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min-width: 33%" {{{#!folding [ 활동 ] | 공범2 | 육각형 게임 | 피의 게임 |
자낳대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8000><tablealign=center><tablewidth=250><tablebgcolor=#008000> {{{#!wiki style="font-size: 36pt" | }}} |
1. 개요
2. 규칙
- 특수무기는 내구도가 무한이며, 오직 개척자만 사용할 수 있고 귀속된다.[1]
- 왕국 내에서 국왕과 부왕 간의 특수무기 이동은 자유롭다.
- 국왕 간의 합의 하에 특수무기를 양도, 거래할 수 있다.
- 개척자 무기는 총 12가지가 있으며, 개척자 무기 4개로 사신수 무기 1개가 조합된다. 단, 조합법은 정해져 있다.
- 사신수 무기는 종류당 1개씩 총 4체가 존재한다. 즉, 중복 조합이 불가능하다.
- 멸망한 국가의 왕은 사신수 무기를 소유한 경우 단 한번 국가를 재건설 할 수 있다.
3. 목록
3.1. 개척자무기
20개, 40개, 60개짜리는 각각 하급, 중급, 고급 개척자무기로 불린다. 회차가 지날수록 신의 상점에서 추가된다.3.1.1. 하급
아프로디테의 거울 | ||
| ||
✦20 | 공격력 10[A] | |
스킬 | ||
| 5초간 공격을 반사한다 | 200초 |
모티브인 아프로디테가 미의 여신이라는 것에서 착안하여 미모와 관련된 기물인 거울로 무기 컨셉이 잡힌 듯 하다. 다만 스킬의 경우, 신화보다는 거울의 성질은 이용하여 만들어진듯.
헤파이스토스의 망치 | ||
| ||
✦20 | 공격력 10[A] | |
스킬 | ||
| 자신의 인벤토리에 존재하는 모든 아이템의 내구도를 수리한다. | ?초 |
모티브는 당연히 헤파이스토스이다. 무기의 역사가 꽤 재밌는게 첫등장한 시즌에서는 정말 찬밥신세였지만 후속 시즌들에서는 수리 스킬의 수급이 줄어들면서 자연스레 헤파이스토스의 망치가 국민 무기가 된 것이 재밌는 포인트다.
데메테르의 벼이삭 | ||
| ||
✦20 | 공격력 10[A] | |
스킬 | ||
패시브 | 허기 수치가 감소하지 않는다. | |
| 눈보라를 일으켜 주위 적에게 구속을 건다. | ?초 |
데메테르가 수확의 신인 것에서 모티브를 따온 것으로 보인다.
헤르메스의 신발 | ||
| ||
✦20 | 방어력 1 | |
스킬 | ||
| 일정시간 비행한다. | ?초 |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스킬을 사용할 수 있는데, 사슬 신발에 택스쳐가 적용되어 방어력이 쪼끔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도 후반부에는 보호4 인챈트 패치를 붙여 어느정도 나아지긴 했다.
3.1.2. 중급
하나같이 일정 부분 문제가 있어서 게임 외적이나 내적으로 문가 있던 무기들이다.디오니소스의 지팡이 | ||
| ||
✦40 | 공격력 12[B] | |
스킬 | ||
| 술의 파도를 날려 취하게 한다. (독2, 멀미2, 재생2, 점프강화) |
모티브는 디오니소스가 포도주와 연관이 있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포도가 달린 나무 막대기로 제작된 듯 하다.
아르테미스의 단검 | ||
| ||
✦40 | 공격력 12[B] | |
스킬 | ||
| 화살 폭죽을 날린다. | |
| 일정 시간동안 화살을 퍼붇는 자동 포탑을 설치한다. 포탑은 최대 10개(하향 이후 5개)를 설치할 수 있다. |
모티브는 아르테미스다, 다만 아르테미스는 사냥의 신이니 활이 무기로 나와야 하는 거 아니냐 라는 생각도 드는데 아마도 활 같은 경우 당시 매직스펠로 구현하기 어려운 무기였기에 그나마 사냥과 관련이 있는 단검 형태로 제작된 듯 하다. 또한 스킬들의 컨셉이 화살을 날리는 것으로 제작되어 활이 어느정도 구현되긴 했다.
