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1 06:02:40

알렉산다르 파블로비치


[[마누엘 노이어|1 노이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2 우파메카노 · 3 김민재 · 4 타 · [[요주아 키미히|6 키미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7 그나브리 · 8 고레츠카
9 케인 · 10 무시알라 파일:부상 아이콘.svg · 11 N. 잭슨 · 14 루이스 디아스 · 17 올리세 · 19 데이비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 20 비쇼프
21 이토 파일:부상 아이콘.svg · 22 게헤이루 · 23 보이 · 26 울라이히 · 27 라이머 · 30 키알라 · 40 우르비히
42 칼 · 44 스타니시치 · 45 파블로비치 · 47 산투스 다이베르 · 48 클라나크
파일:UEFA BEL.png 뱅상 콤파니 {{{#!folding [ 스태프 더보기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Aleksandar Pavlović(25-26).png
<colbgcolor=#dc052d><colcolor=#fff> FC 바이에른 뮌헨 No. 45
알렉산다르 파블로비치
Aleksandar Pavlović
출생 2004년 5월 3일 ([age(2004-05-03)]세)
독일 바이에른주 오버바이에른현 뮌헨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세르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세르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8cm / 체중 75kg[1]
포지션 수비형 미드필더
주발 오른발 (양발)
등번호 독일 대표팀 5
FC 바이에른 뮌헨 45
소속 <colbgcolor=#dc052d><colcolor=#fff> 유스 SC 퓌르스텐펠트브루크 (2010~2011)
FC 바이에른 캄푸스 (2011~2023)
선수 FC 바이에른 뮌헨 II (2023~2024)
FC 바이에른 뮌헨 (2023~ )
국가대표 7경기 1골[2] (독일 / 2024~ )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dc052d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c052d><colcolor=#fff> 역대 등번호 독일 대표팀 - 5번, 16번, 25번
FC 바이에른 뮌헨 - 45번
후원사 나이키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
6. 여담7. 같이 보기

1. 개요

독일 국적의 FC 바이에른 뮌헨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수비형 미드필더.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알렉산다르 파블로비치/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알렉산다르 파블로비치/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알렉산다르 파블로비치/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2023년 11월, 독일 U-20 대표팀에 소집되었다.

UEFA 유로 2024를 앞두고 세르비아와 독일 양 국가의 러브콜을 동시에 받고 있다. 파블로비치는 현재 세르비아보다는 독일 대표팀을 선호하고 있다.

일단 독일 감독인 율리안 나겔스만은 U-21 경기에서 테스트할 계획이고 파블로비치 본인도 독일 국대에 대한 의지가 강하기에 U-21 무대에서 증명하고 싶다는 기사가 나기도 했다. 하지만 세르비아가 파블로비치 영입에 너무 적극적인 상황이기 때문에 위기라 느꼈는지 독일에서 3월에 바로 A대표팀에 소집할 예정이라고 한다.

펀도선염으로 독일 대표팀에 하차하면서 아직 세르비아 국가대표로의 변경은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플로리안 플라텐베르그에 의하면 파블로비치는 비록 이번 3월 A매치는 본인의 몸상태로 인해 출전할 수 없게 되었지만 계속 독일 대표팀을 선택할 생각이라고 하며 독일 대표팀 현 미드필더진을 봤을 때 전체적으로 나이대가 높은 편이며[3] 파블로비치처럼 활동량과 기동력이 좋은 선수가 부족하기 때문에 기회는 얼마든지 올 수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독일의 UEFA 유로 2024 최종명단에 포함됨에 따라 본선 경기 출전 시 더 이상의 국적 변경은 불가하게 되었다.

2024년 6월 4일, 우크라이나와의 친선 경기에서 후반 71분 로베르트 안드리히와 교체되며 A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그러나 6월 13일, 편도선염으로 유로 명단에서 제외되었고,[4] 세르비아로 국적 변경이 다시 가능하지만 상술한대로 파블로비치는 독일 대표팀을 더 선호하여 국적 변경 가능성은 낮다.

결국 2024년 9월 8일, 2024-25 UEFA 네이션스 리그 조별리그 헝가리전에 후반 15분 파스칼 그로스와 교체 출전해 데뷔골을 넣어 더 이상 세르비아 대표팀에 뛰는 일은 없게 되었고, 본격적으로 독일 대표팀으로 커리어를 이어가게 되었다.

