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his['this'] == null
'''이 문서는'''
#!if this['this'] != null
'''이 문단은'''
#!if 토론주소2 == null
''' [[https://namu.wiki/thread/DirefulManiacalMysteriousSlip|토론]]을 통해 신도 아마네 문서 상단 프로필 표의 이미지를 소속사에서 제공하는 이미지로 변경한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토론주소2 != null
'''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5px;"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https://namu.wiki/thread/DirefulManiacalMysteriousSlip|토론]] - 신도 아마네 문서 상단 프로필 표의 이미지를 소속사에서 제공하는 이미지로 변경한다.'''
----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
----
{{{#!if 토론주소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
----
}}}{{{#!if 토론주소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
----
}}}{{{#!if 토론주소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
----
}}}{{{#!if 토론주소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6'''
----
}}}{{{#!if 토론주소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7'''
----
}}}{{{#!if 토론주소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8'''
----
}}}{{{#!if 토론주소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9'''
----
}}}{{{#!if 토론주소1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0'''
----
}}}{{{#!if 토론주소1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1'''
----
}}}{{{#!if 토론주소1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2'''
----
}}}{{{#!if 토론주소1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3'''
----
}}}{{{#!if 토론주소1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4'''
----
}}}{{{#!if 토론주소1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5'''
----
}}}{{{#!if 토론주소1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6'''
----
}}}{{{#!if 토론주소1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7'''
----
}}}{{{#!if 토론주소1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8'''
----
}}}{{{#!if 토론주소1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9'''
----
}}}{{{#!if 토론주소2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0'''
----
}}}{{{#!if 토론주소2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1'''
----
}}}{{{#!if 토론주소2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2'''
----
}}}{{{#!if 토론주소2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3'''
----
}}}{{{#!if 토론주소2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4'''
----
}}}{{{#!if 토론주소2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5'''
----
}}}{{{#!if 토론주소2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6'''
----
}}}{{{#!if 토론주소2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7'''
----
}}}{{{#!if 토론주소2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8'''
----
}}}{{{#!if 토론주소2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9'''
----
}}}{{{#!if 토론주소3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0'''
----
}}}{{{#!if 토론주소3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1'''
----
}}}{{{#!if 토론주소3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2'''
----
}}}{{{#!if 토론주소3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3'''
----
}}}{{{#!if 토론주소3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4'''
----
}}}{{{#!if 토론주소3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5'''
----
}}}{{{#!if 토론주소3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6'''
----
}}}{{{#!if 토론주소3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7'''
----
}}}{{{#!if 토론주소3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8'''
----
}}}{{{#!if 토론주소3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9'''
----
}}}{{{#!if 토론주소4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0'''
----
}}}{{{#!if 토론주소4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1'''
----
}}}{{{#!if 토론주소4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2'''
----
}}}{{{#!if 토론주소4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3'''
----
}}}{{{#!if 토론주소4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4'''
----
}}}{{{#!if 토론주소4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5'''
----
}}}{{{#!if 토론주소4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6'''
----
}}}{{{#!if 토론주소4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7'''
----
}}}{{{#!if 토론주소4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8'''
----
}}}{{{#!if 토론주소4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9'''
----
}}}{{{#!if 토론주소5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響 | ||||
니시모토 리미 | 니시오 유카 | 미모리 스즈코 | 사사키 미코이 | 신도 아마네 | |
아오키 히나 | 아이미 | 아이바 아이나 | 와타세 유즈키 | 이토 아야사 | |
치하루 | 킷타 이즈미 | 타테이시 린 | 토오노 히카루 | 후카가와 루카 | |
HiBiKi | |||||
마노 타쿠미 | 마에다 세이지 | 모리시마 슈타 | 이토 마사히로 | 휴가 다이스케 |
<colbgcolor=#dedaec><colcolor=#7163ab> 신도 아마네 [ruby(進,ruby=しん)][ruby(藤,ruby=どう)]あまね|Amane Shindo | |
| |
본명 | [ruby(中,ruby=なか)][ruby(田,ruby=た)][ruby(真,ruby=ま)][ruby(優,ruby=ゆ)] (나카타 마유, Mayu Nakata) |
출생 | 2004년 4월 20일 ([age(2004-04-20)]세) |
아이치현 나고야시 | |
국적 |
|
신체 | 165cm[1]|A형 |
가족 | 부모님, 언니 나카타 미유[2] |
학력 | 호리코시 고등학교 (졸업) |
직업 | 성우 |
소속사 | 히비키(2018~현재) |
활동 시기 | 2018년 ~ 현재 |
취미・특기 | 게임, 봉제인형 수집, 일러스트, 기타, 춤 (치어댄스, 발레, 힙합) |
별명 | 아마네스 (あまねす) |
MBTI | ENFP-T[3] |
링크 |
1. 개요
일본의 여성 성우.2. 활동
데뷔하기 전, 2016년부터 2018년 나츠코미까지 mayu, 中田真優(나카타 마유)[5]라는 이름의 코스플레이어로 활동했었다. 외모가 똑같은 건 물론이지만, 나이와 생일도 같고, 성우 지망생이라고 밝힌 점, 데뷔하자마자 비공개로 닫힌 트위터[6] 로 되었다.성우 오디션을 거쳐 2018년부터 히비키 소속이 되었다.
TV 애니메이션 버뮤다 트라이앵글 ~컬러풀 파스토랄레~의 캐로 역으로 애니메이션 데뷔를 달성했다.
데뷔 2년차인 2020년 8월 10일에 트위터 팔로워 10만을 돌파했다.
2.1. BanG Dream!에서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신규 밴드 Morfonica의 보컬인 쿠라타 마시로 역으로 캐스팅되었다. 현 시점에서는 뱅드림 출연 성우진 중 최연소 성우며, 나이가 나이라서 현 시기에는 다른 성우들과 반대로 이벤트 활동도 적은 편인데, 이는 일본 노동기준법상으로 만 18세 미만은 22시부터 다음날 05시까지 보수를 받는 활동을 할 수 없기 때문. 걸파 3주년 토크쇼에서도 성우들에게 미리 양해를 구하고 퇴장했다.
데뷔 시점에서는 연기력은 그럭저럭 평타는 치지만, 가창력 부분에서는 평가가 안 좋은데, 특히 유튜브에서 공개된 오리지널 곡과 커버곡에 대한 평가가 싫어요가 압도적으로 많이 체크될 정도다. 아마 담당 캐릭터가 가창력이 약점이란 설정 및 성장형이란 점을 고려해서 경력이 가장 낮은 어린 성우를 캐스팅한 것으로 보이지만, 오히려 역효과로 인해 캐릭터의 설정과 함께 놀림감이 되어가고 있으며 마시로 역시 자주 위축되는 성격이 발목을 잡아 어필이 되지 못하는 중이다.
물론 아직 신인인 데다, 어린 나이에 성우 양성소도 거치지 않고 데뷔한 것을 감안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단순히 더빙 및 음반 쪽에서 활동만 하는 게 아니라 실제 라이브 공연을 목적으로 한 보컬이라는 점에서 부시로드가 어린 나이와 외모만 보고 밀어준 것 아니냐는 비판이 많다.
다만, 이로 인해 무분별한 악플이나 폭언으로 지속적인 괴롭힘을 당할 수도 있기에 이 부분을 우려하는 의견도 있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당장 유튜브 공식 영상에 성희롱을 포함한 악플과 비난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이후 3주년 미리듣기를 제공했지만 거기에서도 반응은 좋지 않은 편.
결국, 히비키 측에서 과도한 비방에 대해 법적 조치를 하겠다는 공지까지 띄우는 상황까지 이르렀다. 직접적으로 언급하진 않았지만 정황상 신도 아마네와 관련된 걸 알 수 있다.[7]
다행히 2020년 11월 10일에 공개된 Morfonica의 신곡 ハーモニー・デイ는 정말 '초반에 헤매던 사람 맞나' 할 정도로 보컬 실력이 무척 좋아졌다는 평이 많다. 또한 마시로 캐릭터의 연기 톤도 더욱 안정되어 가고 있는 것 같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후 2021년 1월 7일 니코니코 동화의 가라오케 방송인 FAN!FAM!!FUN!!!에서 노래 실력을 확실하게 인증함으로서 가창력 논란을 종식시켰으며, 최근 들어서는 Morfonica의 곡 영상에서 안티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여론이 좋아졌다.
