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9 20:20:12

아담 올러

애덤 올러에서 넘어옴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2025년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아담 올러/선수 경력/2025년 문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아담 올러/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아담 올러/선수 경력/2025년#|]] 부분을
#!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KIA 타이거즈
2025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군
11 조상우 · 13 윤영철 · 19 윤중현 · 20 이준영
32 김현수 · 33 올러 · 38 장재혁 · 39 최지민
40 네일 · 43 김건국 · 51 전상현 · 53 김기훈
54 양현종 · 60 김도현 · 62 정해영
2군
0 곽도규 · 4 유지성 · 10 김태형 · 17 임기영
21 김사윤 · 24 김승현 · 28 이형범 · 31 박준표
37 강동훈 · 41 황동하 · 46 김정엽 · 48 이의리
49 김민주 · 50 유승철 · 59 양수호 · 61 김민재
63 이호민 · 69 김대유 · 02 강이준 · 03 박건우
06 장민기 · 012 강병우 · 014 이승재 · 015 이도현
017 김세일 · 021 홍원빈 · 022 오규석 · 028 최건희
029 나연우 · 030 임다온 · 032 이성원 · 039 성영탁
050 조대현
최종 편집: 2025년 5월 10일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육성선수
타 KBO 리그 구단 명단 보기
}}}}}}}}} ||
KIA 타이거즈 등번호 33번
이형범
(2024)
올러
(2025~)
현역
<nopad> 파일:아담 올러 2025 정면 프로필.png
<colbgcolor=#ea0029><colcolor=#fff> KIA 타이거즈 No.33
아담 올러
Adam Oller
본명 애덤 새뮤얼 올러
Adam Samuel Oller
출생 1994년 10월 17일 ([age(1994-10-17)]세)
텍사스 주 콘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콘코디아 루서런 고등학교 - 루이지애나 노스웨스턴 주립대학교 (생물학 전공)
신체 193cm / 102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16년 드래프트 20라운드 (전체 615번, PIT)
소속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22~2023)
마이애미 말린스 (2024)
KIA 타이거즈 (2025~)
시드니 블루삭스 (2020/21)
계약 1yr / $1,000,000[1]
연봉 2025 / $600,000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KIA 타이거즈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아담 올러/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2022년 2023년 2024년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5년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애덤올러포심패스트볼.gif
포심 패스트볼
파일:애덤올러슬러브.gif
슬러브
파일:애덤올러체인지업.gif
체인지업

패스트볼은 평균 93~95마일에 머물며, 최고 96마일까지 나온다. 또한 MLB기준 평균보다 4.8인치 우타자 몸쪽으로 휘는 투심성 패스트볼을 구사한다. 컨트롤이 좋아 스트라이크 존에 꽂아넣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80마일 중반대에서 형성되는 슬러브는 우타자를 상대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서드피치로는 80마일 중반대의 체인지업을 구사하며, 이는 2020~21년 메츠에서 갈고닦은 구종이라고 한다. 하지만 아직은 완성도가 떨어져 좌타상대 어려움을 겪는다.

제임스 네일과 함께 주무기 스위퍼와 비슷한 구종인 슬러브를 활용해 원투펀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2]

2025년 KBO에서 보여주는 모습은 전형적인 파이어볼러 투수로 보여지고 있다.패스트볼 기준 평균 152km를 던지고 있고 스트라이크존 안에 집어 넣는 능력은 좋지만 제구가 좋지 못한것이 단점이다.

그리고 제임스 네일과 달리 체력이 좋고 선발 경험이 많아 투구수가 많더라도 전형적인 이닝 이터의 역할은 아니지만 5~7이닝을 소화 해주는 능력도 있다.