아폴론의 예언서 | ||
| ||
✦40 | 공격력 12[B] | |
스킬 | ||
패시브 | 메테오를 최대 10개 충전한다. | |
| 바라보는 방향에 메테오를 떨어트린다. |
아레스의 검 | ||
| ||
✦40 | 공격력 12[B*] | |
스킬 | ||
| 1단: 일시적인 보호막(저항)을 두른다. 2단: 주위의 적에게 일시적인 구속을 건다. 3단: 바라보는 방향에 지형을 관통하는 검기를 날린다. |
모티스는 전쟁의 신 아레스지만, 스킬 컨셉은 롤의 리븐에서 따온 듯 하다.
3.1.3. 상급
포세이돈의 삼지창 | ||
| ||
✦60 | 공격력 12 | |
스킬 | ||
패시브 | 물 위를 걷거나 잠수하면 버프를 얻는다. | |
| 물 위를 걸어다닐수 있다. | |
| 상대를 구속하고 데미지를 입힌다. |
포세이돈의 트라이아나가 모티브이다.
제우스의 창 | ||
| ||
✦60 | 공격력 12 | |
스킬 | ||
패시브 | 자신의 위에 구름이 생성된다. 명령어로 번개를 떨어뜨릴수 있다. 번개는 최대 20개까지 충전할수 있으며 스킬을 쓸때마다 이 번개를 소비한다. | |
낙뢰 | 번개 하나를 소비하여 주변의 적 2명에게 번개를 떨어뜨린다. | |
징벌 | 번개 5개를 소비하여 주변에 있는 모든 적에게 강력한 번개를 떨어뜨린다. |
모티브는 당연히 그리스 신화의 주신 제우스, 물론 제우스가 신화에서 사용하는 무기는 따로 없고 번개를 창처럼 쓰는거지만 그렇다고 번개만 딸랑 있는건 좀 어색하니 다른 개척자무기와 겹치지 않으면서 적절한 거 없나 하다 창으로 결정된 듯하다.
하데스의 낫 | ||
| ||
✦60 | 공격력 12 | |
스킬 | ||
패시브 | 영혼은 밤에만 충전되며 최대 1000개까지 충전된다. | |
체력이 일정량 이하로 떨어진 상대의 위에 표식이 생긴다. 표식이 생긴 상대를 하데스의 낫으로 치면 즉사한다. | ||
| 영혼을 발사하여 맞은 상대에게 3초간 데미지를 준다. (영혼 5개 소모) | |
| 영혼덩어리를 발사하여 상대방에게 큰 데미지를 입힌다. (영혼 50개 소모) |
모티브는 하데스지만 신화 원전에선 하데스는 딱히 낫을 쓴다는 언급이 하나도 없다. 아마도 죽음하면 연상되는 무기가 낫이라서 낫으로 컨셉이 정해진 듯.
아테나의 방패 | ||
| ||
✦60 | 공격력 12 | |
스킬 | ||
패시브 | 상대방을 때릴때마다 일정한 표식을 남긴다. 표식이 있는 상대를 3번 더 때리면 기절한다. | |
| 상대방에게 5초간 디버프를 건다. | |
| 자신의 주위에 벽을 생성하고 자신은 그 안에서 버프를 받게 된다. |
이름만 아테나고, 모티브는 아이기스다. 아이기스의 방패가 메두사의 머리를 붙이고 다녔다는 것에서 방패라는 점과 스킬의 모티브를 따온 듯.
3.2. 사신수무기
상급과 중급 1개, 하급 2개씩 총 140개의 네더의 별을 소모하여 획득할 수 있다. 본래는 조합법도 네더의 별로 판매할 예정이었지만, 당시에는 네더의 별 획득이 매우 어려워서 그냥 초반부터 조합법 다 알려주었다.등장 순서대로 표기한다.