여담으로 마시로 역을 맡기 전부터 걸파는 꾸준히 한 것으로 보이며, 보통 성우들도 하기 힘든 익스퍼트 풀 콤보를 달성한 스크린샷을 트위터에 올리곤 한다.
2.1.1. 논란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쿠라타 마시로/평가|쿠라타 마시로/평가]]}}}{{{#!if external != "o"
[[쿠라타 마시로/평가]]}}}}}}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쿠라타 마시로/평가?uuid=33cef5fd-92d6-480e-8250-88ee8b5aa480|r46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쿠라타 마시로/평가?uuid=33cef5fd-92d6-480e-8250-88ee8b5aa480#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쿠라타 마시로/평가?from=461|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쿠라타 마시로/평가|쿠라타 마시로/평가]]}}}{{{#!if external != "o"
[[쿠라타 마시로/평가]]}}}}}}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쿠라타 마시로/평가?uuid=33cef5fd-92d6-480e-8250-88ee8b5aa480|r46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쿠라타 마시로/평가?uuid=33cef5fd-92d6-480e-8250-88ee8b5aa480#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쿠라타 마시로/평가?from=461|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2.1.1.1. 비판
밴드로서 활동을 해야 할 보컬리스트가 가창력이 미숙한데도 불구하고 캐스팅 되었기 때문에, 선배 밴드들이 닦아온 길을 망치고 뱅드림 프로젝트에 무임승차한다는 평가나, 보정이 있었을 음원조차 이 정도여서는 실제 라이브 시에는 얼마나 더 심각할지에 우려를 표하는 의견도 있었고, 거기에 전문적인 보컬 트레이닝이나 피드백이 있었는지 심히 의문스러운 퀄리티에 반감을 가진 사람들이 많다. 밴드 음악 특성상 보컬리스트는 공연때 모든 스포트라이트가 집중되는 밴드의 핵이다. 괜히 밴드의 간판인 프론트맨 대다수가 보컬인게 아니다. 성우가 어리니 성장 가능성을 믿고 기다려주자는 옹호 의견과, 나이가 어리니 면죄부를 줄 수는 없다는[8] 의견이 양립하고 있다. 뱅드림에서 실제 라이브를 하는 밴드들은 성우와 밴드 2가지를 다 할 수 있어야 하는 난이도 높은 인재가 필요하지만, 성우야 넘쳐나도 밴드가 가능한 인재들은 많지 않으니 음악 실력이 괜찮으면 성우는 하면서 배우라는 식으로 밀어넣은 멤버가 꽤 있기 때문.[9]문제는 그런 멤버들은 성우로서의 능력이 부족해 인게임 연기에서 국어책 읽기나 발연기로 비판을 받더라도 전부 자신의 밴드 내 역할에서는 확실한 실력을 가진 사람들이었는데[10] 신도 아마네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이 정도의 보컬 실력은 다른 여섯 밴드의 보컬들[11]과 비교하는 것은 실례이며, 우타이테는 물론이고, 일반인 수준에서도 잘한다는 말은 못 들을 수준이다. 신도 아마네의 노래를 들으면 기본적으로 호흡이 불안정하고 얕아서 안정적인 발성을 못 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안정적인 호흡은 성우든 가수든 가장 기본적으로 갖춰야 하는 능력이다. 괜히 가수, 아나운서, 배우 등 목소리가 중요한 직업들이 호흡에 문제가 있으면 성악을 배운다든지 해서 호흡을 고치는 것이 아니다.[12] 또한 감정 표현의 폭도 얕고 곡조가 단조롭고 임팩트가 떨어지는지라 일본에서는 '棒読み'(국어책 읽기)라는 비판이 항상 따라오고 있고, 한국에서도 비슷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제일 큰 원인은 실력 없는 미성년자 성우를 간판으로 한 신 밴드를 무리하게 밀어주려다가 어정쩡한 결과를 내 버린 부시로드에 있다. 정확히는 부시로드의 자회사인 히비키가 차세대 스타로 키우려고 하는 신도 아마네를 꽂은 것으로 추정된다. 단순히 생각해봐도 현재의 뱅드림 같은 인기 프로젝트에서 신 밴드의 보컬 역할을 모집한다고 하면 성우와 노래 둘 다 잘하는 인재들이 관심이 없을 리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력 없는 신인 성우를 넣어버린 것이 팬들이 비판하는 이유이다. 이에 더해 기존 5밴드의 성우진들은 신경 써서 정해서 내로라하는 성우들이 수두룩한데도 이제 인기 프로젝트이니 저런 실력 없는 신인을 넣는다는 태도는 비판받아 마땅하다. 정말 백번 양보해서 리드보컬이 노래 실력이 별로인 프로밴드도 여럿 있고, 그 중에서도 상업적으로 성공하거나 업계에 큰 족적을 남긴 레전드급 밴드도 있다.[13] 하지만, 이런 밴드들은 보컬의 실력을 약점으로 끝까지 놔두지 않고 자기 밴드만의 강점을 살린 음색으로 승부했고 이것이 오랜 단련 끝에 대중에게 적응하고 어필을 받은 각고의 노력의 결과이다.[14] 2010년대 후반의 일러스트 논란부터 시작해서 부시로드가 초심을 잃고 대충 해도 돈은 벌린다는 생각을 가진 것이 아닌지 의심될 정도. 심지어 이 밴드는 무에서 유를 만들어야 할 신규 밴드이고, 설정도 어느 정도는 음악적 재능이 있는 여고생들이 모인 밴드다. 그런 밴드가 런칭하자마자 노래 못 부른다는 이미지가 박혀버리면 자칫 밴드활동 내내[15] 갈 수도 있다. 물론, 신도 아마네의 캐스팅 뒷사정을 팬들이 알기야 어렵겠지만[16] 이러한 방향성으로는 여러 역효과가 날 게 뻔하고 이미 나고 있다. 심지어 부시로드 성우 오디션 신청서 양식에 목소리 샘플 첨부는 없고 쓰리 사이즈와 무보정 셀카사진만 요구하는걸 보아 애초에 연기력 등은 중요하지 않다고 여기는듯 하다.[17] 이런 상황에서 2020년 5월에 개최될 예정이었던 모르포니카 단독 공연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취소된 게 성우 본인에게 다행이라는 의견이 많았을 정도다.
또한 커버의 경우 성우 본인과 전혀 맞지 않는 커버곡을 배정하는 것에 대해서도 비판이 있다. 오죽하면 일본 쪽 반응 중에선 커버곡 선곡 담당자가 적당히 대충 꽂아넣는다나 운영이 모르포니카 혐오한다는 소리까지 나올 정도며, 부족한 실력이 더욱 떨어진 게 두드러진 초침을 깨물다가 나오고 나선 옹호측에서 주로 쓰이던 성장 가능성 주장이 무너진 건 물론, 커버곡 선정에 대한 비판도 늘어나, 트위터의 뱅드림 공식 트윗에서 여러 비판 트윗이 달리기도 하였다.
그래서 뒤를 향해 전속전진한단 비판까지 나올정도였는데, 이후 MORFONICAL 특별편 자택 연습 공개 영상에선 타 멤버들이 연습하는 모습을 보여준 반면에, 신도 아마네 혼자만 연습하는 영상을 수록하지 않았으며,[18] 성우 본인이 연습할 때 주변에 폐가 되지 않도록 이불 안에 들어가서 연습을 한다는 발언이 만약 실제로 연습해봤다면 거의 불가능할 발언이라, 자택 연습한단 주장 자체에 대한 진위여부 의혹까지 일본에서 제기되며 비판 및 비난의 의견이 더욱 거세졌다.[19]
2.1.1.2. 옹호
물론 타 캐스트에 비해 노래 실력이 부족한 것은 맞으나, 카스가 하루나[20] 역으로 참여한 D4DJ의 라이브에서는 본인의 유닛에 컨셉에 맞추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라이브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다. 즉, 역량 문제를 감안하더라도 부시로드의 미스캐스팅 자체도 원인 중 하나인 것이다.그리고 비판도 대부분 처음 등장한 2020년 3월~7월에 집중되어 있고, 이후는 참고 들을 만큼까진 나아진 편이다.
