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1. 트란메어 로버스 FC1.2. 입스위치 타운 FC1.3.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1.3.1. 2014/15 시즌1.3.2. 2015/16 시즌1.3.3. 2016/17 시즌1.3.4. 2017/18 시즌1.3.5. 2018/19 시즌1.3.6. 2019/20 시즌1.3.7. 2020/21 시즌1.3.8. 2021/22 시즌1.3.9. 2022/23 시즌1.3.10. 2023/24 시즌1.3.11. 2024-25 시즌
1. 개요
애런 크레스웰의 클럽 경력을 정리한 문서.1.1. 트란메어 로버스 FC
애런 크레스웰은 15세에 리버풀 FC 유소년 팀에서 방출된 후 트랜미어 로버스 FC에 입단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당시 트랜미어는 상위 구단에서 방출된 유망주를 영입하여 육성한 뒤 이적시켜 수익을 창출하는 운영 방식을 가지고 있었고, 크레스웰도 그중 한 명이었다. 그는 2008년 7월 트랜미어와 첫 프로 계약을 체결했다.2008년 11월 1일, 18세의 나이로 밀턴 케인스 돈스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프로 데뷔전을 치렀다. 당시 팀의 왼쪽 풀백 포지션에는 앤디 테일러와 주마나 바카요고가 버티고 있어, 크레스웰은 이들과의 주전 경쟁을 통해 출전 기회를 확보해야 했다. 이 기간 동안 리그 1의 스타일에 적응해 나갔으며, 2009년 4월 브리스톨 로버스 FC를 상대로 프로 데뷔골을 기록하며 팀의 2-0 승리에 기여했다.
프로 3년 차인 2010-11 시즌, 크레스웰은 마침내 주전 자리를 꿰찼다. 레스 패리 감독의 신임 아래 리그 43경기(선발 42경기)에 출전해 5골 5도움을 기록하며 팀의 핵심 선수로 완전히 자리 잡았다.
특히 같은 시기 윙어로 활약한 데일 제닝스와의 왼쪽 측면 조합은 매우 효과적이었다. '다이내믹 듀오'로 불린 이들의 연계 플레이는 트랜미어의 주요 공격 루트였으며, 유럽의 여러 스카우트가 이들을 보기 위해 경기장을 찾을 정도였다. 제닝스의 돌파가 크레스웰에게 공간을 만들어주고, 크레스웰의 오버래핑과 크로스가 제닝스의 공격을 지원하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였다.
크레스웰이 보여준 공격적인 재능, 날카로운 크로스, 정교한 세트피스 능력은 당시 상위 리그 구단들이 풀백에게 요구하던 자질이었고, 이는 자연스럽게 챔피언십과 프리미어 리그 구단들의 관심으로 이어졌다.
그는 트랜미어에서 통산 80경기 6골 6도움을 기록했다.
1.2. 입스위치 타운 FC
1.2.1. 2011/12 시즌
2010-11 시즌 종료 후, 크레스웰의 계약이 만료되었다. 구단은 재계약을 제안했지만, 레스 패리 감독은 "4~5개의 챔피언십 구단이 그를 원하고 있다"고 밝히며 그의 이적 가능성을 높게 점쳤다. 실제로 웨스트 브롬위치 앨비언과 동커스터 로버스가 영입 경쟁에 참여했으나, 최종 승자는 입스위치 타운이었다. 크레스웰 본인은 당시 입스위치행을 "가장 쉬운 결정"이었다고 회상했다.크레스웰이 24세 미만이었기 때문에, 규정에 따라 트랜미어는 보상금을 받을 권리가 있었다. 두 구단이 이적료에 합의하지 못하자, 이 문제는 맨체스터에서 열린 프로 축구 보상 위원회(PFCC)의 이적 심의를 통해 결정되었다. 위원회는 선수의 훈련 비용, 경기 기록, 두 구단의 위상, 타 구단의 관심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보상금 구조를 결정했다.[1]
2011년 9월 14일 축구협회 보상위원회는 크레스웰의 보상금에 관해 다음의 내용을 확정 지었다.#
- 24만 파운드 일시불로 지불
- 크레스웰이 입스위치 타운 소속으로 리그 경기에 15번 출장할 때마다 4만 5천 파운드 지불(리그 경기에 60번 출장할 때까지 지속)
- 입스위치가 올 시즌 혹은 다음 시즌에 프리미어 리그에 승격하면 10만 파운드 추가 지불
- 트란메어가 다음 이적료의 20% 획득
2011년 8월 6일, 브리스톨 시티와의 원정 경기에서 3-0 승리를 거두며 챔피언십 데뷔전을 치렀다. 그의 영입은 당시 팬들 사이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지만, 폴 주얼 감독에게 "왼쪽 측면을 휘젓는 공격적인 돌파와 성숙한 수비력"으로 깊은 인상을 남겼다.
그는 데뷔 시즌에 놀라운 꾸준함을 보여주었다. 리그 44경기를 포함해 모든 대회를 통틀어 46경기에 출전했으며, 크리스탈 팰리스 전 막판 퇴장으로 한 경기를 결장하지 않았다면 시즌 전 경기를 소화할 뻔했다. 2012년 3월 17일에는 피터버러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3-2 승리를 이끄는 극적인 결승골을 터뜨리며 입스위치 소속 첫 득점을 기록했다.
한 단계 높은 리그로 올라온 신입 선수가 보여준 이러한 활약은 대단한 성과였으며, 시즌 종료 후 입스위치 타운 서포터 선정 올해의 선수을 수상하는 영예로 이어졌다. 이적 심의를 거쳐서라도 그를 영입하려 했던 구단의 결정이 얼마나 정확했는지를 증명하는 결과였다. 이는 입스위치의 스카우팅 끈기가 옳았음을 보여주었고, 그가 지불된 이적료 이상의 가치를 즉시 증명해낸 선수임을 확인시켜 주었다.
1.2.2. 2012/13 시즌
2012-13 시즌은 팀의 핵심 선수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모든 대회를 합쳐 49경기에 출전하며 4골을 기록하는 등 공격적인 기여도를 더욱 높였다. 또한 팀의 모든 경기에서 선발 풀타임 출장하는 진기록을 세웠다. 시즌 첫 골은 리그컵에서 브리스톨 로버스를 상대로 기록했다.2013년 4월 16일, 크리스탈 팰리스와의 경기에서 터진 환상적인 중거리 골은 구단 입스위치 타운 올해의 골로 선정되었다. 나아가 이 골은 해당 시즌 챔피언십 전체를 통틀어 최고의 골로 평가받기도 했다.Chambers Players' Player of the Year
이러한 꾸준하고 인상적인 활약은 프리미어리그 구단들의 주목을 끌기에 충분했다. 2012년 여름부터 2013년에 걸쳐 아스톤 빌라, 풀럼, 에버튼, 크리스탈 팰리스#, 위건# 등이 그에게 관심을 보였으며, 웨스트 브롬 또한 그를 주시하고 있었다. 특히 아스톤 빌라는 전력 외로 분류된 스티븐 워녹의 대체자를 찾고있었다.# 크레스웰 역시 "최고 수준에서 뛰고 싶다"는 포부를 숨기지 않았다.# 특히 '올해의 골' 수상은 그의 명성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꾸준한 수비력보다 화려한 장거리 골은 더 많은 언론의 주목을 받기 마련이며, 이는 이적설을 증폭시키고 상위 리그 스카우터들의 영입 리스트에 그의 이름을 확실히 각인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했다.
