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 아킬레스
2.1. 제트 아킬레스
<colcolor=#fff> 제트 아킬레스 | ||
|
2.2. 초Z 아킬레스
<colcolor=#fff> 초Z 아킬레스 | ||
|
2.3. 유니온 아킬레스
<colcolor=#fff> 유니온 아킬레스:오리지날 | ||
파일:유니온오리지날.jpg |
2.3.1. 소드터보
<colcolor=#fff> 유니온 아킬레스:소드터보 | ||
|
2.4. 인피니트 아킬레스
2.4.1. 오리지날
2.4.2. 소드터보
<colcolor=#fff> 인피니트 아킬레스:소드터보 | ||
|
2.4.3. 실드터보
<colcolor=#fff> 인피니트 아킬레스:실드터보 | ||
|
2.5. 제스트 아킬레스
<colcolor=#fff> 제스트 아킬레스 | ||
|
DB 코어 - 아킬레스
아킬레스 코어는 BU락 2개와 평범한 보통 락 3클릭을 가진 좌우 양회전 DB코어이다.[1] 무게는 8.1g. 기존 스프리건 코어의 분리하기 힘들었던 점이 개선되어 쉽게 빠진다.
블레이드 - 제스트
제스트 블레이드[2]는 마스터 베이스, 월드 링, 아스트랄 블레이드처럼 좌우 양회전 리버시블 시스템이며 디펜스 날에는 초제트의 메탈을 상징 하는 Z가 새겨져 있다. 모드는 우회전 기준으로, 강화파츠(제스트 소드)가 없는 스피드 모드, 강화파츠를 상단에 장착한 어택모드, 하단에 장착한 디펜스 모드가 있다.[3] 헷갈릴 수 있겠지만 아래의 그림을 참고하자. 말 그대로 제스트 블레이드는 리버시블에 익스텐드+ 드라이버의 기능을 합쳤다고 보면 된다.
그리고 이번에는 공격적이였던 전작들과 달리 가장 원형에 가까워 성능적인 면에서도 기대가 높았으나 제스트소드를 장착해도 가볍고 두께가 얇아 성능이 떨어질것으로 보인다. 블레이드의 무게는 6g, 강화파츠의 무게는 4g. 총합 10g이다. 월드 링, 아스트랄 블레이드와 다르게 동회전에서 강하고 역회전에서 약하기 때문에 상대를 보고 동회전으로 맞춰야한다. 스피드 모드를 제외하고 어떤 모드든 성능상 차이가 없을듯 했지만 공격 모드에서는 카운터력이 상승한다. 우회전 어택 모드와 좌회전 디펜스 모드만 쓰인다.
블레이드의 모드와 로우, 하이모드까지 전환이 가능하여 레이어 자체로만 12가지 모드 체인지가 가능하다. 거기에 콰트로 드라이브의 모드 체인지 4가지 까지 곱하면 무려 48가지 모드. 한 번 더 최대 모드 체인지 수를 갱신했다.
그리고 이번 아킬레스 레이어에도 (아머를 제외하면) 메탈이 탑재되어있지 않다. 메탈이 없는 이유는 사실상 이제 아킬레스의 메인기믹은 메탈이 아닌 모드 체인지이기 때문이다.
아머 - 4
4 아머는 균등하게 배치된 4곳의 웨이트가 레이어의 원심력을 향상시키는 외중심 아머다. 브레이브 발키리의 방패모양 스티커와 닮았다. 무게는 13.85g로 상당히 무겁다.
디스크 - 일리걸
일리걸 디스크의 디자인은 일레븐 디스크, 아우터 디스크와 유사하다. 원형 외중심에 의해 베이 회전력을 반칙급으로 향상시키는 디스크라는 공식 설명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회전력이 상승하지만 무게가 바깥에만 집중되어 있어 베이가 충격을 받았을 때 디스크의 관성 역시 심해져 버스트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락이 약한 레이어와는 궁합이 좋지 않다. 이름은 불법을 뜻하는 영단어 일리갈(illegal)에서 따왔다. 그리고 illegal의 약자인 Il은 11과 비슷하다. 무게는 31.9g.
드라이버 - 콰트로 대시
기존의 사이클대로 익스텐드 계열 드라이버가 발매될 것이라고 예상한 것과 다르게 아스트랄 스프리건의 콰트로 드라이버를 대시로 재록했다. 색상도 아킬레스에 맞게 살짝 진하게 변경되었다. 콰트로 드라이버의 스태미너 및 강제 축 변경 단점을 그대로 이어받아서 도태되었지만, 강화 스프링으로 인해 공격력이 상승했고 뒷심도 좋아졌다는 장점이 있다.
총평
성능은 아킬레스들 중 가장 괜찮은 편. 순정 조합은 콰트로 대시의 스태미너 문제만 빼면 거의 다 좋다.
실전에서 쓸꺼면 드라이버를 하이 익스텐드 플러스 대시로 바꾸는 것을 추천한다.
디자인이나 성능과는 별개로 우회전 베이로만 이어져온 아킬레스가 이제 와서 뜬금없이 양회전 베이가 된 것과 익스텐드와 디멘션 드라이버만 사용했던 아킬레스에 콰트로 드라이버 재록으로 짝퉁 스프리건이냐고 혹평이 자자하다.
루머가 돌때는 오버 디스크까지 재록했다고 했지만 다행히 신 디스크가 출시하면서 혹평이 계속 치솟지는 않았다.
2.5.1. 오리지날
2.5.2. 소드터보
<colcolor=#fff> 제스트 아킬레스: 소드터보 | ||
|
2.5.3. 실드터보
3. 라그나로크(초제트 당시)
3.1. 크래쉬 라그나로크
<colcolor=#fff> 크래쉬 라그나로크 | ||
파일:크레쉬라그.jpg |
3.2. 글라이드 라그나로크
<colcolor=#fff> 글라이드 라그나로크: 초Z | ||
|
4. 둘이 붙으면
5. 여담
6. 기타
[1] 초제트 아킬레스 시절에도 롱 베이런처 LR이 들어있어 양회전이 아니냐는 루머가 있었지만...[2] 이름의 유래는 열정을 뜻하는 영단어 제스트(Zest)이다.[3] 회전 방향을 바꾸면 반대로 끼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