3.2.1. 청룡의 검
청룡의 검 | ||
| ||
설명 | 공격력 16 청룡의 힘이 깃든 검이다. | |
재료 | 헤르메스의 신발, 데메테르의 벼이삭, 아르테미스의 단검, 제우스의 창 | |
사용자 | 핑맨 → 악어 → 멋사 → 악어 | |
스킬 | ||
패시브 | 공격한 적에게 3초간 침묵 디버프를 건다. | 8초 |
| 바라보는 적에게 체인을 걸어 침묵 디버프와 대미지를 준다. | 5초 |
| 청룡의 번개를 발사한다. | 40초 |
| 넓은 범위로청룡의 전기를 날려 적들에게 연속으로 대미지를 준다. | 100초 |
| 일정 시간 비행한다. | 120초 |
핑맨이 제작하여 첫번째로 등장한 사신수 무기. 시즌 2의 비행+낙뢰 컨셉에 침묵이 추가되었다. 기본 대미지는 약한 편이지만, 사용자 핑맨의 근력 스탯이 부족한 딜링을 보완하였다. 궁극기는 지금까지도 간간히 회자되는 광역기 + 연속 공격기 궁극기는 범위는 물론 공격 속도까지 상당해서 성 중앙에서 사용할 시 근처 리스폰 구역까지 상대를 추적하여 처치하였으며 태어나자마자 연속 공격으로 인해 계속해서 처치당하여 십 수초간 완전제압이 가능하였다.
해적국가 멸망 이후 뽑기를 통하 악어국가로 소유권이 넘어갔으며, 악어는 부왕 멋사에게 검을 주었다. 멋사는 부활에 성공하나, 부활 조건 이전에 악어의 우승이 먼저 이뤄지면서 사실상 무효화되었다. 그리고 이후 시즌에서는 부활 규칙 때문에 사신수를 부왕한테 맡겨 수성을 강화한다는 전략을 배제시켜버린다는 의견이 많아 부활 규칙이 사실상 없어지게 되었다.
여담으로 스킬 이펙트가 현재와 비교해도 꿀리지 않을 정도로 상당히 아름답다. 물론 당하는 입장에선 화려한 이펙트에 앞도 안보이고 렉까지 걸리게 하는 원흉.
3.2.2. 백호의 도끼
백호의 도끼 | ||
| ||
설명 | 공격력 17 백호의 힘이 깃든 도끼다. | |
재료 | 아프로디테의 거울, 데메테르의 벼이삭, 아레스의 검, 하데스의 낫 | |
사용자 | 악어 | |
스킬 | ||
패시브 | | |
주변의 적에게 나약함과 이동 관련 스킬의 거리를 감소시킨다. | ||
| 높게 도약한 뒤 땅에 떨어지면서 충격파를 발사한다. | 15초 |
(변경 후) 신속2 버프를 받으며 바라보는 방항으로 작게 도약한 뒤, 5초간 전방의 적을 햘퀸다. | 10초 | |
| 자신에게 스턴을 걸고 주위 적에게 대미지를 주며 넉백시킨다. | 30초 |
(변경 후) 전방에 하울링하며 적들에게 대미지를 주고 폭발시킨다. | 60초 | |
| 주위에 모든 적들을 공중에 띄운 뒤[14], 도약하며 적들의 뒤로 이동하여 연속적으로 대미지를 준다. 다시 한 번 높게 도약하여 적들을 모아 일격을 준다.[15] | 100초 |
| 바라보는 대상의 뒤로 이동하며 신속2 버프를 20초 동안 얻는다 | 40초 |
악어가 제작하여 두번째로 등장한 사신수 무기. 시즌2의 지형변화 컨셉은 삭제되었고 뭔가 애매하게 속공 + 극딜 컨셉을 살렸다.
