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1 01:00:32

식물 vs 좀비 히어로즈/카드일람/식물/성장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식물 vs 좀비 히어로즈/식물]]{{{#!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식물 vs 좀비 히어로즈/좀비]]{{{#!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PvZ_Heroes_logo.webp
파일:PvZH_Guardian_Icon.png 수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영웅 월 나이트 · 콰광! · 시트론 · 잔디 주먹 · 베타 카로티나
보통
기본 가시 콩 · 스몰 넛 · 월넛 · 피스마시오 · 가시 파인애플
희귀
프리미엄 감자 지뢰 · 마름 · 바다 버섯 · 선인장 · 원예용 장갑 · 강철 목련 · 땅콩
은하계 포토신디사이저 · 가시 잡초 지구 · 플랜턴
콜로설 원시 감자 지뢰 · 포도 책임
트라이아스기 그리즐리 배
레어
프리미엄 무덤 파괴자 · 겨울잠 자는 곰 · 백년초 · 강인한 사탕무 · 스마카다미아
은하계 우주 넛 · 전분 경
콜로설 블록버스터
트라이아스기 호박 껍질
슈퍼 레어
프리미엄 갑옷넛 · 거울 넛 · 아보카도 악어 · 파멸의 버섯
은하계 갤럭시 선인장 · 힘의 장 · 중력 나무
콜로설 쓰리넛
트라이아스기 원시 월넛 · 해양 콩
전설
프리미엄 톡톡 튀는 양귀비 · 소울 패치 · 월넛 볼링
은하계 경호박 · 페카놀리스
콜로설 트리케라톱스
트라이아스기 로코 코코
이벤트
나를 잊어 넛 · 마늘 · 뜨거운 데이트 · 콘도그 · 아기 배 · 엉터리 로켓 · 체력 넛 · 빨간 스팅어 }}}}}}}}}
파일:PvZH_Kabloom_Icon.png 폭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영웅 태양 폭발 · 콰광! · 나이트 캡 · 다혈질 대장
보통
기본 양송이 · 묘목 · 버프 버섯 · 베리 폭탄 · 좀비 살구
희귀
프리미엄 맹독 버섯 · 덩굴 옻나무 · 버섯 대장 · 화난 베리 · 배 한 쌍 · 블루베리 · 지글지글
은하계 바나나 폭탄 · 버섯 그로토 · 침투 종족
콜로설 퍼프 버섯
트라이아스기 뜨거운 용암 · 벨로시-무 해츨링
레어
프리미엄 쌍둥이 버섯 · 야생 베리 · 변형 꽃잎 · 신 포도 · 옻나무
은하계 우주 버섯 · 용암 구아바
콜로설 크로마그놀리아
트라이아스기 선반 버섯
슈퍼 레어
프리미엄 징벌 버섯 · 힘센 베리 병장 · 체리 폭탄 · 분노의 포도
은하계 아스트로 버섯 · 바나나 발사기 · 페어 파라다이스
콜로설 분홍바늘꽃 · 모방자
트라이아스기 스트로베리언
전설
프리미엄 솔방울 클론 · 멋쟁이 사자 · 커널 옥수수
은하계 환생 · 몰리케일
콜로설 우울 버섯
트라이아스기 벨로시-무 사냥꾼
이벤트
고전압 건포도 · 활짝 핀 마음 · 소닉 꽃 · 변형 · 원자 석류폭탄 · 일렉트릭 블루베리 }}}}}}}}}
파일:PvZH_Mega-Grow_Icon.png 성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영웅 초록 그림자 · 먹깨비질라 · 잔디 주먹 · 다혈질 대장
보통
기본 완두콩 슈터 · 횃불 나무 · 양배추 투석기 · 대형 버섯 · 비료 · 연발 사수 · 플로리시
희귀
프리미엄 격투 청경채 · 고구마 · 콩깍지 · 화염 완두콩 슈터 · 하늘 사수
은하계 스위트피 · 초목 돌연변이 · 커피 그라운드
콜로설 우산잎
트라이아스기 반쪽 바나나 · 완전 콩나무
레어
프리미엄 꼬투리 대부 · 반복 이끼 · 식물 푸드 · 덩굴 채찍 · 잘나가는 사탕무
은하계 바나나 껍질 · 우주 완두콩
콜로설 뱀부즐
트라이아스기 콩 패치
슈퍼 레어
프리미엄 즐거운 백리향 · 검은 눈 완두콩 · 천하장사 화분 · 에스프레소 축제
은하계 달 콩 · 꼬투리 파이터 · 붉은 식물
콜로설 스플릿 완두콩 · 포도 파워
트라이아스기 야만 시금치
전설
프리미엄 더블 민트 · 근육 새싹 · 바나나 사우루스
은하계 오이 선장 · 양파 링
콜로설 개틀링 완두콩
트라이아스기 아포테이토사우루스
이벤트
파벌 완두콩 · 은방울꽃 · 바나나 스플릿 · 용기 클로버 }}}}}}}}}
파일:PvZH_Smarty_Icon.png 허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영웅 초록 그림자 · 시트론 · 나이트 캡 · 장미 · 베타 카로티나
보통
기본 눈꽃 · 위니비니 · 눈 완두콩 · 부들 · 3방향 사수 · 파괴 버섯
희귀
프리미엄 빙하 양상추 · 샐러리 · 무 구조대 · 바닐라 · 용수철 콩 · 당근포
은하계 화성 파리지옥풀 · 포도의 행성 · 리프 블로우
