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03-26 19:30:03

에리트레아-소말리아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유럽·아프리카·아메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다자관계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파일:지부티 국기.svg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에티오피아·지부티·소말리아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소말리아·소말릴란드·아랍권
}}}}}}}}} ||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소말리아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이전2.2. 21세기
3. 관련 문서

1. 개요

에리트레아소말리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양국은 아프리카 연합, 이슬람 협력기구의 회원국이다. 또한, 지리적으로 아프리카의 뿔에 위치해 있다.

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이전

역사적으로 양국은 악숨 왕국의 일부였다.#1#2

2.2. 21세기

에리트레아는 독립했지만, 소말리아와는 갈등이 존재한다. 소말리아에서 내전이 격화되자 에리트레아가 에티오피아를 견제하기 위해 이슬람 반군을 지원하고 있다.# 에리트레아도 에티오피아와 함께 병력 2,000여명을 파견했다.#1#2 그리고 에리트레아가 소말리아 반군을 지원하고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소말리아 과도정부는 에리트레아가 화물기를 이용해 소말리아 반군에게 무기를 지원했다고 비난했다.# 유엔에 따르면 에리트레아측이 알카에다를 따르는 소말리아 반군 셰밥을 지원하고 있다.#

2013년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소말리아, 에리트레아를 제재결의안을 채택하기로 했다.#

2017년에 시작된 가뭄으로 양국 국민들이 기아를 겪고 있다.#

2018년에 아비 총리가 주변국과의 화해정책을 실시하고 관계개선에 나서면서 에리트레아측도 소말리아와 관계개선에 나서고 외교관계를 맺었다.# 12월 14일에 에리트레아 대통령이 소말리아를 처음 방문했다.#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정상이 아스마라에서 회담을 개최해 아프리카의 뿔 국가간에 협력을 논의했다.#

에리트레아의 독재정책, 소말리아내 혼란스런 상황으로 인해 에리트레아와 소말리아 출신 난민들이 지중해, 홍해를 통해 유럽으로 건너가고 있다.#1#2

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