모르포니카의 첫 라이브던 BanG Dream! 8th☆LIVE 3일차에서 chAngE는 싱크조차 못맞추는 등 박자가 상당량 틀렸으나, 소리가 모두와 어긋나있던건 장비 트러블 때문이었다.[21] 그리고 현장에선 평이 갈리긴했으나 Daylight -デイライト-의 라이브는 오히려 음원보다 더 좋아졌다며 옹호측에서 향후 재녹음을 요구하는 의견이 나올만큼 개선되었다.
등장하자마자 부른 녹음이나 캐릭터 노래 컨셉의 불호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초기에는 비판을 상당히 받았지만, 지속적으로 노래 실력도 상승하고 마시로로서 노래하는 것도 안정적으로 개선되어 가고 있는데, 실제로 LEVEL5-judgelight-는 미리듣기에 삑사리가 있었지만 인게임 수록될 때는 수정이 되었는데, 이는 등장 초기나 초침을 깨물다와 달리, 그동안 믹싱 등을 통한 후보정이 불가능했던 정도에서 석 달 만에 가능할 정도까지 개선되었음을 증명한다.[22] 다만 첫 라이브를 한 시점이 모르포니카가 추가된지 4~5개월 지난 시점인데[23] 발전이 없다는 건 말이 안 되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래도 D4DJ 등 다른 작품도 겸하고 있으므로 더 경험을 쌓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1.1.3. 빠와 까의 대립
상황이 심각해지며 팬덤은 비난 측과 옹호 측이 계속 다투며 점차 극과 극으로 치닫는 중이다. 다만 둘 다 성우를 염려하는 것이 아닌 그저 싸우려 하는 모습으로 보이기에 그냥 조용히 지내자는 평이 많다.- 비판 측: 주제에서 벗어난 비난 글이 간혹 법적 조치 공지전까진 나왔다. 또한 "베개영업이냐", "성우가 아닌 셀카충이다" 라는 등 막말을 일삼고 있다. 또한 비판이 아닌 비난을 하고 있으며 그들이 적으로 돌리는 빠 층과 같이, 마시로 팬들을 전부 마천지라고 일반화를 시키고 있다.
- 옹호 측: 대체로 노래와는 관계없는 논리를 펼치고, 아예 부정적인 의견을 무시하고 비판마저 봉쇄하며 귀나 입을 틀어 막으려는 태도를[24] 보이기에 사실상 같은 옹호 측을 제외한 모두를 적으로 돌리고 있다. 특히 다른 장르에선 이 정도는 흔하다면서 옹호를 위해 다른 장르를 깎아내리기도 했고, 뱅드림의 경우도 마시로 옹호 측에서 다른 성우들의 가창력을 깎아내리고, 이를 방패막이로 삼으면서[25] 옹호 측에 대한 비판도 더욱 커졌다. 이러한 무분별한 옹호는 되려 비판 측의 분노에 기름만 끼얹고 있으며, 이에 기존 팬들은 이러한 옹호층들을 로리콘이나 극성 성덕충 등의 멸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하 예시.
{{{#!folding [ 예시 모음 ] - 성우 나이가 어리다.
- 나중 가면 성장할테니, 비판하지 말고 참고 기다려라.: 이쪽은 2000년대부터 일본 아이돌의 실력이 낮은 것에 대한 옹호에 주로 쓰인 성장형 아이돌 주장[26]과도 일맥상통.
- 예쁘다: 주로 성우와 캐릭터 둘 다 주장된다. 다만, 캐릭터 디자인의 경우 은발 + 단발의 다소 흔한 디자인인 것과 별개로 기본 일러가 안경 벗은 야마토 마야급이라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할 정도였고, 성우는 신도 아마네 항목을 참조.
- 다른 장르도 이 정도는 많고, 다른 성우들도 못 한다.: 몇몇 옹호론자들이 옹호를 위해 다른 장르에도 이정도 흔하고, 다른 성우도 이 정도로 못 한다며 옹호 목적으로 다른 성우들을 깎아내리기도 했다. 일부 사례를 들면
- 스와 나나카
- 타네다 리사의 요양 복귀 이후 타나카 코토하
- 같은 작품의 기존 보컬 성우들이나, 같은 소속사의 다른 성우. 특히 이쪽은 기존 팬들이 돌아선 주요 원인이 되었다.: 비 라이브 밴드 보컬 전원[27], 아이미[28]
- 성우를 옹호하기 위해 캐릭터를 비난: 정확히는 옹호측에서 '명문고 치고는 평범하다'는 언급을 지나치게 확대 해석하여 설정 때문에 못 부르는 척한 거라 주장하나, 마시로가 작중 내에서 노래 자체를 못 한다는 언급은 나온 적이 없다. 그냥 '명문고 치고는 평범하다'는 언급이 고작이었는데, 이를 지나치게 비약하여 성우를 옹호하기 위해 캐릭터를 비난한 것. 이건 인게임 추가 직후~초창기인 2020년 3월 중순 즈음에 가장 심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순히 비판을 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성우에 대해서 극단적으로 비방, 비난을 하는 사례가 늘어나자 히비키 측에서는 그러한 사람에 대해서 법적 조치를 하겠다는 공지를 띄우는 상황까지 이르렀다. 이 때문에 당장 성우를 향한 직접적인 비난은 줄었지만 반작용으로 일본식 돌려까기는[29] 오히려 다시 증가했다. 한편으로는 소속사가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건 상당히 이례적이기 때문에 더욱 화제가 되었다. 다만 이러한 경고 조치는 단순히 신도 아마네 개인 때문만의 문제가 아닌, 그동안 마시로 옹호측이 옹호 과정에서 같은 소속사인 성우나 같은 작품의 보컬들[30]을 비난한 것도 있고, 비슷한 시기 부시로드 산하의 여성 프로레슬링 단체 스타덤 프로레슬링에 소속되어 있던 프로레슬러 키무라 하나가 테라스 하우스 관련으로 극도의 비난을 받고 있었던 것[31] 때문일 가능성도 있고, 아직 미성년자이기 때문에 히비키에서는 더욱 더 저러한 방식으로 대처할 수밖에 없는 측면이 있다는 옹호도 있다. 한편, 그 와중에 옹호파는 해당 사건을 방패막이 삼으면서 옹호를 하는 바람에 현지에서는 그런 식으로 언급되는 것 자체가 본인과 유족에게 실례된다는 것이나 이전에 아마네스 옹호과정에서 같은 소속사 성우도 비난한 것 등과 함께 엮이며 해당 사건을 방패막이로 삼지 말라는 반론 (현재 계정 일시정지 당함)까지 나온 상태다.
그후에도 옹호 측에서 2020년 7월~8월 초 즈음[32]에는 성덕들마저 성우 보컬 실력 옹호를 포기하고, 미스캐스팅을 인정한다면서 소속사와 IP를 탓하며 원래 기타리스트[33]로 들어왔는데 소속사가 성우를 시킨다는 루머를 뿌리며 부시로드와 소속사인 히비키 탓으로 돌리며 깎아내리기도 했는데, 문제는 히비키의 오디션 조건 하나로 격파될 만큼[* 입사 당시인 2018년 오디션 안내
마시로 성우가 지원한 이 오디션 모집 공고의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노래하며 춤추는 활동을 해보고 싶은 사람
번역의 출처는 해당 루머 반론(이후 2020년 8월 말에 걸파 플레이 영상이 신고를 당해 채널이 삭제되었다고)에서 인용.] 허술한 루머로 밝혀졌다.- 밴드 음악 라이브를 해보고 싶은 사람
- 무대 공연 뮤지컬을 해보고 싶은 사람
2021년 여름 기준으로, 모르포니카 뮤직비디오의 악플이 거의 없어진 상태이며, 빠와 까 둘 다 지나치게 행동하지 않으면서 중립을 유지하고 있다. 분쟁이 굉장히 심한 일본 서브컬처 계에서는 특이 케이스.
