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4 07:35:53

앙토니 모리스


파일:알 칼리즈 FC 로고.svg
알 칼리즈 FC 2025-26 시즌 스쿼드
1 알 나세르2 알 오우다 · 3 알 카브라니 · 5 헤보초
7 · 8 알 수마이리 · 9 샤리프 · 11 알 살렘
12 카나바 · 14 알 샤피 · 15 함지 · 17 포르투니스
18 알 하우사위19 알 압둘라 · 20 알 파하드
21 쿠르벨리스 · 22 라에드 · 23 세히치
24 알 하이다르 · 33 알 무타이리 · 39 알 함살
47 알 두바이스 · 49 모리스 · 66 압사
96 알 하이다리 · 99 알 아브단
공석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Anthony Moris p54986.png
알 칼리즈 FC No. 49
앙토니 모리스
Anthony Moris
<colbgcolor=#00814c><colcolor=#fff> 본명 앙토니 크리스티안 모리스
Anthony Christian Moris
출생 1990년 4월 29일 ([age(1990-04-29)]세)
벨기에 아를롱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룩셈부르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룩셈부르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기에|{{{#!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기에}}}{{{#!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6cm / 체중 75kg
포지션 골키퍼
주발 왼발
소속 <colbgcolor=#00814c><colcolor=#fff> 유스 스탕다르 리에주 (2005~2011)
선수 스탕다르 리에주 (2011~2014)
신트트라위던 VV (2014 / 임대)
KV 메헬런 (2015~2018)
RE 비르통 (2018~2020)
로얄 위니옹 생질루아즈 (2020~2025)
알 칼리즈 FC (2025~ )
국가대표 74경기 (룩셈부르크 / 2014~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여담5. 같이보기

1. 개요

룩셈부르크의 축구선수. 포지션은 골키퍼이다.

2. 클럽 경력

스탕다르 리에주 유스 출신으로, 프로 데뷔 후 후보 키퍼로 지내다가 2014년 1월 신트트라위던으로 잠시 임대를 다녀와 9경기를 출장했고, 임대 복귀 후 주전 기회를 위해 KV 메헬런으로 이적했지만 연이은 장기 부상으로 기회를 날리며 여전히 후보 신세를 면치 못했다.

결국 2018년 7월 18일, 메헬렌에서 나온 그는 벨기에 아마추어 클럽인 RE 비르통으로 이적하여 주전으로 뛰며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B(2부리그) 승격을 이끌었고, 다음 시즌에도 변함없이 주전으로 활약했다.

그러다 2020년 7월 30일, 위니옹과 3년 계약을 체결한 뒤 현재까지 주전 골키퍼로 활약하고 있다.

3. 국가대표 경력

유스 시절에는 벨기에 연령대 대표팀을 거쳤으나 아버지가 룩셈부르크인이었기 때문에 룩셈부르크 대표팀에서 뛸 수 있는 자격이 되었고, 2014년 2월 카보베르데와의 친선 경기에서 데뷔한 이후 현재까지 룩셈부르크 대표팀 넘버원으로 활약하고 있다.

4. 여담

5. 같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