콜로설 무덤 실수 · 배 친구
트라이아스기 원시 완두콩 슈터
레어
프리미엄 해군 제독 콩 · 번개 갈대 · 칠리 고추 · 해군 콩 · 점핑 콩
은하계 우주 콩 · 멜론 투척기
콜로설 삼각모
트라이아스기 수련 잎
슈퍼 레어
프리미엄 마법 콩 심기 · 겨울 호박 · 금어초 · 콩 계산기
은하계 계몽의 늪지 · 레이저 부들 · 쿨 콩
콜로설 젤리빈
트라이아스기 로토바가 · 슈링킹 바이올렛
전설
프리미엄 겨울 멜론 · 브레인나나 · 위대한 주키니
은하계 슈팅 스타프루트 · 다크 매터 용과
콜로설 리마 프루로돈
트라이아스기 새의 천국
이벤트
스파이리스 · 달려 넛 · 메이플라워 · 스포르타쿠스 · 뱀풀 · 풍년화 · 졸리 홀리 · 수액 던지기 }}}}}}}}}
파일:PvZH_Solar_Icon.png 태양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영웅 태양 폭발 · 월 나이트 · 먹깨비질라 · 장미
보통
기본 초롱꽃 · 해바라기 · 혼합 넛 · 호박 · 난폭한 호박
희귀
프리미엄 나팔꽃 · 물풍선 · 연기 버섯 · 피망 의학박사 · 파리지옥 · 금속 해바라기 · 부메랑꽃
은하계 코스모쓰 · 사과 접시 · 금성 파리지옥풀 행성
콜로설 커널펄트
트라이아스기 작은 친구 · 햇빛 버섯
레어
프리미엄 현명한 세이지 · 좀비 후려치기 · 확대된 잔디 · 잔디 깎는 기계 · 에너지 꽃
은하계 우주 꽃 · 하티초크
콜로설 엘더베리
트라이아스기 아이스포어
슈퍼 레어
프리미엄 트윈 해바라기 · 은메달 타코 · 먹깨비 · 레이저 콩
은하계 태양풍 · 윙 넛 · 전략적 오이
콜로설 원시 해바라기 · 해바라기 씨
트라이아스기 태양 일격
전설
프리미엄 장미 가시 · 삼두 먹깨비 · 풍요의 뿔
은하계 아스트로카도 · 우주 베라
콜로설 콥 캐논
트라이아스기 알로에사우루스
이벤트
유령 펌프킹 · 태양 버섯 · 잭오랜턴 · 케첩 기술자 · 독버섯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Precision_BlastH.png 슈퍼파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혼합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Precision_BlastH.png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unburnH.png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UncrackableH.png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DevourH.png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Tater_TossH.png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Peel_ShieldH.png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Power_PummelH.png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Mush-BoomH.png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GoatifyH.png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lazing_BarkH.png파일:Genetic_AmplificationH.png
수호
파일:HDEnsignUproot.png파일:PvZH_Superpower_NutSignal.png파일:PvZH_Superpower_BubbleUp.png파일:PvZH_Superpower_RootWall.png
폭발
파일:PvZH_Superpower_MoreSpore.png파일:PvZH_Superpower_MeteorStrike.png파일:PvZH_Superpower_StormFront.png
성장
파일:PvZH_Superpower_TimeToShine.png 파일:PvZH_Superpower_Embiggen.png파일:PvZH_Superpower_Holo-Flora.png
허세
파일:HDLightspeedSeed.png파일:PvZH_Superpower_BigChill.png파일:PvZH_Superpower_Whirlwind.png파일:PvZH_Superpower_Transmogrify.png파일:PvZH_Superpower_LieutenantCarrotron.webp
태양
파일:PvZH_Superpower_Geyser.png파일:PvZH_Superpower_WeedWhack.png파일:PvZH_Superpower_ScorchedEarth.png }}}}}}}}}

