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00:08:20

에드가 실바/2024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에드가 실바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대구 FC/2024년
,
,
,
,
,
2023 시즌 2024 시즌 2025 시즌
에드가
2024 시즌
파일:2024_에드가_프로필.png
소속 구단 대구 FC (하나원큐 K리그1)
등번호 9
결과
파일:K리그1 로고(가로형/흰색).svg 선발 5경기 교체 8경기
1득점 #도움
파일:코리아컵 로고.svg 0경기
합산 성적
선발 5경기 교체 8경기
1득점 #도움
개인 수상

1. 개요2. 프리 시즌3. 정규 시즌4. 시즌 총평5. 개인 수상6. 시즌 기록

[clearfix]

1. 개요

파일:2024_에드가_프로필.png

에드가의 2024 시즌 활약을 정리한 문서.

2024 시즌: 1경기 #골 #도움
<rowcolor=#000000,#191919> 대회 경기 선발 교체 득점 도움
K리그1 1 1
코리아컵 0 0 0 0 0
합계 1 1

2. 프리 시즌

2023 시즌 종료 직후인 12월 8일 구단 공식 보도 자료를 통해 1년 재계약을 발표하였다. #

이후 세징야바셀루스, 벨톨라처럼 조국인 브라질로 돌아가 휴식을 취할듯 했으나 전지 훈련 시작전까지 한국에 잔류해 아들 알뚤의 국제대회에 따라가 절친이자 아들의 스승인 이형상 감독 밑에서 코치 역할을 해주고, 이후에는 국내에 계속 남아 몸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 뒤 1월 2일 시작하는 대구 FC의 전지훈련에 그대로 참가하였다.

3. 정규 시즌

3.1. K리그1

3.1.1. 1R VS 김천 상무

개막 전 라운드에 선발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전반전에 바셀루스와의 연계플레이로 3차례 슈팅을 날렸지만 골대를 벗어나면서 득점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후반전에는 슈팅으로 이어지는 이럴다한 활약을 펼지지 못하고 풀타임을 뛰었다.

3.1.2. 2R VS 포항 스틸러스

이번 라운드에서는 벤치 명단으로 출발하여 후반 58분 바셀루스와 교체되어 투입되었다.

교체 투입 이후 후반 65분 황재원의 상대로 페이크 모션을 취해 속이고 돌파를 한뒤 크로스로 골문 앞에 있던 세징야에게 깔끔하게 전달해주었다. 세징야가 이를 헤더로 방향을 돌리려 했으나 빗겨 맞았고, 이를 에드가가 오버헤드킥으로 다시 한번 골문을 노렸으나 아쉽게도 빗맞으며 골문을 향하지 못하였다. 결국 1:3으로 패하며 팀은 2연패에 빠졌다.

식중독 증세로 제 컨디션이 아닌 에드가 아직 컨디션이 아직까지 제대로 올라오지 못한 탓에 제대로된 공격을 하지 못했다.

3.1.3. 3R VS 수원 FC

이번에도 벤치에서 출발하였다. 아무래도 나이가 든 만큼 세징야와 에드가가 동시에 선발로 출전할 경우 팀의 에너지 레벨이 너무 많이 떨어지며, 역습에서의 스피드도 많이 죽기 때문에 이제는 상대 팀에 따라 다르겠지만 세징야가 선발로 출전하고 에드가는 벤치에서 출발하는 것이 옳은 결정으로 보인다. 기동성도 기동성이지만, 두 선수 모두 풀타임을 소화할 경우 체력적으로 과부하가 많이 오는 모습이며 안 그래도 부족한 기동성이 더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이제는 벤치가 불가피하다.

77분 바셀루스를 대신해 교체 투입되어 2차례의 유효 슈팅을 기록했으나 득점으로 연결되지는 못했다. 팀은 요시노의 선제골을 지키지 못하고 후반 추가시간 실점하며 1:1로 아쉬운 무승부를 기록하며 3경기 연속 무승을 이어갔다.

3.1.4. 4R VS 광주 FC

4라운드 광주 FC와의 원정경기에서 오랜만에 선발로 나와 76분에 세징야의 크로스를 머리로 받아 역전골을 넣으며 팀의 2:1 승리에 기여했다. 이 결승골로 MOM과 4라운드 베스트 11에도 선정됐다.

3.1.5. 5R VS 강원 FC

5라운드 강원 FC 원정에서 바셀루스와 투톱으로 선발 풀타임을 소화했으나 슈팅 1회에 그쳤다. 팀이 전체적으로 체력 저하와 컨디션 난조를 보이는 가운데 볼 경합 승리만 15번을 기록하며 분전했지만 팀은 세징야의 부재 속에 0:3 완패를 당하고 말았다.

