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4 12:16:35

아스팔트 시리즈


파일:아스팔트 시리즈 로고 블랙.svg파일:아스팔트 시리즈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color=#ffffff> 정규 시리즈
파일:아스팔트1 로고.png 파일:아스팔트2 로고.png 파일:아스팔트3 로고.png
파일:아스팔트4 로고.png 파일:아스팔트5 로고.png 파일:아스팔트6 로고.png
파일:아스팔트7 로고.png 파일:아스팔트8 로고.png 파일:아스팔트 레전드 유나이트 로고 가로.webp
외전
파일:아스팔트3D 로고.png 파일:아스팔트인젝션 로고.png 파일:아스팔트오버드라이브 로고.png
파일:아스팔트니트로 로고.png 파일:아스팔트익스트림 로고.png 파일:아스팔트스트릿스톰 로고.png
}}}}}}}}} ||

1. 개요2. 게임성3. 메인 시리즈4. 외전
4.1. 아스팔트 3D4.2. 아스팔트 오버드라이브4.3. 아스팔트: 니트로4.4. 아스팔트 익스트림4.5. 아스팔트 스트리트 스톰 레이싱4.6. 아스팔트: 인젝션4.7. 아스팔트: 니트로 2
5. 여담

1. 개요


2004년부터 게임로프트사가 제작/배급 중인 아케이드 레이싱 게임.

2. 게임성

레이싱 게임에서 불필요한 요소들을 전부 걷어낸 극한의 아케이드성이 특징. 튜닝을 하면 빨라지고, 코너를 만나면 드리프트를 하고, 남들보다 빠른 속도로 결승선에 도달하면 되는 아주 간단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끝내주는 속도감과 낭만적인 슈퍼카가 가득한 이 게임을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즐길 수 있어 저연령층이나 제3세계 국가들에서 특히 인기를 끌고 있다.

이 아케이드성이 잘 드러나는 단적인 요소가 바로 최고 속도. 다른 레이싱 게임은 최고 속도에 도달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코너를 조금 꺾으면 속도가 많이 깎이지만 아스팔트는 시작하고 늦어도 1초 이내에 제로백 도달은 기본, 조금만 직진하면 속도계가 최고 속도에 고정되는 건 당연하며, 드리프트로 통과해야 하는 코너가 아니라면 최고 속도를 유지하면서 달릴 수 있다. 최고 랭크 차량에 아낌없이 투자하면 일반적인 레이싱 게임에서 보기 힘든 최고 속도 600km/h라는 비행기 수준의 속도도 찍힌다.

최신작이자 현재 플레이 가능한 시리즈인 아스팔트 8: 에어본아스팔트 레전드 유나이트에선 아케이드성이 극한을 추구하다 넘어가버려서 차량이 점프대를 타고 공중에서 360° 수평회전이나 배럴 롤을 도는 등 다른 레이싱 게임에선 상상하기도 힘든 요소들이 도입되었다. 해당 액션들로 다른 차량들을 부숴가며 게임을 하다 보면 이게 레이싱 게임인지 자동차로 플레이하는 격투 게임인지 구분이 안 갈 지경.

사실 4편까지만 해도 그래픽이 별 볼 일 없는 수준인데다 경찰 추격전, 레이싱걸 시스템 등 니드 포 스피드 시리즈의 아류작 느낌이 강한 시리즈기도 했다. 그러다가 5편에서 스마트폰의 강력한 하드웨어를 활용해 당지 피쳐폰의 도트 그래픽과는 차원이 다른 휴대용 콘솔 수준의 화려한 3D 그래픽을 선보여 스마트폰을 처음 접한 사람들에게 충격을 줬고, 5편의 흥행에 힘입어 6편부터 아케이드성이 극한으로 치닫게 되며 고유의 게임성을 가지게 된 것이다.

7편까지는 패키지 게임 내듯이 매년마다 버전업을 했고, 멀티 플레이가 활성화되지 않아 커리어를 전부 클리어하면 할 게 없어지는것이 단점이었다. 8편부턴 부분유료화 게임으로 변경되고 멀티 플레이의 활성화로 컨텐츠가 많이 늘어났지만 이때부턴 극심한 현질유도가 문제점으로 떠올랐다. 정규 시리즈는 9편까지 나왔으나 모바일 환경에서 더 이상의 그래픽이나 게임성 개선은 어렵다고 판단되었는지 9편의 넘버링을 없애고 멀티 플랫폼 게임으로 완전히 탈바꿈했다.

