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5 11:19:14

에레모테리움

에레모테리움
Eremotherium
파일:440px-WLA_hmns_Giant_ground_sloth_2.jpg
<colcolor=#000> 학명 Eremotherium
Cuvier, 1796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유모목Pilosa
아목 나무늘보아목Folivora
상과 메가테리움상과Megatherioidea
†메가테리움과Megatheriidae
아과 †메가테리움아과Megatheriinae
에레모테리움속Eremotherium
아속
에레모테리움 라우릴라르디(E. laurillardi)모식종
Lund, 1842
에레모테리움 세프베이(E. sefvei)
De lullis & Cartelle, 1997
에레모테리움 이오미그란스(E. eomigrans)
De lullis & Cartelle, 1999
파일:79a4e0d7b347306054821bd0e1d51778.jpg
복원도

1. 개요2. 특징3. 대중매체

1. 개요

플라이오세에서 홀로세 초중반부까지 아메리카 대륙에 살았던 빈치상목 땅늘보의 일종이다.

2. 특징

지금까지 발견된 땅늘보 중 가장 크다. 몸길이는 최대 6m, 어깨높이는 최대 2m, 몸무게는 약 4 ~ 6.5t 사이로 근연 친척뻘인 메가테리움보다 조금 더 거대한 덩치를 가지고 있다. 아프리카코끼리에 버금갈 정도로 거대한 땅늘보다.

메가테리움과 마찬가지로 두정갑처럼 가죽 속에 골질 구조를 띄고 있어 단단한 방어력을 유지하였다.

주요 서식환경은 이었다. 밀로돈의 화석화된 미라가 동굴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에레모테리움을 포함한 여러 땅늘보들 역시 굴 속에서 휴식을 취했을지도 모른다고 추측되고 있다. 그러나 땅늘보들은 각자 여러 계통으로 분류되어 있었기 때문에[1] 뭉뚱그려서는 안된다는 지적도 있으며, 동굴은 화석이 보존되기 적합한 장소이기도 하고 다른 곳에서 죽은 뒤 동굴로 향하는 물길에 시체가 떠내려갔을 가능성도 있다.

2025년 기준 모식종의 멸종 시기는 보정된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calibrated radiocarbon dating) 결과를 토대로 약 6,100~8,500년 전으로 측정되었다.

3. 대중매체

BBC의 2002년 고생물 다큐멘터리 'Wild New World' 3부에 출연하였다.

쥬라기 월드: 더 게임에서 사육 가능한 생물로 나온다.
[1] 현존하는 나무늘보들 역시 이 계통들에 포함되며, 속에 따라 두 가지 서로 다른 계통에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