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학 정보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역사 | 학부 및 프로그램 | 단과대학 | 대학원 | 캠퍼스 | 입시 | }}} |
기타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주요 파트너 대학 | 비판 및 사건사고 | }}} |
1. 개요
에밀리카 대학교의 각종 행사에 대해서 설명하는 문서이다.2. 각종 행사
2.1. Exhibition
예술 대학교인 만큼 항상 학교에 들어가자 보이는 것은 수 많은 예술 작품들인데, 그 중에서도 캠퍼스 2층 카페테리아와 총학생회 룸을 제외한 모든 공간을 전시회(Exhibition)으로 사용하고 있어 미술관을 방불케 할 정도로 작품의 양이 엄청나다. 실제로 캠퍼스의 모든 벽이 흰색으로 칠해져 있어 작품을 전시하면 미술관을 떠올리게 하며, 모든 예술 작품은 2주에서 1달 이후 교체하고 있다. 대부분이 학생들의 작품으로 가이드라인 외에는 주제 및 사용 제료에 대해서 자유롭고 관대하기 때문에 Painting and Drawing, Sculpture, Ceramics, Photography, Animation, Video, Performance Art, Installation 등 여러 예술 분약의 특이하고 창의적인 작품들을 많이 볼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학생 외에도 교수, 다른 학교 학생 및 아티스트의 작품을 자주 전시해 놓기도하고 있다.2층에 위치한 Exhibition 공간은 EXHIBITION ZONE 1 — WESTERNMOST EXHIBITION AREA West, EXHIBITION ZONE 2 CENTER EXHIBITION AREA, 그리고 EXHIBITION ZONE 3 — EASTERNMOST EXHIBITION AREA 구역으로 나뉘어 있으며, 1층의 경우 EXHIBITION ZONE 4 만이 있다. 하지만 1, 2층 외에도 사실상 학교 전체가 전시 공간으로 활용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매 학기마다 Final Week가 되면 각 교과목 교수들이 학생들에게 Final Project를 위한 작품 제작을 과제로 부여하고, 학생들은 발표 전날 교실 주변 벽이나 Plinth를 사용하여 같은 층 복도, 때로는 학교 내 아무 공간에 작품을 설치해 마지막 수업 시간에 발표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아무리 학교 측이 학생 전시 작품 제출에 대해서 관대하더라도 캠퍼스 전시를 계획하는 모든 학생은 다음 Evaluate Submissions 사항을 고려하여 제출물을 내야한다. 다만 이 사항의 대부분이 학생들과 전시를 준비하는 사람들의 안전에 관한 것이다.
{{{#!wiki style="margin: 0 auto; padding: 7px 10px; max-width: 900px; border-radius:8px; border: 2px solid #fff; text-align: center; font-size:0.9em; letter-spacing: -0.8px; border: 2px solid #000,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15deg, #000 30%, #000 30%)"
Evaluate Submissions
General Areas of Concern
All students planning to exhibit on campus will need to conduct an evaluation of their submissions using the following considerations.
캠퍼스에서 전시를 계획하는 모든 학생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제출물을 평가해야 합니다.
캠퍼스에서 전시를 계획하는 모든 학생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제출물을 평가해야 합니다.
- 고려 사항 ▼
- ▶ Does the construction/installation process create any hazards?
시공/설치 과정에서 위험이 발생합니까?▶ What can be done to mitigate the hazards?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습니까?▶ Will construction make use of dangerous/harmful materials?
시공 과정에서 위험하거나 유해한 자재를 사용합니까?▶ Are you proficient in the use of tools and equipment being utilized in construction/installation?
시공/설치에 사용되는 도구 및 장비의 사용에 능숙합니까?▶ Is all electrical equipment contained within the piece CSA approved?
작품에 포함된 모든 전기 장비는 CSA 승인을 받았습니까?▶ Will your electrical equipment overload any circuits?
