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2 09:29:24

아르카디아 선수권: 크루저급 4

{{{#!wiki style="margin: -10px -5px"<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222>
파일:Dawntrail2.png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파일:파판14던전.pn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padding: 1px 0px 0px 0px; color: #ffffff;"
{{{#!folding 【 던 전 】
Lv 97 파일:파판14메인퀘.png 뱅가드
Lv 100 파일:파판14메인퀘.png ????

7.1
Lv 100 유웨야와타
7.2
Lv 100 언더 킵
}}}
}}}
}}}   
파일:파판14토벌전.png
【 토벌전 】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d1a83b><#444>
7.2
Lv 100 파일:파판14메인퀘.png ??? 토벌전
||
   
파일:파판14레이드.png
【 레이드 】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d1a83b><#444>

레이드
Lv 100
'''아르카디아 선수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1px 4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d1a83b; font-size: 1.0em"'''
7.2
Lv 100
'''아르카디아 선수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1px 4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d1a83b; font-size: 1.0em"'''
7.4
Lv 100
'''아르카디아 선수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1px 4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d1a83b; font-size: 1.0em"'''

||
||
{{{#!folding 다른 버전 임무 둘러보기<tablebgcolor=white> 파일:파판14신생에오르제아세미로고.png 파일:파판14창천의이슈가르드세미로고.png 파일:파판14홍련의해방자세미로고.png
파일:파판14칠흑의반역자세미로고.png 파일:파판14효월의종언세미로고.png 파일:Dawntrail4.png
}}} ||



1. 개요2. 보스: 하울링 블레이드
2.1. 패턴
2.1.1. 일반 난이도2.1.2. 영웅 난이도
2.2. 공략
2.2.1. 일반 난이도2.2.2. 영웅 난이도
3. 여담

1. 개요

2. 보스: 하울링 블레이드



BGM: Unleashed
소꿉친구인 브루트 봄버가 레귤레이터의 부작용으로 죽는 것을보고도 하울링 블레이드는 투사로서 싸우다 죽는 것을 선택하고, 모험가는 허니. B의 도움으로 대중 앞에서 은퇴를 걸고 결투를 신청하는 걸로 물러날 수 없게 만들고 삶의 전부인 아르카디아를 은퇴하는 것을 조건으로 걸었으니 모험가도 삶의 전부를 걸라고 하고 결투를 받아들인다.

2.1. 패턴

2.1.1. 일반 난이도

2.1.2. 영웅 난이도

2.2. 공략

2.2.1. 일반 난이도

2.2.2. 영웅 난이도

라이트헤비급의 위키드 썬더마냥 통짜 페이즈이긴 하나, 위키드 썬더와 달리 전반을 0.1%미만으로 까내린뒤 다시 풀로 체력이 찬 후반전을 역시 중간 세이브 없이 진행해야 한다. 즉, 시간이 되면 무조건 후반 페이즈로 넘어가던 위키드 선더와는 달리 딜컷을 넘기지 못하면 후반은 구경도 못한다. 심지어 시간도 긴데, 컷신 포함해서 거진 15분동안 논스톱으로 하울링 블레이드와 전후반전을 치뤄야한다.[1]

퍼스트클리어는 17~18시간 정도 걸렸으나, 비슷한 시간이 소요된 시그마편과 달리 기믹 기조가 굉장히 달라졌기 때문에 일반적인 공대는 1~4 전체 주파에 대략 30~40시간 이상의 트라이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이런 불만점을 제외하면 기믹이 전부 속도감은 있지만 공략을 보면 이해가 가게 되어있어서 전반전은 호평이다. 후반전은 일단 보스 디자인부터 혹평이 가득하고 전반보다는 쉽다는 평가가 다수다. 후반 기믹들 중 다른건 둘째치고 체력 30% 가량부터 시전하는 전멸기 기믹으로 8연타 쉐어 후 바닥 부수기 총합 5회는 너무한거 아니냐는 평이 주류.[2] 덕분에 글로벌 서버에서는 81128이라고 해서 8인 쉐어 - 메인탱 무적기 - 서브탱 무적기 - 탱커 둘이서 풀 생존기 - 마지막 8인 쉐어로 넘기는 방식이 주류로 자리잡았다.

딜컷은 체감상 3층 정도는 아니나, 누가 죽거나 주는 피해 감소를 달아버리면 전/후반 공통으로 딜이 꽤나 빡빡해진다. 특히 후반은 아예 81128 쉐어 기믹때 거진 25~30%에 달하는 피통을 리미트브레이크와 2분 버스트 및 마지막 1분 버스트로 까내려야해서 근딜이나 캐스터가 쇠약을 달면 클리어 실패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는 등 딜컷이 낮다고 보긴 힘들다.

게다가 유독 다른 층에 비해서 기믹 피해량이 높은데, 전반의 2~3인쉐어 계통도 인원이 모자란 상태로 맞으면 죽는다고 봐야하고 후반의 4인 쉐어 패턴은 아예 인원이 모자라면 1인당 피해량이 60만 가량으로 폭등해서 어거지로 넘기질 못하게 만들어뒀다.[3] 후반전 보스의 좌우베기류 패턴은 아예 탱커도 쓸데없이 맞으면 기가막힌 피해량이 뜨면서 버틸 수가 없는 수준.

3. 여담

BGM은 위키드 선더와 같은 테마를 일부 공유한다.

공개 당시부터 남자의 로망을 듬뿍 담아낸 디자인[4]과 서사, 잘 뽑힌 BGM으로 호평을 받았으나 영웅 난이도에만 존재하는 2페이즈의 변신 모습은 별로라는 평이 많다. 백호나 공명 영식 4층의 2페에서 보여준 해괴한 디자인 센스가 또... 약간 노이에 질 닮은것 같기도 하다.
[1] 절 난이도를 제외하고 이 정도로 논스톱으로 진행하는 전투시간이 긴 레이드는 역대 레이드 중에서도 14분넘게 싸워야 하는 공명편 4층 영웅편의 시바 단 하나뿐이다.[2] 랜덤 파티원 한명을 지정해 연타를 가한 뒤 마무리 강타로 서있던 섬을 부숴버린다. 현재 글로벌 서버 국룰 택틱인 81128식에 따르면 탱커와 힐러만 조금 신경 써주고, 딜러들은 쉐어 차례때 붙어주는거 외엔 거진 프리딜 패턴이다, 근데 이 패턴이 후반부 전투시간의 2~3할 쯤 된다.[3] 4인이서 맞으면 일반적인 쉐어 패턴이나, 인원이 모자라면 판데모니움의 디버프 체크마냥 피해량이 폭등하게 작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탱리밋 3단과 탱커 무적기를 제외하면 무조건 4:4 쉐어를 해야한다.[4] 건담이나 일본의 MMORPG인 판타시 스타 온라인2에 나올 것 같다는 평가가 많다. 아예 판스온2로 하울링 블레이드를 커마 한 트윗까지 있을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