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07 13:28:11

애틀랜타 레인/역대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애틀랜타 레인
1. 개요2. 2019 시즌
2.1. 창단 멤버2.2. 스테이지 12.3. 스테이지 22.4. 스테이지 32.5. 스테이지 4
3. 2020 시즌
3.1. 오프시즌3.2. 정규시즌
4. 2021 시즌
4.1. 오프시즌4.2. 정규시즌4.3. 포스트시즌
5. 2022 시즌
5.1. 오프시즌5.2. 정규시즌5.3. 포스트시즌
6. 2023 시즌
6.1. 오프시즌6.2. 정규시즌6.3. 포스트시즌

1. 개요

애틀랜타 레인오버워치 리그 대회 기록을 정리한 문서이다.

2. 2019 시즌

애틀랜타 레인 스테이지별 성적
<colbgcolor=#910f1b><colcolor=#c4c4c4><rowcolor=#c4c4c4> 스테이지 승-패 순위 세트 득실
스테이지 1 4-3 5 +6
스테이지 2 3-4 11 -3
스테이지 3 2-5 15 -3
스테이지 4 7-0 1 +19

파란 글씨는 승리가 많을 경우, 빨간 글씨는 패배가 많을 경우, 초록 글씨는 승과 패의 차이가 2 이하일 경우다.

2.1. 창단 멤버

<rowcolor=#910f1b> 역할군 이전 팀 선수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DPS
파일:600px-Lucky_Future_Zenith_New_Logo.png Erster
정준
파일:600px-Last_Nights_Leftovers_logo_v2.png NLaaeR
일리야 코팔로프
파일:NRG_Esports.png
스트리머
dafran
다니엘 프란체스카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TANK
파일:600px-Element_Mystic_Logo.png Pokpo
박현준
DACO
서동형
파일:600px-GOATS_logo_new_2018.png Gator
블레이크 스캇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SUP
파일:Team_Gigantti_logo.png Masaa
페트야 칸타넨
파일:6nakes 로고.png Kodak
스티븐 로젠베르거
파일:ATL_Academy_logo.png Dogman
더스틴 보워먼

2.2. 스테이지 1

  • 2월 16일 VS 플로리다 메이헴 - 4:0 승리
    첫 경기는 플로리다 메이헴과 경기했다. 첫 경기에는 투웨이 선수인 Gator[1]를 포함해서 9명의 선수가 모두 한 번 이상 출전을 했다. 특히 첫 경기인 일리오스에서는 다프란이 토르비욘을 들었다! 4세트인 66번 국도에서는 아무 것도 없는 곳에 자탄자폭을 하는 실수를 했지만, 그 뒤 한타를 이기면서 4:0으로 승리했다.
  • 2월 18일 VS 필라델피아 퓨전 - 2:3 패배
    필라델피아의 압승으로 예상되던 경기였지만 팀합이 안 맞아 떨어진 필라델피아의 경기력과 예상 외로 에임이 좋은 애틀랜타의 경기력이 합쳐져 역대급 개싸움이 발생했다. 타이브레이커 1:1까지 이어졌지만 막판에 필라델피아가 정신을 차려 아쉽게 필라델피아에게 패배했다.
  • 2월 23일 VS 토론토 디파이언트 - 3:1 승리
    많은 사람들이 필라델피아와의 접전으로 애틀랜타의 승리를 예상하고 있었다. 3세트인 호라이즌 달 기지에선 연장전까지 가는 치열한 전투를 벌였으나 다프란의 자리야가 한 세트에만 62000딜을 넣으며 3세트는 애틀랜타가 가져갔다.
  • 3월 8일 VS LA 글래디에이터즈 - 0:4 패배
    강팀으로 승승장구하던 애틀란타 답지않던 무력한 패배였다.
    탱커의 피지컬과 합차이에서 승부가 갈려버렸다.
    3세트에서는 고츠 공략용 조합이 아닌데도 디케이의 겐지한테 당해버렸고
    파리 이터널한테 쓰던 전략도 먹히지 않았다.
  • 3월 17일 VS 청두 헌터즈 - 2:3 패배
    안티 33에 전략없이 당해버렸을뿐만 아니라 5세트에서는 3탱3힐도 한타에서 패배해는 모습도 보여주면서 예상과는 달리 패배를 했다.
    졸지에 플레이오프 진출을 걱정해야 되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 3월 18일 VS 휴스턴 아웃로즈 - 3:1 승리
    단두대 매치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타이틀 매치에 진출했다. 글래디 전을 제외하면 패배한 경기도 세트 득실도 크게 손해를 보지 않았기 때문에 5위로 마무리했다.

