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8 09:03:53

아주르 프로밀리아


파일:아주르 프로밀리아 한글 로고 small.pn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ord-break: keep-all;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B89FC, #86CDFE, #68E1FF, #A7F0EA);" dark-style="background: #383B4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141418,#010101><colcolor=#ffffff,#e0e0e0> 세계관 등장인물 · 지역
시스템 속성 · 캐릭터 · 키보 (목록)
기타 출시 전 정보 · 논란 및 사건 사고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 5px 0px; word-break: keep-all;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B89FC, #86CDFE, #68E1FF, #A7F0EA)" dark-style="background: #383B40"<table width=100%> 파일:아주르 프로밀리아 공식 홈페이지 아이콘.webp
아주르 프로밀리아
Azur Promilia
アズールプロミリア
蓝色星原:旅谣
}}}
파일:Azur_Promilia_Abby8.png
{{{#!wiki style="word-break: keep-all;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119px, #fff 119px), linear-gradient(to top, #163A70, #21639D, #5FD0ED)" dark-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119px, #1c1d1f 119px), linear-gradient(to top, #2d2f34)"
{{{#!wiki style="margin: -12px -2px;"
<colcolor=#fff,#ddd> 개발 Manjuu
유통 파일:중국 국기.svg Manjuu
파일:대만 국기.svg NIJIGEN
파일:세계 지도.svg JIMI[1]
플랫폼 PS5 | Windows | Android | iOS
ESD 콘솔
PS Store
PC
Launcher
모바일
Google Play | App Store
장르 캐릭터 수집형 샌드박스 액션 RPG
출시 미정
엔진 유니티[2]
지원 언어 음성[3]
중국어, 일본어
시스템
중국어, 영어, 일본어, 한국어
심의 등급 한국


해외
파일:CADPA-16+.svg CADPA 16+ (16세 이상)[4]
파일:GSRR PG 12 로고.svg GSRR PG 12 (12세 이상)
관련 사이트 {{{#!wiki style="margin: -11px -1px -11px -1px"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10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10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100%]]}}}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10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10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 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 | [[https://www.taptap.cn/app/593829|
파일:TapTap 아이콘.svg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100%]]}}}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10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10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100%]]}}}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10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10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1. 개요2. 소개3. 시놉시스4. 요구 사양5. 출시 전 정보6. 세계관7. 시스템8. 논란 및 사건 사고9. 평가
9.1. 1차 CBT 평가
10. 여담11. 외부 링크12. 둘러보기

1. 개요

2025년 4월 PV (일본어)
{{{#!wiki style="margin:0 -10px"
{{{-1 {{{#!folding [ 더보기 ▼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4년 3월 첫 공개 PV
2024년 3월 게임 플레이 풀버전 (중국어)
2024년 3월 PS5 트레일러
1차 CBT 가이드 (한국어 번역) }}}}}}}}}}}}
당신에게,
그 138억 년 별빛의 기억을...
공식 홈페이지 슬로건

중국의 게임 개발사 Manjuu에서 제작한 캐릭터 수집형 샌드박스 액션 RPG.

2. 소개

아주르 프로밀리아는 키보와 함께 하는 대형 판타지 게임입니다.
이 세계는 당신이 알고 있던 세계와는 다릅니다.
문명, 마법, 기묘한 판타지 생물, 그리고 별하늘에 담긴 전설.
저 깊은 심해에서 하늘까지 날아올라 다시 한번 새로운 생명과 인연을 맺으세요.
반짝이는 수많은 별들 속에서, 별똥별의 인도에 따라 써 내려갈
오로지 당신만의 — 온 우주가 바라고 있는 별과 여정의 멜로디.
공식 사이트 소개문[5]
파일:Azur_Promilia_Introduction8.png
어서오세요, 기적이라는 이름의 [ruby(남색 성원,ruby=아주르 프로밀리아)]에
파일:Azur_Promilia_Introduction9.png 파일:Azur_Promilia_Introduction10.png 파일:Azur_Promilia_Introduction11.png 파일:Azur_Promilia_Introduction12.png 파일:Azur_Promilia_Introduction13.png
보스를 물리치고 계약 체결 다양한 동료와 함께 여행 승리를 위한 탁월한 전략 키보와 함께 여유로운 농촌생활 톡특한 키보 생태 체험
아주르 프로밀리아는 3인 파티 기반의 태그 액션 RPG로, 저스트 회피, 패링, 브레이크 등의 전투 요소를 갖추고 있다. 파티 내 각 캐릭터는 '키보'라는 판타지 생물을 한 마리씩 장착할 수 있으며, 키보는 전투 지원은 물론, 탈것으로 활용하거나 채광, 농사, 불 피우기 등의 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필드에서 키보의 알을 주워 부화시키고, 성장시켜 진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3. 시놉시스

