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07-12 05:52:41

아베 신조 피살 사건/반응/유럽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아베 신조 피살 사건/반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다음의 합의사항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합의사항1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토론 합의사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한민국 - 학계 문단에 다음 내용을 추가한다.
}}}}}}}}}

1.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주일 러시아 대사는 "아베 전 총리가 무사하길 바란다"고 말하였다. #

2.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아베 전 총리가 회복하기를 바라며 소식을 듣고 충격을 받았다고 밝혔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 키어 스타머 영국 노동당 당수는 7월 8일 한국시간 오후 3시 47분 트위터를 통해 참으로 어두운 하루라며 일본 국민과 마음을 함께 할 것이라고 밝혔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 테레사 메이 前 영국 총리는 트위터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이자 동맹, 그리고 마음씨 좋은 친구"였다 표현하고 함께 나온 사진을 올리며 애도를 보냈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성명을 통해 2016년 아베 내외의 영국 방문을 회고하며, 그의 조국에 대한 사랑과 영국과의 굳건한 친교 노력을 느낄 수 있었다고 전하며 애도의 뜻을 표했다. # 9일, 영국 왕실나루히토 천황에게 조전을 보냈다.#

3.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매우 충격을 받았으며 프랑스는 항상 일본의 곁에 있을 것이라 말하였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파일:트위터 아이콘.svg
  • 마린 르펜 국민연합 대표는 7월 8일 한국시간 오후 6시 54분 트위터를 통해 아베는 진정한 애국자였으며 위대한 국가원수로 남을 것이라며 애도의 뜻을 표했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 마크롱 대통령이 주프랑스 일본대사관에서 추모하였다.#

4.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

  • 벨기에의 전 총리이자 유럽연합 정상회의 상임의장인 샤를 미셸은 트위터를 통해 아베 신조는 진정한 친구이자 민주주의 가치를 수호하는 사람이었다며 유럽연합은 일본 국민 및 기시다 총리와 함께 할 것이라고 말했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5.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 올라프 숄츠 독일 연방총리는 트위터를 통해 애도의 뜻을 전하며 이 어려운 시간에도 독일은 일본과 함께 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 앙겔라 메르켈 전 독일 연방총리는 성명을 통해 "위대한 정치가를 잃었다"며 애도의 뜻을 표했다. #
  • 아날레나 베어보크 독일 외무장관은 트위터를 통해 충격을 받았다며 아베와 그의 가족들을 걱정한다고 밝혔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6.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 알베르토 누녜스 페이호 인민당 대표가 산티아고에서 아베와 만났던 사진을 올리며 아베를 애도했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7.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8.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 페트르 피알라 체코 총리는 소식을 듣고 충격받았으며 모든 종류의 폭력은 규탄받아야 한다고 말하였다. 그리고 아베 전 총리의 빠른 쾌유도 기원했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9.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1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은 한국시간 오후 6시 29분경 트위터를 통해 테러를 규탄하며 아베 전 총리의 사망에 깊은 슬픔을 느끼며 일본 정부와 국민들에게 조의를 표한다고 밝혔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11.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1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3.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14.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15.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알렉산더르 더크로 벨기에 총리가 애도의 뜻을 표했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16.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 안토니우 코스타 포르투갈 총리가 아베는 역사적 지도자였다며 애도의 뜻을 표했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17.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18.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19.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2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21.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22.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 에디 라마 알바니아 총리가 애도의 뜻을 표했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23.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 비오사 오스마니 코소보 대통령이 애도를 표했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24.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25.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26.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27.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 니콜라에 치우커 루마니아 총리가 애도를 표했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28.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29.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 드리탄 아바조비치 몬테네그로 총리가 애도를 표했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30.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 잉그리다 시모니테 리투아니아 총리가 애도를 표했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 기타나스 나우세다 리투아니아 대통령이 애도를 표했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31.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32.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 아르투르스 크리샤니스 카린슈 라트비아 총리가 애도를 표했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 에길스 레비츠 라트비아 대통령이 애도를 표했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33.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 이라클리 가리바슈빌리 조지아 총리가 애도의 뜻을 표했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34.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35.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36.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 마이클 히긴스 아일랜드 대통령은 깊은 슬픔을 느낀다며, 애도의 뜻을 표명했다. #
  • 미할 마틴 아일랜드 총리가 애도를 표했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37.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 나탈리아 가브릴리차 몰도바 총리가 애도를 표했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38.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39.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 디미타르 코바체프스키 북마케도니아 총리가 애도를 표했다.파일:트위터 아이콘.svg
  • 스테보 펜다로프스키 북마케도니아 대통령은 애도를 표했다.파일:트위터 아이콘.svg

40.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 로버트 아벨라 몰타 총리가 애도를 표했다.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41.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 그리스 정부는 애도의 뜻을 표했다#

42.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43.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시국

44.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2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2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