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8 03:54:02

안드레아 베르타

파일:아스날 FC 심볼(화이트).svg
아스날 FC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9d8349,#b69c6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373a3c,#dddddd
<colbgcolor=#023474><colcolor=#ffffff> 산하 구단 아스날 FC아스날 WFC아스날 FC 클럽 아카데미
선수단 스쿼드 간략리저브 스쿼드 간략U-18 스쿼드 간략WFC 간략임대
스태프 보드진 및 스태프
역사 역사유니폼응원가
역대 시즌 2003-042010-112011-122012-132013-142014-152015-162016-172017-182018-19 /리그2019-20 /리그2020-21 /리그2021-22 /리그2022-23 /리그2023-24 /리그2024-25 /리그
주요 인물 역대 감독역대 주장역대 올해의 선수레전드
더비 매치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북런던 더비
파일:첼시 FC 로고.svg 북서런던 더비
구단 시설 에미레이트 스타디움아스날 스타디움 구 홈구장
관련 인물 스탠 크랑키 구단주|조쉬 크뢴케 구단주미켈 아르테타 감독
스폰서 에미레이트 항공 메인 스폰서아디다스 키트 스폰서
기타 아스날 마이너 갤러리대한민국과 관련된 이야기벵거볼과학 드립징크스크뢴케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 ||

파일:프리미어 리그 로고(화이트/가로형).svg
2024-25 시즌 구단별 단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키리아코스
도레카스
파일:노팅엄 포레스트 FC 로고.svg

미첼

파일:뉴캐슬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루드킨
파일:레스터 시티 FC 로고.svg
리처드
휴즈

파일:리버풀 FC 라이버 버드 로고(레드).svg
치키
베히리스타인

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
공석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티아구
핀투

파일:AFC 본머스 로고.svg
데이비드
위어

파일: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로고.svg

자일스
파일:브렌트포드 FC 로고.svg
공석
파일:사우스햄튼 FC 로고.svg
안드레아
베르타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몬치
파일:아스톤 빌라 FC 로고.svg
케빈
설웰

파일:에버튼 FC 로고.svg

홉스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마크
노블

파일: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게리
프로버트
파일:입스위치 타운 FC 로고.svg

윈스탠리
로렌스
스튜어트
파일:첼시 FC 로고.svg
스콧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두기
프리드먼
파일:크리스탈 팰리스 FC 로고.svg
토니

파일:풀럼 FC 로고.svg
}}}}}}}}}}}}}}} ||
Arsenal Football Club
파일:베르타.jpg
<colbgcolor=#f00000> 이름 <colbgcolor=#ffffff,#191919> 안드레아 베르타
Andrea Berta
출생 1972년 1월 1일 ([age(1972-01-01)]세)
이탈리아 롬바르디아브레시아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축구 경영인
경력 AC 카르페네돌로 (2002~2006 / 단장)
파르마 칼초 1913 (2006~2009 / 단장)
제노아 CFC (2009~2012 / 단장)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3~2017 / 기술 이사)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7~2025 / 단장)
아스날 FC (2025~ / 스포츠 디렉터)

1. 개요2. 스카우트/단장 경력
2.1. 아스날 FC 풋볼 디렉터
3. 평가4. 여담

1. 개요

이탈리아축구 경영인. 現 아스날 FC 스포츠 디렉터.

2. 스카우트/단장 경력

본래 은행원 출신으로 당시 브레시아 지방의 야간 축구 팀을 관리하는 일을 본업과 동시에 하고 있던 도중 AC 카르페네돌로[1]의 구단주 톰마소 기라르디가 그를 스카우트로 데려온다. 그로부터 1년 뒤 팀의 단장을 맡게 되고 2006년부터 파르마 칼초 1913로 팀을 옮기며 능력을 입증받기 시작한다.

2013년에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 기술 이사로 부임하게 되고 2017년부터 단장으로 역임했다.

2016년경부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단장으로 선임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었다. 현재는 사라진 이슈이며, 2022-23 시즌 여름 이적시장을 끝으로 토드 볼리 구단주가 취임한 첼시의 새 디렉터로 영전한다는 루머가 있다. 6월 20일 마리나 그라노브스카이아의 사임이 발표되며 링크가 더욱 진해졌다.

2024년 12월 8일, 스포츠 디렉터로 부임한 지 5개월 만에 댄 애쉬워스 디렉터와 결별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다시 한번 대체자로 그를 모니터링 중이라는 소식이 나왔다.

2025년 1월 6일부로 구단과의 계약을 상호 해지하며 12년간 몸담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를 떠나게 되었다. # 무직 생활 기간 동안 런던에 머물면서 영어 공부를 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다음 행선지로 프리미어 리그 구단이 유력시되고 있다. 베르타 본인 역시 프리미어 리그에서 일해보고 싶은 열망이 큰 것으로 보도됐다. 1월경에 AC 밀란이 디렉터직을 위해 접근했지만 베르타가 이를 거절했다고 한다. 이후 현재 디렉터직이 공석인 아스날 FC와 협상에 큰 진전이 있으며 3월 이내로 계약이 완료될 것이라고 파브리지오 로마노마테오 모레토가 동시에 보도했다.

2025년 3월 9일, 파브리지오 로마노가 아스날 FC행이 성사될 예정이라고 기사를 띄웠다.

2.1. 아스날 FC 풋볼 디렉터

2025년 3월 30일, 아스날 FC와 계약하고 스포츠 디렉터로 부임하였다.