4. 플레이 스타일

안정적인 플레이를 선호하는 수비형 미드필더. 양발을 모두 잘 쓰는데다 체격도 좋아서 다재다능한 면모를 보여준다. 중원 전 지역을 커버하는 압도적인 활동량과, 전중후 빌드업 또한 뛰어나다. 레지스타와 박스 투 박스에서 동시에 높은 클래스를 보여주는 희귀한 유틸리티 자원이다.

종합적으로 보면, 플레이 스타일이 전임 미드필더였던 샤비 알론소와 매우 유사하다. 안정적인 사이드 전개를 선호하면서 대지를 가르는 정확한 롱패스 등이 그의 무기.[5]

패스의 질이 전반적으로 좋은데, 보통은 안정적으로 공을 돌리지만 전진패스나 롱패스 역시 준수하다. 양발을 이용해 적재적소에 공을 공급해주는 능력이 좋다. 시야가 넓고 패스 줄기를 잘 보기 때문에 방향 전환에 상당히 능하며 빌드업시 성실한 움직임과 적절한 위치 선정으로 주변 팀원들의 부담을 줄여주는 역할도 잘 수행한다. 바이에른이 상대를 지배하는 경우가 대다수이기에 경기를 보면 후방 전개에 적극 가담하는 이 특징이 제일 두드러지는 부분 중 하나이다. 드리블 능력 또한 준수해서 탈압박이나 전진을 통한 볼 운반도 종종 시도한다.

수비적인 부분에서는 위치선정과 움직임이 좋아서 중원에서 침착하게 인터셉트하거나 경합에 참여하면서 잘 기여해주는 편이다. 공에 대한 집념이나 경기 내 판단력이 우수하여 치열한 중원 다툼에서 차이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깡 마른 몸과 다르게 피지컬적인 경합에서 크게 밀리지 않으며 수비 스킬도 그럭저럭 괜찮은 편이고 공중볼이나 지상 경합에서도 괜찮은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유망주치고 얼타는 모습도 잘 안보여주고 1군에 교체로 데뷔하자마자 도르트문트 상대로 어시스트를 쌓는다던가 요주아 키미히, 레온 고레츠카 등의 주전이 빠지고 임시로 땜빵을 메꾼 경기에서 훌륭한 활약을 보여주는 등 멘탈적인 부분도 좋은 평가를 받는다.

단점으로는 거칠고 무리하게 달려드는 수비를 주로 하여 실패 시 중원이 텅 비어버리는 경우가 적지 않으며 카드를 수집하는 경향이 있다보니 수비적인 부분에서는 발전이 필요하다. 발도 빠른 편은 아니며 지구력이 부족한 모습을 보여주기에 전후반 퍼포먼스가 확 갈린다던가 경기를 연속해서 뛸수록 폼이 떨어지는 모습도 보이고 있으며 아직 어린 선수라 경험 부족으로 자잘한 실수를 보이곤 한다. 3선~2.5선에서 안정적인 전개를 선호하기에 최일선으로의 과감한 패스는 잘 나오지 않는다는 것도 소소한 단점.

특히 지구력 부분은 어려서 그런지 본인의 지구력 상황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04년생이라 심폐 지구력이 완성이 덜 되었는데도 23-24, 24-25 시즌 동안 90분간 활동량이 12.7km에 육박할 정도로 지나치게 많이 뛴다.[6] 여기에 질병까지 앓았다보니 컨디션이나 몸 관리 쪽에서 경험이 쌓일 필요가 있어 보인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6. 여담

  • 아버지는 세르비아인이며, 어머니는 독일에서 태어난 세르비아인이다. 즉, 혈통만 따지면 100% 세르비아계인 셈.
  • 선수로 데뷔하기 전 바이에른 뮌헨의 볼보이였다.
  • U-16 시절 한동안 유스 무대에서 기회를 잡지 못하자 바이에른 주 연고지 팀인 운터하힝과 1860 뮌헨에서 노렸지만 본인이 거절하고 바이언에 남아서 결국 1군 무대까지 승선했다.
  • 23-24 시즌 전까지는 팬들에게도 듣보에 가까운 선수였지만 미드필더 자원이 부족했던 상황에 혜성같이 등장해서 1군에 정착해버렸다. 심지어 FM 2024에서는 포텐이 낮아서 방출되기 십상이다.[8] 어려운 상황에 등장한 로컬 유스에 기량도 출중해서 팬들이 아주 좋아한다.
  • 188cm 장신이지만 깡마른 체형이 과거의 레온 고레츠카를 연상 시킨다. 중앙 및 수비형 미드필더를 소화하는것도 공통점이다.

