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국 제7대 농림수산대신 | |
| 일본국 제61대 운수대신 | |
| 일본국 제30-33·35-39대 중의원 의원 야마무라 신지로 山村新治郎 | Yamamura Shinziro | |
| <nopad> | |
| <colbgcolor=#3CA324><colcolor=#fff> 출생 | <colbgcolor=#fff,#1F2023>1933년 4월 28일 |
| 치바현 사와라시 | |
| 사망 | 1992년 4월 12일 (향년 58세) |
| 학력 | 가쿠슈인대학 정경학부 (정치학 / 중퇴) |
| 부모 | 아버지 야마무라 신지로[1] |
| 자녀 | 1남 2녀 |
| 위계 | 정3위 |
| 최종 당적 | |
| 의원 선수 | 9 (중) |
| 의원 대수 | 30[2], 31, 32, 33, 35, 36, 37, 38, 39 |
| 선거구 | 치바 2구 (중선거구) |
| 약력 | 야마무라 신지로 중의원 의원 비서 중의원 의원 (제30-33·35-39대) 운수정무차관 (제3차 사토 내각) 농림수산대신 (제7대, 제2차 나카소네 내각) 운수대신 (제60대, 우노 내각) 중의원 예산위원장 |
1. 개요
일본의 정치인. 농림수산대신, 운수대신, 운수정무차관, 9선 중의원 의원 등을 역임했다. 1970년 일본항공 351편 공중 납치 사건으로 일본 내에서 국민적 영웅으로 칭송되었다.2. 생애
2.1. 사건 이전 삶
1933년 4월 28일, 일본 제국 치바현 사와라시에서 태어났다. 야마무라가는 에도 시대 때부터 미곡상을 영위하는 명문가였으며, 9대째의 야마무라 신지로 때부터 정계와 깊은 연관을 가졌다. 10대째의 아버지 야마무라 신지로는 자민당의 국회대책위원장과 내각의 행정관리청 장관 등을 역임한 정치인이었다.지바현립 사하라고등학교[3]를 졸업하고 가쿠슈인대학 정경학부 정치학과를 중퇴, 정치수업을 위해 아버지 신지로의 의원 비서가 되었다.
1964년 아버지 신지로가 사망하여 치러진 보궐선거에서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치바현 제2구 출마해 첫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이후 1970년 제3차 사토 내각에서 운수정무차관으로 취임했다.
2.2. 일본항공 351편 공중 납치 사건
같은 해에 일본인을 태운 여객기가 납치되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김포국제공항에 정착한 일명 일본항공 351편 공중 납치 사건이 벌어지자, 당시 운수정무차관이었던 야마무라는 자신의 상관인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운수대신과 함께 서울 김포공항으로 향했다. 야마무라는 납치범들과 협상을 벌여 인질인 승객들을 모두 풀어주는 대신, 자신이 인질이 되겠다고 설득했고, 결국 납치범들은 조종사 3명을 제외한 인질들을 모두 풀어주고 야마무라를 인질로 데리고 북한 평양으로 이륙했다. 이후 야마무라는 사건일자인 3월 31일에서 5일 뒤인 4월 3일에 일본에 귀국했다.이후 일본에서는 야마무라를 국민적 영웅으로 치켜세우며 화제가 되었고, 당시 총리였던 사토 에이사쿠에 의해 내각총리대신 현창을 수여받았다.
2.3. 사건 이후와 사망
1976년 제34회 중원선에서 한번 낙선하였으나 1979년 제35회 중원선에서 다시 국정에 복귀, 1983년 제2차 나카소네 내각에서 제7대 농림수신대신에 취임하고 1989년에는 우노 내각에서 제60대 운수대신에 취임했다. 또한 1991년에 중의원 예산위원장에 취임했다.1992년 4월 12일, 자민당 방북단 단장으로서 북한으로의 출국을 하루 앞두고 있었으나 정신질환을 앓고 있던 차녀에 의해 칼에 찔려 자신의 아내 앞에서 사망했다.[4] 향년 58세. 당시 일본에서 현직 국회의원이 암살당한 사례는 아사누마 이네지로와 니와 효스케에 이어 3번째였다.
그를 살해한 차녀는 심신상실로 인해 판단능력이 흐트러져있다고 판단하여 불기소 처분되었으나, 4년 뒤인 1996년에 자살했다.
그의 사망 이후 5번째 아들이 후계자로 이름을 올렸지만, 너무나도 비극적인 사건이었기 때문에 후보로 나오지 않았고, 이로써 야마무라가의 세습은 막을 내렸다. 그 대신 그의 비서였던 지츠카와 유키오가 구 치바 2구에 신생당 공천을 받아 당선되어 지반을 이어갔다.