1.2.3. 2013/14 시즌
2013-14 시즌은 크레스웰이 챔피언십에서 가장 창의적인 선수 중 한 명으로 발돋움한 해였다. 그는 수비수임에도 불구하고 2개의 골과 무려 14개의 어시스트를 기록하며 리그 정상급 플레이메이커에 버금가는 공격력을 과시했다. 이러한 창조성의 원천은 믹 맥카시 감독 체제 하에서 대부분의 세트피스와 코너킥을 전담한 그의 역할에 있었다. 그의 정교한 킥은 입스위치 공격의 핵심 무기였다. 시즌 내내 보여준 압도적인 활약은 동료 선수들에게도 인정받았다.그의 가치가 치솟자, 입스위치는 2013년 12월 그와 2017년까지 연장되는 재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선수를 장기적으로 붙잡으려는 시도라기보다는, 그의 이적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구단의 전략적인 판단이었다. 믹 매카시 감독은 적절한 제안이 온다면 막을 수 없다고 인정하면서도, 재계약을 통해 어떤 구단이든 상당한 금액을 지불해야만 그를 영입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마련했다. 이러한 구단의 선견지명 덕분에 입스위치는 이듬해 여름 그의 이적 협상에서 가장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었다.
그는 카스퍼 슈마이켈, 대니 드링크워터, 대니 잉스 등과 함께 PFA 챔피언십 올해의 팀에 선정되며 리그 최고의 레프트백이라는 영예를 안았다. 입스위치 타운은 이 시즌을 리그 9위로 마감하며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아쉽게 실패했지만, 크레스웰의 활약 덕분에 플레이오프 경쟁에 근접할 수 있었다.
PFA 올해의 팀에 선정된 후, 크레스웰의 프리미어리그 이적은 기정사실화되었다. 최종 행선지는 웨스트햄 유나이티드였으며, 2014년 7월 3일 이적이 공식 발표되었다. 크레스웰은 모든 대회를 통틀어 138경기 출전, 7골 25어시 기록하고 입스위치를 떠났다. 그의 영입은 선수 발굴, 육성, 그리고 성공적인 이적 전략의 완벽한 사례로 구단 역사에 남았다. 그리고 11년 후, 그의 웨스트햄 경력 마지막 경기가 공교롭게도 포트먼 로드에서 입스위치를 상대로 치러지면서 그의 여정은 의미 있는 마침표를 찍었다.
웨스트햄 이적 비화로는 원래는 2부 리그로 강등이 확정된 풀럼으로 이적이 가까웠으나, 매카시 감독은 선수가 더 높은 수준의 리그에서 뛸 자격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웨스트햄 샘 앨러다이스 감독에게 전활걸어 "아직도 관심이 있는가?"라고 물으며 그가 프리미어리그로 갈 수 있도록 도왔다.#
1.3.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1.3.1. 2014/15 시즌
| |
| 2014/15 시즌 웨스트햄 올해의 선수 수상자 애런 크레스웰 |
"이 선수는 좋은 선수라고 생각해요. 정말 인상 깊었어요. 챔피언십에서 이적한 게 큰 도약이었고, 눈처럼 자리 잡았어요. 이번 여름 빅클럽들이 그를 노린다 해도 놀랍지 않을 거예요. 리버풀은 훌륭한 풀백이 부족한데 말이죠."
- 폴 머슨, 스카이스포츠 축구전문가
- 폴 머슨, 스카이스포츠 축구전문가
- 앨러다이스의 청사진
- 변화를 향한 요구
- 다이아몬드 혁명
- 두 얼굴의 시즌
2014-15 시즌을 앞둔 샘 앨러다이스 감독의 입지는 복합적이었다. 웨스트햄을 프리미어리그에 안착시킨 공로는 인정받았으나, 팬들과 구단 수뇌부는 단순한 생존을 넘어 '웨스트햄 방식'이라 불리는 공격적이고 매력적인 축구를 원했다. 이러한 압박 속에서 앨러다이스는 변화를 증명해야 하는 시즌을 맞이했다.
변화를 향한 의지는 여름 이적 시장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에네르 발렌시아, 디아프라 사코, 체이쿠 쿠야테 등을 영입해 공격과 중원에 활력을 더했고, 챔피언십에서 기량을 검증받은 애런 크레스웰과 아스널의 유망주 칼 젠킨슨을 데려와 양쪽 풀백을 강화했다. 이는 새로운 전술을 시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전략적인 영입이었다.
시즌이 시작되자 앨러다이스는 다이아몬드 포메이션이라는 혁신적인 전술을 선보였다. 가장 큰 특징은 기존의 윙어였던 스튜어트 다우닝을 다이아몬드의 꼭짓점, 즉 중앙 공격형 미드필더로 기용한 것이었다. 앨러다이스는 다우닝이 중앙에서 플레이메이커 역할을 할 때 더 위력적일 것이라 판단했고, 이 예상은 완벽히 적중했다.
이 다이아몬드 전술의 핵심은 풀백의 공격적인 활용에 있었다. 다우닝이 중앙으로 이동하면서 중원은 자연스럽게 좁은 형태가 되었고, 이로 인해 비게 된 측면 공간은 온전히 양쪽 풀백 크레스웰과 젠킨슨의 몫이 되었다. 두 선수는 수비는 물론, 공격 시에는 사실상의 윙어처럼 높은 지점까지 전진해 측면 공격을 책임져야 했다. 이는 엄청난 체력과 전술 이해도를 요구하는 임무였다. 시즌 후반 앨러다이스 감독이 두 선수의 공격적인 재능을 칭찬한 것은, 바로 이 핵심적인 전술적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해낸 것에 대한 찬사였다.
이러한 전술적 변화는 시즌 초반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다. 웨스트햄은 리버풀과 맨체스터 시티 같은 강팀들을 연파하며 크리스마스에는 리그 4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크레스웰과 젠킨슨이 주도하는 측면 공격은 빠르고 위력적이었으며, 다우닝은 중앙에서 창의성을 발휘했다. 하지만 영광은 길지 않았다. 후반기에 접어들면서 팀의 경기력은 급격히 하락했고, 결국 리그 12위라는 아쉬운 성적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다이아몬드 포메이션과 공격적인 풀백 조합은 시즌 초반 상대팀들에게 생소하게 다가가며 큰 효과를 보았다. 하지만 이 시스템은 경기 내내 경기장 전체를 오르내려야 하는 크레스웰과 젠킨슨에게 엄청난 체력적 부담을 안겼고, 그들이 전진했을 때 발생하는 뒷공간을 커버해야 하는 중앙 미드필더들에게도 상당한 수비적 부담을 주었다. 긴 시즌을 치르면서 이러한 체력적 부담은 선수들의 피로 누적으로 이어졌고, 경기력 저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동시에 상대팀 감독들은 웨스트햄의 전술을 분석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전진한 풀백들의 뒷공간을 역습의 주요 타겟으로 삼았고, 웨스트햄의 가장 큰 강점은 점차 예측 가능한 약점으로 변모했다.
- 공격 조합#
- 앤디 캐롤과 시너지
- 칼 젠킨슨과의 풀백 파트너십
애런 크레스웰과 앤디 캐롤의 조합은 2014-15 시즌 웨스트햄 공격 전술의 핵심 중 하나였다. 이는 단순히 도움과 득점이라는 수치로만 평가할 수 없는, 전술적 의도가 명확히 반영된 파트너십이었다. 크레스웰의 정교한 왼발 크로스와 캐롤의 압도적인 제공권 장악 능력은 상대 수비진에게 끊임없는 위협을 가했다.
웨스트햄의 공격 시스템은 볼을 측면의 풀백에게 전달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다음 페널티 박스 안의 주된 공격 목표는 공중볼 경합에 절대적인 우위를 가진 앤디 캐롤이었다. 따라서 뛰어난 크로스 능력을 갖춘 크레스웰은 단순히 빈 공간으로 공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성공 확률이 높은 특정 타겟을 향해 의도적인 크로스를 시도했다. 상대 수비는 캐롤을 막기 위해 최소 한두 명의 수비수를 집중적으로 배치할 수밖에 없었고, 이는 필연적으로 박스 안 다른 공간에 수적 불균형을 야기했다.
