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50909, #e40000 20%, #e40000 80%, #b5090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 |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 | 미헤일 사카슈빌리 | 기오르기 마르그벨라슈빌리 | |
제5대 | 제6대 | |||
살로메 주라비슈빌리 | 미헤일 카벨라슈빌리 | |||
조지아 총리 |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 관련 틀 | ||||||||||||||||||||||||||||||||||||||||||||||
|
<nopad> | |
본명 | 에두아르드 암브로시스 제 셰바르드나제 (조지아어) ედუარდ ამბროსის ძე შევარდნაძე |
에두아르트 암브로시예비치 셰바르드나제 (러시아어) Эдуа́рд Амвро́сиевич Шевардна́дзе | |
출생 | 1928년 1월 25일 |
소련 자캅카스 SFSR 마마티 | |
사망 | 2014년 7월 7일 (향년 86세) |
조지아 트빌리시 | |
배우자 | 나눌리 셰바르드나제 |
종교 | 조지아 정교회 |
정당 | 조지아 시민연합 |
임기 기간 | 1995년 11월 23일 ~ 2003년 11월 23일 |
서명 |
1. 개요
조지아의 2대 대통령.2. 생애
1972년 그루지야 공산당 제1서기에 취임했고 개혁적인 행보를 보였다. 1985년 미하일 고르바초프에 의해 소련 외무장관으로 발탁되었다. 당시 소련은 페레스트로이카를 진행하고 있었고 그는 마지막 소련 외무장관을 역임했다.[1] 그는 1989년 소련군의 아프가니스탄 철군을 주도했고, 베를린 장벽 붕괴에 뒤이은 1990년 독일 재통일의 막후 협상을 중재하기도 했다.소련 붕괴 후 조지아로 귀환하여 조지아 마피아와 손잡고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를 쿠데타로 축출한 후 국무원장으로서 사실상 대통령을 대행하다가 1995년 대선에 77.0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그는 압하지야 전쟁과 남오세티야 전쟁에서 연패하고 감사후르디아 세력의 반란으로 국토 상당수에 대한 통제를 상실했다. 감사후르디아의 반란은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진압했지만 분리주의 세력 진압은 실패했다.
그는 서방과 러시아와 관계를 개선했지만 부정부패로 민심을 잃었다.# 셰바르드나제 자신은 평범하게 살았지만 고위인사의 부패를 막진 못했고 조지아 마피아가 날뛰는 걸 방관했으며[2] 경제 재건과 범죄 척결도 모두 실패하여 조지아를 사실상 실패국가로 만들었고, 현안을 해결하지도 못하면서 정치적 장수만 노리는 ‘회색 여우’라는 별명이 붙었다.
2003년 셰바르드나제 정권의 부정부패와 부정선거에 반발하는 장미혁명이 일어나 대통령직을 사임했다.
2014년 7월 7일 트빌리시에서 사망했다.
3. 여담
한소수교가 추진되던 당시 북한을 방문했다가 북한으로부터 푸대접을 받았다. 북한의 무례를 기억하고 있던 그가 한소수교 일자를 애초에 계획했던 1991년 1월에서 1990년 9월로 3개월 앞당기자는 한국 측 제안에 동의하면서 국교 수립 일자가 앞당겨졌다고 한다.# 한소수교가 정식으로 이루어지자 북한은 소련에게 각종 모욕적인 발언을 일삼았는데,[3] 이 발언에 폭발한 셰바르드나제는 "북한은 사회주의가 아니라 세습 국가"라고 맞받아쳤다고 전해진다.사실 소련은 겉으로만 북한에게 잘해줬지 속으로는 북한의 세습 정치, 기괴한 우상화,[4] 사이비 사상,[5] 각종 후진적인 사회제도, 오만무례한 외교적 언행 등에 큰 불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셰바르드나제의 발언은 단순히 북한의 모욕을 받아친 것을 넘어서 소련 정부가 오랫동안 북한에게 가지고 있던 반감을 직접적으로 드러낸 사건으로도 볼 수 있다.
그의 손녀인 소피코 셰바르드나제는 러시아에서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1] 1985년부터 1991년 1월까지 역임하다가 사임 후 1991년 11월 복귀해 마지막 외무장관이 되었다.[2] 사실 셰바르드나제는 저 면상에서 풍기는 분위기처럼 상당히 노회한 정치인으로, 본래 자기를 얼굴마담으로 내세우고 막후에서 쇼군 짓을 하려던 조지아 마피아들을 족쳐버린 인물이다. 자기 조직인 국무원(State Council)을 이용하여 자기 권력을 점점 키워갔고, 1995년 암살미수 사건을 핑계로 조지아 마피아의 대두목 자바 이오셀리아니와 전직 조지아군 사령관 텡기즈 키토바니를 쌍으로 숙청해 버렸다. 하지만 우세한 정적을 숙청한 정치력과는 별개로 마피아의 범죄를 억누르고 치안을 회복할 능력은 없었으며, 자바 이오셀리아니의 조지아 마피아 조직은 후계자인 자카리 칼라쇼프가 이었고 그 영향력은 셰바르드나제의 통치기간 동안 조지아에 여전했다고 한다.[3] 심지어 소련이 2차대전 이후 미국과 함께 38선 분할을 한 데 책임이 있다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그 말을 들은 소련 정부가 북한의 발언을 어떻게 받아들였을지는 뻔하다.[4] 1960~1980년대 소련 대중들은 북한의 우상화 선전물이 개그 잡지로서 큰 인기를 끌었다. 민간이 소련 선전물을 개그 잡지로 애독했다는 점에서 소련 정부가 북한을 내심 어떻게 보고 있었는지 드러난다.[5] 북한 주재 소련 대사가 북한의 주체사상을 "소부르주아 사상, 좌익 기회주의와 수정주의로 가득 찬 비과학적인 사상"이라 보고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