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16:33:56

알렉산더 알본/선수 경력/2025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알렉산더 알본|알렉산더 알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알렉산더 알본/선수 경력|알렉산더 알본/선수 경력]]
<nopad> 파일:윌리엄스 심볼.svg
2024 시즌 2025 시즌 현재
파일:포뮬러 1 로고 (화이트).svg
2025 시즌 순위 (5R)
현재 8위
알렉산더 알본
2025 시즌
파일:25알본.jpg
<colbgcolor=#0000cc><colcolor=#fff> 소속 팀 <colbgcolor=#fff,#191919>아틀라시안 윌리엄스 레이싱
경과
(5R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종료 기준)
우승 0회
폴 포지션 0회
패스티스트 랩 0회
포디움 0회
그랜드 슬램[1] 0회
해트트릭[2] 0회
폴 투 윈 0회
총점 20점
평균 스타팅 그리드[3] 10.2위
평균 완주 순위[4] 8.4위


1. 개요

알렉산더 알본F1 2025 시즌 활약상을 정리한 문서. 알본의 F1 참가 6번째 시즌이자 윌리엄스 소속으로 참가하는 4번째 시즌이다.

2. 프리 시즌

기존의 팀메이트였던 프랑코 콜라핀토알핀의 리저브 드라이버로 이적하였고, 새로운 팀메이트로 페라리에서 이적해 온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를 두게 되었다.

프리 시즌 테스트부터 윌리엄스의 레이스 카가 숏런과 롱런에서 모두 4강팀을 위협할 만한 페이스를 보였고, 알본 역시 프리 시즌 테스트에서 상위권을 마크하며 기대를 모았다.

3. 시즌 상세

3.1. 전반기

3.1.1. 1R: 호주 그랑프리

프리 시즌에서의 선전이 결코 거짓이 아니었음을 퀄리파잉에서 증명하였다. 팀메이트인 사인츠와 함께 동반 Q3 진출을 한 것에 그치지 않고, 페라리 듀오까지 눌러 무려 6위에 올랐다. 체커기를 받은 직후 알본은 크게 포효하였으며, 팀원들과 기쁨을 나누었다. 퀄리파잉 종료 후의 인터뷰에서도 매 경기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다며 기쁨을 표했다.

레이스에서도 출발 직후 르클레르에게 추월을 허용했지만 이후 빗속에서 해밀턴을 긴 시간 막아내는데 성공하며 7위를 유지했다. 이후 비가 다시 내리며 드라이버들이 다시 인터미디어트 타이어를 끼우는 상황 속에서 4위로 뛰어올랐고, 최후반부에 안토넬리에게 추월을 허용하였으나 안토넬리의 패널티로 4위로 레이스를 마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레이스 종료 후 안토넬리의 패널티 처분이 취소되며 5위로 변경되었다.

3.1.2. 2R: 중국 그랑프리

스프린트에서는 11위로 노 포인트 피니시했다.

10번 그리드에서 시작한 레이스에서는 미디엄 타이어로 주행한 첫 스틴트를 가장 길게 가져가며 잠시 레이스 선두로 올라서는 순간도 있었지만[5], 윌리엄스의 하드 타이어 페이스가 좋지 못한 모습을 보이며 큰 이득을 보지는 못했고 순위를 한 계단 끌어올리는데 만족하며 9위로 피니시했다. 그런데 레이스 종료 후 페라리 듀오가 실격당하면서 7위로 승격되어 6포인트나 벌어들이게 되었다.

이번 레이스 결과로 알본은 현재까지 총 16점을 획득하여 지난 시즌에 획득한 12점을 2라운드만에 뛰어넘게 되었다.

3.1.3. 3R: 일본 그랑프리

퀄리파잉에서는 이번에도 Q3에 진출해 9위를 기록하였다. 다음 날 레이스에서도 안정적인 레이스를 통해 9위로 완주하였다. 레이스 중반 기어 시프트와 피트인 작전에 불만을 표하며, 평소 보기 힘든 격정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3.1.4. 4R: 바레인 그랑프리

퀄리파잉에서는 16위로 Q1에서 탈락하였다. 다만 이것은 레이스 컨트롤의 실수로, 원래는 트랙 리밋을 위반한 니코 휠켄베르크가 탈락하는 것이 맞았으나 그것이 너무 늦게 지적되면서 알본으로서는 억울하게 되었다. 결국 휠켄베르크보다 한 계단 높은 15번 그리드에서 레이스를 시작한다.

레이스에서는 경쟁자들의 DRS 트레인에 갇혀 제때 추월하지 못하고 포인트권 밖에 머무르게 되었고, 결국 12위로 포인트 피니시에 실패하였다.

3.1.5. 5R: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퀄리파잉에서는 루이스 해밀턴과 단 0.007초의 차이로 11위를 기록, Q2에서 탈락하며 아쉬움을 삼켰다.

레이스에서는 좋은 페이스로 9위까지 올라섰고, 후반에 아이작 하자르의 추격을 받았으나 앞서 있는 팀메이트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의 DRS 사정권 속에서 달리는 팀플레이를 수행한 덕에 하자르에게 추월당하지 않고 최종 9위로 완주했다. 윌리엄스의 통곡의 DRS 트레인 전략이 먹혀든 그랑프리였다.

3.1.6. 6R: 마이애미 그랑프리

3.1.7. 7R: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

3.1.8. 8R: 모나코 그랑프리

3.1.9. 9R: 스페인 그랑프리

3.1.10. 10R: 캐나다 그랑프리

3.1.11. 11R: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3.1.12. 12R: 영국 그랑프리

3.1.13. 13R: 벨기에 그랑프리

3.1.14. 14R: 헝가리 그랑프리

3.1.15. 전반기 총평

3.2. 후반기

3.2.1. 15R: 네덜란드 그랑프리

3.2.2. 16R: 이탈리아 그랑프리

3.2.3. 17R: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

3.2.4. 18R: 싱가포르 그랑프리

3.2.5. 19R: 미국 그랑프리

3.2.6. 20R: 멕시코 시티 그랑프리

3.2.7. 21R: 상파울루 그랑프리

3.2.8. 22R: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3.2.9. 23R: 카타르 그랑프리

3.2.10. 24R: 아부다비 그랑프리

4. 시즌 총평


[1] 퀄리파잉 1위, 레이스 1위, 패스티스트 랩 달성, 레이스 진행 중 모든 랩에서 선두[2] 퀄리파잉 1위, 레이스 1위, 패스트스트 랩 달성[3] 피트레인 스타트 제외[4] 리타이어 경기 제외[5] 무려 10년만에 윌리엄스가 레이스 리더가 된 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