2.3. 스테이지 2

dafran의 은퇴로 샌프란시스코 쇼크에서 이적된 babybay가 출전을 했고 추가 영입을 했던 frd가 출전을 했다.
그러나 역스윕으로 보스턴 업라이징과의 경기에서 2:3으로 패배했다.

하지만 이어진 런던 스핏파이어와의 경기에서 런던한테 4:0으로 패배하면서 위태로워졌다.

이어진 연패 행진중이었던 LA 발리언트와의 경기에서 3:2로 패배를 해서 발리언트에게 첫 승을 내주었다. 서로 탱커진이 불안불안했던 경기.

다음 경기는 워싱턴 저스티스. 그래도 상대가 상대인지라 3:1로 승리했다.
다프란이 팀을 나간뒤 다프란 원맨팀이라는 평가도 생긴만했는데...

뉴욕 엑셀시어전에서 다시 frd 대신 daco가 출전을 하고 3:1로 승리하면서 뉴욕의 13연승을 저지했다! 하지만 연패행진 중이었던 광저우 차지를 상대로 3:1로 패배했다.

그리고 5주차 마지막 경기에서는 또다시 뉴욕을 잡았다! 비록 스테이지 플옵은 가지 못했지만, 다른 팀들은 한 번도 잡기 힘든 뉴욕을 무려 두 번 연속으로 잡았다는 것만으로 충분히 값진 성과를 보였다고 할 수 있다.

2.4. 스테이지 3

샌프란시스코 쇼크, 밴쿠버 타이탄즈라는 최상위팀을 만난데다가, 이후에도 상하이 드래곤즈, 서울 다이너스티, 필라델피아 퓨전이라는 중상위권에서 중위권에 위치한 팀들을 만나며 5연패를 기록하게 되었다. 확실히 대진운이 안 좋기는 한 편. 그런데 샌프란시스코 쇼크, 벤쿠터 타이탄즈를 상대로 '졌잘싸' 까지는 좋았는데 곧바로 서울, 상하이, 필라델피아한테까지 패배하면서 애틀란타 홈경기를 치르기도 전에 5패를 해버렸다...

다행히 애틀랜타 홈스탠드에서 토론토 디파이언트, 플로리다 메이헴을 상대로 연승을 거두며 홈에서 패배를 맞는 일은 없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성적이 안 좋아 스테이지 플레이오프 탈락은 물론이고, 시즌 순위가 플레이-인 토너먼트 진출까지도 확실하지 않은 11위까지 떨어졌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스테이지 4의 대진이 나쁘지는 않다는 것이지만 222 고정으로 인해 예측할 수 없게 되었다.

2.5. 스테이지 4

222 고정 이후로는 NLaaeR의 출전빈도가 높아졌다. Erster 선수는 고정 출전 중이다.
222고정 이후 파죽의 3연승을 이어가며, 222 고정 최고의 수혜 팀중 하나가 되었다. 또 다른 최고 수혜자 중 하나인 워싱턴을 이기면서 이제는 TOP6 시드권이 눈 바로 앞에 다가왔다.
그리고 같이 TOP6를 경쟁하는 런던 스핏파이어를 꺾어내고 상대적으로 약체라 평가 받는 댈러스와 보스턴을 꺾고 7전전승으로 4스테이지 1위를 차지하면서 6위에 안착했다.

3. 2020 시즌

3.1. 오프시즌

<rowcolor=#910f1b> 영입 방출
파일:800px-GC_Busan_WAVE.png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Edison
김태훈
N/A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DACO
서동형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nvyus_Logo.png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SharP
후고 살베리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FunnyAstro
다니엘 해서웨이
파일:ATL_Academy_logo.png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Hawk
젠더 도메크
은퇴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NLaaeR
일리야 코팔로프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Kodak
스티븐 로젠베르거

3.2. 정규시즌

애틀랜타 레인 20시즌 정규시즌 성적
<colbgcolor=#910f1b><colcolor=#c4c4c4><rowcolor=#c4c4c4> 스테이지 승-패 순위 세트 득실
정규 시즌 결과 10-11 12 +8
파란 글씨는 승리가 많을 경우, 빨간 글씨는 패배가 많을 경우, 초록 글씨는 승과 패의 차이가 2 이하일 경우다.