별이 빛나는 하늘의 소중한 이야기가 다시 쓰여질 때,
예언도 언급하지 못한 사람이 나타난다.
스타본이여, 유성의 궤적을 따라가라,
프로밀리아의 역사를 다시 써내려가라.
아주르 프로밀리아 최초 공개 공지[6]
스타본, 프로밀리아에 돌아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 세계는 당신이 알고 있던 세계와는 다릅니다.
문명과 마법, 기묘한 판타지 생물들이 이 광활한 우주를 채우고 있습니다.

《아주르 프로밀리아》는 Manjuu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대형 판타지 RPG입니다.
프로밀리아를 향한 환상적인 여정이 당신을 다시 찾아올 것입니다.

「그」 전쟁이 끝난 후에도, 별하늘은 아직 평화를 되찾지 못했습니다.
사나운 짐승들이 날뛰고, 중력이 소멸되고, 시간이 기억과 균형을 앗아갔습니다.

하지만 프로밀리아의 지성을 가진 종족들은 피에 새겨진 인과를 결코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하늘의 의지에 맞서 희망을 품고, 미래를 짊어진 생물들은 지금도 당신과의 약속의 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추적하고, 탐색하여, 마침내 우리는 목적지에 도착할 것입니다.
기다리고, 만날 것입니다. 비록 유성의 궤적을 바꾼다 하더라도.

그리고 다시 한번, 시를 짓습니다.
아주르 프로밀리아 게임 소개

4. 요구 사양

<colcolor=#ffffff,#e0e0e0> Windows
<colbgcolor=#283243,#010101><rowcolor=#ffffff,#e0e0e0> 최소 사양 권장 사양
운영 체제 Windows 10 이상
CPU i5-10400/F i7-12700K/KF
RAM 16GB 이상 32GB 이상
GPU GeForce GTX 1660
Radeon RX 580
GeForce RTX 3060
설치 용량 80GB[SSD권장]
※중국 CBT 기준

5. 출시 전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르 프로밀리아/출시 전 정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르 프로밀리아/출시 전 정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르 프로밀리아/출시 전 정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세계관


===# 스토리 #===

6.1.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르 프로밀리아/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르 프로밀리아/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르 프로밀리아/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지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르 프로밀리아/지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르 프로밀리아/지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르 프로밀리아/지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시스템

7.1. 속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르 프로밀리아/속성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르 프로밀리아/속성#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르 프로밀리아/속성#|]]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캐릭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르 프로밀리아/캐릭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르 프로밀리아/캐릭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르 프로밀리아/캐릭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3. 키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르 프로밀리아/키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르 프로밀리아/키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르 프로밀리아/키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주르 프로밀리아/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르 프로밀리아/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주르 프로밀리아/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평가

영상과 음악을 통해 느껴지는 밝고 순수하며 따뜻하고 청량한 동화 같은 분위기, 매력적인 미소녀 캐릭터 디자인, 귀엽고 호감 가는 키보 디자인, 수집 요소와 높은 자유도, 그리고 다양한 문화와 자연이 공존하는 세계관과 스토리텔링, 전투와 농사를 비롯한 다양한 플레이 방식 등으로 게이머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또한 자유도가 높은 샌드박스 게임이라는 점과, 수집한 몬스터를 활용해 전투·농사·채광 등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팰월드와 유사한 면이 있다. 이 덕분에 팰월드 팬들에게도 기대를 모으고 있다.

