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f8c00><colcolor=#fff> 신·성인 | 부처 · 여래 · 보살 · 천왕(사천왕) · 시왕 · 아라한 · 나반존자 |
세계관 | 삼천세계 · 육도윤회 · 오탁악세 | |
상징 | 법륜 · 卍 · 삼보 | |
경전 | 불경(경장 · 율장 · 논장) · 결집 | |
종파 | 종파 · 근본 불교와 부파 불교 | |
계율 | 5계 · 오신채 | |
사원 | 절(부속 건물 · 능침사) · 선원 · 총림 · 포교당 | |
미술 | 불상 · 불화(탱화 · 만다라 · 수월관음도 · 달마도) · 불탑 · 승탑 · 보상화무늬 · 연화문 · 대장경판 | |
법구 | 금강저 · 당간지주 · 목어 · 목탁 · 불단 · 불진 · 석장 · 염주 · 범종 · 번 · 마니륜 · 금강령 · 죽비 · 정병 | |
의식 | 수계 · 예불 · 불공(사시불공) · 진언 · 다라니 · 다비식 · 발우공양 · 탁발 · 방생 · 재(사십구재) · 참선 · 사경 | |
문화 | 법회(설법) · 범패 · 찬불가 · 승복(가사) · 사찰 요리 · 법명 · 법랍 · 불멸기원 · 연등회 · 탑돌이 · 팔관회 · 참회 · 만행 · 승무 | |
불자 | 승려(비구니 · 군종 승려 · 동자승 · 주지) · 법사 · 신자 | |
기타 | 가부좌 · 사리 · 감로 · 파계(파계승) · 한국어의 외래어/산스크리트어 · 불교 용어 | }}}}}}}}} |
한자 | 神妙章句大陀羅尼 |
IAST[1] | Nīlakaṇṭha Dhāraṇī |
1. 개요
천수다라니(千手陀羅尼), 천수주(千手呪), 대비주(大悲呪)[2], 혹은 대비심다라니(大悲心陀羅尼) 등으로도 부른다. 산스크리트어로는 닐라깐타 다라니라고 한다. '청경성존(靑頸聖尊: 목이 파란 성자)[3]의 다라니'라는 뜻.신묘장구대다라니는 천수경의 일부지만 독립적으로도 자주 사용되는데, 한국의 불자라면 한 번 이상 들어 보았을 것이다. 지금도 곳곳의 절에서 108독[4]을 하는 경우가 많다. 특이하게도 한국 불교 한정으로 신묘장구대다라니를 읽어서 기도하는 것을 "천수를 친다."라고 표현한다.
2. 배경과 유래
불교 입문서로서 사상적 측면에서 가장 널리 읽히는 것이 반야심경이라면, 신앙적 측면에서 가장 중시되어 독송되는 것이 천수경이다. 천수경은 현재 우리나라 사찰에서 행하는 대부분 의식에서 낭송되는데, 진언과 다라니[5]를 합본한 밀교 계통 경전의 대표 격이다.그러나 현대 한국 불교계에서 통용되는 천수경과 동일한 경전은 팔만대장경이나 외국 불교계에는 없다. 왜냐하면 현행 천수경은 한국 불교계에 전통적으로 전래된 천수경의 내용을 일부 재편집한 것으로, 1935년에 출판된 석문의범(釋門儀範)[6]을 거쳐 표준화를 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현행 천수경은 한국불교 신앙의례에서만 사용되는 독특한 의례적 경전이다. 한국불교의 현행 천수경은 원래 658년 가범달마가 번역한 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을 저본으로 삼았다고 추정한다.
대비주는 7세기 중엽부터 8세기 초에 이르는 기간 동안에 당에 유학했던 신라 승려들이 들여와 퍼트린 듯하다. 삼국유사에 의상대사가 귀국하는 길에 다라니를 가져왔다는 기록이 있으므로 그 즈음에 유포되었다고 추정한다.[7]
신묘장구대다라니는 번역을 하지 않고 산스크리트어 원문대로 소리를 내어 주문과 같이 독송하는데 이 이유는 이 불경의 내용이 너무 깊고 신묘한
하지만 신묘장구대다라니는 인도에서 시바 신과 비슈누 신을 불교로 수용할 때 쓰였다는 주장이 있다(기사). 이 주장대로라면 신묘장구대다라니는 오직 관세음보살만 찬탄한다고 보기 힘들다. 이 사실을 나중에 알게 된 일부 재가 불자들은 이 다라니를 잘 독송하지 않기도 한다.