Erster를 내리고 Saucy를 주전으로 쓰는 로스터가 정립되기 전까지는 안정적인 중상위권이었으나 Saucy를 쓰게 된 후 경기력이 최하위권까지 추락했고 포스트시즌 현재는 결국 Saucy는 부적격 판정을 받았는지 포스트시즌에는 나오지 않고 있고 Erster와 Sharp를 반복해서 쓰고 있는데, 계속 고점을 보여주는 Edison을 제외한 나머지 5명의 기복이 매우 심한 극 주사위 팀이 되고 말았다.

여담으로 썸머 쇼다운을 제외하면 모든 토너먼트 경기를 플로리다 메이헴한테 져서 탈락했다.

4. 2021 시즌

4.1. 오프시즌

<rowcolor=#910f1b> 영입 방출
파일:O2 BLAST 2019 logo.png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PELICAN
오세현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Erster
정준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2.svg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Kai
카이 콜린스
[2]
은퇴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Pokpo
박현준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Dogman
더스틴 보워먼
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frd
네이든 괴벨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Fire
앤서니 킹
N/A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SharP
후고 살베리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Saucy
개릿 롤런드

4.2. 정규시즌

애틀랜타 레인 21시즌 정규시즌 성적
<colbgcolor=#910f1b><colcolor=#c4c4c4><rowcolor=#c4c4c4> 스테이지 승-패 순위(서부) 세트 득실 토너먼트
5월 토너먼트 1-3 8 -1 진출 실패
6월 토너먼트 3-1 3 +6 3위
서머 쇼다운 3-1 2 +8 4위
카운트다운 컵 4-0 1 +7 3위
정규 시즌 성적 13-5 3 +20 승점 2점 추가
플레이오프

파란 글씨는 승리가 많을 경우, 빨간 글씨는 패배가 많을 경우, 초록 글씨는 승패마진이 1 이하일 경우다.
  • 5월 토너먼트
1) vs. FLA - 1:3 패
2) vs. TOR - 2:3 패
3) vs. PAR - 3:0 승
4) vs. SFS - 2:3 패
  • 6월 토너먼트
1) vs. HOU - 3:1 승
2) vs. LDN - 3:0 승
3) vs. GLA - 1:3 패
4) vs. VAN - 3:0 승
5) 토너먼트 예선 6강 vs. BOS - 3:0 승
6) 토너먼트 예선 4강 vs. SFS - 3:0 승
7) 토너먼트 4강 vs. NYE - 3:0 승
8) 토너먼트 승자 결승 vs. DAL - 1:3 패
9) 토너먼트 패자 결승 vs. SHD - 0:3 패

6월 토너먼트 6강에 진출하였고, 펠리칸의 에코, 카이의 히트스캔, 에디슨의 리퍼 기량에 힘입어 6강에서 보스턴 업라이징, 4강에서 샌프란시스코 쇼크를 3:0으로 이기면서 6월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반전을 보여준다.
6월 토너먼트 본선을 댈러스와 상하이한테 져서 3위로 마감했지만 뉴욕을 3:0으로 격파, 댈러스 상대로 1세트를 따내는 등 예상보다 선전했다.
  • 서머 쇼다운
1) vs. WAS - 3:0 승
2) vs. DAL - 2:3 패
3) vs. LDN - 3:0 승
4) vs. BOS - 3:0 승
5) 토너먼트 예선 4강 vs. GLA - 3:2 승
6) 토너먼트 4강 vs. SHD - 0:3 패
7) 토너먼트 패자 준결승 vs. DAL - 2:3 패
  • 카운트다운 컵
1) vs. GLA - 3:2 승
2) vs. HOU - 3:0 승
3) vs. FLA - 3:2 승
4) vs. DAL - 3:1 승
5) 토너먼트 예선 4강 vs. TOR - 3:1 승
6) 토너먼트 4강 vs. SEO - 3:1 승
7) 토너먼트 승자 결승 vs. GLA - 0:3 패
8) 토너먼트 패자 결승 vs. CDH - 0:3 패

