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체스 선수 순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em" | 순위 | 이름 | 레이팅 |
1위 | | 2837 | |
2위 | | 2804 | |
3위 | | 2787 | |
4위 | | 2782 | |
5위 | | 2776 | |
6위 | | 2771 | |
7위 | | 2758 | |
| 2758 | ||
9위 | | 2757 | |
| 2757 | ||
11위 | | 2751 | |
12위 | | 2749 | |
13위 | | 2747 | |
14위 | | 2746 | |
15위 | | 2743 | |
16위 | | 2739 | |
| 2739 | ||
18위 | | 2738 | |
| 2738 | ||
20위 | | 2736 | |
21위 | | 2734 | |
22위 | | 2729 | |
23위 | | 2723 | |
24위 | | 2722 | |
25위 | | 2720 | |
| 2720 | ||
27위 | | 2717 | |
28위 | | 2714 | |
29위 | | 2707 | |
30위 | | 2706 | |
| 2706 | ||
32위 | | 2701 | |
33위 | | 2698 | |
34위 | | 2696 | |
35위 | | 2695 | |
| 2695 | ||
37위 | | 2694 | |
38위 | | 2693 | |
| 2693 | ||
40위 | | 2692 | |
| 2692 | ||
42위 | | 2687 | |
43위 | | 2686 | |
44위 | | 2684 | |
45위 | | 2682 | |
46위 | | 2679 | |
47위 | | 2676 | |
48위 | | 2675 | |
49위 | | 2674 | |
50위 | | 2672 | |
2025년 5월 기준. 비활성화된 선수 제외.[1] | |||
<colbgcolor=#fff><colcolor=#000> 알렉산드르 이고례비치 그리슈크 Aleksandr Igorevich Grischuk Алекса́ндр И́горьевич Грищу́к | |
| |
출생 | 1983년 10월 31일 ([age(1983-10-31)]세) |
러시아 모스크바 | |
국적 |
|
타이틀 | GM(2000) |
Elo 레이팅 | 27082024년 7월 기준 2810최고 레이팅 |
|
1. 개요
러시아의 체스 선수. 러시아의 체스 선수. 블리츠 챔피언을 3회 달성했다.2. 선수 경력
2000년, 16세의 나이에 세계 랭킹 100위권에 진입한 이후, 2800이 넘는 퍼포먼스 레이팅을 보이며 여러 토너먼트를 석권했다. 월드 체스 챔피언십[1]에도 출전했는데, 준결승까지 올라간 이후 떠오르는 러시아의 신동으로 주목받았다.2002년에는 8.5/13의 승점으로, 타타 스틸 토너먼트의 전신인 코러스 토너먼트에서 준우승을 거두었다. 올림피아드에서는 카스파로프에 이은 2번 보드로 출전하며 활약하여 러시아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2004년은 또다시 체스 챔피언십에 출전했다. 그러나 챔피언이 되는 루스탐 카심자노프에게 8강에서 패배했다.
2005년 월드컵에서는 또다시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루슬란 포노마리오프에게 패배하며 준결승의 성적을 거두었다. 이때의 활약으로 2007년 도전자 결정전에 출전권을 부여받았다. 23세의 젊은 나이로 아난드, 레코, 스비들러 등 베테랑들에게 고전하며 8명 중 8등으로 토너먼트를 마무리했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의 그랑프리에서는 3위의 성적을 거두었다. 이 성적으로 도전자 결정전 진출권을 포기한 칼슨의 대체자로 2011년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했다. 녹아웃 토너먼트 방식에서 아로니안과 크램닉을 꺾으며 결승까지 가는 데에 성공하지만 결승전에서 보리스 겔판드에게 패배하며 도전자가 되지는 못했다. 또한 2011년에는 체스 월드컵에도 출전했는데, 강한 마스터들을 꺾으며 결승까지 가는 데에 성공했지만 이번엔 표트르 스비들러에게 패하며 우승에 실패했다.
2013년에는 월드컵 준우승의 성적으로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했다. 그러나 칼슨이라는 떠오르던 괴물에 밀려 6위로 토너먼트를 마쳤다. 바로 다음 해인 2014년, 러시아 챔피언십과 페트로시안 메모리얼에서 탁월한 퍼포먼스를 선보여 레이팅 2800을 넘어서며, 랭킹 3위를 달성했다.
2017년과 2019년에도 그랑프리에서 우승하여서 2018, 2020-21 도전자 결정전에 출전했다. 그러나 최전성기를 맞이한 카루아나와 네폼니아치 등의 활약으로 높은 성적을 내기에는 실패했다. 두 대회 모두 6위를 차지했다.
속기에서는 2006년, 2012년, 2015년 블리츠 챔피언을 달성했다. 이는 매그너스 칼슨을 제외하면 가장 많이 챔피언을 달성한 기록이다. 반면 래피드 챔피언십에서는 준우승을 두 번 기록했다.
2020년 이후에도 여러 대회에 출전했지만, 나이가 들어서 예전 같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024년 우즈베키스탄에서 열린 우즈컵에서 10명 중 10등을 차지하며 레이팅이 2700 아래로 내려갔다. 사실상 클래시컬에서는 은퇴라고 봐도 무방할 듯 하다. 그러나 온라인 오프라인 속기에서는 아직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지켜볼 만 하다.
3. 기풍
직관적이고 공격적인 수를 두며, 속기에 강하다는 점에서 러시아의 이안 네폼니아치와 상당히 유사한 기풍을 가지고 있다. 백으로는 카탈란을 선호하고, 흑으로는 킹스 인디언 디펜스와 스베시니코프, 나이돌프를 주로 사용한다. 가끔 베를린 디펜스도 사용한다.4. 기타
키가 매우 크다. 190cm 가까이 되는 장신으로, 자신이 체스 선수가 아니었다면 농구 선수에 도전했을 것이라고 한다.러시아인답게 보드카를 매우 좋아한다고 밝혔다.
러시아의 그랜드마스터 카터리나 라그노[2]와 결혼하여 슬하에 세 자녀를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