전기 장비로 인해 회로에 과부하가 발생합니까?▶ Are there tripping hazards posed by cables and construction materials?
케이블 및 건축 자재로 인한 발걸림 위험이 있습니까?▶ Are you following safety procedures if working at heights?
고소 작업 시 안전 절차를 준수하고 있습니까?▶ Do you require the mechanical lift? (If yes, indicate the request on your Campus Exhibition Application form.)
기계식 리프트가 필요합니까? (예인 경우, 캠퍼스 전시 신청서에 요청 사항을 기재하십시오.)▶ Is the piece structurally sound? (Is there any possibility of it collapsing while being built or when finished?)
작품의 구조적 안전성은 양호합니까? (시공 중 또는 완공 후 붕괴될 가능성이 있습니까?)▶ Does the piece impede any building exit or access points? (for example, doors, fire exits, stairs, elevators, etc.)
작품이 건물의 출입구 또는 접근 지점(예: 문, 비상구, 계단, 엘리베이터 등)을 방해합니까?▶ Does the finished piece create any hazards? Consider that the public viewing your piece will come in all sizes and perspectives.
완성된 작품에 위험이 있습니까? 작품을 관람하는 사람들의 크기와 각도가 다양하다는 점을 고려하십시오.- Sharp, jagged edges or corners which may cause injury.
날카롭고 뾰족한 모서리 또는 모서리로 인해 부상을 입을 수 있는 경우. - Movable parts that may strike a person.
사람을 칠 수 있는 움직이는 부품. - Possibility of contact with live electricity or moving parts.
전기가 통하거나 움직이는 부품과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 Parts that may short circuit, wear out, or be easily broken through.
단락, 마모 또는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부품.
▶ Is the piece interactive? If so:
그 작품은 인터랙티브한가요? 그렇다면:- Post signs that give clear instructions on how to use the piece.
작품 사용 방법을 명확하게 설명하는 표지판을 게시하세요. - Create safeguards for any possible hazards that may arise from interactivity (for example, guardrails if the piece is raised off the ground, caution signs for pinch hazards).
인터랙티브 활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험에 대비하여 안전 장치를 마련하세요(예: 작품이 바닥에서 떨어져 있는 경우 가드레일 설치, 끼임 위험에 대한 주의 표지판).
▶ Is there a possibility that the public misjudges your piece and think it is interactive, when it is not? If so, post signs that clearly indicate “Do Not Touch”.
작품이 인터랙티브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오인하여 인터랙티브 작품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있나요? 그렇다면 "만지지 마시오"라고 명확하게 표시된 표지판을 게시하세요.▶ Are there any other dangers that are particular to your piece? Warnings should be posted at the room entrance to such exhibits. For example:
작품에 고유한 다른 위험이 있나요? 이러한 전시의 전시실 입구에 경고문을 게시해야 합니다. 예:- Strobes or flashing lights may trigger seizures in people with epilepsy.
스트로브 또는 섬광등은 간질 환자의 발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Loud noises that may startle.
놀라실 수 있는 큰 소음. - Sensitive content that may trigger viewers.
시청자를 자극할 수 있는 민감한 콘텐츠.
- Sharp, jagged edges or corners which may cause injury.
만약 작품 제작 및 설치 시 이러한 지침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모두가 함께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에밀리카 커뮤니티의 최선의 이익을 이유로 전시위원회(The Show Committee)에서 전시 작품을 철거할 권한이 있다. 때문에 학교의 공동 목표는 이러한 중요한 건강 및 안전 문제에 대해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고 관련된 모든 사람에게 법적, 재정적 결과를 초래하지 않는 것이라고 한다.