3. 메인 시리즈

초대작부터 9까지의 변천사

3.1. 아스팔트 : 어반 GT

아스팔트 시리즈의 1번째.[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스팔트 : 어반 GT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팔트 : 어반 GT#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팔트 : 어반 GT#|]][[아스팔트 : 어반 GT#|]]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아스팔트 2: 어반 GT

아스팔트 시리즈의 2번째.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스팔트 2: 어반 GT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팔트 2: 어반 GT#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팔트 2: 어반 GT#|]][[아스팔트 2: 어반 GT#|]]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아스팔트 3: 스트리트 룰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스팔트 3: 스트리트 룰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팔트 3: 스트리트 룰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팔트 3: 스트리트 룰즈#|]][[아스팔트 3: 스트리트 룰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아스팔트 4: 엘리트 레이싱

아스팔트 시리즈의 4번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스팔트 4: 엘리트 레이싱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팔트 4: 엘리트 레이싱#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팔트 4: 엘리트 레이싱#|]][[아스팔트 4: 엘리트 레이싱#|]]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아스팔트 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스팔트 5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팔트 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팔트 5#|]][[아스팔트 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아스팔트 6: 아드레날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스팔트 6: 아드레날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팔트 6: 아드레날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팔트 6: 아드레날린#|]][[아스팔트 6: 아드레날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7. 아스팔트 7: 히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스팔트 7: 히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팔트 7: 히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팔트 7: 히트#|]][[아스팔트 7: 히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8. 아스팔트 8: 에어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스팔트 8: 에어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팔트 8: 에어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팔트 8: 에어본#|]][[아스팔트 8: 에어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사실상 이 게임 덕분에 게임로프트의 레이싱 게임들이 살아났다 보면 된다.

3.9. 아스팔트 레전드 유나이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스팔트 레전드 유나이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팔트 레전드 유나이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팔트 레전드 유나이트#|]][[아스팔트 레전드 유나이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18년 출시 당시 게임명은 아스팔트 9: 레전드. 그러다 2024년 7월 17일 업데이트 이후로 넘버링이 제거된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4. 외전

4.1. 아스팔트 3D



닌텐도 3DS용 스핀오프로 전체적인 기반은 아스팔트 5 기반으로 아스팔트 6의 일부 시스템이 선행으로 추가되었다. 근데 선행추가된 아드레날린 지속 시간이 매우 짧고 그래픽도 그래픽이지만 프레임레이트가 대단히 나빠서 게임플레이에 심각한 지장을 주는지라 평가는 박한 편. 동일한 플랫폼의 릿지 레이서 3D가 릿지 레이서즈에 준하는 수준이었는데..

문제는 그것뿐만이 아닌 난이도가 더럽게 높다는 점도 한 몫 한다. 시작부터 미친 듯이 가속을 해 플레이어의 접근을 아예 허용도 하지 않는다. 게다가 도전 과제 중에선 '첫번째 랩을 1위로 통과하라'가 있는데, 이는 불가능에 가깝다. 레벨을 올려야 튜닝이 가능한데 제대로 튜닝해금도 안된 상태에서 풀튜닝 무장한 적을 상대하는 건 미친 짓. 고난이도로 유명한 번아웃 도미네이터가 우습게 보일 정도.

4.2. 아스팔트 오버드라이브

파일:external/file.gamedonga.co.kr/2_3.jpg



플레이 스토어 다운로드 링크
애플 앱스토어 다운로드 링크

2014년 9월 25일 출시된 시리즈 첫 스핀오프. 스핀오프라서 그런지 이전 시리즈와 게임 방식이 많이 다르다.

"템플 런" 등의 게임이 시조한 3D 러닝게임과 비슷한데, 한 손으로 캐쥬얼하게 즐길 수 있으면서도 전작의 그래픽과 속도감을 잃지 않았다는 점에서 호평을 받는중.[2] 다만 아스팔트 9을 기다렸던 사람들은 많이 실망한 듯.

게임의 방식은 지역마다 63개의 별을 얻어 보스를 클리어하는 방식이다.
'조건 레이스', '도주', '스턴트', '파괴', '보스 이벤트' 등의 싱글 이벤트가 있다.
초반에는 보스 이벤트를 제외한 4개의 이벤트를 깨면서 별을 모으다 보면 일정 개수에 가까워질 때에 보스가 난입한다.
그 일정 개수가 채워지면 보스 이벤트가 개방되면서 보스의 차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보스 이벤트'의 경우는 1차전에 승리를 하면 지역이 개방이 되지만,
2차전의 경우는 보스가 차를 걸고 승부를 보자고 한다.
2차전까지 이기면 보스의 차량은 주인공의 차량이 된다.

멀티의 경우는 '폭주', '승급리그', '조직', '싱글'이 있으며, 멀티플레이는 말 그대로 인터넷 연결이 필요하다.
승급리그에서 점수가 높으면 계급이 올라가는데, 루키부터 골드까지 계급이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장렬히 폭망하면서 8 시리즈에게 생명연장을 주었다.