결과적으로 크레스웰이 캐롤을 향해 올리는 크로스는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수행했다. 하나는 캐롤의 직접적인 헤더 슈팅을 통한 득점 시도였고, 다른 하나는 캐롤에게 수비가 집중된 틈을 타 디아프라 사코나 엔네르 발렌시아 같은 다른 공격수들이 공간을 침투하거나 세컨드볼을 획득할 기회를 창출하는 간접적인 공격 방식이었다. 실제로 캐롤이 부상으로 인해 단 14번의 선발 출전에 그쳤음에도 불구하고 3개의 도움을 기록했다는 사실은 , 그가 단순한 득점원을 넘어 동료들을 위한 기회 창출에도 능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전술 패턴의 시발점은 바로 크레스웰의 정확한 크로스였다.
앨러다이스 감독은 두 선수의 공격적인 재능을 명확히 인지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그는 시즌 중 인터뷰에서 "그들(크레스웰과 젠킨슨) 두 명이 만들어낸 차이는 매우 크다... 그들이 우리에게 제공하는 것은 단지 수비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공격적인 재능이다"라고 언급하며, 두 선수의 동시적인 공격 가담이 팀 전술의 핵심임을 분명히 했다.
크레스웰과 젠킨슨은 약속된 플레이처럼 한쪽이 공격을 주도하면 다른 한쪽이 균형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종종 양쪽 측면에서 동시에 높은 위치까지 전진했다. 이는 상대 수비진을 좌우로 최대한 넓게 벌려 중앙 공격수들(캐롤, 사코, 발렌시아)에게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하고, 미드필더들이 침투할 수 있는 경로를 만들어내는 효과를 낳았다.
두 풀백의 공격적인 기여도는 통계로도 증명된다. 2014-15 시즌 프리미어리그에서 크레스웰은 4개의 도움을, 젠킨슨은 2개의 도움을 기록하며 총 6개의 도움을 합작했다. 이는 전 시즌 웨스트햄의 풀백 포지션에서 나온 공격 포인트와 비교했을 때 괄목할 만한 성장이었으며, 그들의 조율된 움직임은 웨스트햄의 2014-15 시즌 전반기를 화려하게 수놓은 핵심 동력이었다.
- 주요 경기
- 2014년 8월 16일, 시즌 개막전에서 데뷔전을 가졌다. 런던 라이벌인 토트넘 홋스퍼를 상대로 한 홈 경기였으며, 에릭 다이어의 경기 막판 결승골로 웨스트햄의 1-0 패배로 끝났다. 팀의 패배에도 불구하고, 크레스웰 개인의 경기력은 인상적이었다. 그는 경기 후 결과에 대한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면서도, 프리미어리그 데뷔 무대를 밟은 것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냈다.
- 웨스트햄 소속 첫 공격 포인트는 2014년 10월 18일, 3-1로 승리한 번리전에서 측면에서 올린 크로스를 디아프라 사코가 골로 넣으며 첫 도움을 기록했다.#
- 웨스트햄 소속 첫 득점은 2014년 11월 29일, 뉴캐슬 유나이티드와의 홈 경기에서 터져 나왔다. 동료 선수인 체이쿠 쿠야테의 빗나간 슈팅이 문전으로 흐르자, 공격에 가담했던 크레스웰이 재빨리 쇄도하여 공을 골문 안으로 밀어 넣었다. 이 골은 경기의 유일한 득점이 되어 팀에 1-0 승리를 안겼다. 이 승리로 웨스트햄은 리그 5위로 도약했으며, 3경기 연속 무승의 부진을 끊어내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고 본인은 금주의 팀에 선정되었다.#
- 2015년 4월 11일, 스토크 시티와의 홈 경기에서 그는 환상적인 프리킥으로 골망을 흔들었다. 하지만 이 멋진 선제골에도 불구하고, 웨스트햄은 후반 추가시간 5분에 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며 1-1 무승부에 만족해야 했다. 경기 후 크레스웰은 "경기 막판까지 집중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며, 팀이 경기를 마무리 짓지 못한 것에 대해 강한 아쉬움을 표했다.#
- 완성형 풀백
- Mr. Dependable
- 공격 기여도
- 수비 기여도
애런 크레스웰이 웨스트햄 팬들과 동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첫 번째 이유는 그의 경이로운 꾸준함이었다. 챔피언십에서 프리미어리그로 갓 승격한 선수, 특히 수비수가 데뷔 시즌에 팀의 모든 경기에 출전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하지만 크레스웰은 2014-15 시즌 프리미어리그 38경기 전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단 1분도 교체되지 않고 3,420분의 출전 시간을 기록했다.[2] 이전 시즌에 은퇴한 북아일랜드 국가대표, 팀의 왼쪽 풀백이었던 조지 매카트니를 완전히 대체해주는 활약을 했다. #
이러한 그의 철저한 자기 관리와 강인한 체력은 샘 앨러다이스 감독으로부터 "미스터 디펜더블(Mr. Dependable)"이라는 별명을 얻게 했다. 이는 단순히 경기에 많이 출전했다는 의미를 넘어, 매 경기 기복 없는 안정적인 경기력을 보여주며 감독과 팀 동료들에게 절대적인 신뢰를 주었음을 의미한다. 그의 이러한 꾸준함은 앨러다이스 감독이 다이아몬드 포메이션과 같은 공격적인 전술을 과감하게 시도할 수 있었던 근본적인 배경이 되었다.
프리미어리그에서 2골 4어시스트를 기록했으며, 팀 동료들에게 총 34개의 득점 기회를 만들어주었는데 마크 노블, 스튜어트 다우닝에 이어 팀 내 3위에 해당한다. 이는 수비수로서 매우 뛰어난 공격 포인트 생산 능력이며 공격 진영에서 에버튼의 레이튼 베인스를 연상케하는 존재감을 선보였다고 평가받았다.#[3]
리그에서 44개의 태클, 33개의 가로채기, 그리고 148개의 걷어내기를 성공시키며 수비적으로도 견고한 모습을 보였다. 그의 활약에 힘입어 웨스트햄은 9번의 클린시트를 기록했다.
- 개인 수상 및 랭크
- 시즌 종료 후 애런 크레스웰의 환상적인 데뷔 시즌은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공식 시상식에서 화려하게 마무리되었다. 그는 이 자리에서 클럽의 주요 개인상을 모두 휩쓰는 전례 없는 업적을 달성했다.
- 2014-15 시즌 해머 오브 더 이어 (Hammer of the Year)
- 2014-15 시즌 선수들이 뽑은 웨스트햄 올해의 선수
- 2014-15 시즌 올해의 영입 선수
- 그는 런던 연고의 모든 프리미어리그 클럽 팬들을 대상으로 한 투표에서도 최고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이 투표에서 33%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프리미어리그 득점왕 경쟁을 펼쳤던 토트넘의 해리 케인(29%)과 아스날의 에이스 알렉시스 산체스(27%)를 따돌리고 1위를 차지했다.
- 2014-15 시즌 런던24스포츠 올해의 선수#
- 기타
- 이적설
- 총평
애런 크레스웰의 2014-15 시즌은 두 가지 측면에서 압도적인 성공이었다. 첫째, 그의 개인적인 퍼포먼스는 프리미어리그 데뷔 시즌이라고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완벽에 가까웠다. 전 경기 풀타임 출전이라는 경이로운 기록과 함께 공수 양면에서 보여준 안정적인 활약은 그가 왜 '올해의 해머'를 포함한 구단의 모든 개인상을 휩쓸었는지를 증명했다.
