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1 04:23:12

아리야카 문자

분절 문자의 계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오른쪽 문자는 왼쪽 문자에서 파생됨 >>>
이집트 상형 문자 신관문자 민중문자 메로이트 문자
원시 시나이 문자 우가리트 문자
페니키아 문자 고대 히브리 문자 사마리아 문자
아람 문자 카로슈티 문자
브라흐미 문자 바티프롤루 문자 칸나다 문자
텔루구 문자
팔라바 문자
참 문자
그란타 문자 싱할라 문자
말라얄람 문자
타밀 문자
크메르 문자 태국 문자 아리야카 문자
라오 문자
카위 문자 발리 문자
순다 문자
자바 문자
바이바이인 문자
버마 문자
굽타 문자 실담 나가리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캐나다 원주민 음절문자
모디 문자
구자라트 문자
난디나가리 문자
카이티 문자
가우디 문자 동부 나가리 문자
오리야 문자
네팔 문자 란자나 문자 소욤보
티베트 문자 파스파 문자
타나 문자
시리아 문자 나바테아 문자 아랍 문자 타나 문자
페르시아 문자
자위 문자
응코 문자
아들람 문자
소그드 문자 돌궐문자 로바시 문자
위구르 문자 몽골 문자 만주 문자
팔라비 문자 아베스타 문자
히브리 문자
팔미라 문자
만다야 문자
그리스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 로마자 체로키 문자
오세이지 문자
프레이저 문자
데저렛 문자
홋착 문자
룬 문자
오검 문자
콥트 문자
고트 문자
아르메니아 문자
조지아 문자
글라골 문자
키릴 문자 아부르 문자
리비코-베르베르 문자 티피나그 문자
고대 히스파니아 문자
남아랍 문자 그으즈 문자
고대 북아랍 문자
한글 · 비저블 스피치 · 주음부호 }}}}}}}}}


파일:ariyaka.gif
1. 개요2. 역사3. 소멸

1. 개요

อักษรอริยกะ

태국 문자를 바탕으로 새로 만든 문자.

2. 역사

라마 4세가 승려 생활 중에 불교의 경전 문자 등으로 사용되는 팔리어의 표기법을 위하여 1847년 창제하였다.

이 문자는 태국뿐만 아니라 스리랑카 등 불교 문화권에서 널리 쓰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공식 외교 문서에도 사용된 적이 있다.

파일:hand_ariyaka.gif

태국 문자의 개념들을 기초로 하되 많은 부분에서 로마자의 특징들을 차용하였다.

기존의 태국 문자와는 달리 첨자 또는 합성되는 문자가 거의 없으므로 필기체로 쓰일 경우 더욱 로마자와 닮은 형태가 된다.

33개의 자음과 8개의 모음이 있으며, 문자의 갯수는 팔리어를 기준으로 정해졌기 때문에 현재의 태국 문자와는 차이가 있다.

3. 소멸

아리야카는 한 동안 사용을 장려하였으나, 광범위하게 쓰여진 적이 없으며 대중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지도 않았다.

공식적으로 이 문자는 1868년 이후로 쓰이지 않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