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한국중소벤처기업유통원 | 공영홈쇼핑 | |
한국벤처투자 | 기술보증기금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창업진흥원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 ||
신용보증재단중앙회 |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 |||
| }}}}}}}}} |
신용보증재단중앙회 KOREG | |
| |
정식 명칭 | 신용보증재단중앙회(신보중앙회) |
영문 명칭 | KOREG Korea Federation of Credit Guarantee Foudations |
국가 |
|
설립일 | 2000년 8월 7일([age(2000-08-07)]주년) |
설립 목적 | 신용보증재단과 신용보증재단중앙회를 설립하여 담보력이 부족한 지역 내 소기업, 소상공인 등과 개인의 채무를 보증하게 함으로써 자금 융통을 원활하게 하고 아울러 지역경제 활성화와 서민의 복리증진에 이바지 지역신용보증재단법 제35조 |
회장 | 원영준 |
주무 기관 | 중소벤처기업부 |
기업 분류 | 기타공공기관 |
업종 명 | 보증 보험업(산업 분류상 금융 및 보험업) |
미션 | 소기업ㆍ소상공인과 서민의 금융파트너로서 지역경제 발전과 서민의 행복추구에 기여 |
비전 | 소상공인과 서민의 행복을 보증하는 금융파트너 |
본사 | 본사 -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남로 7-12 |
사무소 | 서울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63 |
관련 웹사이트 | |
신용보증재단중앙회 공식 홈페이지 | |
| |
| |
| |
관련 전화번호 | |
대표전화: 1588-7365 |
1. 개요
지역신용보증재단법 제35조(설치) ① 서민의 복리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개인이 부담하는 채무에 대한 신용보증 업무를 수행하고, 개별 재단의 공동이익 증진과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재단을 구성원으로 하는 신용보증재단중앙회를 둔다. ② 중앙회는 법인으로 한다. |
2000년 8월 7일 '전국신용보증재단연합회'라는 명칭으로 설립되었고, 2009년 1월에 지금의 명칭인 '신용보증재단중앙회(신보중앙회)'로 변경되었다.
「지역신용보증재단법」이라는 특별법에 의하여 설립된 특수법인이다. 본사는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남로 7-12 (나성동)에 신사옥을 건립하였다. 신사옥 기념식에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장관[1]이 참석하여 축사[2]를 하기도 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에 본사를 두고 서울특별시에는 사무소[3]를 운영하고 있다.
신용보증재단은 Covid-19 경제적 피해 완화를 위한 유동성 공급의 일환으로 소상공인을 위한 보증공급을 대폭 확대하여, 2019년에 23조원이던 보증규모는 2022년 말 기준 46.6조원을 돌파하여, 국내 보증기관에서 규모 2위[4]가 되었다.
2024년 신보중앙회와 중기부는 금융위원회와의 출연요율 현실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협의 끝에, 출연요율 상향 조정에 합의했다. 합의 내용은 출연요율을 0.04%에서 0.05%로 상향하되 2년 간은 0.02%포인트를 더 올린 0.07%를 적용하는 것이며. 2년 뒤 출연요율의 적정성에 대해 협의를 통해 재검토하기로 했다.[5]
신보중앙회와 중기부는 금융기관 출연료율의 영구 인상을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있으며, 금융연구원에서는 지역신보 건전성 관리를 위한 관리 감독 강화를 통한 구조적인 개선 필요성을 지적했다.[6]
기관 홍보를 위해 2019년에는 신보중앙회 캠페인 광고모델을 백종원으로 선정해 광고를 제작하기도 하였다.
이후 2020년에는 홍보모델로 가수 김희재(탄탄한 가창력과 팬덤에 힘입어)가 활동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2021년에는 가수 이소정, 2022년에는 소상공인에게 친숙한 이미지의 오나라가 홍보모델로 활동하였다.
