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은 드라마에 대한 설명입니다.
아직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거나 출시되지 않은 드라마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공개 전 루머 및 공개 전 당사자에 의해 밝혀진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추후
아직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거나 출시되지 않은 드라마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공개 전 루머 및 공개 전 당사자에 의해 밝혀진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추후
#!if 회사 != null
제작사의 공식 발표에 따라
실제 모습과 달라질 수 있습니다.<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알로하, 나의 엄마들 (미정) 영제 | |||
| |||
언어별 제목 |
| ||
원작 | 이금이 - 소설《알로하, 나의 엄마들》 | ||
장르 | |||
방송 시간 | |||
방송 기간 | 방송 예정 | ||
방송 횟수 | |||
기획 | |||
제작사 | 사람엔터테인먼트 | ||
채널 | |||
추가 채널 | |||
제 작 진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연출 | 이준익 | |
극본 | 박은교[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기획 | ||
제작 | |||
프로듀서 | |||
촬영 | |||
미술 | |||
음악 | }}}}}}}}} | ||
출연 | |||
촬영 기간 | |||
스트리밍 |
: 미정 | ||
시청 등급 | |||
링크 |
1. 개요
제작 예정인 한국 드라마. 이금이 작가의 동명 베스트셀러를 원작으로 한 《알로하, 나의 엄마들》은 사진 한 장 손에 쥐고 만리 타향인 하와이로 시집을 갔던 ‘사진신부’들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 이민 1세대 남성들이 아닌 역사에서 주변화됐던 이른바 사진신부라 불렸던 여성들을 전면에 내세워 이들이 낯선 타향에서 어떻게 삶을 지속했고 어떻게 조선독립운동에 함께 했는지를 그린다.2. 공개 정보
2.1. 예고편
▲ 티저 |
2.2. 포스터
|
▲ 포스터 |
2.3. 스틸컷
2.4. 메이킹
2.5. 콘텐츠
3. 기획의도
기획의도 |
|
4. 등장인물
〈알로하, 나의 엄마들〉 인물관계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5. 음악
6. 방영 목록 및 시청률
<rowcolor=#ffffff> 회차 | 방영일 | 시청률(%) | 비고 | |
<rowcolor=#ffffff> 전국 | 수도권 | |||
<colbgcolor=#f5f5f5,#2d2f34> 1회 | 202y.mm.dd. | % | % | |
2회 | 202y.mm.dd. | % | % | |
※ 닐슨코리아 시청률 기준 ※ [범례] 최저 시청률 ・ 최고 시청률 |
7. 평가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8. 기타
8.1. 드라마 관련
- 현재 영화 《교산》을 준비 중인 이준익 감독은 사람엔터테인먼트에서 《알로하, 나의 엄마들》 제안을 받고 원작과 대본을 보고 작품에 대한 의미와 재미에 공감해 연출 차기작으로 결심했다는 후문이다.
- 이준익 감독은 자신이 시나리오를 처음부터 같이 준비하는 작품 외에 좀처럼 외부 연출 제안작을 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한 터라 《알로하, 나의 엄마들》 대본 완성도에 대한 관심도 상당하다.
8.2. 인물 관련
[1] 드라마 대본은 영화 《보통의 가족》 《마더》 《미쓰 홍당무》, 넷플릭스 시리즈 《고요의 바다》 등을 집필한 박은교 작가가 맡았다. 2024년 방송영상콘텐츠 기획안 공모에서 드라마 부문 우수상을 수상해 일치감치 드라마화에 대한 관심이 뜨거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