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3 11:05:27

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프리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


1. 개요2. 특징3. 목록
3.1. 블랙홀 건틀릿(Black Hole Gauntlet)3.2. 별빛밤 망토(Cloak of Starry)3.3. 부서진 여왕의 왕관(Crown of the Shattered Queen)3.4. 잔혹 행위(Cruelty)3.5. 흑강철 발톱(Darksteel Talons)3.6. 참수자(Decapitator)3.7. 불사대마왕의 왕관(Demon King's Crown)3.8. 악마의 포옹(Demonic Embrace)3.9. 폭발의 구(Detonation Orb)3.10. 다이아몬드 창(Diamond-Tipped Spear)3.11. 신성한 파괴자(Divine Sunderer)3.12. 용의 심장(Dragonheart)3.13. 드락사르의 황혼검(Duskblade of Draktharr)3.14. 일라이자의 기적(Eelisa's Miracle)3.15. 창공의 서약(Empyrean Promise)3.16. 만년서리(EverFrost)3.17. 살점포식자(Flesheater)3.18. 엔트로피의 힘(Force of Entropy)3.19. 질책(Fulmination)3.20. 돌풍(Galeforce)3.21. 도박꾼의 칼날(Gambler's Blade)3.22. 가고일 돌갑옷(Gargoyle Stoneplate)3.23. 불귀신(Hamstringer)3.24. 혈마법사의 투구(Hemomancer's Helm)3.25. 마공화살 동료(Hexbolt Companion)3.26. 활력증진의 펜던트(Innervating Locket)3.27. 킨코우 십수(Kinkou Jitte)3.28. 신기루 검(Mirage Blade)3.29. 달빛 마법검(Moonflair Spellblade)3.30. 번개 막대(Lightning Rod)3.31. 밤의 수확자(Night Harvester)3.32. 자객의 발톱(Prowler's Claw)3.33. 조종의 손아귀(Puppeteer)3.34. 화염술사의 망토(Pyromancer's Cloak)3.35. 광휘의 미덕(Radiant Virtue)3.36. 현실 균열(Reality Fracture)3.37. 사신의 대가(Reaper's Toll)3.38. 섭정 시해(Regicide)3.39. 반향(Reverberation)3.40. 룬 조각기(Runecarver)3.41. 핏빛 선물(Sanguine Gift)3.42. 용암의 방패(Shield of Molten Stone)3.43. 신성의 검(Sword of the Divine)3.44. 승천의 부적(Talisman of Ascension)3.45. 터보 화공 탱크(Turbo Chemtank)3.46. 황혼의 끝자락(Twilight's Edge)3.47. 쌍둥이 가면(Twin Mask)

1. 개요

리그 오브 레전드의 특별 게임 모드인 아레나의 프리즘 아이템에 대한 문서.

2. 특징

파일:롤아이템-프리즘 아이템 모루.webp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34px; font-size: 1.2em"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34px; font-size: 1.2em"

사용 시 - 소모: 프리즘 아이템을 고르는 반무작위 선택지를 자동으로 엽니다.

프리즘 아이템 모루에서만 얻을 수 있는 아이템. 각 아이템 툴팁 내 골드는 모두 1000골드라고 쓰여있지만, 실제로는 3라운드에 무료로 제공하는 프리즘 아이템 모루를 제외하면 4000골드를 지불해서 무작위로 얻을 수 밖에 없으므로 큰 의미는 없다.

팔았을 때 골드를 2000골드 얻는다. 초반에 잘 맞는 프리즘 아이템이 나오지 않고 새로고침을 쓰기도 애매할 때 팔아서 전설급 아이템을 살 수도 있다.

아이템들을 보면 일부는 2024 시즌 직후 삭제된 아이템들을 재활용한 것이 있다.

3. 목록

3.1. 블랙홀 건틀릿(Black Hole Gauntlet)

파일:롤아이템-.pn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34px; font-size: 1.2em"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34px; font-size: 1.2em"

체력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900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25
기본 체력 재생 파일:롤아이콘-체력재생_신규.png 200%

응축

파일:롤아이콘-아이템사용.png 활성화 파일:롤아이콘-재사용대기시간.png (20초)
암흑의 별
자신의 크기에 비례하는 블랙홀을 소환합니다. 주변 적을 35% 둔화시키는 한편 중심에 있는 적을 가까이 끌어당기며 매초 (30 ~ 100파일:롤아이콘-레벨.png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70%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70%)의 마법 피해를 입히고 응축 중첩을 1회 부여합니다. 블랙홀은 (2 + 추가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0.1%)초 동안 유지됩니다.


중첩이 10회 쌓일 때마다 크기가 커집니다

3.2. 별빛밤 망토(Cloak of Starry)

파일:롤아이템-별빛밤 망토.png
 
별빛밤 망토

골치 아픈 마법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체력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300
마법 저항력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 100

별과 같은 무한함
마법 저항력이 20% 증가합니다. 기본 공격이 아닌 공격으로 받는 피해가 모두 마법 저항력에 비례해 최대 50%까지 일정 비율 감소합니다.

높은 마법 저항력을 가진 아이템으로, 스킬 피해에 대항하기 좋은 효과를 지녔다. 아이템 설명에 쓰여 있는 피해량 감소는 마법/물리 피해를 막론하고 모두 적용되므로, 비슷한 매커니즘의 프리즘 아이템 용암의 방패보다는 범용성이 한 층 넓은 편이다.

3.3. 부서진 여왕의 왕관(Crown of the Shattered Queen)

파일:롤아이템-부서진 여왕의 왕관.png
 
부서진 여왕의 왕관

방어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주문력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85
체력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300
마나 파일:롤아이콘-마나.png 600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25

방호
보호를 받아 챔피언으로부터 받는 피해가 40% 감소합니다. 보호 효과는 챔피언에게 피해를 받은 후 3초 동안 지속됩니다. 파일:롤아이콘-재사용대기시간.png (30초)


챔피언에게 피해를 입으면 아이템 재사용 대기시간이 초기화됩니다.

소환사의 협곡에서 삭제되기 전 효과와 스탯을 거의 동일하게 가져온 AP 아이템. 폭딜을 한 턴 버텨주게 하는 효과는 협곡과 동일하지만, 암살자와 누커가 판을 칠 때 더 유용한 옵션이 될 수 있다.