2.2. D4DJ에서
D4DJ에서 Lyrical Lily의 카스가 하루나 역을 맡아 라이브에 등장한다. 상당히 괜찮은 연기력을 보여주며 DJ 퍼포먼스도 잘하고 있으나[34], 노래할땐 여전히 코 막힌듯한 특유의 콧노래 창법으로 인해 호불호가 많이 갈린다.[35] 뱅드림에서 가창력으로 비판을 심하게 받아서 그런지 오히려 솔로 보컬도 아니며 DJ 포지션인 카스가 하루나 역에선 평가가 나쁘지 않으며 반응 또한 좋다.뱅드림의 쿠라타 마시로와는 연기색이 정반대[36]인 것이 인상적이라는 의견이 많다.
2.3. 러브 라이브! 시리즈에서
러브 라이브 시리즈에 대한 애정도가 남다른데, 트위터를 보면 초등학교 시절부터 러브라이브를 좋아했다고 하며, 데뷔 전엔 코스프레도 했고 무대 연습을 할 때도 러브라이브 캐릭터 티셔츠를 입고 할 정도. 한국 여행을 왔을 때[37] 애니플러스 러브라이브 선샤인 콜라보 카페에도 갔던 적이 있다. 최애캐는 소노다 우미이며[38] 우미 굿즈를 상당히 많이 갖고 있다.선샤인에선 다이아, 니지동에선 시즈쿠[39]가 오시라고 했고, 저 3그룹 모두 열심히 덕질을 하는 모습을 보여줘서 러브 라이브 팬덤 전반에서[40] 매우 좋은 이미지를 갖고 있다. Liella!까지 덕질하는지는 나오지 않았으나 3그룹을 열심히 덕질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러브라이브 팬덤은 웬만해선 프로젝트 구분 상관없이 모든 캐릭터들을 좋아하는 올팬이 대부분이라 리에라 덕질도 하지 않을까 예상하는 사람들이 많긴 하다. 그리고 트위터에서 Liella!의 음악을 듣고 있다고 언급하거나 쿠쿠 굿즈를 인증하면서 Liella! 역시 덕질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거기에 시부야 카논의 성우인 다테 사유리가 어설트 릴리에서 신도 아마네, 마에다 카오리와 같은 팀이 되기도 했다가 BUSHIROAD ROCK FESTIVAL 2023에서 Morfonica*Liella! 라이브 콜라보가 성사되기도 했다. 또한 Link! Like! 러브 라이브!를 설치한 사진이 나와 하스노소라 여학원 스쿨 아이돌 클럽도 덕질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
3rd 라이브에서의 아마네스 |
데뷔 초창기 때부터 러브 라이브 팬덤이 매우 호감을 가져 온 사람인지라 시리즈에 합류하지 못하는 것을 안타까워하는 사람들이 많았는데,[42] 화려하게 데뷔한 3rd 라이브 이후부터 양측 다 미친듯이 노를 젓고 있는 중. 이즈미와 같은 유닛 멤버인 세라스의 성우 미야케 미우와도 정기적으로 만나며 친분을 유지하고 있다.
4th 라이브에 게스트 참가가 확정되었다.
|
데뷔 생방송에서의 아마네스 |
3. 주요 출연작
3.1. TV 애니메이션
- 2019년
- 버뮤다 트라이앵글 ~컬러풀 파스토랄레~ - 캐로
- BanG Dream! 2nd Season - 하나사키가와 여학원 학생B
- 2020년
- Re버스 for you - 미노 슈우코
- 어설트 릴리 BOUQUET - 탄바 아카리
- 2021년
- 2024년
- 마도정병의 슬레이브 - 마방대원 C
- 카드파이트!! 뱅가드 Divinez - 오오쿠라 메구미
3.1.1. 극장 애니메이션
- 2022년
3.2. 게임
- 마법사와 검은 고양이 위즈 - 에니그마 클로버
-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 쿠라타 마시로
- D4DJ Groovy Mix - 카스가 하루나
-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 - 야쿠모 미카게
- 브라운더스트 - 멜로디아, 시리온
- 브라운 더스트2 - 리아트리스
- 어설트 릴리 Last Bullet - 탄바 아카리
- 쿠키런: 킹덤 - 고드름예티 쿠키
- Link! Like! 러브 라이브! - 카츠라기 이즈미
3.3. 특촬물
3.4. 기타
3.5. 드라마
- 2024년
- 사바에랑 하면 끝난다 (サバエとヤッたら終わる) [45] (도쿄 MX) - 사쿠라이 미나미 (桜井美波)
4. 여담
- 애칭은 아마네스(あまねす)로, 토오노 히카루가 버뮤다 트라이앵글 ~컬러풀 파스토랄레~때 지어준 것이라고 HiBiKi StYle 제442회 (10:13~)에서 아마네 본인이 밝혔다. 다른 단어하고 합치는 등의 경우에는 더 짧게 '네스'로 줄여서 부르기도 한다. 최근에는 리리컬 릴리의 동료인 후카가와 루카가 아마쨩(あまちゃん) 이라는 새로운 애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 데뷰작이 바로 위의 버뮤다 트라이앵글 ~컬러풀 파스토랄레~ 이기도 하고, 뱅가드 시리즈 전반에 대한 애정이 깊다.
- 고양이를 좋아하며, 고래상어를 떠받들고 있다. 성격이나 행동부터 히비키의 폭탄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렇게 명명한 사람은 미모리 스즈코라고 한다.
- 중학교 2학년, 14살의 나이에 비교적 빠르게 데뷔한 편이다.
- 히비키 내 파트너는 니시오 유카로 둘의 콤비는 '오유네스'라고 불린다.
- 2022년 4월 20일부로 18세가 되어서 성인이 되었다. 따라서 청소년 방송 제한이 풀렸으며[46], 그에 따라 오후 10시에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진행하는 반도리 TV LIVE 등에도 출연이 가능해져서 2022년 6월 2일자 반도리 TV LIVE에 드디어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출연하였다.[47]
- 웃음소리가 굉장히 털털하고 호쾌한 것으로 유명하다.
4.1. 오타쿠
- 일본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며 상당한 오타쿠 생활을 해왔다. 가끔은 2004년생이라는 것을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아마네의 나이가 초등학생 시절에 방영한 심야 애니들에 대한 지식도 선보이곤 하는데, 언니와 부모님이 전부 오타쿠여서 조기교육 받은 영향이라고 한다. 2023년 4월 22일 업로드 된 오오이시 마사요시와 스즈키 아이리가 진행하는 아니송 신곡 커버데쇼 de쇼에 출연했을 당시 집안이 애니 오타쿠 집안이라고 했는데, 언니는 듀라라라, 어머니는 이누야샤[48], 아버지는 근육맨 오타쿠라고 한다.#
- HiBiKi StYle 제442회 (4:14~)에서 어린 시절에 본 애니메이션으로 미나미가, 러브 라이브!,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를 언급하여 인터뷰를 진행하는 사사키 미코이에게 세대 차이를 느끼게 하였다.
- 에반게리온의 이카리 신지를 좋아하며, 안경도 좋아하는데 라디오 에바 15주년 기념 일러스트 #에서 신지가 안경을 써서 너무 좋았다는 말을 할 정도의 오타쿠.
- 버튜버도 꽤 좋아하는지, 2023년 내한 팬미팅의 미니 라이브에서 호시마치 스이세이의 노래를 여러 곡 부르기도 하고, 내한 중 숙소에서 TV로 버튜버만 줄창 봤다고 한다.
- 특촬물, 특히 가면라이더 시리즈를 상당히 좋아하는지 SNS에서도 특촬 얘기하는 걸 쉽게 볼 수 있으며# 상당히 오래 즐겨온 모양.