그러나 이것은 이 다라니를 심각하게 오해한 것이다. 다라니의 원문을 해석해보면 '위대한 관세음보살과 거룩한 불법승 삼보에 귀의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관세음보살의 위신력으로 우리를 모든 두려움과 고통에서 구하고 탐진치를 여의게 하여 윤회에서 벗어나 해탈하게 해달라.'는 내용이다. 다양한 명호를 부르는 뒷부분에 시바 청경존, 멧돼지와 사자형상, 비슈누의 화신인 크리슈나, 호랑이 가죽 위에서 명상하는 시바 등이 나타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인도 신앙에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관세음보살의 화현의 한 모습들일 뿐이다.
힌두교가 불교를 모독하기 위해 석가모니를 비슈누의 화현이라고 했듯이, 불교도 인도 민중에 받아들여지기 위해 인도인들에게 익숙한 신의 모습을 관세음보살의 화현이라 한 것일 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그래도 이해 못하겠다면 법화경 보문품의 19응신, 티벳 밀교의 6관음, 능엄경의 32응신-수월관음, 백의관음, 양류관음, 용두관음, 어람관음 등과 자애로운 어머니 관음을 떠올리면 된다.
불보살들의 다양한 화현은 받아들이는 사람의 근기에 맞게 나타나는 것이지, 본체는 하나이다. 천칠백년 동안 역대의 조사와 지식들이 범어를 몰라서 힌두적 특성을 간파 못한 탓에 신묘장구대다라니를 권하고 수행한 게 아니다. 중국 불교나 한국 불교나 선이 강세인 가운데도 분명히 밀교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불교가 성행할 때는 오늘날과 달리 승려 중에 지식인들이 많았고 범어에도 능통했다. 주문이므로 풀어말하지 않았을 뿐 의미를 몰랐던 게 아니다. 다시 말하지만 오랜 세월 고승대덕들이 증명한 다라니이므로 걱정 말고 주송하라.
영어 위키백과 해당 항목에 이 산스크리트어 원문을 한중일식으로 표기한 내용이 있다. 물론 각국에서 현지화가 좀 되어 본래 산스크리트어와는 발음이 살짝 다르거나 일부 구절에서 차이가 있다.[9] 아래 한국어 전문에 산스크리트어 표기도 있으니 읽을 수 있다면 읽으며 비교해 보자. 출처는 여기.
수리수리마수리와 비슷하게 주문의 대명사로 쓰이는 말발타 살발타가 바로 이 경의 몬더그린에서 나온 것.
3. 관련 동영상
한국의 신묘장구대다라니
중국의 대비주
일본의 대비심다라니
산스크리트어로 부른 닐라깐타다라니[10]
소원성취의 주문으로 쓰이는 신묘장구대다라니
4. 신묘장구대다라니 본문[11]
namo ratnatrayāya[12]
나모 라다나-다라야야
(나모 라뜨나-뜨라야야)
삼보[13]께 귀의합니다
namaḥ āryāvalokiteśvarāya bodhisattvāya mahāsattvāya mahākāruṇikāya
나막 알약바로기제새바라야 모지사다바야 마하사다바야 마하가로니가야
(나마 아랴-아발로끼떼슈바라야[14] 보디삿뜨바야 마하-삿뜨바야 마하까루니까야)
대자대비하신 관세음보살 마하살님께 귀의합니다
oṃ sarvabhayeṣu trāṇakarāya tasmai
옴 살바-바예수 다라나-가라야 다사명
(옴 사르바-바예슈 뜨라나-까라야 따스마이)
옴, 모든 공포에서 구제해 주시는 까닭에
namas kṛtvā imam āryāvalokiteśvarastavaṃ
나막 까리다바 이맘 알야바로기제새바라-다바
(나마스 끄리뜨바 이맘 아랴-아발로끼떼슈바라야 스따밤)
어지신 관음보살님께 귀의하여 (이로 말미암아) 거룩하신 위신력이 펼쳐지도다
nīlakaṇṭhanāma hṛdayaṃ vartayiṣyāmi
니라간타-나막 하리나야마 발다이사미
(닐라깐타-나마 흐리다얌 아바르따이샤미)
푸른 목을 가진 분[15]의 본심으로 귀의하옵니다.