물론 단기적인 효과 탓에 지속전에 그리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과 간단한 견제만으로 쉽게 파훼될 수 있다는 점이 흠이다.
신화 아이템 시절에 있던 보호막이 존재하는 상태일때 주문력 증가 옵션이 사라진 것도 아쉽다. 사실상 다른 선택지가 메이지에 맞지 않는 아이템 뿐일때 고르는 꽝.

3.4. 잔혹 행위(Cruelty)

파일:롤아이템-은빛 여명.png
 
잔혹 행위

폭발 이동 불가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주문력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80
방어력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 30
마법 저항력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 30

추락을 목도하라
적 챔피언에게 이동 불가 효과를 적용하면 대상 위로 혜성을 소환합니다. 혜성은 1초 후 떨어지며 해당 지역에 50 ~ 150파일:롤아이콘-레벨.png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40%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4%의 마법 피해를 추가로 입힙니다. 이 효과는 스킬 사용 1회당 대상별 재사용 대기시간이 5초입니다.

하드 CC기가 출중한 챔피언과 잘 어울리는 아이템이다. 주문력이 붙어있기에 AP 계열의 챔피언들과도 궁합이 잘 맞지만, 방마저 + 체력 계수 마법 피해 덕에 체력만 올린 탱커 역시 딜을 쏠쏠하게 뽑아내기 좋은 편.

아이템 이미지는 삭제된 은빛 여명을 재활용하였다.

3.5. 흑강철 발톱(Darksteel Talons)

파일:롤아이템-흑강철 발톱.png
 
흑강철 발톱

적중 시 탱커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공격 속도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 50%
방어력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 55
이동 속도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 10%

깊은 상처
기본 공격 시 파일:롤아이콘-근거리.png20~40파일:롤아이콘-레벨.png (+추가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 40%) | 파일:롤아이콘-원거리.png10~20파일:롤아이콘-레벨.png (+추가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 20%)의 고정 피해(적중 시 파일:롤아이콘-적중 시 효과.png)를 입힙니다.

추가 방어력에 비례해 추가 고정 피해를 입히는 아이템. 람머스말파이트와 같은 방어력 뻥튀기가 가능한 챔피언이 채용 했을 때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3.6. 참수자(Decapitator)

파일:롤아이템-참수자.png
 
참수자

궁극의 힘 점차 증가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적응형 능력치 파일:롤아이콘-적응형능력치.webp 80
공격 속도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 50%
이동 속도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 12%

선견
기본 공격과 궁극기 이외의 스킬 사용 시 남은 라운드 동안 각각 1회, 2회의 선견 중첩을 최대 40회까지 부여합니다. 중첩당 궁극기 피해량이 3%, 궁극기 스킬 가속이 2 증가합니다.

궁극기 밸류가 뛰어난 챔피언들이 채용할 만한 아이템. 스킬 적중이 아닌 사용만으로도 중첩을 쌓을 수 있어 최대 중첩 달성이 그리 어렵지는 않다. 이와 같이 재사용 대기시간이 짧은 스킬을 허공에 사용한 후, 궁극기로 한 방을 노리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3.7. 불사대마왕의 왕관(Demon King's Crown)

파일:롤아이템-불사대마왕의 왕관.png
 
불사대마왕의 왕관

왕관의 자격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패권
체력, 방어력, 마법 저항력, 공격력, 주문력, 공격 속도, 스킬 가속이 26% 증가합니다. 증가 비율은 라운드에서 승리할 때마다 1%, 라운드에서 패배할 때마다 -3% 증가합니다.

직접 제공하는 능력치는 없고, 기존의 가진 능력치를 증가시켜 주는 아이템. 라운드에서 승패할 때마다 능력치가 달라지는 거의 아레나판 메자이다. 승리 시 증가 비율보다 패배 시 감소 비율이 더 크기 때문에, 조합의 안정성이 좋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쓰임새가 영 좋지 못한 편. 따라서 스탯이 부족한 초반에 올리기엔 심히 불안정해서 추천하지 않고, 극후반에 스탯뻥으로 승기를 굳히기 위해 사용하는 편이다.

아이템의 이름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정황 상 이 프로게이머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3.8. 악마의 포옹(Demonic Embrace)

파일:롤아이템-악마의 포옹.pn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34px; font-size: 1.2em"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34px; font-size: 1.2em"

주문력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80
체력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700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30

사악한 계약
잃은 체력 300당 주문력이 최대 40%까지 +4% 증가합니다.

도트 피해와 추가 체력 비례 주문력을 제공하던 이전과는 달리, 잃은 체력 비례 주문력 증가 효과와 체력을 소비해 일시적인 이동 속도를 얻는 사용효과를 가지게 되었다.

3.9. 폭발의 구(Detonation Orb)

파일:롤아이템-폭발의 구.png
 
폭발의 구

스킬 피해량 증가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주문력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90
마법 관통력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관통_신규.png 12
마나 파일:롤아이콘-마나.png 400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20

폭탄
스킬 피해가 대상에게 표식을 남겨 입힌 피해의 25%를 비축합니다. (이동 불가 상태인 적의 경우 30%로 증가)

제드의 궁극기처럼 입힌 피해의 20%를 저장하고 비전투 상태에서 3초가 지나면 저장한 피해를 고정 피해로 터뜨리는 아이템이다. 상대가 즉사할 만큼 피해량이 저장되면 즉시 터뜨려 죽이는 옵션으로 인해 마오카이나 자크, 거석상의 용기를 채용한 탱커 등 흡혈과 보호막으로 끈질기게 버티는 챔피언 상대로 아주 좋은 효율을 자랑한다.

3.10. 다이아몬드 창(Diamond-Tipped Spear)

파일:롤아이템-.png
 
다이아몬드 창

원거리 피해 강화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적응형 능력치 파일:롤아이콘-적응형능력치.webp 75
공격 속도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 30%

무기 뻗기
공격 사거리가 75 증가합니다.


최고의 공격점
대상과 떨어진 거리에 비례해 기본 공격의 피해가 30%, 스킬 피해가 40%까지 증가합니다. 피해량은 1000유닛 거리에서 최대가 됩니다.

공격 사거리가 넓은 애쉬, 케이틀린같은 원거리 딜러에 유용한 아이템. 거리에 따라 스킬 피해도 증가하기에 장거리 포킹에 특화된 메이지도 차선책으로 고를 수 있다.