3.1.6. 6R VS FC 서울

6라운드 FC 서울과의 홈경기에서 바셀루스, 세징야와 오랜만에 스리톱으로 선발 출전했으나 전반 19분 만에 세징야가 상대 팀 기성용의 거친 파울로 부상 아웃되며 세징야 대신 원톱에 위치하고 우측은 고재현이 올라왔다. 주중 경기의 여파로 에드가를 비롯해 선수단 전원이 체력적으로 힘들어 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결국 내전근 통증을 호소하여 78분 안창민과 교체되었다. 은퇴를 바라보는 나이인 세징야와 에드가를 이렇게 매경기 선발에 풀타임으로 굴리니 세징야와 에드가 모두 부상이 없을 수 없는 상황이다. 팀은 0:0 무승부를 거두며 11위에 위치했다.

코리아컵 3라운드 탈락 이후 최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에드가의 복귀까지는 최소 2~3주는 걸릴 예정이라고 한다. 이르면 5월 초중순, 늦으면 5월 말쯤 복귀가 예상된다.

3.1.7. 9R VS 전북 현대 모터스

9라운드 전북 원정에서 명단 복귀하며 예상보다 이른 복귀를 하였다. 0:1로 밀리던 76분 고재현을 대신하여 투입되었고, 96분 정재상의 동점골 과정에서 기점이 되며 좋은 복귀전 활약을 보여주었다. 아무래도 몸이 아직 많이 올라오지 않아 투박하고 느린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여전한 제공권과 포스트 플레이를 보여주었다.

3.1.8. 10R VS 울산 현대

10라운드 울산과의 홈경기에서 70분에 교체 투입되어 후반 20분 정도를 소화하였다. 짧은 시간에도 불구하고 6번의 슈팅을 기록하는 등 어떻게든 슈팅으로 연결하는 모습을 보여준 것은 좋았으나 기대득점이 0.78에 달할 만큼 좋은 찬스가 많이 왔음에도 모두 놓치며 팀의 패배를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3.1.9. 11R VS 제주 유나이티드

11라운드 제주 원정에서 59분 교체로 투입되었으나 부진한 활약을 보여주었다.

3.1.10. 12R VS 광주 FC

12라운드 광주와의 홈경기에서 80분경 투입되어 경기 막판에 투입되는 에드가는 여전히 위협적임을 보여주었다. 팀은 3:2 역전승을 거두었다.

3.1.11. 13R VS FC 서울

13라운드 서울 원정에서 90분경 교체 투입되었다. 박창현 감독 부임 이후 정재상, 박용희에게 완전히 밀린 모습이며 후반 10~20분 정도만 교체로 나오고 있다.

3.1.12. 14R VS 강원 FC

14라운드 강원과의 홈경기에서 82분경 투입되었으나 워낙 출전 시간이 짧았기에 무언가 보여주기는 어려웠다.

3.1.13. 15R VS 수원 FC

15라운드 수원 원정에서는 벤치를 지켰다. 팀이 완전히 에너지 레벨에서 밀려버렸기에 에드가를 투입하지 않는 편이 맞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3.1.14. 16R VS 대전 하나 시티즌

16라운드 대전 원정에서 굉장히 오랜만에, 6라운드 FC 서울과의 홈경기 이후 무려 10경기 만에 선발로 복귀했다. 에드가, 세징야, 정재상 스리톱으로 소개되었지만, 정재상과 투톱에 가까운 움직임을 가져가며 세징야의 부담을 줄여주려고 했다. 그러나 에드가의 대구 FC 커리어를 통틀어 가장 아쉬운 활약을 보여주고 말았다. 전반 10분과 27분 두 번이나 빈 골대에 넣지 못하며 팬들에게 상당한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었고 결국 대구는 이 스노우볼이 매우 뼈아프게 굴러가며 0:1로 패했다. K리그에서 제공하는 xG 값은 0.82로 에드가 정도 클래스의 선수라면 두 찬스 모두 넣어줬어야 하는 상황이었는데 너무나도 뼈아픈 실축을 기록하고 말았고 결국 팀은 12위에 위치하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박창현 감독 부임 이후 2023 시즌의 폼을 전혀 보여주지 못하고 있으며 에너지 레벨은 고사하고 결정력과 연계조차 이제는 정말 부족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에드가의 반등이 팀에게나 선수에게나 매우 절실한 상황이다. 고재현마저 심각한 슬럼프를 겪는 상황에서 에드가마저 이렇게 부진한 결과는 너무나도 뼈아픈 3연패였다.

4. 시즌 총평

5. 개인 수상

6. 시즌 기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호 2호 3호 4호 5호

76분
파일:광주 FC 엠블럼.svg
4R

#분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R

#분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R

#분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R

#분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R
6호 7호 8호 9호 10호

#분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R

#분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R

#분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R

#분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R

#분
파일:물음표 아이콘.svg
#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