sarvārthasādhanaṃ śubhaṃ ajeyaṃ
살발타-사다남 수반 아예염
(사르바르타-사다남 슈밤 아제얌)
중생을 구제하는 경지에 도달하여 최상의 길상을 얻어
sarvabhūtānāṃ bhavamārgaviśodhakam
살바-보다남 바바-마라-미수다감
(사르바-부따남 바바-마르가-비쇼다깜)
이 세상에 태어난 모든 것들을 삶의 길에서 깨끗하게 하시니
tadyathā oṃ āloke ālokamati lokātikrānte hy-ehi hare
다냐타 옴 아로계, 아로가 마지로가 지가란제 혜-혜 하례
(따디야타 옴 알로께 알로까마띠 로까띠끄란떼 에혜이 하레)
이와 같이 옴, 통찰자이자 지혜의 존재이시자 초월자이시여, 아, 님이시여
mahābodhisattva smara-smara hṛdayaṃ
마하모지사다바 사마라-사마라 하리나야
(마하보디삿뜨바 스마라 스마라 흐리다얌)
마하살[16]이시여 마음의 진언을 기억하소서 기억하소서
kuru-kuru karma sādhaya-sādhaya
구로-구로 갈마 사다야-사다야
(꾸루-꾸루 까르마 사다야-사다야)
행하고 또 행하소서[17], 이루게 하시고 이루게 하소서
dhuru-dhuru vijayante mahāvijayante dhara-dhara
도로-도로 미연제 마하미연제 다라-다라
(두루-두루 비자얀떼 마하비자얀떼 다라-다라)
보호해 주소서, 보호해 주소서, 승리자여 위대한 승리자여, 수호하소서, 수호하소서,
dhareśvara[18] cala-cala
다린나례 새바라 자라-자라
(다렌드레슈바라 짤라-짤라)
대지의 왕 자재존이시여 발동하소서
malla vimalāmalamūrte ehy-ehi
마라 미마라아마라-몰제 예혜-혜
(말라 비말라 아말라-무르떼 예히이 예히)
모든 마라를 지워버리신 해탈자여, 어서 오소서
lokeśvara
로계새바라
(로께슈바라)
세상의 자재자여
rāgaviṣaṃ vināśaya
라아-미사 미나사야
(라가-비샹 비나샤야)
탐욕의 독심을 잠재우소서
dveṣaviṣaṃ vināśaya
나베사-미사 미나사야
(드베샤-비샹 비나샤야)
진심의 독심을 잠재우소서
mohajālaviṣaṃ vināśaya
모하-자라-미사 미나사야
(모하-잘라-비샹 비나샤야)
치심의 독심을 잠재우소서[19]
huluhulu malla hulu hare Padmanābha
호로호로 마라 호로 하례 바나마나바
(훌루-훌루 말라 훌루-훌루 하레 빠드마나바)
공포와 번뇌(마라)를 제하소서, 연꽃을 지닌 분이여
sarasara sirisiri suru-suru buddhyā-buddhyā bodhaya-bodhaya
사라사라 시리시리 소로-소로 못쟈-못쟈 모다야-모다야
(사라-사라 시리-시리 스루-스루 붇디야-붇디야 보다야-보다야)
제도하소서, 나아게게 하소서, 보리도를 깨닫게 하소서
(여기서부터 관세음보살의 열두 가지 호칭이 나온다.)