3. 소속 정당
| 소속 | 기간 | 비고 |
| | 1964 - 1992 | 정계 입문 사망 |
4. 선거 이력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1964 | 1964년 일본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 | 치바 2구 | | 68,124 (36.9%) | 당선 (1위) | 초선 |
| 1967 |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8,116 (19.9%) | 당선 (1위) | 재선 | ||
| 1969 |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2,339 (15.7%) | 당선 (3위) | 3선 | ||
| 1972 |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56,265 (17.5%) | 당선 (1위) | 4선 | ||
| 1976 | 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5,157 (12.2%) | 낙선 (6위) | |||
| 1979 |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72,155 (19.2%) | 당선 (2위) | 5선 | ||
| 1980 |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81,256 (24.0%) | 당선 (2위) | 6선 | ||
| 1983 |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79,588 (22.8%) | 당선 (2위) | 7선 | ||
| 1986 |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86,838 (22.2%) | 당선 (2위) | 8선 | ||
| 1990 |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88,101 (21.3%) | 당선 (2위) | 9선[5] |
5.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 전전 농림대신 (1925~1943) | |||||||||
| 초대 다카하시 고레키요 | 2대 오카자키 쿠니스케 | 3대 하야미 세이지 | 4·6대 마치다 추지 | |||||||
| 5·7대 야마모토 테이지로 | 4·6대 마치다 추지 | 5·7대 야마모토 테이지로 | 8대 고토 후미오 | |||||||
| 9·11·20대 야마자키 타츠노스케 | 10·16대 시마다 토시오 | 9·11·20대 야마자키 타츠노스케 | 12대 아리마 요리야스 | 13대 사쿠라우치 유키오 | ||||||
| 14·16대 고도 타쿠오 | 15대 사카이 타다마사 | 10·16대 시마다 토시오 | 17대 고노에 후미마로 | 18대 이시구로 타다아츠 | ||||||
| 19대 이노 히로야 | 9·11·20대 야마자키 타츠노스케 | |||||||||
| 전후 농림대신 (1945~1978) | ||||||||||
| 초대 센고쿠 고타로 | 2대 마츠무라 켄조 | 3대 소에지마 센파치 | 4대 와다 히로오 | 5대 요시다 시게루 | ||||||
| 임시대리 가타야마 데쓰 | 6대 히라노 리키조 | 7대 하타노 카나에 | 8대 나가에 가즈오 | 임시대리 요시다 시게루 | ||||||
| 9대 스토 히데오 | 10대 모리 고타로 | 12·14·16대 히로카와 고젠 | 13대 네모토 류타로 | 15대 오가사와라 산쿠로 | ||||||
| 12·14·16대 히로카와 고젠 | 17대 타코 이치민 | 18대 우치다 나오야 | 19대 호리 시게루 | |||||||
| 20-21·22대 고노 이치로 | 23·24대 이데 이치타로 | |||||||||
| 25대 아카기 무네노리 | 26대 미우라 쿠니오 | |||||||||
| 27대 후쿠다 다케오 | 28대 난조 도쿠오 | 29대 스토 히데오 | 30대 고노 이치로 | |||||||
| 31대 시게마사 세이지 | 32·33·34대 아카기 무네노리 | |||||||||
| 35대 사카타 에이치 | 36대 마쓰노 라이조 | 37·38대 쿠라이시 타다오 | 39대 니시무라 나오미 | |||||||
| 40대 하세가와 시로 | 41대 쿠라이시 타다오 | 42대 아카기 무네노리 | 43대 아다치 도쿠조 | 44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 ||||||
| 45대 쿠라이시 타다오 | 46대 아베 신타로 | 47대 오이시 부이치 | 48대 스즈키 젠코 | |||||||
| 49대 나카가와 이치로 | ||||||||||
| 농림수산대신(1978년~현재)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초대 나카가와 이치로 | 2대 와타나베 미치오 | 3대 무토 가분 | 4대 가메오카 다카오 | 5대 다자와 기치로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6대 가네코 이와조 | 7대 야마무라 신지로 | 8대 사토 모리요시 | 9·12대 하타 쓰토무 | 10대 가토 무쓰키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11대 사토 다카시 | 9·12대 하타 쓰토무 | 13대 호리노우치 히사오 | 14·51·52대 카노 미치히코 | 15대 야마모토 도미오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16대 곤도 모토지 | 17대 다나부 마사미 | 18대 미야자와 기이치 | 19대 하타 에이지로 | 20대 가토 무쓰키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21대 오가와라 다이치로 | 22대 노로타 호세이 | 23대 오하라 이치조 | 24대 후지모토 다카오 | 25대 오치 이헤이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26대 시마무라 요시노부 | 27·40대 나카가와 쇼이치 | 28·29대 다마자와 도쿠이치로 | 30대 다니 요이치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31대 야쓰 요시오 | 32대 다케베 쓰토무 | 33대 오시마 다다모리 | 34·35대 가메이 요시유키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36대 시마무라 요시노부 | 37대 고이즈미 준이치로 | 38·39대 이와나가 미네이치 | 27·40대 나카가와 쇼이치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41대 마쓰오카 도시카쓰 | 42대 아카기 노리히코 | 43·45·46대 와카바야시 마사토시 | 44대 엔도 다케히코 | 43·45·46대 와카바야시 마사토시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43·45·46대 와카바야시 마사토시 | 47대 오타 세이이치 | 48대 이시바 시게루 | 49대 아카마츠 히로타카 | 50대 야마다 마사히코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14·51·52대 카노 미치히코 | 53대 군지 아키라 | 54·57대 하야시 요시마사 | 55·56대 니시카와 고야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55·56대 니시카와 고야 | 54·57대 하야시 요시마사 | 58대 모리야마 히로시 | 59대 야마모토 유지 | 60·61대 사이토 겐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60·61대 사이토 겐 | 62대 요시카와 다카모리 | 63·71대 에토 다쿠 | 64대 노가미 고타로 | 65·66대 가네코 겐지로 | ||||||
| 65·66대 가네코 겐지로 | 67대 노무라 데쓰로 | 68대 미야시타 이치로 | 69대 사카모토 데쓰시 | 70대 오자토 야스히로 | ||||||
| 63·71대 에토 다쿠 | 72대 고이즈미 신지로 | 73대 스즈키 노리카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