대부분은 광역기 + 연속 공격인 다른 신수와 달리 궁극기가 단일 공격이라서 스탯의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하였고, 설상가상으로 간단한 이동기로 도주가 가능하여 중반부까지 평가가 바닥을 기었던 무기이다. 사실상 당시 힘, 민첩, 손재주 3가지 스탯을 전부 마스터해 괴물같은 스펙을 보였던 악어가 사용했음에도 순수 사신수 싸움에서 핑맨에게 밀리는 모습을 보여줬고 악어는 그나마 신속 버프의 이점을 살려 순식간에 적에게 접근하여 피의 검무 + 아포칼립스 등 다른 궁극기급 스킬을 연계해가며 사용하였다.
후반부 스킬 개편과 대미지 상향을 받았으나, 문제는 궁극기 자체가 텔레포트 하면서 적들을 공격하는 형식이었기에 가끔씩 대미지가 씹힐 때도 있었고 얼마안가 악어가 엑스칼리버를 획득하면서 조금 묻힌 감이 있다.
3.2.3. 주작의 삽
주작의 삽 | ||
| ||
설명 | 공격력 15 주작의 힘이 깃든 삽이다. | |
재료 | 헤르메스의 신발, 헤파이스토스의 망치, 아폴론의 예언서, 아테나의 방패 | |
사용자 | 중력 | |
스킬 | ||
패시브 | 피격 시 주위 적들에게 반사 대미지를 주며 불을 붙인다. | |
| 비라보는 방향으로 유도 화염구를 날려 맞은 적에게 3초간 불을 붙인다. | 5초 |
| 대상에게 불을 붙이고 넉백시킨다. | 50초 |
| 주위에 넒은 범위로 불을 붙이고 대미지를 주며 공중에 띄운다. | 100초 |
| 폭발과 함께 주위를 불태운다. | 120초 |
시즌2와 똑같이 중력이 획득하고 세번째로 등장한 사신수. 연속 공격 + 화염 컨셉으로, 중력의 주요 스탯 민첩의 크리티컬과 엄청난 시너지를 이루며 청룡과 함께 이번 시즌 최강의 무기로 평가받았다. 실제로 중력은 주작 하나만으로 청룡과 현무를 든 핑맨에게 대적할 수 있었고 최종 순위 2위까지 거머쥘 수 있었다.
무기의 형태가 삽의 머리에 해당하는 부분을 주작이 감싼 형태인게, 이게 화질이 나빠지면 묘하게 빨간색 몽둥이로 보인다. 그래서 붙인 별명이 양념치킨.
3.2.4. 현무의 낫
현무의 낫 | ||
| ||
설명 | 공격력 16 현무의 힘이 깃든 낫이다. | |
재료 | 헤파이스토스의 망치, 아프로디테의 거울, 디오니소스의 북, 포세이돈의 삼지창 | |
사용자 | 핑맨 → 중력 | |
스킬 | ||
패시브 | 피격시 5% 확률로 무적버프를 5초간 받는다 | 300초 |
| 현무의 꼬리를 날려 맞춘 상대를 3초간 공중에 띄운다. | 15초 |
| 연기의 파도를 날려 맞은 상대를 5초간 공중에 띄우며 맞은 상대에게로 텔레포트한다. | 20초 |
| 주위 적에게 5초간 총 6번의 연속 광역 대미지를 준다.[16] | 100초 |
| 주위 적을 넉백시키고 저항2 버프를 10초간 받는다. | 100초 |
핑맨이 제작하여 마지막으로 등장한 사신수. 시즌2 현무의 물 속성이 사라지고 탱커 컨셉이 강화되었다. 방어형이긴 하나 궁극기의 순수 대미지는 모든 신수들 중 1위였고 거기에 핑맨의 근력 스탯과 청룡의 검과 조합되며 공방일체의 시너지를 냈다. 거기다 궁극기를 비롯한 스킬들이 갑옷의 내구도를 빠르게 깎아 '아머 브레이커'라는 별명이 붙었으나 이건 수정되었다.