7.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c042d><tablebgcolor=#dc042d>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FC 바이에른 뮌헨
2025-26 시즌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C 바이에른 뮌헨 2025-26 시즌 스쿼드
파일:Manuel Neuer(25-26).png
파일:Dayot Upamecano(25-26).png
파일:Minjae Kim(25-26).png
파일:Jonathan Tah(25-26).png
파일:Joshua Kimmich(25-26).png
1 (C) 2 3 4 6 (VC)
마누엘 노이어
Manuel Neuer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GK
1986.03.27 ([age(1986-03-27)])
2011~2026
다요 우파메카노
Dayot Upamecano

파일:france-flag-round-icon-256.png | DF
1998.10.27 ([age(1998-10-27)])
2021~2026
김민재
Minjae Kim

파일:대한민국 원형 국기.svg | DF
1996.11.15 ([age(1996-11-15)])
2023~2028
요나단 타
Jonathan Tah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DF
1996.02.11 ([age(1996-02-11)])
2025~2029
요주아 키미히
Joshua Kimmich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MF
1995.02.08 ([age(1995-02-08)])
2015~2029
파일:Serge Gnabry(25-26).png
파일:Leon Goretzka(25-26).png
파일:Harry Kane(25-26).png
파일:Jamal Musiala(25-26).png
파일:Nicolas Jackson(25-26).png
7 8 (3C) 9 10 11
세르주 그나브리
Serge Gnabry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FW
1995.07.14 ([age(1995-07-14)])
2017~2026
레온 고레츠카
Leon Goretzka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MF
1995.06.02 ([age(1995-06-02)])
2018~2026
해리 케인
Harry Kane

파일:england-flag-round-icon-256.png | FW
1993.07.28 ([age(1993-07-28)])
2023~2027
자말 무시알라
Jamal Musiala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MF
2003.02.26 ([age(2003-02-26)])
2020~2030
니콜라 잭슨
Nicolas Jackson

파일:senegal-flag-round-icon-256.png | FW
2001.06.20 ([age(2001-06-20)])
2025
파일:Luis Díaz(25-26).png
파일:Michael Olise(25-26).png
파일:Alphonso Davies(25-26).png
파일:Tom Bischof(25-26).png
파일:Hiroki Ito(25-26).png
14 17 19 20 21
루이스 디아스
Luis Díaz

파일:콜롬비아 국기 원형.svg | MF
1997.01.03 ([age(1997-01-03)])
2025~2029
마이클 올리세
Michael Olise

파일:france-flag-round-icon-256.png | FW
2001.12.12 ([age(2001-12-12)])
2024~2029
알폰소 데이비스
Alphonso Davies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 | DF
2000.11.02 ([age(2000-11-02)])
2018~2030
톰 비쇼프
Tom Bischof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DF
2005.06.28 ([age(2005-06-28)])
2025~2029
이토 히로키
Hiroki Ito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 DF
1999.05.12 ([age(1999-05-12)])
2024~2028
파일:Raphaël Guerreiro(25-26).png
파일:Sacha Boey(25-26).png
파일:Sven Ulreich(25-26).png
파일:Konrad Laimer(25-26).png
파일:Cassiano Kiala(25-26).png
22 23 26 27 30
라파엘 게헤이루
Raphaël Guerreiro

파일:포르투갈 원형 국기.svg | DF
1993.12.22 ([age(1993-12-22)])
2023~2026
사샤 보이
Sacha Boey

파일:france-flag-round-icon-256.png | DF
2000.09.13 ([age(2000-09-13)])
2024~2028
스벤 울라이히
Sven Ulreich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GK
1988.08.03 ([age(1988-08-03)])
2021~2026
콘라트 라이머
Konrad Laimer