3.11. 신성한 파괴자(Divine Sunderer)

파일:롤아이템-신성한 파괴자.png
 
신성한 파괴자

탱커 대항용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공격력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55
체력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350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20

주문검 파일:롤아이콘-재사용대기시간.png (1.5초)
스킬을 사용하고 나면 다음 기본 공격 시 대상 최대 체력의 기본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160%+(파일:롤아이콘-근거리.png4%|파일:롤아이콘-원거리.png2%)에 해당하는 물리 피해를 추가로 입힙니다. 대상이 챔피언일 경우 감소 전 피해량의 55%만큼 체력을 회복합니다.


주문 검은 유닛에게 최소 기본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125%의 피해를 입히고 몬스터에게는 최대 기본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250%의 피해를 입힙니다. 아이템 성능은 파일:롤아이콘-근거리.png 근접 챔피언과 파일:롤아이콘-원거리.png 원거리 챔피언에게 각각 다르게 적용됩니다.

2024 시즌 이후 삭제되었던 대 탱커용 주문 검 아이템. 이 아이템을 얻으면 삼위일체, 리치베인, 얼어붙은 건틀릿을 구매할 수 없다.

3.12. 용의 심장(Dragonheart)

파일:롤아이템-용의 심장.png
 
용의 심장

드래곤 영혼 수집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내면의 열정
체력, 방어력, 마법 저항력, 공격력, 주문력, 공격 속도, 스킬 가속이 5% 증가합니다. 증가 비율은 보유한 용 영혼 하나당 5%씩 증가합니다.


라운드 5 이후 구매 시 바로 영혼 1개를 받습니다. 라운드 5 이후 2라운드마다 1개를 추가로 받습니다.

아이템 자체엔 능력치 옵션이 없고 이미 보유한 능력치만 강화시키는 특이한 아이템. 용의 영혼 6개를 모두 모으면 능력치를 최대 35%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이 아이템의 진가는 드래곤 영혼을 모두 모은 후 얻을 수 있는 '고대의 힘' 에 있는데, 이 아이템을 보유한 상태에서 고대의 힘이 깨어난 경우 보유 플레이어는 장로 드래곤의 영혼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고대의 힘을 발동시킨 상태라면 이미 능력치가 높은 수치로 증가해 있고 장로 드래곤의 영혼 효과로 처형까지 영구적으로 가지고 있기에 게임의 판도를 완전히 뒤집는 후반 지향형의 성능을 가지게 된다.

다만 2라운드마다 영혼을 하나씩 얻기 때문에 고대의 힘을 발동시키려면 프리즘 아이템을 최초로 얻는 3라운드에 용의 심장을 얻는다 하더라도 게임의 막바지인 15라운드 까지 기다려야만 한다. 해당 라운드 전 까지는 성능이 미미한 아이템으로 게임을 풀어나가야 하기에 상당히 불리한 상황에 놓이는 셈.

그렇기에 주로 드래곤의 영혼 3가지를 즉시 제공하는 프리즘 증강인 전능의 영혼과 연계하여 선택하게 되며 혹은 실버 증강에서 드래곤의 영혼을 제공하는 대지/바다/지옥불(화염)의 영혼 증강을 선택한 경우에도 채용하기 좋은 아이템이다.

3.13. 드락사르의 황혼검(Duskblade of Draktharr)

파일:롤아이템-드락사르의 황혼검.png
 
드락사르의 황혼검

처형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공격력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50
물리 관통력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관통_신규.png 20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20

밤의 추적자
대상이 잃은 체력에 비례해 스킬 피해량이 최대 (파일:롤아이콘-근거리.png22.25% | 파일:롤아이콘-원거리.png12.25%)까지 증가합니다. 자신이 피해를 입힌 챔피언이 3초 안에 죽으면 1.5초 동안 구조물이 아닌 대상으로부터 무형 상태가 됩니다.


무형 상태의 유닛은 구조물이 아닌 대상으로부터 대상으로 지정될 수 없고 공격으로부터 피해를 입지 않습니다.

3.14. 일라이자의 기적(Eelisa's Miracle)

파일:롤아이템-일라이자의 기적.png
 
일라이자의 기적

인내를 향한 의지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방어력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 65
마법 저항력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 65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25

인내의 생명력
잃은 체력 100당 체력 회복 및 보호막 효과가 +파일:롤아이콘-체력회복및보호막.png 1%, 최대 60%까지 증가합니다.


잃은 체력에 비례해 회복과 보호막을 증가시킨다. 문도나 자크 등 회복으로 버티는 탱커들과 가장 궁합이 좋고 굳이 탱커가 아니더라도 다르킨 케인 등 흡혈 브루저들에게도 효율이 좋다.

3.15. 창공의 서약(Empyrean Promise)

파일:롤아이템-창공의 서약.pn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34px; font-size: 1.2em"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34px; font-size: 1.2em"

주문력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70
체력 회복 및 보호막 파일:롤아이콘-체력회복및보호막.png 18%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30
기본 마나 재생 파일:롤아이콘-마나재생.png 125%

파일:롤아이콘-아이템사용.png 활성화 파일:롤아이콘-재사용대기시간.png (1초)
경계
아군에게 순간이동하고 착지 시 5초 동안 100 ~ 250파일:롤아이콘-레벨.png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100% + 추가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10%의 피해를 흡수하는 보호막을 부여합니다.
아군이 쓰러졌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3.16. 만년서리(EverFrost)

파일:롤아이템-만년서리.pn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34px; font-size: 1.2em"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34px; font-size: 1.2em"

주문력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100
체력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500
마나 파일:롤아이콘-마나.png 600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25

파일:롤아이콘-아이템사용.png 활성화 파일:롤아이콘-재사용대기시간.png (20초)
빙결
원뿔 범위 내의 적들에게 150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75% + 추가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100%의 마법 피해를 입히고 1.5초 동안 65% 둔화시킵니다. 범위 중앙의 적들은 속박됩니다.

3.17. 살점포식자(Flesheater)

파일:롤아이템-살점포식자.png
 
살점포식자

적응형 관통력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적응형 능력치 파일:롤아이콘-적응형능력치.webp 70
물리 관통력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관통_신규.png 18
마법 관통력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관통_신규.png 18

난도질
피해를 입히면 5초 동안 방어력마법 저항력을 3 감소시킵니다. 최대 10회까지 중첩됩니다. 중첩에는 대상별 1초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적용됩니다.

