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아주대학교/학부|아주대학교/학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교 정보 | |||
연혁 | 상징 | 시설 | 출신 인물 | |
학부 | 학사 제도 | 대학원 | 특징 | |
교원 | 성과 | 수업 | 홍보 대사 | |
재학생 정보 | ||||
행사(축제) | 식당(매점) | 교통 | 주변 환경 | |
총학생회 | 총동문회 | 동아리 | ||
운동부 | ||||
축구부 | ||||
부속 기관 | ||||
국제교육센터 |
||<-5><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bgcolor=#0066b3> ||
}}}}}}}}} ||아주대학교병원 | 아주대학교요양병원 | 아주대학교 평택병원(2030년 예정) | 아주대학교 파주병원(2030년 예정) |
| |||
대학 | |||
의과대학 | 간호대학 | 첨단바이오융합대학 | 약학대학 |
공과대학 | 첨단ICT융합대학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 자연과학대학 |
경영대학 | 인문대학 | 사회과학대학 | 국제학부 |
다산학부대학 |
1. 개요
아주대학교 첨단바이오융합대학 Advanced College of Bio-convergence Engineering | |||
소속전공 | |||
혁신신약공학 | 바이오첨단소재공학 |
아주대학교의 첨단바이오융합대학이다. 의약바이오가 강조되는 시대인만큼, 선도적인 아주대에서 중요하기도 하다. 아주대학교는 의과대학, 약학대학, 공과대학에 자연과학대학, 소프트웨어융합대학과 대학병원이 같이 자리하여 한국 유일무이 바이오융합 연구분야에 최적화된 환경을 가진다. 노화, 질병, 건강한 먹거리, 환경 친화적 소재 등 인간과 생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생물학 지식을 아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교육과 연구의 본 수업건물인 혜강관은 아주대의 실사구시 건학이념을 바탕으로 미래가 공존하는 세계 초일류 수준의 공간으로, 생명공학, 의학, 약학, 화학, 인공지능, 기계공학 등 다양한 융복합적 사고가 필수적이다.
2. 전공
치료가 어려운 질환의 치료를 목표로 바이오합성의약품 연구 및 개발의 혁신신약공학 전공과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한 바이오, 식품 화장품 기능성 소재 개발의 바이오첨단소재공학 전공이 있다.약학대학에서도 약학 전공이 있지만, 혁신신약공학 전공은 최근에 만들어져 더욱 실용적이다.
2.1. 주요 교과목
- 생물물리화학
- 바이오분석화학
- 생물반응공학
- 바이오소재화학
- 약동학-약력학(약학)
- 소분자합성및 분자도안(구 천연물이용학)
- 인공지능 신약개발
- 생물통계
- 질병과 건강의 이해(의학)
- 프로그래밍입문
- 바이오품질관리
- 바이오제조공정
- 첨단바이오 산업동향
- 창업과 지식재산권
- 바이오헬스 현장실무
3. 졸업 진로
제약회사, CDMO(위탁개발생산사업), CRO(임상시험수탁기관), KIST,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 대학원 진학 등4. 연구실
박현지교수의 생물정보기반 세포치료 연구실이 있다. 인간 조직과 세포에서 얻은 유전자, 단백질, 지질 정보 등의 생물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질환 및 노화와 연관된 바이오마커를 찾고, 이를 활용하여 노인성 혈관질환 및 노화 자체를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세포치료제와 유전자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5. 연혁
1984 | 학부 생물공학과 |
2004 | 공과대학 생명분자공학부 |
2012 | 공과대학 응용화학생명공학과 |
2024 | 첨단바이오융합대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