비록 팀은 시즌 후반기에 급격한 부진을 겪으며 아쉬움을 남겼지만, 애런 크레스웰의 데뷔 시즌이 남긴 유산은 분명하다. 그는 이 한 시즌 만에 향후 10년간 웨스트햄의 왼쪽 측면을 책임질 확고한 주전으로 자리매김했으며, 꾸준함과 프로 정신의 상징이 되었다. 2014-15 시즌은 웨스트햄 구단 역사상 가장 흥미로운 전술적 실험이 펼쳐졌던 시기 중 하나로 기억될 것이며, 그 중심에는 애런 크레스웰이 있었다.
| <rowcolor=#ffffff> | ||||
| <rowcolor=#ffffff> 대회 | 출장경기 | 득점 | 도움 | 팀 순위 |
| 프리미어 리그 | 38 | 2 | 4 | 12 |
| FA 컵 | 4 | 0 | 0 | 5R |
| <rowcolor=#ffffff> 총계 | 42 | 2 | 4 | |
1.3.2. 2015/16 시즌
- 감독 교체와 새로운 철학
- 빌리치의 부임
- 핵심 선수단 변화
- 크레스웰의 확고한 입지
샘 앨러다이스 감독의 시대가 막을 내리고, 2015년 6월 웨스트햄 선수출신 슬라벤 빌리치가 지휘봉을 잡으며 중대한 철학적 전환이 시작되었다. 샘 앨러다이스는 클럽을 안정시켰지만, 그의 실용주의적 전술은 종종 팬들에게 인기가 없었다. 반면 빌리치의 부임은 공격적인 축구 스타일에 대한 기대를 불러일으켰다.#
크레스웰 자신도 이러한 변화를 인지하고 있었다. 그는 "이번 시즌 우리는 확실히 다른 철학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모든 경기에 자신감을 갖고 임하며, 누구도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새롭게 부여된 공격적 의지를 강조했다. 이러한 변화는 풀백이 공격에 더 적극적으로 가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름 이적 시장은 팀의 공격 잠재력을 근본적으로 재편하는 계기가 되었다. 신뢰할 만했지만 상대적으로 역동성이 부족했던 스튜어트 다우닝이 떠난 자리는 마누엘 란시니와 같은 창의적인 재능, 그리고 결정적으로 마르세유에서 영입된 디미트리 파예트가 메웠다. 파예트는 리그 1에서 기술적으로 이미 정평이 난 선수였고, 그의 합류는 클럽의 야망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또한 크레스웰에게 왼쪽 측면에서 월드클래스 파트너를 제공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는 이미 2014-15 데뷔 시즌의 뛰어난 활약으로 '올해의 해머'와 '선수들이 뽑은 올해의 선수' 상을 모두 석권한 상태였다. 이로써 그는 팀의 핵심이자 신뢰받는 선수로 확고히 자리매김했으며, 새로운 시스템 하에서 더 큰 책임을 맡을 완벽한 준비가 되어 있었다. 이러한 요소들이 결합되면서 크레스웰의 2015-16 시즌은 단순한 개인 기량의 향상을 넘어, 전술적, 인적, 감정적 요인들이 그의 기존 강점을 극대화하고 경기력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린 특별한 시기가 되었다.
- 전술적 역할 변화와 팀 내 시너지
- '빌리치볼'의 핵심, 공격형 풀백으로의 진화
- 파예트와의 파트너십
- 앤디 캐롤과의 파트너십
빌리치는 웨스트햄을 "전술적으로 예측 불가능하면서도 일관성 있는 팀"으로 탈바꿈시켰다. 그는 시즌 내내 4-1-4-1, 4-2-3-1과 4-3-1-2를 포함한 여러 포메이션을 유연하게 사용했다. 이 시스템의 핵심 특징 중 하나는 공격적인 풀백의 활용이었다. 크레스웰은 새로운 철학이 "상대를 압박하고" "수적으로 우세하게 공격하는 것"이라고 언급하며, 풀백에게 공격적인 자유가 주어졌음을 시사했다. 축구 분석가 애드리안 클라크는 빌리치의 4-1-4-1 포메이션이 견고한 기반에서 전진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되었으며, 이 시스템에서 공격적인 풀백의 역할이 필수적이라고 분석했다.#
앨러다이스 체제 하에서 견고한 수비 유닛의 일원이었던 크레스웰의 역할은 빌리치 체제에서 극적으로 변화했다. 파예와 란시니 같은 기술적인 선수들의 움직임은 체계적으로 크레스웰을 위한 공간을 창출했고, 그는 팀의 주된 측면 공격 옵션이자 파이널 서드에서의 꾸준한 위협으로 기능했다. 그는 사실상 깊고 넓은 위치에서 플레이메이커 역할을 수행했으며, 이는 전 시즌보다 훨씬 복잡하고 중요한 임무였다.#
명목상 왼쪽 윙어였던 파예트는 자유로운 역할을 부여받아 중앙으로 이동하며 팀의 주 플레이메이커로 활약했다. 파예의 이러한 움직임은 왼쪽 측면에 자연스럽게 공간을 창출했고, 크레스웰은 이 공간을 오버래핑 돌파로 공략하는 임무를 맡았다. 크레스웰은 "오버래핑을 할 때면 공이 나에게 올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말하며, 이것이 계획된 패턴이었음을 말했다.#
전 시즌부터 이어진 크레스웰과 앤디 캐롤의 조합은 여전히 위력적이었다. 크레스웰의 정확한 크로스는 캐롤의 제공권을 극대화하는 중요한 무기였다.
- 주요 경기
- 2015년 8월 9일, 개막전 아스날과의 경기에서 모든 크로스를 차단하며 파예트에게 결정적인 크로스도 제공하는 듯 공수양면 뛰어난 활약을 펼쳐 2-0 승리에 일조했다.#
- 2015년 10월 24일, 2-1로 승리한 10R 첼시와의 홈 경기에서 결정적인 도움을 기록했다. 그는 앤디 캐롤의 결승골이 된 헤더를 정확한 크로스로 도왔다. 당시 챔피언을 상대로 거둔 이 승리는 웨스트햄의 시즌 초반 상승세를 보여주는 중요한 경기였다.#
- 2015년 12월 26일, 18R 아스톤 빌라전에서 미카일 안토니오의 횡패스를 받아 왼발 슛으로 브래드 구잔을 뚫고 골망의 오른쪽 하단을 갈랐다. 이 골은 그의 시즌 첫 득점이자, 팀의 388분간의 무득점 행진을 깨는 귀중한 골이었다.#
- 2016년 4월 17일, 34R 동화우승 신화를 써내려가는 레스터 시티 원정 경기에서 미카일 안토니오의 크로스가 굴절되어 페널티 박스 왼쪽의 그에게 향하자, 가슴으로 공을 컨트롤한 뒤 하프 발리슛으로 카스페르 슈마이켈을 무력화시키며 2-1 역전을 이끌었다.#
- 2016년 5월 10일, 35R 맨유와의 홈 경기는 불린 그라운드에서의 마지막 경기라는 역사적이고 감정적인 무게감이 가득한 경기였다. 경기 시작 10분 만에 침착함과 창의성을 발휘하며 왼쪽 측면의 마누엘 란시니에게 공간을 열어주었고, 란시니는 이를 받아 디아프라 사코의 선제골을 도왔다.
- 통계 및 분석
- 출전기록
- 팀 성적
- 프리미어리그
- FA컵
- 리그컵
- 유로파리그
- 공격 기여도
- 수비 기여도
- 기타
크레스웰은 모든 대회를 통틀어 47경기에 출전하며 웨스트햄에서 가장 많이 기용된 선수였다. 프리미어리그에서는 38경기 중 단 한 경기를 제외한 37경기에 선발 출전했으며, 총 3,315분의 출전 시간을 기록했다. 수비수로서 한 시즌 내내 거의 모든 경기를 소화한 그의 이러한 내구성은 팀에 대한 그의 중요성과 신뢰도를 잘 보여준다.