maitiriya[20] nīlakaṇṭha kāmasya darśanaṃ prahlādaya manaḥ svāhā
매다리야 니라간타 가마사 날사남 바라하라 나야 마낙 사바하
(마이뜨리야 닐라깐타 까마스야 다르샤남 쁘라흘라다야 마나 스와하[21])
자비로우신 청경성존이시여, 욕망을 부수도록 힘을 주소서 사바하[22]
siddhāya svāhā
싯다야 사바하
(싣다야 스와하)
성취하신 분이여, 사바하
mahāsiddhāya svāhā
마하싯다야 사바하,
(마하싣다야 스와하)
크게 성취하신 분이여 사바하,
siddhayogeśvarāya svāhā
싯다유예 새바라야 사바하
(싣다요게슈바라야 스와하)
요가성존[23], 사바하
nīlakaṇṭhāya svāhā
니라간타야 사바하
(닐라깐타야 스와하)
청경성존이시여, 사바하
varāhamukhasiṃhamukhāya svāhā
바라하목카-싱하목카야 사바하
(바라하무카-싱하무카야 스와하)
돼지의 모습과 사자의 모습이여, 사바하
padmahastāya svāhā
바나마-하따야 사바하
(빠드마-하스따야 스와하)
연꽃을 지닌 분이여, 사바하
cakrāyudhāya svāhā
자가라 욕다야 사바하
(짜끄라-윧다야 스와하)
법륜[24]을 지닌 분이여, 사바하
śaṅkhaśabdanibodhanāya svāhā
상카-섭나-네모다나야 사바하
(샹카-삽다-니보다나야 스와하)
법라[25]의 소리로 깨닫게 하시는 분이여, 사바하
mahālakuṭadharāya svāhā
마하라구타다라야 사바하
(마하라꾸따다라야 스와하)
큰 곤봉[26]을 지닌 분이시여, 사바하
vāmaskandadeśasthitakṛṣṇājināya svāhā
바마-사간타-이사-시체다-가릿나 이나야 사바하
(바마-스깐다-데샤-스띠따-끄리슈나지나야 스와하)
왼쪽 어깨에 검은 사슴가죽을 걸친 분이여, 사바하
vyāghracarmanivasanāya svāhā
먀가라-잘마-니바사나야 사바하
(뱌[27]그라-짜르마-니바사나야 스와하)
호랑이가죽 옷을 두른 분이여, 사바하
namo ratnatrayāya namaḥ āryāvalokiteśvarāya svāhā
나모 라다나-다라야야 나막 알야바로기제새바라야 사바하[28]
(나모 라뜨나-뜨라야야 나마 아랴-아발로끼떼슈바라야 스와하)
삼보께 귀의합니다. 관세음보살께 귀의합니다. 사바하.
oṃ sidhyantu mantrapadāya svāhā
(옴 싣디얀뚜 만트라-빠다야 스와하)[29]
이 모든 신묘한 주문이 원만히 이루어지게 하소서! 이루어 주시옵소서!
5. 트로트로 부른다?
중국에는 이 불경의 트로트 버전이 있다. 유트브에 검색하면 상당히 많이 나오며 중국에서는 실제 사찰에 가도 틀어 놓는다. 중요한 불경인 대비주를 보급한다는 차원에서 불교 음악으로 출시가 되었는데.원 버전은 이것이다. 그러나 이 음악의 뽕끼에 주목한 중국 음악인들은 트로트 버전을 정식으로 출시해서 퍼뜨렸다.
현재 중국에서 대비주라면 통하는 트로트 버전이다.
중국의 유명한 인플루엔서 가수들은 한번식 다 부른다고 보면 된다. 랴오닝 출신 가수 량홍(梁红)
거리공연에서도 많이 나오는 듯 하다.
급기야는 대비주 DJ 버전까지 나왔다. 이 정도면 불교 성인 나이트라고 봐도 될 듯.
한국 불자가수 권미희가 안치행과 함께 힙합 형식으로 부른 것도 있다.