- 2023년 3월 지하철에 걸린 마시로 생일축하 전광판을 보기 위해 대한민국으로 다시 여행을 왔는데 여행 도중 일명 '인스타감성 카페' 라고도 불리는 이색 카페에 카페 인테리어 장식을 보고 가면라이더 기츠의 괴인인 쟈마토를 관리하는 쟈마 가든을 떠올리면서 아르키메델의 대사를 치는 등 라이더 시청자 인증을 제대로 했다.#
- 2023년 10월에 2Φth 가면라이더 555 파라다이스 리게인드의 정보가 공개되면서 스마트 레이디 역으로 출연이 확정, 이토 미쿠의 뒤를 잇는 성덕으로 등극하였고, CSM 파이즈 드라이버 넥스트, 카이자 폰 XX, 뮤즈 드라이버 CM에서도 나레이션을 담당하게 되었다.[49]
4.2. 대한민국 관련
- TWICE를 통해 대한민국의 문화를 많이 접했는지, 성우 채용 이전에는 대한민국에 방문한 적이 꽤 많았고, 성우 데뷔 이후에도 대한민국을 계속 방문해 보고 싶다고 2022년 10월 본인의 트위터에 글을 올렸다. 그리고 마침내 대한민국에서 개최되는 Anime X Game Festival 2022 행사에서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의 게스트 성우로 니시오 유카, 오오하시 아야카와 함께 출연하는 것이 확정되면서 성우 신분으로서 처음으로 내한을 하게 되었다. #
- 2022년 12월 4일 AGF 2022를 통해 내한, 토크 콘서트를 가졌다. 토크에서 4년 전까지는 대한민국에 매년 겨울, 12월~2월 사이에는 왔었는데, 이번에 온게 4년만이라서 뜻깊다는 감상을 표했다. 전에 트위터에서 언급한대로 성우 데뷔 전까지 대한민국에 자주 온 듯. 함께 내한한 오오하시 아야카[50] 만큼은 아니어도, 레퍼런스 카드를 뒤적이면서 한국어를 사용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당시 인터뷰에서 BanG Dream! 캐릭터 중 한 명과 대한민국에 놀러올 수 있다면 누굴 고르겠냐는 질문에 와카미야 이브를 골랐다. 와패니즈인 이브에게 한식 풀코스를 먹이면 무슨 반응일지 궁금하다는 이유. 그리고 자기 배역인 마시로는 길을 너무 잘 잃을 것 같으니 일본에 남겨두겠다고 한다(...).
|
- 2023년 3월 2일, 고등학교 졸업식을 한 직후 휴가차 개인적으로 대한민국을 방문했다. 쿠라타 마시로 생일축하 전광판을 보고 인증샷을 올리고, # 이후 애니메이트 서울홍대점, 애니플러스샵 합정점을 방문했다. 합정 애니플러스샵에서는 마시로 한정판 굿즈를 직접 구입한 사실도 인증했다. 이에 더해 닭똥집[51], 에그드랍, 꽈배기 등을 먹고 인증샷을 올리거나, 한복을 대여해서 입고 경복궁을 돌아다녀보고, 교복을 대여해서 롯데월드에서 놀고 어반플랜트에서 사진을 찍는 등 알차게 즐기고 돌아갔다.
|
- 2023년 10월 14일, KOE 주최로 대한민국 팬미팅을 개최했다. 각각 1부(2시~ 3시반) 2부 (6시~7시 반)로 나누어 진행했다. 특전으로 아마네가 있는 엽서 사진 (1,2부 디자인 다름) 과 아마네가 직접 그린 그림으로 만든 아크릴 (1,2부 동일)을 제공하였다.
- 한도리 서버 종료 당일에는 대한민국 유저들에게 위로하는 트윗을 올렸다. # 대한민국 팬덤에게는 고마운 일이며 외국 서버의 서비스 종료를 참여 성우가 언급해주는 일은 기본적으로 적기 때문에 일본의 뱅드림 유저들은 그녀의 트윗을 보고서야 한도리가 섭종한다는 걸 알고 당황하는 경우도 있었다.
- 2024년 2월에 진행된 쿠라타 마시로 생일 카페를 보고 X에 소감을 올렸다. 지난해의 전광판 게시와는 달리, 이번엔 스케줄 문제로 직접 방문하지는 못해서 아쉽다는 말도 덧붙였다. #
- 2025년 3월 2일, 방한한지 한달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서 어머니와 한국여행 왔다간다는 인증글을 올렸다. #
[1] 출처[2] 中田美優. 현역 연극 배우로 활동 중이다.[3] #[4] 매주 월요일에 새 영상이 올라온다.[5] 신도 아마네의 본명.[6] @Mayulive0420이였으나 비공개가 되었다가 2020년경 완전히 삭제되었고 현재는 팬으로 추정되는 다른 사람이 계정 이름을 먹었다.[7] 더군다나 지난 5월 23일에는 프갤 등 프로레슬링 관련 커뮤니티와 뱅드림 관련 커뮤니티에서 '키다니 담당일진'으로 알려진, 부시로드가 인수한 스타덤 프로레슬링 소속의 키무라 하나라는 프로레슬러가 평소 앓던 우울증과 겹쳐 사이버 불링에 시달리다 극단적인 선택을 하면서 부시로드의 대 악플러 전쟁이 더욱 더 심해질 전망이다.[8] 뱅드림내의 모든 밴드들중에 아마추어 밴드는 한 팀도 없다. 실력 이전에 음원을 발매하고 시장에 가격을 받아가며 출품시킨 음악을 판매한다는 것부터 이미 프로의 영역이기 때문에 프로라면 마땅히 갖춰야할 기본기도 안느껴지는 수준이하의 가창력을 보여준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으면 많을수록 성장기에는 목소리 자체가 변하기도 하고 발성기관이나 신체각부가 성장을 거치면서 음성을 내는대에도 피지컬적인 요소가 갈리기 때문에 준비가 안된 데뷔로 본다면 오히려 지탄받아야할 지점이다.[9] Roselia의 시로카네 린코를 맡은 시자키 카논, RAISE A SUILEN의 레이야(와카나 레이)를 맡은 Raychell, 마스킹(사토 마스키)을 맡은 나츠메, Morfonica의 후타바 츠쿠시를 맡은 mika나 야시오 루이를 맡은 Ayasa는 아예 성우 경력이 없었다. Poppin'Party의 하나조노 타에를 맡은 오오츠카 사에도 가장 처음 맡은 소토오리히메를 제외하면 타에가 첫 배역이다.[10] 시자키 카논은 피아노 경력 12년, Raychell은 9년차 가수, 나츠메는 실제 걸즈 밴드로 활동한 적이 있는 드러머, mika는 뱅드림에서 모션이외에도 리얼 밴드의 드럼 교습을 맡은 드럼 인스트럭터(강사), Ayasa는 메이져에서 2010년대 초반부터 활동한 바이올리니스트로 모두 실제 해당 악기의 프로이다.[11] 아이미(포피파), 사쿠라 아야네(앱글), 마에시마 아미(파스파레), 아이바 아이나(로젤), 이토 미쿠(하로하피), Raychell(라스).
