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한국프로농구의 아시아 쿼터제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 문서.2. 역사
2020년 5월 대한민국 한국프로농구과 일본 B.리그의 합의로 아시아 쿼터제가 탄생했다.# KBL에서 B리그로 가는 한국 선수, B리그에서 KBL로 가는 일본 선수는 한 명 이내에서 외국인 쿼터에서 빼고 국내 선수로 취급하며[1] 똑같은 샐러리캡을 적용한다는 규정을 신설했다. 한국프로농구의 첫 번째 일본인 선수는 2020년 원주 DB 프로미에 입단한 가드 나카무라 타이치다.2022-23 시즌부터는 필리핀 선수도 아시아 쿼터에 포함되면서 각 구단이 필리핀 출신 선수를 대거 영입했다. 제1호 선수는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에 입단한 SJ 벨란겔이다.
2023-24 시즌부터는 아시아 쿼터 전원을 필리핀 선수로 채우고 있다.
2024-25 시즌에는 대만,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가 아시아 쿼터 가맹국으로 추가되었다.
현재 아시아쿼터는 별도의 샐러리캡을 운영하며, 24-25시즌 세후 19만 5천달러, 25-26시즌 세후 26만 달러이다.
국적 기준이 본인 국적이 아니라 '부모의 국적'이다. 현 KBL 아시아쿼터 규정은 부모 양쪽의 대상국 국적 보유 여부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필리핀에서 태어나 필리핀에서 농구를 배웠고 필리핀 국가대표로 활약하고 있는 선수지만 부모님 중 한분이 필리핀 국적이 없다면 KBL 아시아쿼터로는 영입이 불가능하다. 반면 미국에서 태어났고 미국에서 평생을 살아 필리핀 국가대표로 뛸 자격이 없는 선수지만 부모님이 필리핀 여권만 소유하고 있다면(그 국적이 결혼 후 귀화에 의한 이중국적이더라도) 영입이 가능하다.
현재 KBL 아시아쿼터 규정은 리그 밸런스를 파괴할 수 있는 혼혈 선수의 유입을 막는다는 명분 하에 선수 본인이 아닌 부모의 국적을 기준으로 내세웠지만 이 규정은 영입 가능한 선수풀을 제한할 뿐 정작 혼혈 선수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하지도 못하고 있다.
3. 역대 아시아 쿼터
3.1. 2020-21 시즌 명단
| 2020-21 시즌 | |||||
| 이름 | 국적 | 포지션 | 구단 | ||
| 나카무라 타이치 | | 가드 | 원주 DB 프로미 | ||
3.2. 2021-22 시즌 명단
| 2021-22 시즌 | |||||
| 이름 | 국적 | 포지션 | 구단 | ||
| 나카무라 타이치 | | 가드 | 원주 DB 프로미 | ||
3.3. 2022-23 시즌 명단
| 2022-23 시즌 | |||||
| 이름 | 국적 | 포지션 | 구단 | ||
| 모리구치 히사시 | | 가드 | 고양 캐롯 점퍼스 | ||
| SJ 벨란겔 | | 가드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 ||
| 크리스찬 데이비드[2] | , | 포워드 | 서울 삼성 썬더스 | ||
| 저스틴 발타자르[3] | | 포워드 | 서울 삼성 썬더스 | ||
| 데이브 일데폰소 | | 가드 | 수원 KT 소닉붐 | ||
| 렌즈 아반도 | | 가드 | 안양 KGC인삼공사 | ||
| 이선 알바노 | , | 가드 | 원주 DB 프로미 | ||
| 론 제이 아바리엔토스 | | 가드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
| 캘빈 에피스톨라 | , | 가드 | 전주 KCC 이지스 | ||
| 저스틴 구탕 | | 가드 | 창원 LG 세이커스 | ||
3.4. 2023-24 시즌 명단
| 2023-24 시즌 | |||||
| 이름 | 국적 | 포지션 | 구단 | ||
| 조쉬 토랄바[4] | | 가드 |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 ||
| 알렉스 카바노 | | 가드 |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 ||
| 샘조세프 벨란겔 | | 가드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 ||
| 캘빈 에피스톨라 | , | 가드 | 부산 KCC 이지스 | ||
| 아반 나바 | , | 가드 | 서울 삼성 썬더스 | ||
| 고메즈 델 리아노 | , | 가드 | 서울 SK 나이츠 | ||
| 데이브 일데폰소 | | 가드 | 수원 KT 소닉붐 | ||
| 렌즈 아반도 | | 가드 |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 ||
| 이선 알바노 | , | 가드 | 원주 DB 프로미 | ||
| 미구엘 옥존 | | 가드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
| 저스틴 구탕 | | 가드 | 창원 LG 세이커스 | ||
3.5. 2024-25 시즌 명단
| 2024-25 시즌 | |||||
| 이름 | 국적 | 포지션 | 구단 | ||
| 케빈 켐바오 | | 포워드 |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 ||
| 샘조세프 벨란겔 | | 가드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 ||
| 캘빈 에피스톨라 | , | 가드 | 부산 KCC 이지스 | ||
| 저스틴 구탕 | | 가드 | 서울 삼성 썬더스 | ||
| 고메즈 델 리아노 | , | 가드 | 서울 SK 나이츠 | ||
| | , | 가드 | 수원 KT 소닉붐 | ||
| 조엘 카굴랑안 | | 가드 | 수원 KT 소닉붐 | ||
| 하비 고메즈 | , | 포워드 |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 ||
| 이선 알바노 | , | 가드 | 원주 DB 프로미 | ||
| 미구엘 옥존 | | 가드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
| 칼 타마요 | | 포워드 | 창원 LG 세이커스 | ||
3.6. 2025-26 시즌 명단
| 2024-25 시즌 | |||||
| 이름 | 국적 | 포지션 | 구단 | ||
| 케빈 켐바오 | | 포워드 |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 ||
| 샘조세프 벨란겔 | | 가드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 ||
| 윌리엄 나바로 | | 포워드 | 부산 KCC 이지스 | ||
| 저스틴 구탕 | | 가드 | 서울 삼성 썬더스 | ||
| 알빈 톨렌티노 | , | 가드 | 서울 SK 나이츠 | ||
| 조엘 카굴랑안 | | 가드 | 수원 KT 소닉붐 | ||
| 렌즈 아반도 | , | 포워드 |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 ||
| 이선 알바노 | , | 가드 | 원주 DB 프로미 | ||
| 미구엘 옥존 | | 가드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
| 칼 타마요 | | 포워드 | 창원 LG 세이커스 | ||
[1] 단순히 국내 선수 쿼터에만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KBL의 경우 아시아 쿼터제로 들어온 선수에게도 첫 해에는 신인왕 자격이 주어지는데 그 조건은 프로 경력이 한 시즌 이하(단 해당 한 시즌 1/2 미만 출전)인 선수만 해당한다.[2] 이적 동의서가 불허됐던 윌리엄 나바로 대신 영입했지만 부상과 기량미달로 한 경기도 뛰지 못하고 방출됐다.[3] 계약 후 연락 두절로 2022년 2월 한국농구연맹 재정 위원회에서 두 시즌 자격 정지라는 사후 징계를 내렸다.[4] 허벅지 부상으로 인해 시즌 중간 방출됐다.[5] 기량미달로 한 경기도 뛰지 못하고 방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