3.18. 엔트로피의 힘(Force of Entropy)

파일:롤아이템-엔트로피의 힘.png
 
엔트로피의 힘

군중 제어 치명타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체력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900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30
치명타 확률 파일:롤아이콘-치명타확률.png 25%

위축
이동 불가 군중 제어 효과 적용 시 치명타 확률이 적용되어 지속시간이 0.25+33%초 증가할 수 있습니다.

CC기에 치명타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리츠크랭크의 E스킬은 1초의 에어본을 가하므로 치명타가 터질 시 1초에 플러스로 33%에 해당하는 0.33초 + 0.25초까지 총 1.58초의 에어본을 가하게 된다. CC기를 가할 수만 있다면 누구에게나 좋은 아이템이나 정작 이 아이템의 주 수요층인 탱커들은 마땅히 치명타를 챙기기가 힘들어 모루나 증강으로 충족해야 한다.[1]

그랩이나 넉백에도 정상적으로 적용된다. 그랩 스킬로 적을 끌 시 상대가 평소보다 더 느리게 끌려오며 넉백을 가하면 마찬가지로 더 느리게 밀려난다.

3.19. 질책(Fulmination)

파일:롤아이템-질책.png
 
질책

충전 캡스톤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공격력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55
공격 속도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 45%
이동 속도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 15%

극성
충전 상태로 공격의 대상이 이전에 충전 상태로 공격한 대상과 다르면 충전을 돌려받습니다.
충전 상태: 이동하거나 공격하면 충전 상태로 공격할 수 있습니다.

고연포나 폭갈을 애용하는 타입의 원딜이라면 충전 효과를 2연속으로 발동시키거나 번갈아 공격함으로써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상당히 유용한 아이템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그 이외의 챔피언일 경우 효율이 좋지 못해 타 원거리 딜러 프리즘 아이템보다는 평가가 낮은 편.

아이템 아이콘은 사라진 모드인 뒤틀린 숲 전용 아이템이었던 '흉악한 손도끼' 의 이미지를 그대로 사용했다.

3.20. 돌풍(Galeforce)

파일:롤아이템-돌풍.pn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34px; font-size: 1.2em"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34px; font-size: 1.2em"

공격력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65
공격 속도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 30%
치명타 확률 파일:롤아이콘-치명타확률.png 25%
이동 속도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 12%

파일:롤아이콘-아이템사용.png 활성화 파일:롤아이콘-재사용대기시간.png (30초)
폭우 Ⅱ
지정 방향으로 지형을 넘어 600 사거리까지 돌진하며 착지 지점 주변 체력이 가장 낮은 적(챔피언 우선)에게 발사체 3개를 날립니다. 총 150 ~ 350파일:롤아이콘-레벨.png + 추가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80%의 물리 피해를 입히며 체력이 낮을수록 최대 225 ~ 525파일:롤아이콘-레벨.png + 추가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120%의 물리 피해까지 증가합니다.

삭제된 신화급 아이템인 돌풍을 그대로 가져왔다. 사용 시 지정한 방향으로 돌진한다. 차이점이라면 돌진 거리가 더 늘어났고 돌진으로 벽을 넘을 수 있다.

3.21. 도박꾼의 칼날(Gambler's Blade)

파일:롤아이템-도박꾼의 칼날.png
 
도박꾼의 칼날

골드 도박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공격 속도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 70%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40
이동 속도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 8%

예금
기본 공격과 스킬이 적에게 적중하면 10% 확률로 30~240골드를 비축합니다. 라운드 승리 시 골드를 획득합니다. 라운드 패배 시 모은 돈의 25%를 잃습니다.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그 자체의 아이템으로 스킬이나 평타를 맞출 때마다 10% 확률로 돈을 비축한다. 라운드 승리 시 비축한 돈을 모조리 얻을 수 있고 패배 시 비축한 돈을 25% 잃는다.

오로지 돈을 버는 것에만 집중한 아이템답게 자체 스펙이 매우 형편없으며 때문에 초반부터 집는 것은 남들보다 프리즘 아이템 하나를 없이 플레이하는 것과 같다. 그 대신 사기 증강을 골라 초반이 강하다거나 실력 자체가 매우 좋아 패널티를 딛고 초반부터 연승을 하며 돈을 쓸어담는다면 후반에는 상대와 1만 가까이 골드 차이를 낼 수 있기 때문에 리턴 하나만큼은 아주 확실한 아이템이다.

초반이 약한 챔피언으로 이 아이템을 집는다는 것은 자살 행위나 다름이 없고 초반이 강한 챔피언이라도 프리즘 아이템 하나를 버리고 싸우는 건 만만찮게 부담이 되는 만큼 굉장히 신중하게 골라야만 한다.

돈을 버는 것 말고는 딱히 별 의미가 없는 아이템이니 골드의 의미가 없어지는 결승 라운드에서는 팔아버리고 다른 아이템이나 모루를 사는 편이 좋다.

3.22. 가고일 돌갑옷(Gargoyle Stoneplate)

파일:롤아이템-가고일 돌갑옷.pn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34px; font-size: 1.2em"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34px; font-size: 1.2em"

방어력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 65
마법 저항력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 65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15
이동 속도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 10%

파일:롤아이콘-아이템사용.png 활성화 파일:롤아이콘-재사용대기시간.png (30초)
불굴
5초 동안 크기가 25% 커지고 300 + 추가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100%의 피해를 흡수하며 점차 사라지는 보호막을 얻습니다.

사용 시 추가 체력에 비례한 대량의 보호막을 얻는다. 추가 체력 비례인 만큼 초반에는 보호막이 얇지만 후반으로 갈 수록 체력바를 꽉 채우는 엄청난 양의 쉴드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아이템 가속 300을 주는 증강과 결합하면 7초마다 쉴드의 쿨타임이 돌아오는 만큼 압도적인 단단함을 자랑한다.

3.23. 불귀신(Hamstringer)

파일:롤아이템-불귀신.png
 
불귀신

거리 유지 및 출혈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공격력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45
공격 속도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 40%
치명타 확률 파일:롤아이콘-치명타확률.png 25%

전소
치명타 적용 시:

치명타를 입히면 출혈을 입힌다. 무한히 중첩된다는 것이 핵심으로 탱커들을 집중 공격하다보면 피가 전혀 닳지 않던 태산같은 탱커들도 어느새 점점 체력이 깎이기 시작하더니 수없이 중첩된 몇 백 단위의 도트뎀에 피를 철철 흘리다 비명횡사한다. 상대에 탱커가 많을 경우 반 필수 아이템이다.