아이미는 데뷔부터 애니송 대회에서 입상한 걸로 시작했고, 마에시마 아미는 프로젝트에 처음 참여한 시점기준 7년차 아이돌 출신, 이토 미쿠와 Raychell은 가수 경력이 있고, 사쿠라 아야네는 가수까지는 아니더라도 그동안 캐릭터송을 부른 경력이 상당히 있으며, 아이바 아이나는 팬들로부터 가창력을 인정받았다.[12] 실제로 해보면 일상생활에서는 쓸일이 없는 비강에 소리를 모으는법이나 단전에서부터 소리를 끌어올리는 이미지등등을 가르치는데 이를 통해 소리의 밀도 자체가 높아지고 음압이라는게 형성된다. 자신의 목소리가 공명을 내는지를 스스로 느낄수있을정도로 훈련이 되면 소리를 내는 스스로에게도 이전과는 모든게 다르게 느껴진다. 이정도까지만 체득하면 일반인이라고 할지라도 훈련하지않은 사람들과는 소리가 확연히 다르다. 감정,정보등을 전달하는데에 훨씬 탁월한 효과를 낸다.[13] 물론 보컬로서 가창력이 좋은 것이 가장 쉬운 길인 것이 맞다. 음악적으로 굉장히 민주적인 소속팀의 분위기상 작,편곡 역량이 인정받는 인물인데도 컨디션 난조로 한참 해맬 당시의 2004~2007년도경의 HYDE나 남이 써준대로 부르는 것도 아닌데 체력문제인지 라이브 퀄리티가 저조하기로 유명했던 본인이 팀의 작곡을 대부분 주도하는 Janne Da Arc의 야스등 도저히 쉴드를 칠수없는 처참한 라이브들이 이미 수많은 자료로 남아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저들이 실력을 인정받는 뮤지션인것은 프로듀싱 능력을 인정받기 때문인데 이게 정말로 어렵고도 오랜 시간이 필요한 길이다. 이런 케이스들은 그냥 좀 한다 정도의 인정이 아니라 전성기에는 오리콘을 밥먹듯이 오르고 내리던 천재들의 이야기인데 이런 사람들마저 가창력에서 의문을 재기하는 사람들이 있어왔다.[14] 장르로 치면 펑크, 개러지 록이 이런 케이스고, 보컬리스트 개인으로 보면 오지 오스본같은 케이스. 비슷한 음역대의 다른 밴드 보컬과 비교. 다만, 여기에는 자작곡을 내는 경우도 포함.[15] 특히 최악의 경우엔, 강판이나 교체 이후까지도.[16] 신도 아마네가 자신은 저음 쪽이지만 마시로는 고음 쪽이라서 평소보다 높은 키로 노래를 녹음하기 때문에 신경쓰고 있다고 한다.출처인 인터뷰 참조. 하지만 저음도 고음 못지않게 상당히 불안정한 데다, 주로 국어책 읽기라고 비판받는 부분은 오히려 저음 부분이라 대부분 납득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애초에 가창력, 곡 소화력 등 모든 게 문제인 상황이라 팔자 좋게 저음 고음이나, 캐릭터에 안 맞게 밝게 불렀다고 캐릭터 이입을 따질 처지조차 안된다. 그리고 연기톤과 노래톤이 다른 경우도 다른 작품에선 없는 건 아니다. 좀비 랜드 사가 시리즈에서 콘노 준코 역을 맡은 카와세 마키가 대표적인 케이스다.[17] 성우를 뽑는데 샘플 보이스 없이 쓰리 사이즈 등을 본다는 건 케모노 프렌즈의 성우 캐스팅에서도 상당히 논란이 된 부분이다.[18] 본인은 '자택' 연습인데 집은 방음이 안 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19] 일반적으로 얇은 이불은 방음 효과를 보기 어렵고, 그나마 방음 가능성을 기대할 여지가 있는 두꺼운 겨울 이불 계열을 쓰고 노래하면 산소 부족으로 인해 제대로 연습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일부는 해당 발언을 성희롱에 이용하기도 할 정도. 예시 2 (댓글) 다만 신도 아마네의 가창력 상승에 의해 쿠라타 마시로에 대한 뱅드림 팬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어가면서 해당 발언을 긍정적으로 재평가하는 이들이 생겨나기도 했다.[20] 포지션은 DJ.[21] 라이브 현장에서는 규모가 크면 클수록 보컬에게 인이어를 배정하지 않았거나 장비에 문제가 있어 제대로 기능하지 않는다면 그럴리 없을것같은 레전드 밴드의 라이브라고 해도 음정, 박자등에서 잘 들리는 실수들을 심심찮게 보여준다. DVD, 앨범등으로 발매하는 라이브 수록 매체는 전부라고 해도 좋을만큼 대부분 후처리를 거친 제품들이다.[22] 현대에 접어들어서는 관련 기술이 눈부실 정도로 발전해 있는 상태로 어지간히 못부른 게 아니면 앨범에 싣고서 내볼 정도는 다 된다. 관련 장비들이 좋아지기만 한 게 아니라 저변도 훨씬 확대되어 있어서 인력풀이 넓어졌고 질적인면을 따져도 일본에서 날고 기는 엔지니어한테 가는 게 아니라도 음악 전문 학교를 졸업한 사람 중에 좀 한다 싶은 사람한테 맡겼을 때도 들을만하게 나오는 세상이다. 이쪽 바닥은 오히려 합격점 이상의 능력을 지닌 기술자들이 너무 많은 탓에 레드오션이 형성되어서 어지간해서는 밥벌이가 안 될 정도로 수요층에서는 말 그대로 골라서 일주는 지경이다. 그런데도 그게 안 될 정도였다면 시간이 너무 없었거나 (실제로 멜리사와 데이라이트를 제외하면 대부분 코로나 긴급사태 시기였다.) 음치수준으로 매우 심각한 게 아니고서야 성립이 안 되는 이야기인데도 불구하고 불가능할 정도였던 것.[23] 모르포니카 첫 등장 3월, D4DJ 첫 라이브 7월, 모르포니카 첫 라이브 8월.[24] 예를 들어 비교나 비판글에 신고 테러로 삭제 등.[25] 예를 들어 비판이 나오면 갈드컵으로 몰아간다거나.[26] 특히 옹호에 해당 사유 자주 쓰이는 일본 아이돌의 경우 해당 사유로 옹호받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문제는 정작 해당 옹호 자주 쓰이던 일본 아이돌 쪽에선, '성장형 아이돌'로 옹호 받는 경우 중에 정작 성장하지 않는 경우도 흔했다.[27] 원문: あまねす、アンチも多いと思うけど頑張ってね👍あまねすの歌は下手なんかじゃないし伊藤未来と前島亜美と佐倉綾音の、この3人と歌唱力はそんなに変わらないから気にすることないよ。アンチが叩きすぎなだけ。あまねすのアンチをしている人は多分障害者だと思うから温かい目で見守ってあげよう。
번역: 아마네스(신도 아마네의 별명), 안티도 많지만 힘내👍아마네스의 노래는 전혀 못 하는 게 아니고 이토 미쿠(츠루마키 코코로)나 마에시마 아미(마루야마 아야)나 사쿠라 아야네(미타케 란)의 가창력은 크게 바뀐 게 없으니까 신경 안 써도 돼. 안티들이 너무 인색한 거야. 마에시마의 안티들은 아마 정신병자인 것 같으니까 따뜻한 눈으로 바라봐 주자.