2023년부터는 임직원이 직접 콘텐츠 제작에 참여하여 영상을 제작해오고 있으며, 2024년 사옥건립 이후 신사옥과 관련된 홍보영상이 게시되었고, 신입직원과 청년인턴 영상 등 최근 공공기관의 영상 동향이 반영된 홍보영상을 제작하고있다.
신보중앙회는 2019년 ~ 2022년 4년 연속 경영평가 탁월(S)을 달성하였으며, 2023년에는 중소벤처기업부 경영실적 평가 결과 우수등급(A)을 받았지만 전년도 S등급에서 한계단 하락[7]하였다. 기획재정부 고객만족도조사에서 2021년, 2022년 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611845?sid=101,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0417000351
2. 역대 회장
- 엄기염 (2000~2001)
- 최원영 (2001~2003)
- 정규창 (2003~2006)
- 이은범 (2006~2009)
- 이용두 (2009~2011)
- 임충식 (2012~2015)
- 김순철 (2015~2018)
- 김병근 (2018~2021)
- 이상훈 (2021~2025)
- 원영준[8](2025~현재)
3. 업무
신용보증재단중앙회는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한다(지역신용보증재단법 제35조 제3항).- 신용보증·신용조사 기법의 연구·개발·보급과 신용정보의 관리
- 대외기관과의 업무 협조에 관한 사항
- 신용보증재단의 공동사업 및 업무 개선에 관한 사항
- 신용보증재단으로부터 위탁받은 채무자에 대한 채권 회수 업무
- 신용보증재단의 임직원에 대한 교육·연수
- 신용보증재단에 대한 재보증에 관한 사항
-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이 위탁하는 사업 중 소기업등 지원 또는 그에 부수되는 사업으로서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의 승인을 받은 사업
- 다른 법령에서 중앙회의 사업으로 정하는 사업
- 개인이 부담하는 채무에 대한 신용보증 및 구상권 행사 등의 업무
- 이상의 업무에 부수되는 업무로서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의 승인을 받은 사항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신용보증재단과 관련된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중앙회에 업무의 일부를 위탁할 수 있다(같은 조 제5항).
3.1. 재보증
원보증기관(지역신용보증재단)의 기본재산 건전성 유지를 위해 원보증기관이 소상공인등에 대하여 보증한 금액의 일정비율을 재보증기관(신보중앙회)이 재보증하고, 원보증기관이 금융기관에 대위변제후 회수하지 못한 채권에 대하여 재보증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재보증기관이 원보증기관에 지급하는 제도[9]이다.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신용보증재단중앙회만이 재보증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3.2. 보증기획
정부의 정책방향에 따라 소기업·소상공인의 원활한 자금융통을 통한 안정적 사업영위를 위하여 정책자금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전국 17개 지역신보가 공통적으로 운영하는 각종 특례·협약보증상품을 기획하고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공통적인 정부정책에 따른 정책자금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신보의 보증공급의 방향을 조절하며 관련된 사업평가에 대한 지표 설정 등에 관한 업무도 수반된다. 국내 주요 금융기관, 정책자금 유관기관, 중소벤처기업부 등 정부기관을 대상으로 신용보증재단의 대외협력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이 업무와 관련하여 2025년에는 지역신보 보증공급의 건전한 운영에 필요한 유인책으로 신용보증재단중앙회의 관리·감독 수단과 기제에 대한 필요성이 연구된바 있다.[10]3.3. 통합정보시스템 운영
전국 16개[11] 지역신용보증재단과 신보중앙회가 신용보증, 채권관리, 재보증 및 개인보증 등 업무처리를 위해 공동으로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는 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신보중앙회는 이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위해 통합전산센터를 신사옥 내에 구축하였다.[12]
3.4. 디지털 전환 및 데이터 융복합
- 지역신용보증재단 통합플랫폼 구축·운영
지자체 자금 연계, 범용성 확보를 위해 보증 신청, 서류제출, 약정 등 고객접점 프로세스를 비대면으로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