웨스트햄은 승점 62점을 획득하며 리그 7위로 시즌을 마쳤다. 이는 구단 역사상 프리미어리그 최고 승점 기록으로, 유럽 대항전 진출권을 확보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시즌 내내 강팀들을 상대로 인상적인 승리를 거두었는데, 아스널, 리버풀, 맨체스터 시티 원정에서 모두 승리했으며 홈에서는 첼시를 꺾었다.
FA컵에서는 8강까지 진출했으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의 재경기 끝에 아쉽게 탈락했다.
3R에서 레스터 시티에게 패배해 탈락했다.
시즌 초반에 치러진 유로파리그 예선에서는 3차 예선에서 루마니아의 FC 아스트라 지우르지우에게 패해 탈락했다, 리그컵 역시 3라운드에서 여정을 마감했다.
슬라벤 빌리치 감독의 공격적인 전술 아래 크레스웰의 공격 본능은 만개했다. 그는 프리미어리그에서 2골 4도움을 기록했으며, 모든 대회를 합쳐 총 6개의 도움을 기록했다. 이는 주장 마크 노블과 함께 팀 내 도움 공동 1위에 해당하는 기록으로, 수비수임에도 팀의 주된 창의성 공급원 중 하나였음을 증명한다.
파이널 써드로 공을 넣은 횟수는 349회로 리그 6위를 기록했고#, 키패스도 40회를 기록하며 팀 내에선 플레이메이커로 하드캐리하던 디미트리 파예트(119회)와 주장 마크 노블(50회)만이 앞설뿐이다.
공격적인 역할에도 불구하고 그의 수비적 기여도는 여전히 뛰어났다. 프리미어리그 37경기에 출전하는 동안 단 한 장의 옐로카드만을 받았다는 사실은 그의 지능적이고 침착한 수비 스타일을 보여주는 놀라운 기록이다. 또한, 그는 38개의 태클, 70개의 가로채기, 89개의 걷어내기를 기록하며 수비적으로도 견고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63개의 슈팅 블록은 팀 내 최고 기록으로, 몸을 아끼지 않는 그의 헌신을 증명한다.
- 이적설
- 맨체스터 시티는 가엘 클리시와 알렉산다르 콜라로프가 30대에 들어가면서 대체선수로 꾸준히 크레스웰을 주시했다.#
- 리버풀의 위르겐 클롭 감독은 알베르토 모레노를 대체하기 위해 크레스웰 영입 리스트에 올렸다. 예상 이적료는 약 1,500만 파운드로 평가되었다.#
- 이에 슬라벤 빌리치 감독은 언론을 통해 "크레스웰은 이곳에서 매우 행복하며, 오랫동안 우리와 함께할 것"이라고 직접 밝히며 이적설을 일축해야만 했다.# 그리고 2015년 6월에 이미 5년 계약을 체결했음에도 불구하고, 구단은 2016년 7월 그에게 1년 연장 계약을 추가로 제시하며 2021년까지의 동행을 약속했다.#
- 총평
이 시즌에 크레스웰은 개인 기량의 정점을 찍었다. 데뷔 시즌에 보여준 수비적 견고함에 더해, 슬라벤 빌리치 감독의 공격적인 전술 아래 새로운 차원의 공격적 자유와 창의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냈다. 그는 디미트리 파예트, 마누엘 란시니와 같은 창의적인 선수들과 환상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하며 뛰어난 공격 전개를 보여줬고, 이는 그가 단순한 수비수를 넘어 경기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선수임을 증명했다.
그의 꾸준함, 내구성, 그리고 결정적인 순간의 공격 기여는 팀이 프리미어리그 역대 최고 승점(62점)을 기록하고, 단순한 가성비 좋은 영입에서 리그 최상위 클럽들이 탐내는 선수로 변모시켰다. 마침내 국가대표팀에도 도달하며 2015-16 시즌은 의심의 여지 없이 애런 크레스웰의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경력을 정의하는 결정적인 순간이었다.
| <rowcolor=#ffffff> | ||||
| <rowcolor=#ffffff> 대회 | 출장경기 | 득점 | 도움 | 팀 순위 |
| 프리미어 리그 | 37 | 2 | 4 | 7 |
| 유로파 리그 | 3 | 0 | 0 | 3차 예선 |
| FA 컵 | 6 | 0 | 0 | 6R |
| 리그 컵 | 1 | 0 | 0 | 3R |
| <rowcolor=#ffffff> 총계 | 47 | 2 | 4 | |
1.3.3. 2016/17 시즌
- 시즌의 향방을 가른 부상
- 카를스루에 SC와의 프리시즌 친선경기에서 무릎 인대 부상을 당했다. 이는 유로파리그 예선을 포함한 시즌 준비에 한창이던 팀에 큰 타격이었다. 특히 두 시즌 동안 프리미어리그 76 경기 중 75 경기에 출전하며 팀의 핵심으로 활약하던 선수의 공백을 의미했기에 구단에는 큰 충격이었다. 의료진은 최소 4개월에서 최대 6개월의 결장이 필요한 것으로 예측했다.#
- 크레스웰의 장기 이탈은 팀의 수비 안정성과 이적 시장 계획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는 웨스트햄의 UEFA 유로파리그 예선 4경기에 모두 결장했고, 팀은 결국 플레이오프 라운드에서 루마니아의 FC 아스트라 지우르지우에게 패하며 탈락했다. 이 공백을 메우기 위해 구단은 올림피아코스에서 프랑스 출신 레프트백 아르튀르 마쉬아퀴를 급하게 영입해야만 했다.
- 복귀
- 국가대표 데뷔
- 팀의 부진과 개인의 폼 저하를 겪는 와중에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감독의 부름을 받아 잉글랜드 국가대표팀에 소집되었다. 비록 선발로 출전하지 못했지만 스페인과의 친선경기에서 후반 79분에 출장하여 꿈에 그리던 국가대표 데뷔를 하게된다. #
- 총평
크레스웰의 강점은 뛰어난 크로스와 세트피스 처리 능력에 있었지만, 이 시즌에는 단 2개의 도움만 기록할 정도로 공격포인트가 눈에 띄게 감소했다. 개인 부상, 구단의 신구장 이전, 드미트리 파예트의 이적 등의 요인이 컸다.
부상 회복 후 이전처럼 폼을 회복하지 못했다. 공격 시 보여주던 날카로움도 많이 무뎌졌고 경기당 1.1회를 기록하던 키패스도 0.7회로 줄었고 특히 크로스의 질이 상당히 나빠졌다. 수비 공헌도의 부진도 눈에 띄게 나타났는데 1.0회에서 0.8회, 인터셉트도 1.9회에서 1.0회로 줄었다. 웨스트 햄 워스트 선수까지는 아니었지만 포지션 경쟁자 아르튀르 마쉬아퀴가 나올때 더 좋은 모습을 보였음에도#, 빌리치 감독은 크레스웰에게 신뢰를 주었다. EPL 최악의 수비수 중 한명에도 선정될만큼 퍼포먼스가 상당히 형편없던 시즌이었다.#
| <rowcolor=#ffffff> | ||||
| <rowcolor=#ffffff> 대회 | 출장경기 | 득점 | 도움 | 팀 순위 |
| 프리미어 리그 | 26 | 0 | 2 | 11 |
| FA 컵 | 1 | 0 | 0 | 3R |
| 리그 컵 | 2 | 0 | 0 | 5R |
| <rowcolor=#ffffff> 총계 | 29 | 0 | 2 | |
1.3.4. 2017/18 시즌
- 빌리치 감독의 경질과 모예스 감독의 부임
슬라벤 빌리치 감독 체제에서 팀은 부진을 면치 못했고, 11월 초 리버풀에 4-1로 대패한 후 리그 18위 강등권으로 추락하자 구단은 결국 빌리치 감독을 경질했다.
