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pad> | ||||
2024 시즌 | → | 2025 시즌 | → | 현재 |
2025 시즌 순위 (6R) 현재 9위 |
에스테반 오콘 2025 시즌 | |
| |
<colbgcolor=#cc3333><colcolor=#fff> 소속 팀 | <colbgcolor=#fff,#191919>머니그램 하스 F1 팀 |
경과 (6R 마이애미 그랑프리 종료 기준) | |
우승 | 0회 |
폴 포지션 | 0회 |
패스티스트 랩 | 0회 |
포디움 | 0회 |
그랜드 슬램[1] | 0회 |
해트트릭[2] | 0회 |
폴 투 윈 | 0회 |
총점 | 14점 |
평균 스타팅 그리드[3] | 15위 |
평균 완주 순위[4] | 11.67위 |
1. 개요2. 프리 시즌3. 시즌 상세
3.1. 전반기
4. 시즌 총평3.1.1. 1R: 호주 그랑프리3.1.2. 2R: 중국 그랑프리3.1.3. 3R: 일본 그랑프리3.1.4. 4R: 바레인 그랑프리3.1.5. 5R: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3.1.6. 6R: 마이애미 그랑프리3.1.7. 7R: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3.1.8. 8R: 모나코 그랑프리3.1.9. 9R: 스페인 그랑프리3.1.10. 10R: 캐나다 그랑프리3.1.11. 11R: 오스트리아 그랑프리3.1.12. 12R: 영국 그랑프리3.1.13. 13R: 벨기에 그랑프리3.1.14. 14R: 헝가리 그랑프리3.1.15. 전반기 총평
3.2. 후반기1. 개요
에스테반 오콘의 F1 2025 시즌 활약상을 정리한 문서. 오콘이 하스 소속으로 참가하는 1번째 시즌이자 F1 참가 9번째 시즌이다.2. 프리 시즌
지난 5년간 몸을 담았던 알핀을 떠나 이번 시즌에 하스로 이적하였다. 이와 함께 팀메이트로는 정식으로 F1에 데뷔하는 올리버 베어먼을 두게 되었다.3. 시즌 상세
3.1. 전반기
3.1.1. 1R: 호주 그랑프리
개막전 퀄리파잉에서 19위로 사실상 최하위를 기록하였다. 팀메이트인 올리버 베어먼은 Q1 시작 전에 기어박스 문제로 인해 트랙에 나오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오콘은 퀄리파잉 종료 후의 인터뷰에서 레이스 카의 밸런스가 매우 나쁘다고 말하였다.레이스에서는 레이스 카의 저열한 성능으로 인해 최하위권을 전전하였다. 수중전으로 펼쳐진 레이스로 인해 6명의 드라이버가 리타이어하면서 꼴찌에서 한 계단 위인 P13을 기록하였다.
3.1.2. 2R: 중국 그랑프리
스프린트 퀄리파잉에서는 팀메이트 올리버 베어먼보다 낮은 순위인 18위를 기록하였고, 스프린트에서도 노 포인트로 피니시했다. 그러나 퀄리파잉에서는 Q2에 진출해 11위를 기록하며 SQ에서와 정반대로 베어먼보다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레이스에서는 피트 스탑 타이밍을 빠르게 잘 가져가며 순위에 큰 이득을 보았고, 향상된 차량 성능과 함께 안정적인 주행을 선보이며 7위로 피니시했다. 거기에다 레이스 종료 후 페라리 듀오가 동시에 실격당하는 사태가 벌어지면서 5위까지 순위가 승격되었다. 이를 통해 오콘은 드라이버 챔피언십에서 7위에 위치하게 되었고, 하스의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6위 달성에 큰 기여를 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레이스 초반 안드레아 키미 안토넬리를 추월하면서 잔디를 밟아 모래먼지를 일으키는 장면이 화제가 되었다.
3.1.3. 3R: 일본 그랑프리
퀄리파잉에서는 좋지 못한 플라잉 랩을 기록해 18위로 Q1 탈락을 하였다. 자신과 완전히 다른 셋업으로 주행한 팀메이트 올리버 베어먼은 시즌 처음으로 Q3 진출 후 10 그리드를 차지했다. 다음 날 레이스에서도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고 18위로 그대로 완주했다.3.1.4. 4R: 바레인 그랑프리
퀄리파잉 Q2 세션에서 첫 플라잉 랩을 돌던 중, 2번 코너를 돌다가 연석을 깊게 밟고 스핀하여 방호벽에 충돌하였다. 이로 인해 레드 플래그가 발령되었고 오콘은 세션에 더 이상 참여하지 못하고 15위로 탈락하였다.레이스에서는 14위로 출발하였고, 좋은 스타트로 포인트권까지 진입하였다. 이후 좋은 피트 전략 속에 안정적으로 순위를 유지해 달렸고, 츠노다 유키와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를 추월하여 8위로 완주하였다. 베어먼과 함께 더블 포인트 피니시를 이룬 것은 덤. 이 포인트로 하스는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5위까지 올랐다.
3.1.5. 5R: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퀄리파잉에서 좋지 못한 페이스를 보인 끝에 19위에 그치며 Q1 탈락을 하였다. 팀메이트인 올리버 베어먼은 좋은 퍼포먼스로 Q2 진출에 성공하였다. 레이스에서는 5계단을 끌어올려 베어먼의 바로 뒤인 14위로 완주했다.3.1.6. 6R: 마이애미 그랑프리
스프린트 퀄리파잉에서는 12위를 차지했고, 스프린트에서는 무난한 주행으로 12위로 완주했다.이어진 퀄리파잉에서는 매우 좋은 퍼포먼스로 Q3까지 진출해 츠노다 유키를 넘어 9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레이스에서는 하스의 아쉬운 레이스 카 페이스로 인해 포인트권 밖으로 밀려나 12위에 그쳤다.
3.1.7. 7R: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
3.1.8. 8R: 모나코 그랑프리
3.1.9. 9R: 스페인 그랑프리
3.1.10. 10R: 캐나다 그랑프리
3.1.11. 11R: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3.1.12. 12R: 영국 그랑프리
3.1.13. 13R: 벨기에 그랑프리
3.1.14. 14R: 헝가리 그랑프리
3.1.15. 전반기 총평
3.2. 후반기
3.2.1. 15R: 네덜란드 그랑프리
3.2.2. 16R: 이탈리아 그랑프리
3.2.3. 17R: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
3.2.4. 18R: 싱가포르 그랑프리
3.2.5. 19R: 미국 그랑프리
3.2.6. 20R: 멕시코 시티 그랑프리
3.2.7. 21R: 상파울루 그랑프리
3.2.8. 22R: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3.2.9. 23R: 카타르 그랑프리
3.2.10. 24R: 아부다비 그랑프리
4. 시즌 총평
[1] 퀄리파잉 1위, 레이스 1위, 패스티스트 랩 달성, 레이스 진행 중 모든 랩에서 선두[2] 퀄리파잉 1위, 레이스 1위, 패스트스트 랩 달성[3] 피트레인 스타트 제외[4] 리타이어 경기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