3.24. 혈마법사의 투구(Hemomancer's Helm)

파일:롤아이템-혈마법사의 투구.png
 
혈마법사의 투구

모든 피해 흡혈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공격력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60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30
모든 피해 흡혈 파일:롤아이콘-모든피해흡혈.png 10%

붉은 연대
생명력 흡수/모든 피해 흡혈 기준 30%: 최대 체력이 500 증가합니다. 주변 적이 입는 모든 피해의 12%를 흡수합니다.

헤카림의 공포의 망령(W)의 흡수 효과를 부분적으로 가져온 아이템. 생명력 흡수 및 모든 피해 흡혈을 도합 30% 이상 확보해야 한다는 점에서 초중반이 불안정할 수 있는데, 빠르게 앞당길 방법으로는 수호자의 망치, 굷주린 히드라 등 흡혈 옵션이 포함된 아이템을 구매하거나, 증강 선택지에서 선혈포식과 같은 흡혈 증강을 고르는 것, 또는 능력치 모루에서 모든 피해 흡혈 능력치를 얻어야 한다.

고유 효과는 본인이 입힌 피해가 아니더라도 아군이나 카메오 챔피언이 입힌 피해에도 적용된다.

3.25. 마공화살 동료(Hexbolt Companion)

파일:롤아이템-.png
 
마공화살 동료

팀 적중 시 적용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공격 속도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 75%
체력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500

지원 사격
아군 근처에 있으면 두 번째 기본 공격을 할 때마다 아군이 대상에게 화살을 발사하여 (20 ~ 60파일:롤아이콘-레벨.png)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아군의 적중 시 파일:롤아이콘-적중 시 효과.png 효과를 적용합니다.

두 번째 기본 공격마다 아군 방향에서 화살을 발사한다. 아군의 적중 시 효과가 발동한다.

설명만 봐선 서포터가 원딜을 보조하는 것에 특화된 템 같지만 실상은 함정템이다. 서포터는 공속을 갈 일이 거의 없고 때문에 화살이 날아가는 양도 아쉽다. 무엇보다 어지간히 딜링이 센 것이 아닌 이상 상대는 무조건 원딜보다 서포터를 먼저 노리므로 기본 공격을 때리기는 커녕 도망가기에도 바쁘기 때문.

그나마 사용처를 찾아보자면 자신과 아군이 전부 기본 공격 위주의 챔피언이라 공속이 부족하지 않고 아군이 사기급 증강이나 프리즘 아이템을 뽑아 화살의 적중 시 효과가 막강할 경우 가볼만 하다.

3.26. 활력증진의 펜던트(Innervating Locket)

파일:롤아이템-활력증진의 펜던트.png
 
활력증진의 펜던트

힘 강화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주문력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70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20
체력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200

영혼 채우기
800 사거리 내에서 사용되는 스킬이 1회 중첩을 부여합니다.

800 거리 이내에서 자신과 아군, 적군이 스킬을 쓸 때마다 중첩을 얻는다. 30 중첩이 될 경우 대량의 보호막과 주문력, 이속을 얻는다.

중첩을 다 쌓을 경우 제공되는 능력치는 엄청나게 막강하지만 중첩을 쌓는 것이 문제다. 800이라는 애매한 사거리로 인해 중첩을 빨리 쌓으려 접근했다간 상대방의 사정거리에 들 수도 있고 아군과 적군 둘 다 극딜일 경우 중첩을 쌓기도 전에 승부가 나버릴 수도 있다.

때문에 극딜보다는 적당히 상대의 스킬을 버티며 중첩을 다 쌓을 수 있는 모데카이저, 스웨인, 그웬 등의 AP 브루저들에게 효율이 좋다.

3.27. 킨코우 십수(Kinkou Jitte)

파일:롤아이템-.png
 
킨코우 십수

약점 공격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적응형 능력치 파일:롤아이콘-적응형능력치.webp 70
물리 관통력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관통_신규.png 12
마법 관통력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관통_신규.png 12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30

늑골 사이
주변 적 챔피언의 약점이 보입니다. 약점을 통해 피해를 입히면 {{{#cdfafa

피오라의 패시브를 이속 증가까지 똑같이 가져온 아이템이다. 특이하게도 공격력이나 주문력 계수가 아닌 파이크의 스킬처럼 물관 계수와 마관 계수가 붙어있어 아무리 공격력과 주문력이 높아도 최대체력 비례 고정 데미지는 늘어나지 않는다.

약점을 계속 찌를 수만 있다면 고정 데미지로 탱커를 아이스크림처럼 녹일 수 있으나 그러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 문제. 특히 원딜은 약점을 찌르겠다고 탱커 주변에 달라붙어 빙글빙글 도는 짓거리 자체가 자살 행위나 다름이 없어 발동시키기 난감하므로 탱커를 녹여야 한다면 불귀신 등의 다른 프리즘 아이템이 좋다.

3.28. 신기루 검(Mirage Blade)

파일:롤아이템-신기루 검.png
 
신기루 검

돌진 추가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적응형 능력치 파일:롤아이콘-적응형능력치.webp 65
공격 속도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 60%
이동 속도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 12%

흐릿한 형체
적중 시 돌진과 순간이동 스킬의 남은 재사용 대기시간이 12% 감소합니다. (궁극기는 4%까지 감소)

3.29. 달빛 마법검(Moonflair Spellblade)

파일:롤아이템-달빛 마법검.png
 
달빛 마법검

스킬/기본 공격 연계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주문력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85
체력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400
강인함 파일:롤아이콘-강인함_신규.png 30%

무자비
스킬 사용 시 기본 공격 대기시간을 초기화하고 다음 2회의 기본 공격 시 공격 속도가 90% 증가합니다.

볼리베어, 잭스, 헤카림 등 평타를 치는 챔피언이면서 스킬에 AP계수가 있고 스킬 쿨타임을 빨리빨리 돌려야 하는 챔피언들에게 매우 효율이 좋은 아이템이다. 여기에 프리즘 증강으로 신비한 주먹까지 뽑는다면 스킬쿨이 사실상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

3.30. 번개 막대(Lightning Rod)

파일:롤아이템-.png
 
번개 막대

번개 자동 사용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체력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500
방어력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 30
마법 저항력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 30
이동 속도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 8%

번개 소환
16초마다 자동 사용으로 머리 위에 먹구름을 소환합니다. 먹구름은 잠시 후 번개를 내리쳐 (135 ~ 230파일:롤아이콘-레벨.png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50% + 추가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30%)+최대 체력의 10%에 해당하는 마법 피해를 입히고 2초 동안 30% 둔화시킵니다.

