| 2013 · 2014 2015 | |
| 2015년을 끝으로 폐지되었다.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센터너리 컵 |
| 샤틴 경마장, 잔디 1200m | |
| 1984 조이 | 1985 올웨이스 플렌티풀 | 1986 팩스타 | 1987 모닝 패트럴 | 1989 핸드클랩 | |
| 1990 브로드 숄더 | 1991 대싱 드래곤 | |
| 홍콩 G2 지정 후 | |
| 1992 캐리 온 위닝 | 1993 캐드브리지 | |
| 잔디 1000m | |
| 1994 사운드 프린트 | 1995 스털링 타운 | 1996 미스터 바이탈리티 | 1997 퀵 액션 | 1998 패스티스트 스타 | 1999 · 2000 베스트 오브 더 베스트 | |
| 센터너리 스프린트 컵 | |
| 홍콩 G1 승격 후 | |
| 2001 킹 오브 데인스 | 2002 파이어볼트 | 2003 그랜드 딜라이트 | 2004 · 2005 사일런트 위트니스 | 2006 · 2007 신틸레이션 | 2008 앱솔루트 챔피언 | 2009 인스파이레이션 | |
| 2010 · 2011 세이크리드 킹덤 | 2012 · 2013 이글 레지먼트 | 2014 앰버 스카이 | 2015 페니아포비아 | |
| 잔디 1200m | |
| 2016 에어로벨로시티 | |
| 국제 G2 지정 후 | |
| 2017 페니아포비아 | |
| 국제 G1 승격 후 | |
| 2018 디비 핀 | 2019 비트 더 클락 | |
| 2020 비트 더 클락 | 2021 핫 킹 프론 | 2022 스트롱거 | 2023 럭키 스와이니스 | 2024 빅터 더 위너 | 2025 카잉 라이징 |
[1] B. 훌레나, 인피니티 서러브레즈 파트너십, 로레스 부인, 몽고메리 부인, M. K. 오토, M. 고든[2] 영어 이름은 대니얼 영.[HK] 일본의 Jpn등급처럼 홍콩 내에서만 통용되는 등급이다.[HK] [HK] [6] 광동어 이름은 렁카춘(梁家俊).[7] 아일랜드에서 생산된 홍콩의 경주마. 이후 2015년 센터너리 스프린트 컵, 홍콩 스프린트 등을 우승한다.[8] 아일랜드에서 생산된 홍콩의 경주마. 2013년 홍콩 클래식 마일, 2014년 퀸스 실버 주빌리 컵을 우승했다.[9] 호주→홍콩의 경주마. 2014년 홍콩 클래식 마일, 홍콩 마일, 2015년 스튜어즈 컵, 퀸스 실버 주빌리 컵, 챔피언스 마일을 우승했다.[10] 호주→홍콩의 경주마. 2017년 체어맨스 스프린트 프라이즈를 우승했다.[11] 구 HKG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