요약하자면 비라이브 밴드 보컬 담당 성우 활동명을 직접 언급하며 디스하고 물론, 비판측을 안티취급하며 병신이라 비난하고 있다.[28] 같은 작품 기존 보컬들을 비난한 사례중 같은 소속사인 경우. 예를 들면 같은 소속사인 카스미의 only my railgun이 일본에선 법적 조치 공지 전까지 지속적으로, 국내에선 일본서비스의 어과초 콜라보 즈음에 (삭제됨) 다시 나왔는데, 정작 모르포니카의 LEVEL5-judgelight-는 final phase는 물론이고, 온마레와도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매우 크게 떨어지는 퀄리티로 나오면서 방패는커녕 비교 대상이 되어 마시로만 더욱 비판받았다.[29] 예를 들어 추가 직전부터 2020년 상반기에 나왔던 성장 가능성 주장 등. 이쪽은 비꼬는 거로 나왔다가 옹호측이 이를 차용하여 (…) 다시 증가.[30] 예를 들어 앞에서 언급된 카스미의 only my railgun. 물론 그외에도 비 라이브 밴드 보컬 담당 성우들을 싸잡아 비난하기도 했다.[31] 이후 2020년 5월 23일 사망이 발표되었는데, 자해를 한 적도 있고 미안하다는 말을 인스타에 올린 것 등으로 인해 자살로 추정되고 있다.[32] 8th 이전까지[33] 성우의 취미가 기타였다.[34] 뱅드림 쪽에서는 보컬을 맡고 있기 때문에 라이브에서 악기를 연주할 일이 없다. 그래서 DJ를 하는 아마네가 신기한 케이스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35] 안티팬들은 여전히 발성도 안되어 콧노래로 떼운다고 하지만, 팬들의 반박으로는 아마네 창법이 단지 호불호가 심할 뿐이라는 입장이다.[36] 마시로는 가늘고 소심한 톤, 하루나는 성숙한 아가씨 톤의 목소리이다.[37] 어렸을 때부터 가족 여행으로 한국에 자주 왔었다고 한다.[38] 아마네가 제일 존경한다는 성우인 미모리 스즈코가 우미의 성우이다.[39] pdp 이전 스쿠페스 노말부원 시절부터 좋아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시즈쿠의 성우인 마에다 카오리와 어설트 릴리에서 같이 공연하게 되자 매우 좋아했다고(...)[40] 물갤에서 럽순이라고 불리기도 할 정도.[41] 참가 사실 자체를 밝히지 않고 서프라이즈로 등장한 것은 이번이 최초이다. 다만 스토리의 서사 및 아마네스의 당시 스케쥴 등으로 그녀의 게스트 등장을 예측한 사람은 많다.[42] 러브 라이브 시리즈의 캐스트들은 안무 등의 연습량이 엄청나다. μ’s 때부터 정규 라이브 때는 일주일 정도 전부터 합숙하다시피하며 연습에 매진했는데 그때보다 안무가 몇 배는 더 어려워진 현재는 말할 것도 없을 듯. 때문에 Aqours 때부터는 신인급 성우들을 뽑아 몇 년 동안 러브 라이브 외에는 다른 배역을 못 맡을 정도로 하드하게 굴리고 있는데, 이미 유명 성우로써의 길을 걷고 있는 아마네스가 이러한 루틴까지 끼워넣는 것은 체력적으로 무리라고 보는 사람이 많았다.[43] 외부 작품 첫 출연작.[44] 배우 출연.[45] 하야사카 케이고 작가의 동명의 만화책을 원작으로 하는 드라마[46] 일본 근로 기준법 61조에 명시된 사항으로, 오후 10시~다음날 오전 5시까지 만 18세 미만의 청소년은 일을 할 수 없다. 미성년자는 직종을 불문하고 야간 직업 활동이 원천적으로 금지되어 있으며, 그래서 신도 아마네처럼 중고교 때 데뷔한 연예인들이 일하는 데 애로사항이 많다.[47] 앞의 각주에 언급된 사항 때문에 이전에는 밤 10시 이후 방송 기준 녹화 영상으로만 출연 혹은 사전에 양해를 구한 후, 짧게나마 출연하고 다른 멤버들보다 먼저 퇴장할 수밖에 없었다.[48] 딸들을 교육할 때도 히구라시 카고메 같은 여자가 되라고 가르쳤다고 한다.[49] 우연히도 파이즈 당시 스마트 레이디의 상징은 모르포니카와 동일한 파란 나비였다.[50] 이쪽은 한국어 자격증을 공부해서 딴 만큼 레벨 자체가 다르다. 큐카드 없이 한국어로 자기소개가 가능하고, 일본인들이 한국어를 할때 흔히 보이는 특징인 '-무니다'도 없었다.[51] 와중에 닭똥집의 이름이 기억이 안나서 헷갈려 하다가 "똥접시"(...)라는 정체불명의 단어를 써서 업로드했다가 나중에 정정하는 일도 있었다. 다만 차후 조사 결과 그 가게의 메뉴 이름이 정말로 똥접시(...)라는 것이 밝혀졌다.
아이미는 데뷔부터 애니송 대회에서 입상한 걸로 시작했고, 마에시마 아미는 프로젝트에 처음 참여한 시점기준 7년차 아이돌 출신, 이토 미쿠와 Raychell은 가수 경력이 있고, 사쿠라 아야네는 가수까지는 아니더라도 그동안 캐릭터송을 부른 경력이 상당히 있으며, 아이바 아이나는 팬들로부터 가창력을 인정받았다.[12] 실제로 해보면 일상생활에서는 쓸일이 없는 비강에 소리를 모으는법이나 단전에서부터 소리를 끌어올리는 이미지등등을 가르치는데 이를 통해 소리의 밀도 자체가 높아지고 음압이라는게 형성된다. 자신의 목소리가 공명을 내는지를 스스로 느낄수있을정도로 훈련이 되면 소리를 내는 스스로에게도 이전과는 모든게 다르게 느껴진다. 이정도까지만 체득하면 일반인이라고 할지라도 훈련하지않은 사람들과는 소리가 확연히 다르다. 감정,정보등을 전달하는데에 훨씬 탁월한 효과를 낸다.[13] 물론 보컬로서 가창력이 좋은 것이 가장 쉬운 길인 것이 맞다. 음악적으로 굉장히 민주적인 소속팀의 분위기상 작,편곡 역량이 인정받는 인물인데도 컨디션 난조로 한참 해맬 당시의 2004~2007년도경의 HYDE나 남이 써준대로 부르는 것도 아닌데 체력문제인지 라이브 퀄리티가 저조하기로 유명했던 본인이 팀의 작곡을 대부분 주도하는 Janne Da Arc의 야스등 도저히 쉴드를 칠수없는 처참한 라이브들이 이미 수많은 자료로 남아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저들이 실력을 인정받는 뮤지션인것은 프로듀싱 능력을 인정받기 때문인데 이게 정말로 어렵고도 오랜 시간이 필요한 길이다. 이런 케이스들은 그냥 좀 한다 정도의 인정이 아니라 전성기에는 오리콘을 밥먹듯이 오르고 내리던 천재들의 이야기인데 이런 사람들마저 가창력에서 의문을 재기하는 사람들이 있어왔다.[14] 장르로 치면 펑크, 개러지 록이 이런 케이스고, 보컬리스트 개인으로 보면 오지 오스본같은 케이스. 비슷한 음역대의 다른 밴드 보컬과 비교. 다만, 여기에는 자작곡을 내는 경우도 포함.[15] 특히 최악의 경우엔, 강판이나 교체 이후까지도.[16] 신도 아마네가 자신은 저음 쪽이지만 마시로는 고음 쪽이라서 평소보다 높은 키로 노래를 녹음하기 때문에 신경쓰고 있다고 한다.출처인 인터뷰 참조. 하지만 저음도 고음 못지않게 상당히 불안정한 데다, 주로 국어책 읽기라고 비판받는 부분은 오히려 저음 부분이라 대부분 납득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애초에 가창력, 곡 소화력 등 모든 게 문제인 상황이라 팔자 좋게 저음 고음이나, 캐릭터에 안 맞게 밝게 불렀다고 캐릭터 이입을 따질 처지조차 안된다. 그리고 연기톤과 노래톤이 다른 경우도 다른 작품에선 없는 건 아니다. 좀비 랜드 사가 시리즈에서 콘노 준코 역을 맡은 카와세 마키가 대표적인 케이스다.[17] 성우를 뽑는데 샘플 보이스 없이 쓰리 사이즈 등을 본다는 건 케모노 프렌즈의 성우 캐스팅에서도 상당히 논란이 된 부분이다.