자신이 맞으면 2초 동안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14%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75% )의 피해를 흡수하는 보호막을 얻습니다.

3.31. 밤의 수확자(Night Harvester)

파일:롤아이템-밤의 수확자.png
 
밤의 수확자

다중 킬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주문력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90
체력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400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40

영혼 찢기 챔피언 하나당 파일:롤아이콘-재사용대기시간.png (10초)
기본 공격이나 스킬로 챔피언에게 피해를 입히면 125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15% + 추가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25%의 마법 피해를 추가로 입히고 1.5초 동안 이동 속도가 45% 상승합니다.

3.32. 자객의 발톱(Prowler's Claw)

파일:롤아이템-자객의 발톱.png
 
자객의 발톱

암살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공격력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60
물리 관통력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관통_신규.png 20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20

모래공습

3.33. 조종의 손아귀(Puppeteer)

파일:롤아이템-.pn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34px; font-size: 1.2em;color:#e6ddc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34px; font-size: 1.2em"

주문력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30
체력 회복 및 보호막 파일:롤아이콘-체력회복및보호막.png 15%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40
기본 마나 재생 파일:롤아이콘-마나재생.png 125%

배후 조종

3.34. 화염술사의 망토(Pyromancer's Cloak)

파일:롤아이템-.png
 
화염술사의 망토

활활 불태우기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적응형 능력치 파일:롤아이콘-적응형능력치.webp 85
체력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400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15

불꽃 재사용 대기시간 (5초)
적 챔피언에게 기본 공격 또는 스킬이 적중하면 대상을 불태우며 3초에 걸쳐 (200 ~ 450파일:롤아이콘-레벨.png)의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정화의 화염 챔피언 하나당 파일:롤아이콘-재사용대기시간.png (3초)
적 챔피언에게 화상을 적용하면 5초 동안 주변에 불길을 생성합니다. 불길에 있는 동안 이동 속도가 20%, 모든 피해 흡혈이 5% 증가합니다. 안에 있는 적은 매초 100의 마법 피해를 입습니다.

불길의 크기와 세기는 근원이 되는 각 화상의 개수에 비례합니다.


근원이 되는 화상 하나당 마법 피해가 60, 모든 피해 흡혈이 2.5%, 이동 속도가 4%씩 증가합니다.


여기에서 표현되는 '화상' 효과는 증강체 뿐만 아니라 아이템에도 적용되며, 아이템의 설명에 노란색으로 '불태운다'는 표현이 있다면 근원이 되는 화상 효과에 추가가 된다. 아레나를 기준으로는 악의, 어둠불꽃 횃불이 해당된다. 증강체의 경우 설명에 나와 있지 않지만 프리즘 증강체 '저주의 화염' 을 선택하면 '화상' 효과를 하나 얻은 것으로 취급된다.

3.35. 광휘의 미덕(Radiant Virtue)

파일:롤아이템-광휘의 미덕.png
 
광휘의 미덕

아군 강화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체력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400
방어력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 35
마법 저항력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 35
체력 회복 및 보호막 파일:롤아이콘-체력회복및보호막.png 12%

파일:롤아이콘-아이템사용.png 활성화 파일:롤아이콘-재사용대기시간.png (45초)
인도하는 빛
궁극기를 사용하면 초월하여 9초 동안 최대 체력이 12.5% 증가합니다. 초월 상태에서 1200의 사거리 내의 자신과 아군이 지속시간 동안 최대 체력의 10%만큼 회복합니다.

3.36. 현실 균열(Reality Fracture)

파일:롤아이템-현실 균열.png
 
현실 균열

무리 소환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주문력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80
공격 속도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 40%
체력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300

즈롯 파일:롤아이콘-재사용대기시간.png (5초)
기본 공격 시 또는 스킬로 적에게 피해를 입히면 공허 유충을 3마리 소환해 대상을 공격합니다. 공허 유충은 8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8%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4%의 마법 피해를 입히고 최대 5초까지 생존합니다.

공격 시 협곡의 공허 유충을 소환하는 효과를 지녔다. 소환물이므로 골드 증강인 소환술사가 적용되며, 소환되는 재사용 대기시간도 5초라 상대하는 입장에서는 꽤나 성가신 아이템. 논타겟 스킬을 막아주는 역할도 겸하므로, 스킬 위주의 챔피언을 상대할 때 효과적이다.

3.37. 사신의 대가(Reaper's Toll)

파일:롤아이템-.png
 
사신의 대가

공격 속도 가속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적응형 능력치 파일:롤아이콘-적응형능력치.webp 40
공격 속도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 50%
이동 속도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 10%

파종
모든 공격의 공격 속도가 25% 증가합니다.


수확
적중 시 파일:롤아이콘-적중 시 효과.png, 최대 체력의 (파일:롤아이콘-근거리.png0.7%|파일:롤아이콘-원거리.png0.5%)에 해당하는 고정 피해를 입히고, 입힌 피해만큼 남은 라운드 동안 대상의 최대 체력을 낮춥니다. 같은 적에게 연속 적중 시 이 수치가 0.1% 증가합니다.

모든 공격의 공속이 증가한다는 것은 명백한 오역이다. 실제 효과는 총 공격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공속이 3.0인 상황에서 저 효과를 받으면 3.0 + 25%로 계산하여 공속이 3.75가 되는 것 뿐이며, 스킬의 선딜과 후딜이 짧아지는 효과는 당연히 존재하지 않는다.

적중 시 최대 체력에 비례한 고정 피해를 입히고 해당 라운드 동안 상대의 최대 체력을 감소시킨다. 최대 절반까지 감소된다.

정확한 원리는 크산테의 궁극기처럼 체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상한을 줄여버리는 것이다. 때문에 최대 체력을 줄인다고 초가스의 궁극기가 약해지거나 문도의 회복량이 줄어드는 일은 없지만 반대로 해당 탱커에게 입히는 최대 체력 비례 데미지가 약해지는 일도 없다.

3.38. 섭정 시해(Regicide)

파일:롤아이템-.png
 
섭정 시해

궁극의 암살자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공격력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60
물리 관통력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관통_신규.png 15
이동 속도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 8%

혈통 끊기
라운드가 시작할 때마다 가장 체력이 낮은 적을 섭정으로 선언합니다. 섭정을 처치하는 데 관여하면 영구적으로 공격력이 10 증가하고 궁극기 재사용 대기시간이 초기화됩니다.