[1] International Alphabet of Sanskrit Transliteration[2] 경전이므로 대비주(主)가 아닌 대비주(呪)가 맞는다.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41373[3] 후술하겠지만, 이 칭호는 일반적으로 힌두교의 시바를 지칭한다.[4] 같은 경전을 108번 낭독하는 것[5] 진언(眞言: mantra)과 다라니(陀羅尼: dhāraṇī)란 번역하지 않고 산스크리트어, 또는 팔리어 원문 그대로 독송하는 주문을 가리킨다. 대체로 길이가 짧으면 진언, 길면 다라니라고 부르지만 반드시는 아니고, 둘을 구분하는 명확한 기준은 없다.[6] 제목을 풀이하면 '석씨 문중(승가)의 의례규범'이다. 이전에는 의례가 서로 달라서 경상도 승려가 전라도 사찰에 가도 같이 예불을 볼 수 없었다고 한다. 그 정도로 서로 차이가 있었던 것이다. 일제강점기 승려 안진호(安震湖, 1880-1965)는 이런 상황을 타개하고자 기존에 조선 불교계에 내려오는 작법서 등을 참고하여 일종의 표준예식서를 집필했는데, 그것이 바로 '석문의범'이다. 심지어 출판하기 전부터 구매예약이 밀렸을 정도로 승려들로부터 호응이 컸다. (아마도 승려들도 지역마다 의례가 다르기 때문에 꽤나 불편하게 여겼던 듯하다.) 오늘날 조계종 사찰들이 행하는 예불 등 의례도, 석문의범 그대로는 아니지만 그 내용에서 대부분을 가져와 일부 간략화했다. 석문의범 하나만으로도 안진호는 한국 불교계에 큰 획을 그었다는 평가를 받는다.[7] 이상의 세 문단의 출처: 천수경(千手經) :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서울: 도서출판 들녘, 2007[8] 진언과 다라니는 현장법사의 번역 원칙인 '다섯 가지 경우에는 번역하지 않는다.'에 모두 해당된다.
첫째, 비밀고불번(秘密故不飜). 다라니, 진언 등은 비밀스런 의미가 함축되어 있는 경우.
둘째, 함다고불번(含多故不飜). 한 단어에 여러 뜻이 있는 경우.
셋째, 차방무고불번(此方無故不飜). 중국에는 없는 인도 고유의 개념어 같은 경우.
넷째, 순고고불번(順故故不飜). 오랜 옛날부터 써오던 경우.
다섯째, 존중고불번(尊重故不飜). 함축적 의미가 크기에 번역어보다 원어가 그 전달이 뛰어날 경우 등이다.[9] 예시: 산스크리트어 원문 'Namo ratna-trayāya'을,
한국식으로는 '나모 라다나-다라야야',
중국 보통화로는 '나모, 허라다나-둬라예예(nā mò, hē lá dá nà duō lá yè yē)',
일본식으로는 '나무 카라탄노-토라야야(なむからたんのーとらやーやー)',
베트남식으로는 '남모 학라닷나-다라자자(남부 방언으로는 '다라야야')(nam mô hắc ra đát na đa ra dạ da)'로 읽는다.
위키백과를 보면 아래의 한국어 전문과는 다른 매우 긴 버전도 있으며, 한국에서는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과는 다르게 짧은 버전에 긴 버전의 내용을 약간 더해 놓은 독자적인 구성이다.[10] 긴 버전으로 부른 것이다.[11] 범어 발음은 괄호 안에 표기함[12] IAST를 최대한 준수하여 표기함[13] 삼보(三寶)란 불교에서 귀의의 대상이 되는 부처(佛), 가르침(法), 교단(僧)을 이른다. 여기서 마지막 교단을 두고 한국에서는 오해가 잦은데 가장 정확한 해석은 승려와 재가자들을 포함한 모든 수행자들을 이른다. 절대 스님만을 이르는 말이 아니다.[14] 혹은 '아왈로끼테슈와라 (한국불교학회)'[15] '니라간타'의 해석. 청경성존(靑頸聖尊)이라 하기도 한다. 관세음보살을 지칭한다.[16] 큰 보살[17] '갈마'(카르마)는 '업(業)', 즉 행위, 행동을 뜻한다.)[18] 이전 문서에는 dharaṇiṁ dhareśvara로 표기됨[19] 탐(탐욕), 진(화냄), 치(어리석음) 즉 불교에서 말하는 '삼독'을 없애 달라는 의미[20] 혹은 maitirya[21] 혹은 스봐하[22] 사바하(svāhā)란, '그렇게 하소서', '이루어 지소서'라는 뜻의 성구(聖句)이다. 그리스도교의 아멘과 비슷한 의미.[23] '요가의 성취자. '유예'가 '요가'에 해당한다.[24] 진언의 '자가라'를 법륜이라 해석한 것으로, 원문을 보면 알겠지만 차크라(cakrā), 즉 원반이다.[25] 소라고둥으로 만든 나팔을 말한다. 국악기의 나각을 말한다.[26] 또는 정병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27] '비야'를 빨리 발음함[28]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해온 신묘장구대다라니는 이 부분을 3번 반복하고 끝난다. 이와 달리 범어본에서는 이 부분을 1번 하고 마지막 줄로 넘어간다.[29] 이 마지막 줄은 범어본에만 있다.