데이비드 모예스 감독 부임 이후, 팀은 수비적 안정성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모예스 감독은 실용적인 접근법을 통해 팀을 재건했으며, 3백 또는 5백 수비 시스템을 가동했다. 이 전술 변화 속에서 크레스웰의 다재다능함이 빛을 발했다. 그는 전통적인 레프트백 역할뿐만 아니라, 3백의 왼쪽 중앙 스토퍼라는 새로운 역할을 부여받았다. 이 위치에서 그는 수비 라인에 안정감을 더하는 동시에, 정확한 왼발을 활용해 후방에서부터 공격의 시발점 역할을 수행했다. 때로는 공격 시 측면으로 넓게 움직이며 사실상의 플레이메이커처럼 기능하기도 했다.
- 주요경기
- 10R 2-2로 비긴 크리스탈 팰리스전에서 치차리토의 선제골을 어시스트해 시즌 첫 공격포인트를 올렸다.#
- 15R 맨체스터 시티전에서 세르히오 아게로를 효과적으로 봉쇄하며 수비진을 지휘했하며 어시스트까지 했으나 2-1로 패배했다.#
- 20R 3-3으로 비긴 본머스전에서 코너킥으로 제임스 콜린스의 선제골을 도왔다.#
- 22R 2-1로 이긴 웨스트 브롬위치전에서 높은 크로스로 앤디 캐롤의 헤딩골을 어시스트했다.#
- 27R 2-0으로 승리한 왓포드전에서 왼쪽 센터백으로 출전하여 상당히 높은 지점까지 오버래핑하여 공격 가담을 해서 어시스트도 기록했다.#
- 29R 기성용에게 완벽하게 유린당한 스완지 시티전에서 어시스트를 기록했으나 4-1로 대패한다.#
- 34R 스토크 시티전에서 후반 막판 쇄도하는 앤디 캐롤에게 얼리 크로스를 올려 극장골을 어시스트하며 1-1 무승부에 기여했고 금주의 팀에 선정되었다.##
- 36R 맨시티전에서 프리킥으로 득점하여 시즌 1골을 넣었으나 라힘 스털링에게 계속 뚫리며 팀은 4-1로 패배한다.#
- 이적설
- 총평
웨스트햄 구단 전체가 강등의 공포와 싸우며 힘겨운 한 해를 보냈지만, 크레스웰은 개인적으로 자신의 커리어에서 가장 생산적인 시즌 중 하나를 보냈다.
프리미어리그 36경기에 출전하며 보여준 그의 꾸준함은 팀 수비의 기반이었으며, 무엇보다 1골 7도움이라는 공격 포인트는 그의 가치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특히 7개의 도움은 리그 전체 수비수 중 최상위권에 해당하는 기록으로[4], 이는 그가 단순한 수비수를 넘어 팀의 핵심적인 공격 해결사 역할까지 수행했음을 의미한다. 데이비드 모예스 감독 부임 이후 3백의 왼쪽 중앙 수비수로 출전하며 전술적 유연성까지 선보인 점은 그의 축구 지능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프리미어리그 공식 웹사이트는 시즌 종료 후 그를 판타지 리그(FPL)의 '가성비 선수'로 선정했다.#
| <rowcolor=#ffffff> | ||||
| <rowcolor=#ffffff> 대회 | 출장경기 | 득점 | 도움 | 팀 순위 |
| 프리미어 리그 | 36 | 1 | 7 | 13 |
| FA 컵 | 1 | 0 | 0 | 4R |
| 리그 컵 | 2 | 0 | 0 | 8강 |
| <rowcolor=#ffffff> 총계 | 39 | 1 | 7 | |
1.3.5. 2018/19 시즌
다시 본래 포지션인 레프트백으로 복귀했지만 시즌 초반 아르튀르 마쉬아퀴에게 주전을 뺏기고 시즌 중반 햄스트링, 발가락 골절로 고생하다 시즌 말 무릎부상으로 아웃되었던 비운의 시즌이었다.19R 2-1로 이긴 사우스햄튼전 처음으로 주장완장을 달고 뛰었다.[5] 31R 4-3으로 이긴 허더즈필드전 공수양면 최고의 플레이를 펼쳤고 어시스트도 기록했다.[6]
4년 재계약에 합의하며 2023년까지 뛰게 되었다.[7]
| <rowcolor=#ffffff> | ||||
| <rowcolor=#ffffff> 대회 | 출장경기 | 득점 | 도움 | 팀 순위 |
| 프리미어 리그 | 20 | 0 | 1 | 10 |
| FA 컵 | 0 | 0 | 0 | 4R |
| 리그 컵 | 2 | 0 | 0 | 4R |
| <rowcolor=#ffffff> 총계 | 22 | 0 | 1 | |
1.3.6. 2019/20 시즌
| |
| 맨유전 프리킥골 애런 크레스웰 |
개막전 맨시티와의 경기에서 주장완장을 달고 뛰었지만 5-0으로 참패한다.[8] 마레즈에게 속절없이 농락당해 속력이 예전같지 않다는 비판에 직면하며 주전 자리를 아르튀르 마쉬아퀴에게 내주었다.
다시 선발로 복귀한 6R 맨유전에서 엄청난 프리킥으로 쐐기골을 기록했다.[9] 7R 본머스전에서 펠리피 안데르송이 떨궈준 공을 강력한 발리슛으로 연결하며 동점골을 기록하며 커리어 첫 2경기 연속골을 달성했다.[10] 14R 첼시전에서 파블로 포르날스의 패스를 받은 뒤 한번 접으며 수비수를 완전히 제쳐냈고 이어 골문 구석을 찌르는 날카로운 슈팅으로 결승골을 만들어내며 1-0으로 승리했다.[11] 16R 아스날전에서도 전반전은 물론 후반전에 부상을 당하기 직전까지는 페페를 완전히 지워버렸다.
3골을 기록하며 프리미어 리그 커리어 하이를 기록했지만 강점이었던 크로스를 잃어버려 커리어 처음으로 어시스트를 기록하지 못했다. 무엇보다 수비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면서 과연 웨스트 햄 1선발 레프트백으로 알맞은지 비판이 쏟아져 나왔다. 원래 수비가 강점이 아니었던 풀백이라고 하더라도, 부상으로 지난 시즌 제대로 뛰지도 못했는데 90분당 태클 및 인터셉터 횟수는 2.7에서 2.0으로 떨어졌는데 파울과 카드수집만 증가했다.
특히 아다마 트라오레, 알랑 생막시맹, 라힘 스털링 같은 강팀의 월드 클래스 선수들을 상대로는 대책없이 뚫려버려서 레스터전과 울브스전 더블, 뉴캐슬전 패배에 상당한 지분이 있었다. 하지만 노리치와 같은 승격팀에게는 킥 하나로 얄짤없이 축구교실을 열어버린다.