또한 지역신용보증재단의 고객편의 제고를 위한 증명서 온라인 발급, 분할상환 전자약정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 공공마이데이터 도입·운영
- 디지털 창구 구축·운영
3.5. 소상공인 조사연구
지역신보 보증이용 소상공인에 대한 경영실태, 체감지표 등 현장 상황을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조사를 바탕으로 보증지원을 위한 다각적 연구를 수행[15]하고 있다.- 보증지원기업의 폐업실태조사 (연간)
- 보증이용 기업경기 실사지수(GBSI) 조사 (분기별)
- 보증행태서베이 (분기별)
- 보증이용 소상공인 금융실태 조사 보고서 (연간)
- 보증이용 소기업·소상공인 신용보증 지원효과 분석 보고서 (연간)
- 지역신보 맞춤형 조사연구 (수시)
3.6. KOREG인재개발원 운영
- 교육연수
신용보증과 채권관리 교육은 물론이고,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신입직원을 대상으로 신입직원 교육과정 또한 운영한다.[17]
2024년에는 KOREG인재개발원 개원, 교육생에 우수한 교육환경을 제공하는 등 지속적으로 지역신보 임·직원의 교육기회 확대와 양질의 교육을 통한 인재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3년에는 전체 신용보증재단 직원의 약 1/3의 해당하는 770명이 교육을 이수하였다.
3.7. 리스크 관리
- 안정적 보증공급을 위한 지역신보의 신용리스크 관리
3.8. 재기 지원
- 일사천리 재기지원
재기지원포털을 구축하여 소상공인을 위한 교육, 컨설팅 등 프로그램의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https://restart.koreg.or.kr/restart/main.do
2025년에는 '희망리턴패키지 재창업 교육' 시행하여 지원규모 500명→ 4000명으로 확대하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145861?sid=101
4. 지역신용보증재단
- 강원신용보증재단
- 경기신용보증재단
- 경남신용보증재단
- 경북신용보증재단
- 광주신용보증재단
- 대구신용보증재단
- 대전신용보증재단
- 부산신용보증재단
- 서울신용보증재단
- 세종신용보증재단
- 울산신용보증재단
- 인천신용보증재단
- 전남신용보증재단
- 전북신용보증재단
- 제주신용보증재단
- 충남신용보증재단
- 충북신용보증재단
5. 관련 문서
[1] 제 5대 오영주 장관 https://www.mss.go.kr/site/smba/contents/view.do?menuCd=20801050101002024122937&siteCd=smba[2] https://www.news1.kr/photos/6570133[3] 서울특별시 마포대로 163, 6층[4] 신용보증기금, 신용보증재단중앙회, 기술보증기금 순[5]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291628?sid=10[6] https://www.ifs.or.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54886[7]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기술보증기금과 동일하게 같은 해 우수등급(A)을 받았다. 그밖의 주요 산하기관인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미흡등급(D)을 받은것과는 대비된다.[8] 2025년에 취임 후 기관장 인사말을 게시하였다.https://www.koreg.or.kr/koreg/cm/cntnts/cntntsView.do?mi=1019&cntntsId=1039[9] 지역신용보증재단법상 "재보증"(再保證)이란 신용보증재단중앙회가 신용보증재단의 보증채무 이행금액의 범위에서 이를 보전(補塡)하여 주는 것을 말한다(제2조 제9호).[10] https://www.newsian.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232[11] 경기신용보증재단은 유일하게 독자전산을 운영 중이며, 2024년부터는 효율화를 위해 신보중앙회 정보시스템에 통합 진행 중[1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308592?sid=101[13] 특히 코로나19 이후 폭증하였다.[14] 고령자 등 디지털 취약계층,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 미보유자[15] 발간자료는 https://www.koreg.or.kr/koreg/na/ntt/selectNttList.do?mi=1093&bbsId=1041에서 확인할 수 있다.[16] 「지역신용보증재단법」 제35조제3항제5호에 근거한 업무[17] https://blog.naver.com/koreg480/223464355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