파일:오스트리아 원형 국기.svg | MF
1997.05.27 ([age(1997-05-27)])
2023~2027
카시아노 키알라
Cassiano Kiala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DF
2009.01.11 ([age(2009-01-11)])
2025~2027
파일:Jonas Urbig(25-26).png
파일:Lennart Karl(25-26).png
파일:Josip Stanišić(25-26).png
파일:Aleksandar Pavlović(25-26).png
파일:David Santos Daiber(25-26).png
40 42 44 45 47
요나스 우르비히
Jonas Urbig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GK
2003.08.08 ([age(2003-08-08)])
2025~2029
레나르트 칼
Lennart Karl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MF
2008.02.22 ([age(2008-02-22)])
2025~2026
요시프 스타니시치
Josip Stanišić

파일:croatia-flag-round-icon-256.png | DF
2000.04.02 ([age(2000-04-02)])
2021~2029
알렉산다르 파블로비치
Aleksandar Pavlović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MF
2004.05.03 ([age(2004-05-03)])
2023~2029
데이비드 산토스 다이버
David Santos Daiber

파일:포르투갈 원형 국기.svg | MF
2007.01.10 ([age(2007-01-10)])
2025~2027
파일:Leon Klanac(25-26).png
48 - - - -
레온 클라나크
Leon Klanac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GK
2007.03.01 ([age(2007-03-01)])
2025~2027
FC 바이에른 뮌헨 2025-26 시즌 임대 선수
파일:alexander-nuebel-fc-bayern-muenchen-dfl-sea-0001k4.png
파일:Bryan Zaragoza(23-24).png
파일:Arijon Ibrahimović(24-25).png
파일:Lovro Zvonarek(23-24).png
파일:1005059.webp
# # '''
#
'''
# #
알렉산더 뉘벨
Alexander Nübel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GK
1996.09.30 ([age(1996-09-30)])
2020~2029
VfB 슈투트가르트 임대
2026.06.30 복귀
브리안 사라고사
Bryan Zaragoza

파일:spain-flag-round-icon-256.png | FW
2001.09.09 ([age(2001-09-09)])
2024~2029
RC 셀타 데 비고 임대
2026.06.30 복귀
아리욘 이브라히모비치
Arijon Ibrahimović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MF
2005.12.11 ([age(2005-12-11)])
2023~2027
1. FC 하이덴하임 임대
2026.06.30 복귀
로브로 즈보나레크
Lovro Zvonarek

파일:croatia-flag-round-icon-256.png | MF
2005.05.08 ([age(2005-05-08)])
2024~2027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임대
2026.06.30 복귀
다니엘 페레츠
Daniel Peretz

파일:israel-flag-round-icon-256.png | GK
2000.07.10 ([age(2000-07-10)])
2023~2028
함부르크 SV 임대
2026.06.30 복귀
파일:1000005088.webp
파일:1000005069.webp
# #
마우리스 크라텐마허
Maurice Krattenmacher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MF
2005.08.11 ([age(2005-08-11)])
2024~2027
헤르타 BSC 임대
2026.06.30 복귀
주앙 팔리냐
João Palhinha