2.1.1. Graduation + Honorary Awards
2.1.2. Summer Teens Student
2.2. Foundation Show
2.3. Student Art Sale
2.4. Club Day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밀리카 대학교/동아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밀리카 대학교/동아리#|]][[에밀리카 대학교/동아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소규모 행사
3.1. Screening
에밀리카 대학교에서 말하는 상영(Screening)은 학생들이 직접 제작한 영화, 애니메이션, 미디어 작품을 대중에게 선보이는 행사인데, 이 상영은 보통 매년 열리는 졸업 전시회의 일환으로 진행되지만 꼭 졸업작이 아니여도 2~3 학년 작품도 Reliance Theatre에서 틀어준다. 영화 + 스크린 아트 프로그램 학생들의 캡스톤 프로젝트를 비롯해 대부분 2D, 3D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미디어 작업이 공개되고 있다.예를 들어, 2024년 졸업 상영회는 밴쿠버 국제 영화 센터(Vancouver International Film Centre) 내 밴시티 극장(Vancity Theatre)에서 열렸으며, 졸업생들이 제작한 단편 영화들이 엄선되어 상영되었다. 이는 신진 영화 제작자와 미디어 아티스트들의 창작 세계를 가까이에서 만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이기도 하다.
에밀리카 대학교의 향후 상영 일정에 대해 더 알고 싶으면 공식 웹사이트의 행사 페이지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3.2. Clothing Swap
에밀리카 대학교의 의류 교환 행사는 에밀리카 학생회(ECSU)가 주최하는 친환경적이고 지역 사회 중심의 프로그램인데 학생, 교직원, 교수진 모두가 참여할 수 있으며, 비용 없이도 서로의 옷을 나누며 옷장을 새롭게 꾸밀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주로 가을에(Fall term) 대학 식당에서 열리며, 기부할 옷은 ECSU 룸 B2189호에서 접수한다. 다만 기부 물품은 반드시 깨끗하고 해충이 없어야 하며, 속옷, 브래지어, 양말, 마스크는 받지 않고 있다.기부 여부와 관계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이 행사는 지속 가능한 소비 문화를 확산시키고 공동체 의식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고 한다. 참여자들은 옷을 나누며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이를 통해 섬유 폐기물을 줄이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으며, 매년 많은 관심을 받는 인기 행사로 자리 잡은 만큼 기부하는 옷도 많고 다양하다.
3.3. 할로윈
<bgcolor=#fff,#2d2f34> Halloween at Emily Carr University | |
현재 Halloween at Emily Carr University 영상 링크 |
매년 할로윈이 다가오면, 학교에서는 학생들을 위해 소규모 파티를 개최하고 있다. 파티는 보통 1~2주 전부터 포스터를 통해 공지된다. 수업이 모두 끝난 늦은 시간에 진행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이 퀄리티 상당한 코스프레를 입고 참여한다. 2층 불 꺼진 카페테리아에서 음식과 음악 등 다양한 즐길 거리를 즐길 수 있다. 게다가 일부 공간에서는 학생들이 직접 만든 굿즈나 아트워크를 작게 판매하는 플리마켓 같은 코너도 열리는데, 보는 재미도 있고 독특한 작품을 구입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rowcolor=#ffffff,#ffffff> Emily Carr Halloween 2008 | Emily Carr Halloween 2011 |
할로윈 파티는 과거 그랜빌 아일랜드 캠퍼스 시절에도 열렸으며, 지금보다 규모가 더 컸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에는 지금은 사라진 코스튬 경연 대회도 진행되었는데, 학생들이 코스프레나 의상을 차려입고 심사위원단 앞에서 무대나 관객석을 따라 걷거나 춤을 추며 경쟁했다. 행사 초반에는 주로 학생들과 그들의 친구들이 참가 신청을 했으며, 교수와 학생 구분 없이 모두가 의상을 입고 참여했다. 상품도 주어졌고, 자연스럽게 친목을 다지는 즐거운 기회가 되곤 했다.
과거 에너지 넘치는 진짜 파티 같은 것에 반해 지금은 조금 더 캐주얼한 분위기로 바뀌어 아쉬워하는 학생들도 있지만 여전히 많은 학생들이 이 행사를 통해 서로 교류하고, 학기 중간에 리프레시하는 시간을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