9.1. 1차 CBT 평가

1차 CBT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게임의 2차 CBT에 준하는 완성도를 보여줬다고 평가된다. 그래픽, 음악, 캐릭터, 스토리, 연출 모두 평균 이상이었다. 다만 아쉬운 점으로는 최적화 문제와 일일 퀘스트로 인한 피로감이 지적된다. 최적화는 디도스 공격을 받은 경우를 제외하더라도, 끊김이나 튕김 현상이 자주 발생했다. 또한 일일 퀘스트는 시간이 꽤 걸려 몰입도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다. 전투 콘텐츠가 많고, 키보드를 잡고 집중해야 하는 요소가 많으며, 사이드 퀘스트도 다양하다 보니 좋은 의미로는 즐길 거리가 많지만, 나쁜 의미로는 플레이 시간이 과도하게 늘어난다는 의견도 있었다.

10. 여담

  • 완전한 오픈 월드가 아닌 각 지역이 분리되어 있는 세미 오픈 월드 방식의 게임이다.
  • 개발이 시작된 것은 2021년이며[8], 辰蓝双星:旅谣(진람쌍성:여요)라고 부르다가 蓝色星原:旅谣(남색성원:여요)로 수정되었다.
  • 벽람항로의 공식 후속작인 아주르 웰킨[9]과는 별개로 개발된 게임이다. 2022년에 Manjuu는 2개의 프로젝트를 개발 중이라고 밝힌 적이 있다. 각각 아주르 웰킨과 아주르 프로밀리아로 추측된다.
  • 벽람항로와 달리 한국판 게임명이 한자어를 사용한 '남색성원'이 아닌 영어판과 같은 '아주르 프로밀리아'다. 퍼블리셔가 바뀐 영향으로 보인다.
  • 벽람항로의 전례로 보아 타 중국 게임 대비 검열에서 자유로울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벽람항로는 캐릭터의 노출도가 매우 높기로 유명한 게임이며, 중국 서버는 검열을 하더라도 글로벌 서버는 검열 없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10]
  • 한국과 일본에서는 아주프로(アズプロ), 중국에서는 남원(蓝原), 영어로는 AP라는 약칭으로 부른다.
  • 글로벌 베타 및 출시 당시 진행 언어는 중국어 & 일본어 & 영어 & 한국어 4가지로 밝혀졌다.(#) 단 더빙 언어의 경우, 중국어와 일본어는 진행 중이지만 영어, 한국어는 아직 진행 여부 불명이다.

11. 외부 링크

12. 둘러보기

파일:만쥬로고.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벽람항로|
파일:ㅂㄹㅎㄹ ㅇㅇㅋ.png
벽람항로
]][[아주르 프로밀리아|
파일:아주르 프로밀리아 공식 홈페이지 아이콘.webp
아주르 프로밀리아
]]
}}}}}}}}} ||
[1] Google Play에 대만판 벽람항로의 개발사로 등록되어 있는 회사이다.# Manjuu의 해외 서비스를 위한 자회사로 보인다.[2] 공식적으로 발표한 것은 아니며, Manjuu 구인구직 페이지를 통해 밝혀졌다.[3] 한국어, 영어 더빙 진행 여부는 현재 밝혀지지 않았다.[4] 2025년 7월, 12세에서 16세로 변경된 게 확인되었다.#[5] 지금은 사이트 소스보기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다.[6] 글로벌판 공홈에서는 볼 수 없으며, 중국 본토판 공홈에서만 볼 수 있다.[SSD권장] [8] 언론 인터뷰에서 언급[9] 전투기 모에화 게임으로 개발 중이었으나, 현재는 개발사가 아주르 프로밀리아에 주력하고 있기 때문에 개발이 중단된 것으로 추측된다.[10] 파일:벽람항로 중국판 글로벌판 차이.png
벽람항로 중국판 글로벌판 차이 예시
[11] 벽람항로 크로스웨이브는 Manjuu에서 IP만 빌려주고 개발 및 운영은 다른 회사가 담당했다.[12] 위의 r/AzurPromilia보다 먼저 생성됐으나, Azur를 Azure라고 잘못 표기해서 짝퉁 취급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