첫째, 비밀고불번(秘密故不飜). 다라니, 진언 등은 비밀스런 의미가 함축되어 있는 경우.
둘째, 함다고불번(含多故不飜). 한 단어에 여러 뜻이 있는 경우.
셋째, 차방무고불번(此方無故不飜). 중국에는 없는 인도 고유의 개념어 같은 경우.
넷째, 순고고불번(順故故不飜). 오랜 옛날부터 써오던 경우.
다섯째, 존중고불번(尊重故不飜). 함축적 의미가 크기에 번역어보다 원어가 그 전달이 뛰어날 경우 등이다.[9] 예시: 산스크리트어 원문 'Namo ratna-trayāya'을,
한국식으로는 '나모 라다나-다라야야',
중국 보통화로는 '나모, 허라다나-둬라예예(nā mò, hē lá dá nà duō lá yè yē)',
일본식으로는 '나무 카라탄노-토라야야(なむからたんのーとらやーやー)',
베트남식으로는 '남모 학라닷나-다라자자(남부 방언으로는 '다라야야')(nam mô hắc ra đát na đa ra dạ da)'로 읽는다.
위키백과를 보면 아래의 한국어 전문과는 다른 매우 긴 버전도 있으며, 한국에서는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과는 다르게 짧은 버전에 긴 버전의 내용을 약간 더해 놓은 독자적인 구성이다.[10] 긴 버전으로 부른 것이다.[11] 범어 발음은 괄호 안에 표기함[12] IAST를 최대한 준수하여 표기함[13] 삼보(三寶)란 불교에서 귀의의 대상이 되는 부처(佛), 가르침(法), 교단(僧)을 이른다. 여기서 마지막 교단을 두고 한국에서는 오해가 잦은데 가장 정확한 해석은 승려와 재가자들을 포함한 모든 수행자들을 이른다. 절대 스님만을 이르는 말이 아니다.[14] 혹은 '아왈로끼테슈와라 (한국불교학회)'[15] '니라간타'의 해석. 청경성존(靑頸聖尊)이라 하기도 한다. 관세음보살을 지칭한다.[16] 큰 보살[17] '갈마'(카르마)는 '업(業)', 즉 행위, 행동을 뜻한다.)[18] 이전 문서에는 dharaṇiṁ dhareśvara로 표기됨[19] 탐(탐욕), 진(화냄), 치(어리석음) 즉 불교에서 말하는 '삼독'을 없애 달라는 의미[20] 혹은 maitirya[21] 혹은 스봐하[22] 사바하(svāhā)란, '그렇게 하소서', '이루어 지소서'라는 뜻의 성구(聖句)이다. 그리스도교의 아멘과 비슷한 의미.[23] '요가의 성취자. '유예'가 '요가'에 해당한다.[24] 진언의 '자가라'를 법륜이라 해석한 것으로, 원문을 보면 알겠지만 차크라(cakrā), 즉 원반이다.[25] 소라고둥으로 만든 나팔을 말한다. 국악기의 나각을 말한다.[26] 또는 정병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27] '비야'를 빨리 발음함[28]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해온 신묘장구대다라니는 이 부분을 3번 반복하고 끝난다. 이와 달리 범어본에서는 이 부분을 1번 하고 마지막 줄로 넘어간다.[29] 이 마지막 줄은 범어본에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