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부타토야코 나들목 虻田洞爺湖インターチェンジ Abuta-Toyako Interchange | ||
| 아부타토야코 요금소 虻田洞爺湖料金所 | ||
| E5 도오도 14 | 켄부치 방면 다테IC 13.6 km → | |
| 주소 | ||
| 홋카이도 아부타군 토야코초 미토요 11-16 | ||
| 관리기관 | ||
| NEXCO 동일본 홋카이도지사 무로란관리사무소 | ||
| 개통 | ||
| 1994년 3월 30일 (구 IC) 2007년 12월 21일 (현재 위치) | ||
| 접속 도로 | ||
|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230)] · 578 | ||
1. 개요
도오자동차도(도오도, E5)의 나들목(14번[1])이다. 나들목 명칭은 개통 당시의 소재지, 즉 2006년 3월 27일 토야무라(洞爺村)와 병합된 아부타초(虻田町)의 명칭과, 부근의 관광지로 유명한 토야호(토야코, 洞爺湖)를 붙여서 만들어졌다. 공교롭게도 2006년 3월 27일 이후에는 소재지명이 토야코가 되면서 정작 소재지명이 뒤바뀐 케이스다.1.1. 우스산 분화로 인한 폐쇄, 복구와 이전
아예 우스산의 산자락에 설치된 나들목이다보니 우스산 분화로 우여곡절이 많았던 나들목이다. 먼저, 1994년 3월 30일 개통 당시에는 현재의 위치가 아닌 동남쪽의 이즈미 지구 부근(kp S144.4 인근)에 평면 Y자형(하행선 진출입 평면교차)으로 설치된 나들목이었다. 접속되는 도로는 지금은 토야코정도 일반도로 노선인데, 화산 폭발 이전에는 현재의 토야코정도 이즈미코엔선 부근으로 이어지는 노선으로 당시 기준 230번 국도였다.2000년 3월 31일, 우스산이 분화할 때, 하필 230번 국도 바로 옆에서 분화(니시야마 분화구) 해버리는 바람에 노선이 졸지에 끊기고, 나들목도 큰 피해를 입어 운영이 중단되었다. 도오자동차도 시설물도 피해를 입었기 때문에 본선 통행도 당연히 불가능했고, 이에 임시로 피해가 적었던 시노노메초 지구 인근(kp S151.9 인근)에 임시출입구를 신설(현재의 97번 홋카이도도 접속)하여 운용하였다.
이후 2001년 2월 9일에 다테IC 방향의 복구가 완료되었고, 2001년 6월 30일에 임시출입구까지의 복구도 완료되면서, 임시출입구가 폐쇄되고 원래대로 복귀되었다. 그렇지만 복구되지 않은 230번 국도의 존재로, 토야호까지 넘어가는 구간은 큰 불편(현재의 578번 홋카이도도 경유로 우회)을 겪을 수 밖에 없었다. 이에 230번 국도 역시 복구 작업에 착수하여, 터널로 대체(아오바터널과 미토요터널, 青葉トンネル・三豊トンネル, 각각 1,719 m와 1,970 m)하는 구간이 2007년 12월 21일 완성된다. 이 때, 나들목 위치도 새롭게 뚫은 터널로 이전하게 되면서, 현재의 나들목이 완성된다.
현재의 나들목 형태는 트럼펫형으로, 평면교차(사거리) 형태로 외부와 접속된다. 직교 방향으로는 복구된 230번 국도가 교차하게 되며, 직진 방향으로는 578번 홋카이도도가 이어지게 된다. 요금소의 경우 원래는 왕복 4차로 부지를 운용했고, 지금 요금소도 설계 자체는 왕복 4차로로 설계되었지만, 부스를 3곳에만 설치하여 출구 편도 2차로, 입구 편도 1차로로 운용한다.
2. 요금소
| 도오도 본선 | <colbgcolor=#666,#666><colcolor=#fff,#fff> ↘ ↗ | <colbgcolor=#666,#666><colcolor=#fff,#fff> 2 | <colbgcolor=#666,#666><colcolor=#fff,#fff><bgcolor=#6ad,#6ad> ETC 전용 》》 | <colbgcolor=#666,#666><colcolor=#fff,#ff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 | 외부 접속 도로 |
| 1 | 일반 》》 | ||||
| <nopad> | |||||
| * | 1 | 《《 ETC / 일반 | * | ||
| 요금소 사무소 · 시설 | |||||
| ETC ]]는 일반 전용 차로에서는 이용 불가능하다. | |||||
3. 구조
- 진출입 가능
-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230)] 230번 국도 양방향
- 578번 홋카이도도 양방향[2]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