협곡의 아이템인 오만을 조건만 다르게 하여 가져온 템이다. 적팀 2명 중 체력이 더 낮은 한 명을 섭정으로 지정하며 섭정을 죽일 경우 영구적으로 공격력이 10 증가하고 궁극기가 초기화된다.

라운드가 지나도 초기화되지 않는 공격력은 분명 매력적이지만 문제는 그 댓가로 자체 스펙이 그다지 좋지 않아 초반이 약해진다. 특히 프리즘 아이템을 하나 고른 뒤 진행하게 되는 2라운드에는 5레벨이기에 궁극기 초기화마저 의미가 없어 더더욱 이기기 힘들다.

그럼에도 매 라운드마다 섭정을 꼬박꼬박 처치하여 스택을 쌓는다면 후반에는 이 아이템 하나로 200에 가까운 공격력을 제공하는데다 궁극기 초기화 또한 대부분의 AD 챔피언에게 좋은 옵션이기에 어떻게든 왕귀만 한다면 압도적인 공격력으로 우승을 날로 먹을 수 있다.

도박꾼의 칼날처럼 자신이 사기급 증강을 골라 초반이 강하거나 실력에 자신이 있는 경우에만 선택하자.

3.39. 반향(Reverberation)

파일:롤아이템-.png
 
반향

적중 시 탱커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방어력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 35
마법 저항력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 35
공격 속도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 40%

반향 유발
전투 시작 시 추가 공격 속도 10%최대 체력이 40 증가합니다.


공명
기본 공격 시 (10 + 추가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1%)의 마법 피해 (적중 시 파일:롤아이콘-적중 시 효과.png)를 입힙니다.


굉음
적 챔피언을 이동 불가 상태로 만들면 8초 동안 중첩이 25회 쌓입니다. 중첩이 100회 쌓인 상태에서 8초마다 주변 적을 끌어당기고, 적 챔피언을 이동 불가 상태로 만들면 적중 시 파일:롤아이콘-적중 시 효과.png효과를 3회 적용합니다.

스택을 100회 쌓으면 CC기를 적중 할 시 효과를 3번 터뜨린다. 문제는 프리즘 증강 중 신비한 주먹과 조합되었을때인데, CC스킬을 맞추면 신비한 주먹도 3번이 터져 이론상 무한 CC기가 가능해진다.

3.40. 룬 조각기(Runecarver)

파일:롤아이템-룬 조각기.png
 
룬 조각기

피해량 점차 증가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주문력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80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20
이동 속도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 8%

나선
스킬로 피해를 입히면 충전 상태 중첩이 40회 쌓이고, 준비가 끝나면 충전 상태로 공격이 발동합니다.

3.41. 핏빛 선물(Sanguine Gift)

파일:롤아이템-핏빛 선물.png
 
핏빛 선물

주문 흡혈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주문력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80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20
체력 회복 및 보호막 파일:롤아이콘-체력회복및보호막.png 15%

후원
적에게 입힌 총 피해량의 15%를 비축합니다. 비축한 양이 333 이상이 되면 소모해 가장 가까이 있는 아군과 자신의 체력을 그만큼 회복합니다.

3.42. 용암의 방패(Shield of Molten Stone)

파일:롤아이템-용암의 방패.png
 
용암의 방패

의미 없는 공격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체력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300
방어력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 100

대지 같은 굳건함
방어력이 20% 증가합니다. 방어력에 비례해 최대 50%까지 방어 확률이 증가합니다.

3.43. 신성의 검(Sword of the Divine)

파일:롤아이템-신성의 검-신규.png
 
신성의 검

치명타의 치명타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적응형 능력치 파일:롤아이콘-적응형능력치.webp 110
치명타 확률 파일:롤아이콘-치명타확률.png 50%

찰과상
각 치명타가 치명타 확률에 비례해 (최대 50%까지) 무작위 추가 치명타 피해를 입힙니다.

3.44. 승천의 부적(Talisman of Ascension)

파일:롤아이템-승천의 부적.pn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34px; font-size: 1.2em"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34px; font-size: 1.2em"

공격력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공격 속도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 ?%
치명타 확률 파일:롤아이콘-치명타확률.png ?%
치명타 피해량 파일:롤아이콘-치명타피해량.png ?%

주문력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

체력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
기본 체력 재생 파일:롤아이콘-체력재생_신규.png ?%
마나 파일:롤아이콘-마나.png ?
기본 마나 재생 파일:롤아이콘-마나재생.png ?%
방어력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 ?
마법 저항력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 ?

물리 관통력 및 방어구 관통력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관통_신규.png ? || ?%
마법 관통력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관통_신규.png ? || ?%
생명력 흡수 파일:롤아이콘-생명력흡수_신규.png ?%
모든 피해 흡혈 파일:롤아이콘-모든피해흡혈.png ?%
이동 속도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 ? || ?%
체력 회복 및 보호막 파일:롤아이콘-체력회복및보호막.png ?%

파일:롤아이콘-아이템사용.png 활성화
중중첩첩 승천의 부적 능력치를 새로고침합니다. 새로고침할 때마다 능력치가 좋아집니다. 파일:롤아이콘-재사용대기시간.png 라운드당 두번 (최첨단 발명가 보유 시 세 번)

사용 시 무작위 능력치를 제공하는 아이템. 라운드마다 2번, 최첨단 발명가 증강 보유 시 3번 재설정이 가능하며 재설정을 할 수록 제공되는 능력치가 강해진다.