4.3. 포스트시즌

  • 플레이오프
1) 8강 vs. CDH - 2:3 패
2) 패자 1라운드 vs. WAS - 3:0 승
3) 패자 2라운드 vs. GLA - 3:2 승
4) 패자 3라운드 vs. SFS - 3:1 승
5) 패자 결승 vs. DAL - 3:1 승
6) 그랜드 파이널 vs. SHD - 0:4 패

5. 2022 시즌

5.1. 오프시즌

<rowcolor=#910f1b> 영입 방출
파일:Odyssey 2021.png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Venom
이동근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Edison
김태훈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nero
찰리 즈와그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PELICAN
오세현
파일:Bobby Wasabi logo.png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Ojee
크리스티안 한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ir1s
김승현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Speedily
니콜라스 저우
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Masaa
페트야 칸타넨
파일:Redbird_Esports_logo_allmode.png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UltraViolet
벤자민 데이비드

5.2. 정규시즌

애틀랜타 레인 22시즌 정규시즌 성적
<colbgcolor=#910f1b><colcolor=#c4c4c4><rowcolor=#c4c4c4> 스테이지 승-패 순위(서부) 세트 득실 토너먼트
킥오프 클래시 3-3 7 +1 3위
승점 1점 추가
미드시즌 매드니스 4-2 5 +6 결과 합산 ↓
리그 포인트 중간 정산 10 5 +7 3위
승점 2점 추가
썸머 쇼다운 2-4 10 -3 진출 실패
카운트다운 컵 4-2 4 +5 플레이오프 진출
정규 시즌 성적 13-11 5 +9 9~12위
파란 글씨는 승리가 많을 경우, 빨간 글씨는 패배가 많을 경우, 초록 글씨는 승패마진이 1 이하일 경우다.
  • 킥오프 클래시 - 예선
1) vs. FLA - 3:1 승
2) vs. NYE - 3:0 승
3) vs. WAS - 0:3 패
4) vs. VAN - 3:0 승
5) vs. LDN - 2:3 패
6) vs. GLA - 0:3 패
결과: 본선 진출
  • 킥오프 클래시 - 본선
1) 8강 vs. FLA - 3:1 승
2) 4강 vs. SFS - 3:1 승
3) 승자 결승 vs. GLA - 0:3 패
4) 패자 결승 vs. DAL - 1:3 패
킥오프 클래시 예선을 3승 3패로 마쳤다. 나쁘지 않은 경기력으로 TOP 4도 노려볼 수 있었으나, 런던에게 일격을 맞고 글래디에게 완패를 당하며 7위로 추락했다. 그나마 토너먼트 하위 4팀 중엔 가장 까다롭다고 판단됐는지 마지막까지 지목되지 않고 4위인 플로리다를 상대하게 되었다.

8강 플로리다전 승리에 이어 승자 4강에서 예선 전승팀 쇼크를 잡으며 승자 결승까지 올라갔으나, 승자 결승에서 글래디에게 무너지고 패자 결승에서도 댈러스에게 패배, 최종 3위로 토너먼트를 마무리했다.
  • 미드시즌 매드니스 - 예선
1) vs. BOS - 3:2 승
2) vs. DAL - 3:0 승
3) vs. VAN - 3:1 승
4) vs. SFS - 1:3 패
5) vs. HOU - 2:3 패
6) vs. PAR - 3:0 승
결과: 본선 진출
  • 미드시즌 매드니스 - 본선
1) 12강 vs. LDN - 1:3 패
2) 패자 1라운드 vs. SEO - 3:2 승
3) 패자 2라운드 vs. HOU - 3:1 승
4) 패자 3라운드 vs. SHD - 3:1 승
5) 패자 4라운드 vs. PHI - 3:1 승
6) 패자 결승 vs. GLA - 1:3 패
미드시즌 매드니스 첫 주차에 2승을 올렸다. 소전 메타가 오자 카이가 압도적인 에임을 앞세워 더더욱 날뛰는 중.

토너먼트에서는 런던에게 일격을 맞고 패자조로 내려갔지만, 패자 1라운드에서 킥오프 클래시 동부 우승팀인 서울을 3:2의 접전 끝에 격파해냈다.