4. 여담

  • 형 조시 올러도 야구 선수였다. 같은 대학의 투수로 2014~15 시즌에 활약했으나 프로에 진출하지는 못했다.
  • 삼촌 그렉 코치(Greg Koch)는 미식축구 선수였으며, NFL 통산 159경기에 출전했다.
  • 2016년 KIA에서 뛰었던 지크 스프루일처럼 평상시에는 안경을 쓴다. 경기 시에는 렌즈를 착용해 안경을 벗는다.
  • 유니폼이 긴 바지로 되어 있는 야구 특성상 자주 볼 일은 없지만 오른쪽 종아리에 카마도 네즈코 문신이 있다. 인스타 사진으로 보아 정황상 마이애미 말린스 시절 한 것으로 보인다. # KIA 입단 후에는 성진우 문신도 새로 새겼고 # 팀 유튜브에서는 아예 2026년에 루피와 나루토문신까지 새긴다는 이야기를 했을정도. 외에도 인스타그램에 일본 애니 관련 계정을 다수 팔로우하고 있는 것을 보면 상당한 덕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네일한테 나루토 이야기를 할때 해외쪽 나루토 밈인 Naruto Run을 한 걸보면 일반인 수준은 아니다.
  • 선수들의 이야기에 따르면 평소에는 조용한 성격이라고 한다. 다만 같은 애니 덕후인 김도영에 의하면 애니 얘기를 하면 밝아지고 말이 많아진다고.흔한 오타쿠의 모습이다 김도영 왈, 자기가 본 작품들을 전부 봤다고 한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KBO 리그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파일:kt wiz 엠블럼.svg
디아즈
레예스
후라도
삼성 라이온즈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rowcolor=#fff> (1) 기예르모 에레디아의 부상에 따른 임시 대체 선수 (2025.4.20.~)
(2) 엘리에이저 에르난데스의 부상에 따른 임시 대체 선수 (2025.4.21.~)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KIA 타이거즈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숀헤어 파일:미국 국기.svg 브릭스 파일:미국 국기.svg
샌더스 파일:미국 국기.svg
피어슨(1) 파일:미국 국기.svg
배스(3)(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미첼(3) 파일:미국 국기.svg
말레브(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포조(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타바레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토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타바레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젠슨(3)(2) 파일:미국 국기.svg
리치(3) 파일:미국 국기.svg
루이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레스(3)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파일:미국 국기.svg
뉴선(2) 파일:미국 국기.svg
펨버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2)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3) 파일:캐나다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마뇽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스(2) 파일:미국 국기.svg
그레이싱어(3)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2) 파일:미국 국기.svg
블랭크(3) 파일:미국 국기.svg
그레이싱어 파일:미국 국기.svg
서브넥(2)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3) 파일:미국 국기.svg
서튼(2) 파일:미국 국기.svg
스코비(3) 파일:미국 국기.svg
에터톤(2) 파일:미국 국기.svg
로드리게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리마(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스(3) 파일:미국 국기.svg
발데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디아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페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구톰슨 파일:미국 국기.svg
로페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드리게스(1)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트(3)(2) 파일:미국 국기.svg
콜론(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페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트레비스 파일:호주 국기.svg
알렉스(1) 파일:미국 국기.svg
라미레즈(3)(2)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앤서니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앤서니(2) 파일:미국 국기.svg
빌로우(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어센시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홀튼(2) 파일:미국 국기.svg
토마스(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험버(2)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3) 파일:미국 국기.svg
스틴슨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헥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지크 파일:미국 국기.svg
버나디나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헥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팻딘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버나디나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헥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팻딘 파일:미국 국기.svg
해즐베이커(2) 파일:미국 국기.svg
터커(3) 파일:미국 국기.svg
터너 파일:미국 국기.svg
윌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 파일:미국 국기.svg
가뇽 파일:미국 국기.svg
터커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2) 파일:미국 국기.svg
다카하시(3) 파일:브라질 국기.svg
멩덴 파일:미국 국기.svg
터커 파일:미국 국기.svg
로니(2) 파일:미국 국기.svg
파노니(3) 파일:미국 국기.svg
놀린 파일:미국 국기.svg
소크라테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앤더슨(2) 파일:미국 국기.svg
파노니(3) 파일:미국 국기.svg
메디나(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소크라테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크로우(2) 파일:미국 국기.svg
알드레드(4) 파일:미국 국기.svg
라우어(3) 파일:미국 국기.svg
네일 파일:미국 국기.svg
스타우트(4) 파일:미국 국기.svg
소크라테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네일 파일:미국 국기.svg
올러 파일:미국 국기.svg
위즈덤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아담 올러의 이전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36번
유스메이로 페팃
(2018~2021)
아담 올러
(2022~2023)
스펜서 왓킨스
(2023)
마이애미 말린스 등번호 77번
브라이언 데 라 크루즈
(2021)
아담 올러
(2024)
결번
}}} ||

[1] 계약금 $200,000 / 연봉 $600,000 / 옵션 $200,000.[2] KBO에선 외국인 투수가 처음으로 슬러브를 선보이는 사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