파일:포르투갈 원형 국기.svg | MF
1995.07.09 ([age(1995-07-09)])
2024~2028
토트넘 홋스퍼 FC 임대
2026.06.30 복귀
구단 정보
의장: 얀 크리스티안 드레젠 / 감독: 뱅상 콤파니 / 구장: 알리안츠 아레나
출처: FC 바이에른 뮌헨 공식 웹사이트 / 분데스리가 공식 웹사이트 / 트랜스퍼마크트
※ 주의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간략 틀을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간략 틀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373A3C,#DDD
<rowcolor=#FFF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1 올리버 바우만
(Oliver Baumann)
1990년 6월 2일 ([age(1990-06-02)]세) 6 0 파일:독일 국기.svg TSG 1899 호펜하임
12 알렉산더 뉘벨
(Alexander Nübel)
1996년 9월 30일 ([age(1996-09-30)]세) 2 0 파일:독일 국기.svg VfB 슈투트가르트
21 핀 다멘
(Finn Dahmen)
1998년 3월 27일 ([age(1998-03-27)]세) 0 0 파일:독일 국기.svg FC 아우크스부르크
DF 2 안토니오 뤼디거
(Antonio Rüdiger)
1993년 3월 3일 ([age(1993-03-03)]세) 81 3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
3 로빈 코흐
(Robin Koch)
1996년 7월 17일 ([age(1996-07-17)]세) 15 0 파일:독일 국기.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4 요나탄 타
(Jonathan Tah)
1996년 2월 11일 ([age(1996-02-11)]세) 39 0 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
13 은남디 콜린스
(Nnamdi Collins)
2004년 1월 10일 ([age(2004-01-10)]세) 1 0 파일:독일 국기.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15 발데마르 안톤
(Waldemar Anton)
1996년 7월 20일 ([age(1996-07-20)]세) 9 0 파일:독일 국기.svg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18 막시밀리안 미텔슈테트
(Maximilian Mittelstädt)
1997년 3월 18일 ([age(1997-03-18)]세) 15 1 파일:독일 국기.svg VfB 슈투트가르트
22 다비트 라움
(David Raum)
1998년 4월 22일 ([age(1998-04-22)]세) 30 0 파일:독일 국기.svg RB 라이프치히
23 로베르트 안드리히
(Robert Andrich)
1994년 9월 22일 ([age(1994-09-22)]세) 18 0 파일:독일 국기.svg 바이어 04 레버쿠젠
MF 5 파스칼 그로스
(Pascal Groß)
1991년 6월 15일 ([age(1991-06-15)]세) 16 1 파일:독일 국기.svg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6 요주아 키미히 파일:주장 아이콘.svg
(Joshua Kimmich)
1995년 2월 8일 ([age(1995-02-08)]세) 103 8 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
7 제이미 레벨링
(Jamie Leweling)
2001년 2월 26일 ([age(2001-02-26)]세) 3 1 파일:독일 국기.svg VfB 슈투트가르트
8 레온 고레츠카
(Leon Goretzka)
1995년 2월 6일 ([age(1995-02-06)]세) 63 15 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
10 나딤 아미리
(Nadiem Amiri)
1996년 10월 27일 ([age(1996-10-27)]세) 9 1 파일:독일 국기.svg 1. FSV 마인츠 05
14 카림 아데예미
(Karim Adeyemi)
2002년 1월 18일 ([age(2002-01-18)]세) 9 1 파일:독일 국기.svg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16 안젤로 슈틸러
(Angelo Stiller)
2001년 4월 4일 ([age(2001-04-04)]세) 5 0 파일:독일 국기.svg VfB 슈투트가르트
17 플로리안 비르츠
(Florian Wirtz)
2003년 5월 3일 ([age(2003-05-03)]세) 33 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
19 파울 네벨
(Paul Nebel)
2002년 10월 10일 ([age(2002-10-10)]세) 0 0 파일:독일 국기.svg 1. FSV 마인츠 05
20 세르주 그나브리
(Serge Gnabry)
1995년 7월 14일 ([age(1995-07-14)]세) 53 23 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
23 로베르트 안드리히
(Robert Andrich)
1994년 9월 22일 ([age(1994-09-22)]세) 18 0 파일:독일 국기.svg 바이어 04 레버쿠젠
FW 9 막시밀리안 바이어
(Maximilian Beier)
2002년 10월 17일 ([age(2002-10-17)]세) 5 0 파일:독일 국기.svg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11 닉 볼테마데
(Nick Woltemade)
2002년 2월 14일 ([age(2002-02-14)]세) 4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일정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2025년 9월 4일(목) 원정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2025년 9월 7일(일)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9일
}}}}}}}}}}}} ||
[1] FC 바이에른 뮌헨 공식 프로필[2] 2025년 10월 14일 기준[3] 2024년 기준으로 토마스 뮐러, 토니 크로스, 일카이 귄도안, 파스칼 그로스는 30대 중반에 접어들었고 요주아 키미히, 레온 고레츠카, 엠레 잔, 로베르트 안드리히, 율리안 브란트 등도 29세~30세로 나이가 적지 않은 편이다.[4] 대체자로 엠레 잔이 발탁되었다.[5] 패스뿐만이 아니다. 슛 스타일마져 매우 높은 싱크로율을 보여준다.[6] 팀에서 가장 많이 뛰는 키미히 조차 90분당 12.3km 정도를 뛴다[7] 뮌헨 근교에 위치한 마을의 클럽이다.[8] 반대로 이야기하면 타팀으로 플레이할 때 가격이 굉장히 싸서 가성비로 구매하기 쉽다. 다만 포텐이 낮은 편이라 스탯이 엄청 좋지는 않은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