| <rowcolor=#000> 2019/20 시즌 | ||||
| 대회 | 출장경기 | 득점 | 도움 | 팀 순위 |
| 프리미어 리그 | 31 | 3 | 0 | 16 |
| FA 컵 | 1 | 0 | 0 | 4R |
| 리그 컵 | 1 | 0 | 0 | 3R |
| 총계 | 33 | 3 | 0 | |
1.3.7. 2020/21 시즌
| |
| 웨스트 햄 전담키커 애런 크레스웰 |
포백과 쓰리백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데이비드 모예스 감독 아래, 포백에선 풀백으로 쓰리백에선 왼쪽 센터백으로 출장하며 신임을 받는다. 지난 시즌의 부진했던 폼에 우려를 표했던 여론을 뒤집어 새로운 포지션에 적응, 역할 변화를 꾀하며 시즌 초반부터 기대를 뒤엎는 활약으로 머지사이드 말디니라는 얼토당토않는 별명까지 생겼다.[13] 무엇보다 본인이 쓰리백 시 왼쪽 센터백 자리를 편안해하기 때문에 예전 기량이 나오고 있다.[14]
4R 레스터 시티 FC전에서 얼리 크로스로 미카일 안토니오의 골을 어시스트하고 수비진영에서 클리어링 한 볼이 포르날스에게 넘어갔고 골로 연결로 한경기 2어시스트를 적립하며 금주의 팀에 정말 오랜만에 선정되었다.[15][16] 5R 토트넘 홋스퍼전에서 완벽한 프리킥 크로스로 파비안 발부에나의 만회골을 어시스트했다.[17]
8R 풀럼 FC전에서 프리킥으로 골대를 맞추기도 했고 좋은 수비력과 공격력을 보여주며 이날 웨스트햄에서 제일 잘했다고 평가 받았다.[18] 9R 셰필드 유나이티드전에서도 KOTM으로 선정되었다.[19][20]
11월달 센터백으로의 엄청난 활약으로 이달의 선수 후보[21]로 지명되었고 이달의 팀으로 선정되기도 했다.[22] 쓰리백의 일원으로 다시 잉글랜드 대표팀에 합류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23] 전 맨체스터 시티의 미드필더 마이클 브라운은 새로운 역할에 잘 적응한 아론 크레스웰의 변화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했다.[24]
12R 리즈 유나이티드전에서 훌륭한 프리킥 크로스로 안젤로 오그본나의 결승골을 어시스트하며 웨스트 햄 소속으로 200경기 출전 경기를 2-1로 승리하며 KOTM에 선정되었다.[25] 20R 3-2로 승리한 크리스탈 팰리스전 좋은 프리킥 크로스로 토마시 소우체크의 역전골을 어시스트했다.[26]
24R 3-0으로 승리한 셰필드 유나이티드전에서 깔끔한 코너킥 크로스로 이사 디오프의 추가골을 어시스트하며 KOTM에 선정되었다.[27] 27R 2-1로 승리한 리즈 유나이티드전에서 날카로운 코너킥 크로스로 크레이그 도슨의 추가골을 어시스트했고 경기 KOTM에 선정되었다.[28]
그러나 31R 레스터 시티 FC전에서 햄스트링 부상을 당해 2~3주간 결장이 예상된다.
34R 번리 FC전에서 복귀해서 주장으로 팀의 2-1 승리에 공헌했다.[29] 37R 3-1로 승리한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전에서는 안젤로 오그본나의 역전골을 어시스트했다.[30]
크레스웰은 프리미어 리그 최고의 풀백은 루크 쇼라며 칭송하며 계속해서 대표팀에 도전하겠다는 의견을 내비쳤다.[31] 그러나 EPL 파워랭킹에서 본인이 더 앞서며 루크 쇼와 비교해도 부족하지 않을 만큼 활약을 보여주었다.[32]
웨스트 햄 선수 중 가장 발전된 선수[33] 중 하나로 꼽히며 모예스 감독의 지도를 받으면서 볼을 잡았을 때 안정성이 상당히 향상되었다. 쓰리백 사용시 크레스웰을 시작으로 후방 빌드업이 시작되며 팀내 최다 터치(2307회), 최다 볼 전진(1266회), 최다 패스(1541회), 최다 어시스트(8회) 실책 또한 적어서 단 9회만 기록했다. 수비적으로도 지난 시즌보다는 안정되어서 리커버리 4위(307회), 경기당 드리블 돌파 허용도 1.1회에서 0.6로 줄었다. 또한 본인의 강점이었던 공격가담도 살아났는데 경기당 1.5회이던 찬스 메이킹을 2.7회까지 끌어올렸다. 또한 팀내 최다 기회창출인 96회를 기록했는데 이는 리그 전체 풀백 중 4위이다. 크로스 처리도 점점 노련해지며 가까운 포스트, 먼 포스트 할 것 없이 위협적인 무기로 만들었다.
EPL 파워랭킹 순위에도 49위에 위치했다. 웨스트 햄 선수로는 토마시 소우체크, 블라디미르 쿠팔에 이은 3위이고, 동 포지션 풀백 중엔 9위에 해당한다.[34] 잉글랜드 국가대표 레프트백인 벤 칠웰보다 높다.
14/15, 15/16 시즌 칼 젠킨스와 풀백 듀오로 활약했을 때 보다 블라디미르 초우팔과 뛰면서 더 좋은 시너지를 내고있고 20/21 시즌, 리버풀 사기급 풀백 듀오를 포함해 더 많은 골을 도운 풀백 듀오는 없었다.[35]
| <rowcolor=#000> 2020/21 시즌 | ||||
| 대회 | 출장경기 | 득점 | 도움 | 팀 순위 |
| 프리미어 리그 | 36 | 0 | 8 | 6 |
| FA 컵 | 2 | 0 | 0 | 5R |
| 리그 컵 | 1 | 0 | 0 | 4R |
| 총계 | 39 | 0 | 8 | |
1.3.8. 2021/22 시즌
이번 시즌에도 주전 멤버로 분류되어 활약했다.1라운드 뉴캐슬 유나이티드전에서 파블로 포르날스가 넘겨준 볼을 골문 구석으로 차넣으며 동점골을 기록했다. 쾌조의 출발을 알린 크레스웰은 그 후로도 꾸준히 선발로 출전하며 팀의 상승세에 일조했다.
이후 유로파리그 조별리그 3차전 KRC 헹크전에서 크레이그 도슨의 선제골과 이사 디오프의 추가골을 날카로운 킥으로 도우며 2도움을 올렸다. 며칠 후 열린 9라운드 토트넘 홋스퍼전에서도 훌륭한 코너킥으로 미카일 안토니오의 결승골을 도왔다.
선발로 계속 기용되고 있었지만 13라운드 맨체스터 시티전을 치르던 도중 부상을 당해 61분경 교체됐다. 이 부상의 여파로 약 한 달간 결장하다가 18라운드 노리치 시티전을 통해 명단에 돌아왔다.
복귀 후 얼마 지나지 않아 22라운드 리즈 유나이티드전에서 코너킥으로 재러드 보언의 동점골을 어시스트했다. 2월에는 더욱 물오른 모습을 보여줬는데, FA컵 4라운드 키더민스터 해리어스 FC전에서 경기 종료 직전 재러드 보언의 극장 결승골을 어시스트했다. 그리고 26라운드 뉴캐슬 유나이티드전에는 날카로운 프리킥 크로스로 크레이그 도슨의 선제골을 도왔다.
부상 복귀 이후 물오른 모습을 보여줬다. 31라운드 에버튼 FC전에는 완벽한 직접 프리킥으로 선제골을 기록했다. 킥의 컨디션도 상당히 좋고, 본인도 자신감이 붙은 플레이를 보여주면서 맹활약을 이어갔다.
그러던 도중 유로파리그 8강 1차전 올랭피크 리옹전에서 무사 뎀벨레에게 결정적인 기회를 저지하는 파울을 범해 이른 시간에 퇴장당하며 역적이 될 뻔 했다. 다행히 팀이 2차전에 대승을 거둬 준결승에 진출하며 해프닝으로 넘어가는가 싶었지만...
유로파리그 준결승 2차전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전에서 8강 때와 똑같은 파울을 옌스 페테르 하우게에게 범해 이른 시간에 퇴장당하고 말았다. 팀은 이미 1차전에서 패배한 상황에 수적 열세까지 겹치며 위기를 극복하지 못했고, 결승 진출 직전에 탈락이라는 결과를 받아들어야만 했다.