이후 맞닥뜨런 팀들을 차례차례 격파해 나가며[3] 패자 결승까지 도달. 미드시즌 시점에서 서부 3강 중 하나로 자리잡았으나 3의 저주는 끝나지 않았다. 애틀렌타의 순위는 킥오프 클래시 때처럼 3위.[4]

여담으로 미드시즌에 올라온 동부 4팀 중 항저우를 제외한 모든 동부 팀들을 패자조에서 꺾었다.

  • 썸머 쇼다운 - 예선
1) vs. BOS - 1:3 패
2) vs. TOR - 1:3 패
3) vs. PAR - 3:0 승
4) vs. LDN - 3:1 승
5) vs. HOU - 2:3 패
6) vs. GLA - 0:3 패
결과: 본선 진출 실패
  • 카운트다운 컵 예선
1) vs. TOR - 3:2 승
2) vs. NYE - 3:0 승
3) vs. SFS - 2:3 패
4) vs. WAS - 3:0 승
5) vs. FLA - 3:2 승
6) vs. DAL - 1:3 패
결과: 플레이오프 진출
8월 19일 워싱턴에서 힐러 vigilante를 영입했다.

5.3. 포스트시즌

  •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12강) vs. FLA - 0:3 패
플레이오프 패자 1R) vs. FLA - 1:3 패

메이헴만 2번 만나 모두 지며 무기력하게 광탈했다. 여담으로 20시즌에도 서머 쇼다운을 제외한 모든 토너먼트 경기를 메이헴 상대로 패배하며 탈락한 적이 있다.

6. 2023 시즌

6.1. 오프시즌

<rowcolor=#910f1b> 영입 방출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Stalk3r
정학용
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
감독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Gator
블레이크 스캇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LIP
이재원
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Speedily
니콜라스 저우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ChiYo
한현석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Ojee
크리스티안 한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Fielder
권준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UltraViolet
벤자민 데이비드
파일:Team 815 logo.png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D0NGHAK
김민성
N/A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Venom
이동근
은퇴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nero
찰리 즈와그

재정 악화, 중국의 블리자드 서비스 종료 등으로 인해 거의 모든 팀들이 선수 대부분을 방출한 암울한 분위기 속에서 유일하게 공격적인 영입을 시도한 팀으로, 호크와 비질란테를 제외한 모든 선수와는 계약 해지를 하였으나 서울에서 스토커, 그리고 상하이에서 무려 립을 영입하였다. 그리고 댈러스의 힐러 듀오인 치요와 필더 영입 루머까지 돌고 있다. 그 루머는 사실이 되어 힐러라인은 2022년 시즌 우승 힐라인인 필더,치요라는 강력한 힐듀오를 영입하게 되었다. 그리고 팀의 유일한 탱커인 호크가 서브탱커 였기에 호크 혼자서는 무리가 있다고 여겼는지 레킹볼 스페셜리스트이자 마지막으로 팀 815에서 활동했던 동학을 영입하면서 총 7인 로스터를 구성하게 되었다.

6.2. 정규시즌

애틀랜타 레인 23시즌 정규시즌 성적
<colbgcolor=#910f1b><colcolor=#c4c4c4><rowcolor=#c4c4c4> 스테이지 승-패 순위(서부) 세트 득실 토너먼트
스프링 스테이지 8-0 1 +22 본선 직행
미드시즌 매드니스 우승
서머 스테이지 6-2 2 +11 플레이오프 진출
정규 시즌 성적 14-2 1 +33 7~8위
파란 글씨는 승리가 많을 경우, 빨간 글씨는 패배가 많을 경우, 초록 글씨는 승패마진이 1 이하일 경우다.
  • 프로암 스테이지 - 예선
애틀랜타 레인은 B조에 매칭되었다.