전임자였던 에두 가스파르가 시즌 중에 나가버리는 바람에 이적 및 재계약 작업을 마무리하기도 해야하며 방출 작업도 해야하는, 부임 첫 해부터 막중한 임무를 떠안게 됐다. 특히 아스날이 25/26 시즌 여름 이적시장에서 스트라이커, 윙어, 미드필더 2명, 풀백, 골키퍼까지 영입을 할 계획인지라 베르타의 경험과 영향력이 그 어느 때보다 더 중요해졌다.

부임하자마자 본인의 픽이였던 브루누 기마랑이스, 빅토르 요케레스 이적설을 띄우고 이적시장 계획에 포함시키면서 매우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또한 니코 윌리암스의 에이전트와 협상을 하고 요케레스 역시 협상을 진행 시키는등 전임자였던 에두 가스파르와 차원이 다른 일 처리 속도와 시원시원한 플랜B, 플랜C 설정까지 보여주면서 아스날 팬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3. 평가

2010년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성공에 있어서 디에고 시메오네와 함께 자주 언급되는 인물 중 한명이다. 베르타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서 재임하는 동안 라리가 2회, 코파 델 레이 1회,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1회, UEFA 유로파 리그 1회, UEFA 슈퍼컵 1회 우승하면서 스페인뿐만 유럽에서 제일가는 명문팀으로 발돋움하는 데 성공했다.

베르타의 가장 큰 장점은 선수 보는 안목이 굉장히 넓다는 것이다. 포텐이 터지기 직전인 어린 선수부터 시작해 마지막까지 단물을 빨아먹을 수 있는 노익장까지 베르타 체제 하에 아틀레티코의 성공적인 영입은 정말 많다.

다비드 비야, 루이스 수아레스, 키어런 트리피어, 악셀 비첼과 같이 이전 구단들에서 쫓겨나는 모양새인 나이가 있는 자원들을 데려와 적재적소에 써먹게 도와주기도 했고, 앙투안 그리즈만, 로드리, 얀 오블락, 훌리안 알바레스, 로드리고 데 파울 같이 전성기 직전 나이에 있던 어린 선수들을 데리고 와서 팀의 핵심으로 자리 잡게 하는데도 성공했다. 디오구 조타, 마르코스 요렌테, 사무엘 리누 같이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선수들을 쏙쏙 집어와 잘 팔거나 팀의 자원으로 자리 잡게 하는 등 안목만 본다면 2010년대에 베르타에 견줄 만한 사람이 거의 없는 수준이다.[2]

싸게 사와 비싸게 파는 장사질도 굉장히 잘하는 유능한 단장으로 그리즈만, 뤼카 에르난데스, 로드리, 토마스 파티, 마테우스 쿠냐, 라다멜 팔카오, 잭슨 마르티네스, 디에고 코스타, 아르다 투란, 야닉 카라스코, 젤송 마르틴스, 테오 에르난데스, 라울 히메네스, 헤낭 로디, 알바로 모라타, 필리페 루이스, 올리베르 토레스 등 정말 성공한 선수부터 실패한 선수들까지 이적료 수익을 짭짤하게 잘 올리기로도 유명하다.[3]

영입 외적인 부분에서 가장 큰 호평을 받는 것은 그 한 성깔한다는 디에고 시메오네 감독과 무려 11년 동안 일을 했다는 것이다. 시메오네 감독은 단순히 생긴 것뿐만 아니라 실제 성격도 굉장히 불같고 한 성깔해서 베르타와 사무적으로 충돌한 경우가 더럿 있다고 한다. 시메오네가 아틀레티코에서 살아 있는 전설의 입지인 것을 감안한다면 어마어마한 도전이지만 베르타의 의견이 이겨 성공시킨 경우도 있기에 결국 시메오네와 함께 11년이라는 시간을 일한 것이다. 특히 축구에서 감독이나 디렉터 중 한쪽의 영향력이 과도하게 커지면 구단의 방향성이 틀어져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가 구단이 흔들리는 경우가 더럿 있는데 자칫하다가 너무 커질 뻔한 시메오네의 영향력을 적절히 통제 시켜준 인물인만큼 베르타도 어마어마한 고집과 성깔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팬들 사이에서는 제멋대로 움직인 전적이 몇 번 있어 호불호가 다소 갈리긴 하지만 적어도 아틀레티코의 성공에 있어 큰 축이 되어준 인물인 것은 확실하다.

물론 완벽한 사람은 없듯이 이 양반도 커리어에 오점을 남길 만한 행보가 있다. 대표적으로 테오 에르난데스를 레알 마드리드로 팔아치운 것, 주앙 펠릭스에게 구단 레코드 이적료를 갱신하고 데려오거나 토마 르마 영입 등 자세히 보면 알겠지만 정말 거액을 들인 영입과 같은 경우에는 타율이 생각보다 높지 않다.

4. 여담

공식 석상에서 인터뷰를 거의 하지 않는 등 매우 비밀리에 일을 처리하는 스타일이다. 기자들은 별로 좋아하지 않겠지만 구단 입장에서는 좋은 스타일의 디렉터이다.

조르제 멘데스를 포함해 많은 에이전트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이를 이용해 영입 경쟁에서 우위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1] 현재는 해체되었다.[2] 로드리는 발롱도르를 받았고, 그리즈만 역시 발롱도르 포디움에 들어가고 월드컵 위너까지 된 걸 감안하면 실로 어마어마한 안목이다.[3] 특히 유벤투스에게 모라타 임대료로 300억을 받아내거나 펠릭스의 첼시 반 시즌 임대 이적으로 170억 받아낸 것을 보면 엄청난 협상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