그 후 이어진 리그 경기에서는 계속 주전으로 뛰었지만, 시즌 막판 유로파리그에서 대형 사고를 두 번이나 치는 등 사건이 많았던 시즌으로 남았다.
| <rowcolor=#000> 2021/22 시즌 | ||||
| 대회 | 출장경기 | 득점 | 도움 | 팀 순위 |
| 프리미어리그 | 31 | 2 | 3 | 7 |
| 유로파리그 | 9 | 0 | 3 | 준결승 |
| FA 컵 | 1 | 0 | 1 | 5R |
| 리그 컵 | 1 | 0 | 0 | 8강 |
| 총계 | 42 | 2 | 7 | |
1.3.9. 2022/23 시즌
이번 시즌에도 우선 주전으로 뛰면서 시즌을 시작했다. 그러나 전보다 확연히 떨어진 폼을 보여 안타까움을 샀다. 신체적으로 많이 떨어진 모습을 보여줬고, 새로운 측면 수비수가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팀은 에메르송 팔미에리를 영입했다.그래도 종종 클래스를 보여주는 경기도 있었다.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조별리그 2차전 실케보르 IF전에서 좋은 코너킥으로 크레이그 도슨의 추가골을 도우면서 시즌 첫 공격포인트를 기록했다.
시즌 초 웨스트햄이 부진할 당시에는 본인도 상당히 불안한 폼을 보여줬지만, 9라운드 울버햄튼 원더러스전을 기점으로 팀의 퍼포먼스가 좋아지면서 크레스웰의 활약도 개선됐다. 풀백으로도 나오고 에메르송이 출전할 때는 센터백으로 들어가는 등 여러 위치에서 무난하게 활약했다.
그러나 14라운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전 패배 이후 팀이 무너져 연패를 보이기 시작하자 시즌 초처럼 불안한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17라운드 아스날 FC전에 부카요 사카에게 농락당하면서 상당히 아쉬운 모습을 보여줬다. 그 결과 한동안 에메르송에게 밀려 주전 자리를 반납했다.
후반기에는 거의 대부분을 후보로 밀려서 보냈고,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등 컵대회에서나 출전 기회를 얻는 상황이었다. 그러다가 4월로 넘어와 30라운드 풀럼 FC전을 통해 리그에서는 정말 오랜만에 선발 출전 기회를 잡았다. 직전 경기에서 뉴캐슬에게 5 : 1로 패배하면서 분위기 전환이 필요했고, 크레스웰의 투입은 제법 효과를 거두면서 승리를 따냈다.
풀럼전을 기점으로 다시 선발 멤버로 자리잡았다. 31라운드 아스날전에는 기회창출 3개를 기록하는 등 뛰어난 활약을 보여 1위 아스날을 상대로 무승부를 거두는 데 기여했다. 그리고 32라운드 AFC 본머스전에는 코너킥으로 미카일 안토니오의 득점을 도왔다. 35라운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와의 경기에서도 노련한 수비를 보여주며 1-0 승리의 큰 도움이 됐다. 경쟁자인 에메르송도 수비 면에선 많이 불안한 상황이었고, 크레스웰이 신체 능력은 많이 떨어졌지만 노련한 플레이를 지닌 선수인지라 기용할만한 가치를 보여줬다.
여름 이적시장에서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와 링크가 떴다. 다만 팬들의 민심은 별로 좋지 않은 편. 예상 이적료는 £2M.
8월 10일 풋볼 인사이더에 따르면 울버햄튼 이적이 근접했다고 하였다. 이후 이적 시장이 종료되어 잔류하였다.
1.3.10. 2023/24 시즌
2024년 6월 5일, 웨스트햄 유나이티드와 2025년까지 재계약을 하였다. 시즌 총 18경기 1골.1.3.11. 2024-25 시즌
2024년 8월 15일, 웨스트햄의 부주장으로 임명되었다. 에메르송 팔미에리의 백업요원으로 활약중이다.[1] 다니엘 스터리지가 코벤트리 시티에서 맨체스터 시티로 이적할 때도 맨체스터 시티는 같은 이유로 보상금을 지불해야 했다.[2] 필드 플레이어 중 존 테리, 이바노비치, 크레스웰 단 3명만 달성한 기록이다.[3] 물론 베인스는 크레스웰의 2배에 해당하는 70개의 찬스 메이킹을 기록한 괴수였다.[4] 벤 데이비스,키어런 트리피어와 동률이다.[5] Southampton 1-2 West Ham: Felipe Anderson double earns visitors win[6] Analysis: How West Ham's final-fifth performance tamed the Terriers[7] Aaron Cresswell signs West Ham United contract extension[8] West Ham 0-5 Man City: Raheem Sterling scores hat-trick as VAR has first Premier League impact[9] West Ham 2-0 Manchester United: Andriy Yarmolenko and Aaron Cresswell sink lacklustre visitors[10] Bournemouth 2-2 West Ham: Aaron Cresswell strikes again to earn point for Hammers[11] Chelsea 0-1 West Ham: Aaron Cresswell strike eases pressure on Manuel Pellegrini 특히 이 승리는 2002년 이후 19년만에 얻어낸 첫 첼시 원정 승리이자, 33살의 나이로 EPL 무대에 데뷔한 늦깎이 신인 골키퍼 데이비드 마틴의 EPL 데뷔전 클린시트 승리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다. 크레스웰도 마틴을 축하하기 위해 경기가 끝나자마자 감정이 북받쳐서 울고 있는 마틴에게 달려가 위로해주었다.[12] West Ham 1-3 Arsenal: Three quick goals give Arsenal long-awaited win[13] West Ham's Merseyside Maldini Aaron Cresswell makes astonishing list of Prem's top stars when it comes to creating the most chances this season[14] Aaron Cresswell: I’m loving my new role in the side[15] Leicester 0-3 West Ham: Perfect away performance from Hammers[16] TEAM OF THE WEEK SEASON 2020/2021 - GAMEWEEK 4[17] https://www.skysports.com/football/tottenham-hotspur-vs-west-ham-united/428885[18] West Ham 1-0 Fulham: Ademola Lookman misses last-minute penalty[19] https://www.skysports.com/football/sheffield-united-vs-west-ham-united/428924[20] Sheffield United 0-1 West Ham United[21] ernandes, Jota & Lloris nominated for GIVEMESPORT Fans' Premier League Player of the Month award[22] Ziyech and Fernandes head up star studded Premier League November best XI[23] Aaron Cresswell thriving in three-man West Ham defence - is England recall next?[24] Former Premier League Midfielder Impressed With Aaron Cresswell's Resurgence[25] Leeds United 1-2 West Ham United[26] Crystal Palace 2-3 West Ham: Tomas Soucek at double as Hammers extend perfect start to 2021[27] West Ham United 3-0 Sheffield United[28] Lingard and Dawson take West Ham up to fifth[29] Burnley 1-2 West Ham: Michail Antonio double sends Hammers into fifth in Premier League table[30] West Brom 1-3 West Ham: David Moyes' side close in on Europa League qualification[31] Man Utd star Luke Shaw hailed as "best left-back in Premier League" by England rival[32] West Ham star Aaron Cresswell in England team ahead of Man United's Luke Shaw based says new report based on statistics[33] West Ham United 2020/21 Season Review: Exceeding expectations as Hammers claim European Football[34] Harry Kane wins Premier League Power Rankings 2020/21[35] Watch: Every Aaron Cresswell and Vladimír Coufal assist from the 2020/21 season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애런 크레스웰|애런 크레스웰]]}}}{{{#!if external != "o"
[[애런 크레스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애런 크레스웰?uuid=b7f20d78-43da-4cd1-8477-f8eb4611f849|r21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애런 크레스웰?uuid=b7f20d78-43da-4cd1-8477-f8eb4611f849#s-2|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애런 크레스웰?from=211|이전 역사 보러 가기]]}}}#!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애런 크레스웰|애런 크레스웰]]}}}{{{#!if external != "o"
[[애런 크레스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애런 크레스웰?uuid=b7f20d78-43da-4cd1-8477-f8eb4611f849|r21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애런 크레스웰?uuid=b7f20d78-43da-4cd1-8477-f8eb4611f849#s-2|2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애런 크레스웰?from=211|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