1) vs. LDN - 2:0 승
2) vs. LVE - 2:0 승
3) vs. SNT - 2:0 승
4) vs. VAL - 2:0 승
결과: 본선 진출
  • 프로암 스테이지 - 본선
1) 8강 vs. GLA 2:3 패

예선에서 마주친 모든 팀을 무실점으로 격파하며 오프시즌의 예상에 걸맞은 실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아쉽게도 본선에서 글래디와의 접전 끝에 2:3으로 탈락.
  • 스프링 스테이지 - 퀄리파이어
1) vs. NYE 3:0 승 - POTM: LIP
2) vs. SFS 3:0 승 - POTM: ChiYo
3) vs. VAN 3:0 승 - POTM: Stalk3r
4) vs. GLA 3:0 승 - POTM: LIP
5) vs. HOU 3:1 승 - POTM: Stalk3r
6) vs. VAL 3:0 승 - POTM: D0NGHAK
7) vs. LVE 3:0 승 - POTM: Fielder
8) vs. BOS 3:1 승 - POTM: Stalk3r
결과: 미드시즌 매드니스 본선 진출

개막 이후 압도적인 실력을 보여주고 있다. 같이 최상위권이라 평가받는 휴스턴과 보스턴에게 1점씩 준 것을 제외하고는 만난 팀들을 전부 3:0으로 격파하면서 서부 리그의 압도적 1황으로 자리잡은 모습이다. 스프링 스테이지에서의 캐서디 너프로 인한 솜트,한트 브리기테의 집결 버프로 인한 라마트라의 간접 버프등의 메타에 완벽하게 적응하며 원래부터 솜브라를 잘해오던 LIP과 서울 다이너스티에서 Profit에게 가려져 빛을 보지 못하고 있던 Stalk3r가 팀에 진 에이스로 급부상하며 가장 먼저 MSM진출을 전승으로 확정 짓게 되었다
  • 미드시즌 매드니스
1) 승자 2라운드 vs. HZS 3:0 승 - POTM: ChiYo
2) 승자 결승 vs. HOU 3:2 승 - POTM: Stalk3r
3) 결승 vs. HOU 4:1 승 - POTM: Fielder

  • 서머 스테이지 - 퀄리파이어
1) vs. LDN 3:0 승 - POTM: ChiYo
2) vs. WAS 3:0 승 - POTM: Stalk3r
3) vs. HOU 2:3 패
4) vs. TOR 3:1 승 - POTM: Stalk3r
5) vs. FLA 1:3 패
6) vs. BOS 3:1 승 - POTM: Fielder
7) vs. WAS 3:0 승 - POTM: D0NGHAK
8) vs. SFS 3:2 승 - POTM: Hawk

런던,워싱턴 경기 이후 애틀랜타에서 전략적 코치를 맡고 있던 WizardHyeong 코치가 팀에서 탈퇴 및 은퇴를 선언하였고, 이틀 뒤에 2022년에 댈러스 퓨얼에서 코치로 활동하고 잠시 오버워치 컨텐더스, 오버워치 월드컵 예선에서 해설을 했었던 Rascal을 어시스트 코치로 영입하였다.

서부 4강 중 플로리다와 함께 최강 자리를 놓고 다투고 있다. 미드시즌 때까지만 해도 애틀랜타가 압도적 1황 포스를 뽐냈지만 서머 스테이지 들어서 플로리다가 폭주를 시작하고, 애틀랜타가 휴스턴과 플로리다한테 패하며 기존 압도적 1황 포스는 어느 정도 약해진 편. 그럼에도 우승 후보 중 하나임은 변함이 없다.

6.3. 포스트시즌

  • 플레이오프
1) 플레이오프 8강 vs. HZS - 2:3 패
2) 플레이오프 8강 패자전 vs. LDN - 0:3 패


압도적인 윈솜트로 MSM우승까지 찍었던 애틀랜타 레인이었지만 6시즌 패치로 윈솜트가 칼질당하고 급변한 메타를 잘 이용하지 못해 경기력이 비교적 떨어진 모습을 보이며 플레이오프 무대에서 항저우 스파크에게 리버스 스윕 패배를 당하며 패자조로 내려갔고 그 패자조에서는 서머 퀄리파이어에서 보지 못했던 하디가 말아주는 런던라인러쉬의 맛을 제대로 맛보면서 3대0으로 패자조에서 마저 패배해 이변의 광탈을 당한 채 2023시즌은 막을 내리게 되었다.
[1] 투웨이 시스템으로 2세트만 출전했다.[2] KSP에서 닉네임 변경[3] 그 중 저번 시즌 우승팀인 상하이마저도 3:1로 격파하며 저번 그파의 복수까지 했다.[4] 심지어 이게 그럴만한게 킥오프 클래시때도 댈러스한테 3대1로져서 마무리했는데 미드시든 매드니스도 글래디에이터즈한테 똑같이 3대1도 져서 끝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