순수하게 랜덤으로 능력치를 뿌린다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도박꾼의 칼날, 검을 뽑아라, 양손잡이 등 온갖 예능용 아이템과 증강이 판치는 아레나에서도 독보적인 예능 즐겜용 아이템이다.
일반적으로 얻기 힘든 능력치인 치명타 피해량, 모든 피해 흡혈 등의 능력치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문제는 역으로 말하면 얻을 수 있는 능력치가 많아도 너무 많아서 정작 재설정을 할 때마다 자신에게 쓸데없는 능력치만 우수수 쏟아질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초반에 주는 능력치가 형편이 없는 것을 넘어 모루와 비견될 정도로 무능하다는 것도 문제다. 다른 프리즘 아이템이 몇십 단위의 공격력과 주문력, 몇백 단위의 체력을 제공하고 고유 지속 효과로 강력한 전투력을 갖출 수 있게 하는 반면 승천의 부적은 능력치 말고는 시체인 아이템임에도 초반에 제공하는 능력치가 공격력 14, 주문력 20, 방마저 20, 체력 100~200 정도 밖에 안 되는 실버 모루급 능력치를 랜덤으로 준다.[2]

어찌저찌 열심히 재설정을 하며 결승까지 도달한다고 해도 이 아이템이 1인분을 하기 위해선 무조건 운이 필요하다는 것도 문제다. 겨우 마지막까지 왔다고 하더라도 AD 챔피언에게 주문력, 마관 등의 능력치를 대량으로 퍼주거나 AP 챔피언에게 치명타, 공속 같은 이상한 능력치가 쏟아지면 실력이나 증강 차이도 아닌 순수하게 하나 때문에 우승을 못하고 져야 하는 상황이 와버린다.

그나마 진심으로 승천의 부적을 들고 우승을 하고 싶다면 온갖 능력치를 전부 잘 받아먹는 잭스, 케일, 코그모 등 기본 공격 위주의 하이브리드 챔피언을 골라야 한다. 이들은 공격력이 나오든 주문력이 나오든 전부 계수가 존재하여 써먹을 수 있고 설령 치명타가 나오더라도 기본 공격 위주인 만큼 이득이 되면 되었지, 손해는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반 필수로 골드 증강의 아이템 가속 300을 제공하는 최첨단 발명가를 집어 라운드마다 3번씩 능력치를 갱신해줘야 한다. 갱신을 하면 할 수록 능력치가 점점 증가하기 때문에 후반에는 최첨단 발명가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승천의 부적이 제공하는 능력치의 단위가 달라져버린다.

마지막으로 갱신 중 자신에게 찰떡인 옵션으로만 꽉꽉 채워진 능력치가 나왔다면 갱신 횟수가 남았더라도 그 자리에서 멈추고 전투에 진입해야 한다. AD 챔피언에게는 1000의 주문력보다 10의 공격력이 더 가치가 있는 만큼 갱신 횟수가 남았다고 무리해서 갱신을 하다가 쓰레기같은 옵션이 나와 패배해버리면 말짱 도로묵이 되어버린다.

여담으로 승천의 부적이 독보적인 예능용 아이템이기는 하지만 그 댓가로 모든 운이 합쳐졌을 때의 고점은 처형이 활성화된 용의 심장마저 범접하기 어려울 정도로 압도적이다. 극단적으로 1라운드 증강으로 최첨단 발명가, 2라운드 프리즘 아이템으로 승천의 부적을 골라 매 라운드마다 3번씩 갱신을 한다고 치면 결승 기준 능력치가 공격력, 공속, 체력, 방어력으로만 나왔다고 가정했을 때 공격력을 200, 체력이 3000, 공속이 150%에 방마저를 300씩 깡으로 뿌리는 미친 아이템이 된다. 분명 아이템창이 꽉 차있는데 능력치는 아이템을 일절 사지 않는 모루 빌드로 능력치에 몰빵한 수준인 괴물이 탄생한다. 다만 애초부터 승천의 부적을 고르는 사람이 거의 없고, 설령 고르더라도 초반에 나가 떨어져버리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어찌저찌 후반까지 오더라도 갱신이 망해버려 허무하게 패배하는 등 극악의 확률을 3번이나 뜷어야만 볼 수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을 뿐이다(...)

3.45. 터보 화공 탱크(Turbo Chemtank)

파일:롤아이템-터보 화공 탱크.pn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34px; font-size: 1.2em"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34px; font-size: 1.2em"

체력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1100
이동 속도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 15%

충전 도약
이동 속도 둔화 효과가 30% 줄어듭니다.

이전과는 달리 마저와 스킬 가속이 없어진 대신 상당히 높은 체력과 이동 속도를 제공하며 추가로 둔화 저항까지 준다.

3.46. 황혼의 끝자락(Twilight's Edge)

파일:롤아이템-.png
 
황혼의 끝자락

하이브리드 캡스톤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공격력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70
주문력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100

사이의 길


AD와 AP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발동된다. 낚이기 쉬운 아이템(...)

3.47. 쌍둥이 가면(Twin Mask)

파일:롤아이템-.png
 
쌍둥이 가면

아군 능력치 공유
파일:롤아이콘-골드_신규.png 1000

일심동체
아군 체력, 방어력, 마법 저항력, 공격력, 주문력, 공격 속도, 스킬 가속의 10%를 획득합니다. 아군이 쌍둥이 가면을 보유하고 살아 있으면 비율이 30% 까지 증가합니다.

아군과 함께 쌍둥이 가면을 보유할 경우 효율이 극대화된다. 다만 단독으로 갈 경우에는 매우 비효율적이다. 때문에 프리즘 아이템 선택지에서 쌍둥이 가면이 떴을 경우 핑을 찍어 알려주는 경우가 많다. 물론 아군도 쌍둥이 가면이 떴을 확률은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채용률은 낮은 편. 또한 '아군'의 능력치를 가져오는 것이기 때문에 한 명이 AD챔피언이고 다른 한 명이 AP챔피언인 경우에도 비효율적이다.


[1] 이 때 추가 체력당 치명타 확률을 제공해주는 아트마의 심판을 구매하면 사정이 나아진다. 최대 50%까지 확보할 수 있는데 탱커라면 대부분 체력이 붙어있기 때문에 나머지 25%만 모루나 증강으로 보충해주면 된다.[2] 즉 운이 좋아야 저 능력치를 모두 받아 그나마 사람 구실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편이고 운이 안 좋으면 치명타 피해, 퍼센트 관통 등 초반에 도움이 잘 안 되는 능력치나 체력 재생, 마나 재생 같은 초중후반 가리지 않고 골고루 쓰레기인 능력치만 무더기로 쏟아져 말 그대로 스킬이 달린 슈퍼 미니언으로 추락해버린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if external != "o"
[[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uuid=bb2c9058-e037-47f0-a43e-ce2c00450e20|r225]]}}}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uuid=bb2c9058-e037-47f0-a43e-ce2c00450e20#s-6|6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from=225|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if external != "o"
[[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uuid=bb2c9058-e037-47f0-a43e-ce2c00450e20|r225]]}}}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uuid=bb2c9058-e037-47f0-a43e-ce2c00450e20#s-6|6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from=225|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