[18] 본인은 '자택' 연습인데 집은 방음이 안 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19] 일반적으로 얇은 이불은 방음 효과를 보기 어렵고, 그나마 방음 가능성을 기대할 여지가 있는 두꺼운 겨울 이불 계열을 쓰고 노래하면 산소 부족으로 인해 제대로 연습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일부는 해당 발언을 성희롱에 이용하기도 할 정도. 예시 2 (댓글) 다만 신도 아마네의 가창력 상승에 의해 쿠라타 마시로에 대한 뱅드림 팬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어가면서 해당 발언을 긍정적으로 재평가하는 이들이 생겨나기도 했다.[20] 포지션은 DJ.[21] 라이브 현장에서는 규모가 크면 클수록 보컬에게 인이어를 배정하지 않았거나 장비에 문제가 있어 제대로 기능하지 않는다면 그럴리 없을것같은 레전드 밴드의 라이브라고 해도 음정, 박자등에서 잘 들리는 실수들을 심심찮게 보여준다. DVD, 앨범등으로 발매하는 라이브 수록 매체는 전부라고 해도 좋을만큼 대부분 후처리를 거친 제품들이다.[22] 현대에 접어들어서는 관련 기술이 눈부실 정도로 발전해 있는 상태로 어지간히 못부른 게 아니면 앨범에 싣고서 내볼 정도는 다 된다. 관련 장비들이 좋아지기만 한 게 아니라 저변도 훨씬 확대되어 있어서 인력풀이 넓어졌고 질적인면을 따져도 일본에서 날고 기는 엔지니어한테 가는 게 아니라도 음악 전문 학교를 졸업한 사람 중에 좀 한다 싶은 사람한테 맡겼을 때도 들을만하게 나오는 세상이다. 이쪽 바닥은 오히려 합격점 이상의 능력을 지닌 기술자들이 너무 많은 탓에 레드오션이 형성되어서 어지간해서는 밥벌이가 안 될 정도로 수요층에서는 말 그대로 골라서 일주는 지경이다. 그런데도 그게 안 될 정도였다면 시간이 너무 없었거나 (실제로 멜리사와 데이라이트를 제외하면 대부분 코로나 긴급사태 시기였다.) 음치수준으로 매우 심각한 게 아니고서야 성립이 안 되는 이야기인데도 불구하고 불가능할 정도였던 것.[23] 모르포니카 첫 등장 3월, D4DJ 첫 라이브 7월, 모르포니카 첫 라이브 8월.[24] 예를 들어 비교나 비판글에 신고 테러로 삭제 등.[25] 예를 들어 비판이 나오면 갈드컵으로 몰아간다거나.[26] 특히 옹호에 해당 사유 자주 쓰이는 일본 아이돌의 경우 해당 사유로 옹호받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문제는 정작 해당 옹호 자주 쓰이던 일본 아이돌 쪽에선, '성장형 아이돌'로 옹호 받는 경우 중에 정작 성장하지 않는 경우도 흔했다.[27] 원문: あまねす、アンチも多いと思うけど頑張ってね👍あまねすの歌は下手なんかじゃないし伊藤未来と前島亜美と佐倉綾音の、この3人と歌唱力はそんなに変わらないから気にすることないよ。アンチが叩きすぎなだけ。あまねすのアンチをしている人は多分障害者だと思うから温かい目で見守ってあげよう。
번역: 아마네스(신도 아마네의 별명), 안티도 많지만 힘내👍아마네스의 노래는 전혀 못 하는 게 아니고 이토 미쿠(츠루마키 코코로)나 마에시마 아미(마루야마 아야)나 사쿠라 아야네(미타케 란)의 가창력은 크게 바뀐 게 없으니까 신경 안 써도 돼. 안티들이 너무 인색한 거야. 마에시마의 안티들은 아마 정신병자인 것 같으니까 따뜻한 눈으로 바라봐 주자.
요약하자면 비라이브 밴드 보컬 담당 성우 활동명을 직접 언급하며 디스하고 물론, 비판측을 안티취급하며 병신이라 비난하고 있다.[28] 같은 작품 기존 보컬들을 비난한 사례중 같은 소속사인 경우. 예를 들면 같은 소속사인 카스미의 only my railgun이 일본에선 법적 조치 공지 전까지 지속적으로, 국내에선 일본서비스의 어과초 콜라보 즈음에 (삭제됨) 다시 나왔는데, 정작 모르포니카의 LEVEL5-judgelight-는 final phase는 물론이고, 온마레와도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매우 크게 떨어지는 퀄리티로 나오면서 방패는커녕 비교 대상이 되어 마시로만 더욱 비판받았다.[29] 예를 들어 추가 직전부터 2020년 상반기에 나왔던 성장 가능성 주장 등. 이쪽은 비꼬는 거로 나왔다가 옹호측이 이를 차용하여 (…) 다시 증가.[30] 예를 들어 앞에서 언급된 카스미의 only my railgun. 물론 그외에도 비 라이브 밴드 보컬 담당 성우들을 싸잡아 비난하기도 했다.[31] 이후 2020년 5월 23일 사망이 발표되었는데, 자해를 한 적도 있고 미안하다는 말을 인스타에 올린 것 등으로 인해 자살로 추정되고 있다.[32] 8th 이전까지[33] 성우의 취미가 기타였다.[34] 뱅드림 쪽에서는 보컬을 맡고 있기 때문에 라이브에서 악기를 연주할 일이 없다. 그래서 DJ를 하는 아마네가 신기한 케이스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35] 안티팬들은 여전히 발성도 안되어 콧노래로 떼운다고 하지만, 팬들의 반박으로는 아마네 창법이 단지 호불호가 심할 뿐이라는 입장이다.[36] 마시로는 가늘고 소심한 톤, 하루나는 성숙한 아가씨 톤의 목소리이다.[37] 어렸을 때부터 가족 여행으로 한국에 자주 왔었다고 한다.[38] 아마네가 제일 존경한다는 성우인 미모리 스즈코가 우미의 성우이다.[39] pdp 이전 스쿠페스 노말부원 시절부터 좋아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시즈쿠의 성우인 마에다 카오리와 어설트 릴리에서 같이 공연하게 되자 매우 좋아했다고(...)[40] 물갤에서 럽순이라고 불리기도 할 정도.[41] 참가 사실 자체를 밝히지 않고 서프라이즈로 등장한 것은 이번이 최초이다. 다만 스토리의 서사 및 아마네스의 당시 스케쥴 등으로 그녀의 게스트 등장을 예측한 사람은 많다.[42] 러브 라이브 시리즈의 캐스트들은 안무 등의 연습량이 엄청나다. μ’s 때부터 정규 라이브 때는 일주일 정도 전부터 합숙하다시피하며 연습에 매진했는데 그때보다 안무가 몇 배는 더 어려워진 현재는 말할 것도 없을 듯. 때문에 Aqours 때부터는 신인급 성우들을 뽑아 몇 년 동안 러브 라이브 외에는 다른 배역을 못 맡을 정도로 하드하게 굴리고 있는데, 이미 유명 성우로써의 길을 걷고 있는 아마네스가 이러한 루틴까지 끼워넣는 것은 체력적으로 무리라고 보는 사람이 많았다.[43] 외부 작품 첫 출연작.[44] 배우 출연.[45] 하야사카 케이고 작가의 동명의 만화책을 원작으로 하는 드라마[46] 일본 근로 기준법 61조에 명시된 사항으로, 오후 10시~다음날 오전 5시까지 만 18세 미만의 청소년은 일을 할 수 없다. 미성년자는 직종을 불문하고 야간 직업 활동이 원천적으로 금지되어 있으며, 그래서 신도 아마네처럼 중고교 때 데뷔한 연예인들이 일하는 데 애로사항이 많다.[47] 앞의 각주에 언급된 사항 때문에 이전에는 밤 10시 이후 방송 기준 녹화 영상으로만 출연 혹은 사전에 양해를 구한 후, 짧게나마 출연하고 다른 멤버들보다 먼저 퇴장할 수밖에 없었다.[48] 딸들을 교육할 때도 히구라시 카고메 같은 여자가 되라고 가르쳤다고 한다.[49] 우연히도 파이즈 당시 스마트 레이디의 상징은 모르포니카와 동일한 파란 나비였다.[50] 이쪽은 한국어 자격증을 공부해서 딴 만큼 레벨 자체가 다르다. 큐카드 없이 한국어로 자기소개가 가능하고, 일본인들이 한국어를 할때 흔히 보이는 특징인 '-무니다'도 없었다.[51] 와중에 닭똥집의 이름이 기억이 안나서 헷갈려 하다가 "똥접시"(...)라는 정체불명의 단어를 써서 업로드했다가 나중에 정정하는 일도 있었다. 다만 차후 조사 결과 그 가게의 메뉴 이름이 정말로 똥접시(...)라는 것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