2015년 8월에는 이벤트가 완전히 종료되었고, 결국 2016년 이후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4.3. 아스팔트: 니트로

파일:아스팔트 니트로.jpg



2014년에 피처폰 버전으로 먼저 나오고 2015년 5월에 안드로이드와 타이젠 버전 선행 공개 후 10월에 정식 출시된 또 다른 외전격 게임이다. 국내 스토어에도 출시했으며, 기존 아스팔트 8의 엔진과 게임 시스템을 재활용한 게임이다. 쉽게 보면 8의 저사양 버전이라고 보면 좋을 듯. 단 게임 자체는 엄청나게 경량화한 버전이다. 80MB로 용량을 경량화한 결과 차도 얼마 없어졌고 발적화인데다가[3] 그래픽 옵션마저 없어서 차라리 8을 플레이하는 게 더 나을 정도다.[4]

그냥 싱글코어같은 초저사양 폰 유저들 용으로 출시된 거 같다. 여담으로 모바일의 앱 설치는 안드로이드에서 가능하나 iOS에서는 할 수 없다.

또한 6 이후로 아주 오랜만에 피쳐폰용 J2ME 버전을 선보인 시리즈이기도 하다. 아스팔트 6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스턴트나 퍼펙트 니트로 등 최신 아스팔트 시스템도 구현되어 있다. 다만 옛날 아스팔트 시리즈의 특징인 경찰 시스템은 그대로다.

2025년 1월에 스토어에 내려갔고 3월 3일에는 10년만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4.4. 아스팔트 익스트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스팔트 익스트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팔트 익스트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팔트 익스트림#|]][[아스팔트 익스트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 아스팔트 스트리트 스톰 레이싱



2017년 6월 17일 출시한 스핀오프 게임.
장르는 드래그 레이싱으로 놀라운 그래픽이 적용될 것으로 보였으나[5].... 아스팔트 8 정도의 그래픽을 보여준다. CSR2같은 다른 드래그 레이싱 게임과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게임플레이 방식이 조금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Racing Rivals 와 매우 흡사하다.
대표적인 것이 4인 레이스. CSR Racing 2와는 다르게 연료는 무제한이나 일정 이상 달리면 내구도가 하락되어 성능이 대폭 저하되기 때문에 몇 시간을 기다려야 수리가 된다. 그러나...

결국 플레이 스토어에서 내려가면서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4.6. 아스팔트: 인젝션

2011년부터 2012년에 걸쳐 발매된 PS Vita에서 사용 가능한 게임으로,[6][7] 아스팔트 6을 기반으로 UI와 기타 요소를 손본 작품.

아스팔트 3D만큼은 아니지만 이 게임도 난이도가 만만치 않다. Cop Chase라는 원작에는 없는 모드가 있는데 경찰로부터 도주해야 하는 모드이다. 문제는 경찰차들이 미친듯이 달려들어서 속도를 늦추는 데다가 3단 니트로를 써도 파괴가 되지 않고 오직 아드레날린으로만 파괴가 된다. 근데 아드레날린을 쓰면 경찰차도 미친듯이 가속한다(...).

레노버 K860이라는 안드로이드 폰용으로도 출시되었다. 정확히는 기본으로 탑재되었고 차량 2대가 전용 차량으로 대체되었는데 그중에서 기본 차량의 성능이 기본 차량 치고는 매우 뛰어나다.

4.7. 아스팔트: 니트로 2

파일:Asphalt_Nitro_2_promo_image_n2.jpg

저사양 휴대전화 이용자를 타깃으로 한 아스팔트 9의 열화판.
구글 플레이 스토어나 애플 앱스토어에 제공되지 않으며 해외 통신사 스토어에서 구독제로 제공되는 것으로 보인다.



전작 아스팔트 니트로가 아스팔트 8과는 약간 다른 시스템을 적용한 반면[8] 2는 그래픽 나쁜 아스팔트 9에 가깝다.

5. 여담


[1] 출시명과 관련된 기사: #, #.[2] 비슷한 게임으로 다함께 차차차를 생각하면 된다.[3] 이는 게임의 용량을 극한으로 줄이기 위해 텍스쳐를 떡칠한 결과다.[4] 과거면 몰라도 폰의 사양이 상향 평준화된 현재는 로우엔드 폰으로도 8을 원활히 즐길 수 있다.[5] 예를 들자면 아스팔트 9: 레전드 같은 그래픽.[6] 현재도 플레이 가능.[7] 코나미가 유통을 맡은 일본에서 2011년 12월 17일에 최초로 출시 되었다.[8] 물론 주행 시스템 등은 8의 요소들을 거의 그대로 활용했고 맵 디자인은 8에서 배경만 바꾼 것에 가깝다.[9] 한국인 대표가 기획, 디자인 및 설계를 담당했고 캐나다 멀티매틱이 해외 위탁생산 방식으로 제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