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4 22:20:47

썬앤리치

<colbgcolor=#000><colcolor=#fff> 썬앤리치
SUN&RICH
파일:썬앤리치.png
명칭 썬앤리치 (SUN&RICH)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일 2001년 3월 9일
대표자 김채원
소재지 경기도 광명시 덕안로104번길 17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
2.1. 발전소 운영 방식2.2. 수익 구조 및 계약 시스템2.3. 신재생 에너지 가치 실현
3. 주요 사업 구조
3.1. 태양광 발전 기반 수익 정산 플랫폼3.2. 조합형 수익 모델
4. 운영 시스템5. 조합원 현황 및 통계6. 사업의 특징 및 장점7. 주의사항 및 투자자 유의점8. 기타


1. 개요


썬앤리치(SUN&Rich)는 대한민국 경기도 광명시에 본사를 둔 신재생에너지 기반 수익 분배형 플랫폼 기업이다.

전국에 위치한 소형 태양광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판매하여 발생하는 수익을, 조합원들과 매일 정산 방식으로 나누는 구조로 운영되며, 2020년 이후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조합 투자 상품화를 통해 빠르게 성장하였다.

2. 상세

썬앤리치(SUN&Rich)는 실물 기반의 태양광 발전소를 직접 소유·운영하며, 그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전기 판매 수익을 조합원들과 정산 방식으로 나누는 수익공유형 신재생에너지 플랫폼이다.

대한민국 경기도 광명시에 본사를 둔 법인사업체로, 전국 단위 분산형 태양광 발전소의 기획·시공·운영에 이르기까지 수직 계열화를 이룬 구조를 바탕으로, 조합원 참여 기반의 투자 모델을 설계한 것이 특징이다.

기존 신재생 에너지 기업들이 발전소 운영과 전력판매에 국한된 모델이었던 반면, 썬앤리치는 민간 조합형 수익 분배 구조를 최초로 도입해 일반 소비자 또는 투자자가 소액으로도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2.1. 발전소 운영 방식

썬앤리치는 전국 각지에 소형 발전 단지 100여 곳 이상을 분산 배치해 운영하고 있으며, 모든 발전소는 정부 및 한전 기준에 부합하는 사업자 등록 발전소로 등록돼 있다.

각 발전소는 태양광 패널, 인버터, ESS[1] 등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발전 효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기후 영향에 대비한 다중 분산형 운영을 통해 특정 지역 발전 효율 저하에도 대응 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또한, RTU[2]를 활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발전소 상태 및 전력 생산량을 실시간 감시하며, 문제가 감지되면 즉시 원격 조치 혹은 현장 출동을 시행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2.2. 수익 구조 및 계약 시스템

썬앤리치의 핵심은 전력 판매 수익을 조합원과 공유하는 정산형 모델에 있다.

운영 중인 발전소는 모두 한국전력공사 또는 민간기업과 장기 전력판매계약(PPA, 발전차액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기 가격의 단기적인 등락과 관계없이 고정 가격 기반의 예측 가능한 매출이 발생한다.

조합원(투자자)은 썬앤리치 플랫폼을 통해 출자(예치)를 진행하고, 해당 자금은 발전소 유지비, 신규 설치, 인버터 교체 등에 사용된다.
그에 대한 수익은 매일 단위로 정산되어 개인별 전용 계좌로 지급되며, 정산 기준은 각 발전소의 발전량, 매출, 계약 조건 등을 종합하여 산정된다.

모든 조합원은 계약서 내 ‘계약조건의무이행’ 조항을 포함한 정식 계약서를 제공받으며, 이는 수익 정산에 대한 책임과 보장 조건을 법적으로 명시하는 장치로 작용한다.

2.3. 신재생 에너지 가치 실현

썬앤리치는 단순한 수익 모델을 넘어 친환경 에너지의 확산, 민간의 참여 기반 확대, 지속 가능한 수익 순환 구조 실현이라는 비전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ESS 기반의 에너지 저장과 폐패널 재활용 계획, 지붕형 태양광 도입 확대 등 기술적인 전환 전략과 함께, 일반 소비자의 에너지 참여를 통해 미래 에너지 시장에서의 민간 영향력을 확대하는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3. 주요 사업 구조

3.1. 태양광 발전 기반 수익 정산 플랫폼

썬앤리치는 전국 100여 곳 이상의 소형 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하고, 이를 한국전력공사 또는 계약 기업에 고정 단가로 판매함으로써 예측 가능한 매출을 확보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전기 판매 매출 중 일부를 조합원(투자자)에게 매일 정산하는 시스템을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3.2. 조합형 수익 모델

썬앤리치의 조합원은 플랫폼을 통해 일정 금액의 출자(예치금)를 진행하며, 그 금액은 실물 발전소의 운영비 및 패널 유지 보수 등에 사용되고, 조합원은 이에 대한 정산 수익을 일 단위로 계좌에 지급받게 된다.

4. 운영 시스템

<rowcolor=#fff> 항목 내용
운용 기간 90일 단위(3개월) 상품
수익 지급 방식 매일 정산 → 당일 출금 신청 가능
계약 구조 계약서에 ‘계약조건의무이행’ 조항 포함
수익률 구조 상품별 수익률 상이[3]
투자자 보호 실물 기반 발전소 운영 + AIA 배상보험 도입 (일부 상품)
누적 지급률 100%[4]

5. 조합원 현황 및 통계

<rowcolor=#fff> 항목 내용
누적 조합원 수 67,000명 이상
누적 투자 금액 1,850억 원 이상
조합원 1인당 평균 재참여 횟수 5회 이상
수익금 지급 누락률 0%
기준시점 : 2024년

6. 사업의 특징 및 장점

  • 매일 정산되는 수익 지급 시스템
  • 실제 발전소 운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투명성
  • 장기 전력 판매 계약 체결로 예측 가능한 수익 구조 확보
  • 소형 발전소 분산 운영 → 특정 리스크 집중 회피
  • ESS[5] 기반 운영으로 야간 발전 효율 상승
  • AIA생명과의 배상 보험 도입

7. 주의사항 및 투자자 유의점

썬앤리치의 상품은 각종 안전 장치가 포함돼있으며, 리스크는 적다고 보여진다.
상품 별 운용 조건 및 수익률이 상이하므로, 가입 전 충분한 상담이 권장된다.

8. 기타

썬앤리치는 현재 유튜브, 블로그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실제 조합원의 경험과 인터뷰 영상을 공개하고 있다.
‘투명성’과 ‘계약 기반 정산 구조’를 중심으로 일반 투자자에게 접근 가능한 신재생 수익 모델이라는 점이 주목받는 이유이다.


[1] 에너지 저장 장치[2] 원격 터미널 유닛[3] 투자금 규모/운용 방식에 따라 조정[4] 2020년 설립 이래 단 한 건의 지급 누락 없음[5] 에너지 저장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