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1 16:59:26

신시컴퍼니

<colbgcolor=#5d5fd0> 기업개요
파일:신시컴퍼니 로고_purple.png
<colcolor=#fff> 정식명칭 주식회사 신시컴퍼니
영문명칭 SEENSEE CO., LTD.
설립일 2000년 6월
업종명 공연 기획업
기업규모 중소기업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논현로 5길 31-14
대표자 최은경
공식 채널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신시컴퍼니 공식 홈페이지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신시컴퍼니 공식 페이스북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신시컴퍼니 공식 인스타그램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신시컴퍼니 공식 트위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신시컴퍼니 공식 유튜브
1. 개요2. 제작
2.1. 연극2.2. 뮤지컬
2.2.1. 라이선스2.2.2. 창작

1. 개요

한국의 공연 기획사. 주로 연극뮤지컬을 제작한다. 2000년 6월 (주)신시뮤지컬컴퍼니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졌고, 2009년부터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1987년 극단 신시로 출발한 '1세대 공연 제작사'로 극단과 같은 끈끈한 정서를 유지하고 있는 제작사라고 말해지고 있다. 1994년부터 뮤지컬 제작을 병행해 오고 있으며, 대기업 자본이 들어가지 않은 민간 제작사의 첫 라이선스 작품 '더 라이프'(1998)를 제작했고 이후 최초의 유럽 뮤지컬 '갬블러'를 제작했다. 1999년 극단 신시에서 '신시뮤지컬컴퍼니'로 전환, 본격적으로 뮤지컬 제작에 뛰어들었고 2000년 당시로서는 빠르게 라이선스를 들여와 뮤지컬 '렌트'를 제작했다.

캐시카우 작품으로는 맘마 미아!시카고가 있다.[1] 두 공연이 올라온다는 것은 곧 신시의 대규모 투자작이나 실험작이 올라온다는 신호다.

2011년 디큐브가 개관이되며 개관작인 맘마미아부터 상당히 많은 작품들을 디큐브아트센터에서 공연했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3년간 대성 디큐브아트센터 장기대관이 이루어지며 렌트, 고스트, 시카고, 빌리 엘리어트, 마틸다 순으로 공연되기도 했다.

최정원, 배해선[2], 아이비[3], 최재림, 김우형 등이 신시컴퍼니의 작품에 자주 출연한다. 이 외에도 민경아, 정선아, 김수하, 박지연 등도 신시컴퍼니에 대한 애정이 매우 큰 편. 해당 배우들이 다른 제작사 작품에 참여할 때 신시컴퍼니에서 간식이나 커피차 서포트를 하기도 하며, 반대로 배우들이 자신이 참여하지 않는 신시컴퍼니 작품의 연습실에 서포트를 보내는 등 사이가 매우 돈독하다.

2. 제작


파일:신시컴퍼니 로고_purple.png 제작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width=25%><bgcolor=#9D0B0C> 파일:신시 렌트.png ||<width=25%><bgcolor=#030303> 파일:신시 시카고.png ||<bgcolor=#F6DC01><width=25%> 파일:임컬처 틱틱붐.png ||<width=25%><bgcolor=#000> 파일:신시 유린.png ||
<rowcolor=#eee> 2000 2001 2002
파일:신시 맘마.png 파일:신시 블브.png 파일:신시 아이다.png 파일:신시 댄싱.png
<rowcolor=#eee> 2004 2005 2007
파일:신시 헤어.png 파일:라스트 파이브 이어스 흰 로고.png 파일:신시 푸날.png 파일:신시 레드.png
<rowcolor=#eee> 2007 2008 2011
파일:신시 고스트.png 파일:신시 아리랑.png 파일:신시 에포베.png 파일:신시 빌리.png
<rowcolor=#eee> 2013 2015 2016 2017
파일:신시 마틸다2.png 파일:신시 연극 2시 22분 로고.png 파일:신시 싯터.png
<rowcolor=#eee> 2018 2023
※문서 등록된 공연만 기재함. (내한 공연 제외)

2.1. 연극

2.2. 뮤지컬

2.2.1. 라이선스

2.2.2. 창작



[1] 시카고는 2000년 스몰 라이센스(논 레플레카)로 초연을 시작했고 맘미미아는 레플레카로 2004년 초연을 올려 히트작 스테디셀러가 되었다.[2] 2010년대 이후 목 상태의 문제로 뮤지컬계를 떠났지만 신시 공주라고 불릴 정도로 박명성 대표가 애정하는 신시 간판 배우였다. 신시의 주요 작품인 맘마 미아!, 시카고, 아이다, 틱틱붐 등에 출연했다.[3] 뮤지컬은 신시라고 자주 강조하며 애정을 드러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