해적소탕전 이후 뽑기를 통해 중력의 손으로 넘어갔다. 주작의 삽과 조합하여 엄청난 시너지..는 최종전이 허무하게 끝나서 볼 수 없었다.
3.3. 기타
3.3.1. 엑스칼리버
엑스칼리버 | ||
| ||
설명 | 공격력 20 | |
재료 | 보주[17] 2개[18] | |
사용자 | 타락한 여울신 / 악어 | |
스킬 | ||
| 대각선 - 대각선 - X자 형태로 참격을 날린다. | ?초 |
수정 후) 전방에 흑백의 구체를 날린다.[19] | 50초 | |
| 적 한명을 하늘로 끌고 올라가 즉사시킨다. | 200초 |
| 높게 도약한 뒤, 검은색 대검을 소환해 내려찍어 대미지를 준다. X자 모양으로 전방에 참격을 날린다. | ?초 |
수정 후) 주위에 원형으로 10개의 붉은 검을 소환하며, 원 내부의 적들을 구속시키고 지속 대미지를 준다. | 150초 | |
| 30초동안 신속4 버프를 받는다. | ?초 |
19회차에 타락한 여울신이 사용하는 것으로 첫 등장하였다.
당시에 사신수보다 강한 무기로 묘사되며 플레이어들과 시청자들의 기대를 모였지만 정작 보스몹인 여울은 악어의 괴랄한 스펙과 컨트롤에 패배하였고 엑스칼리버를 획득한 악어조차 청룡과 현무 + 해적을 얻은 핑맨에겐 제대로 우위를 점할 수 없었기에 실제 취급은 그닥 좋지 않다. 물론 후반부에서야 공개되는 사신수보다 강한 무기라는 설정 자체는 굉장히 매력있었기에 후속 컨텐츠들에서도 쏠쏠하게 써먹는 설정이 되었다.
|
[1] 사망 시에도 아이템이 드롭되지 않는다. 간혹 오류, 실수로 드롭된 경우 운영자를 통해 주인에게 회수된다.[A] 첫 등장 시 공격력이 15였으나, 이후 10으로 하향됨.[A] [A] [5] 이후 시즌에서는 비행시간이 초단위로 줄어버리던가(3R,3R2,리메이크 3), 아예 비행이 삭제되고 점프 대쉬로 스킬이 변경되는 등(라그나로크). 참 다사다난한 아이템이다...[B] 첫 등장 시 공격력이 18이였으나, 이후 12로 하향됨.[B] [B] [9] 신화 원전에서 아폴론은 해와 예언, 의술 등 주관하는 분야가 꽤 많다.[10] 그래서인지 후속 시즌부터는 메테오를 1개로 대폭 너프시켰다.[B*] 첫 등장 시 공격력이 20이였으나, 이후 12로 하향됨.[12] 1단 후 2단, 2단 후 3단, 쿨타임 후 다시 1단이 발동된다.[13] 다른 스킬과 달리 등장하고 다음 회차에 바로 너프를 당했다.[14] 이때 이동기를 사용하면 공격에서 벗어날 수 있다.[15] 본래 총 데미지는 50+200으로 250이었지만 최후반부에 120+180으로 300의 피해를 입히게 상향되었다.[16] 사신수 궁귻기 중 기본 대미지가 가장 높다.[17] 커스텀NPC 모드의 아이템. 악어는 모드 아이템인데 조합할려고 별의 별 짓거리를 했다. 그리고 초반회차에 지나가듯 봤던 중앙시장의 장식 중 하나가 보주라서 이를 가지고 보조신 스폰지골드와 신경전을 벌였다가 포기.[18] 여울신을 처치하면 한 회차당 1개가 드랍되며, 1개당 네더의 별 100개로 신의 상점에서 판매한다.[19] 보호 16 인챈트 다이아몬드 갑옷 기준으로 체력 7칸의 대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