1. 개요2. 카드
2.1. 1 태양
2.1.1. 격투 청경채2.1.2. 고구마2.1.3. 완두콩 슈터2.1.4. 우산잎2.1.5. 즐거운 백리향2.1.6. 콩깍지2.1.7. 파벌 완두콩2.1.8. 횃불 나무
2.2. 2 태양
2.2.1. 검은 눈 완두콩2.2.2. 더블 민트2.2.3. 바나나 껍질2.2.4. 반쪽 바나나2.2.5. 스위트피2.2.6. 스플릿 완두콩2.2.7. 양배추 투석기2.2.8. 은방울꽃2.2.9. 초목 돌연변이2.2.10. 커피 그라운드2.2.11. 콩 패치2.2.12. 화염 완두콩 슈터
2.3. 3 태양
2.3.1. 근육 새싹2.3.2. 꼬투리 대부2.3.3. 달 콩2.3.4. 대형 버섯2.3.5. 비료2.3.6. 연발 사수2.3.7. 오이 선장2.3.8. 완전 콩나무2.3.9. 포도 파워2.3.10. 플로리시
2.4. 4 태양
2.4.1. 바나나 사우루스2.4.2. 바나나 스플릿2.4.3. 반복 이끼2.4.4. 식물 푸드2.4.5. 야만 시금치2.4.6. 우주 완두콩2.4.7. 하늘 사수
2.5. 5 태양
2.5.1. 개틀링 완두콩2.5.2. 꼬투리 파이터2.5.3. 덩굴 채찍2.5.4. 붉은 식물2.5.5. 양파 링2.5.6. 용기 클로버2.5.7. 천하장사 화분
2.6. 6 태양
2.6.1. 뱀부즐2.6.2. 아포테이토사우루스2.6.3. 잘나가는 사탕무
2.7. 8 태양
2.7.1. 에스프레소 축제
3.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PvZH_Mega-Grow_Icon.png
성장(Mega-Grow)
그들은 식물을 거대하게 만들고, 보너스 공격을 부여합니다!

식물 강화, 보너스 공격이 주 특기다. 카드 수급이 원활하긴 하지만 대부분 랜덤성이 짙은 소환에 의지하고 있어서 허세 속성의 카드 수급 효과를 따라가진 못한다.

식물을 강화하는 효과의 카드가 많지만, 그만큼 바운스나 제압기에 약한 모습을 보인다.

주로 사용하는 식물 종류는 완두콩이고 무성한 잎 식물도 많이 속해있다.

이 속성에 해당하는 영웅은 초록 그림자, 먹깨비질라, 잔디 주먹, 다혈질 대장이 있다.

다른 속성의 기본 카드 수가 5개인 것과 다르게 7개의 기본 카드를 가지고 있다.

2. 카드

2.1. 1 태양

2.1.1. 격투 청경채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Bonk_ChoyH.png
이름 격투 청경채(Bonk Choy)
등급 프리미엄-희귀
종류 무성한 잎 식물
비용 1 2 체력 1
효과 플레이할 때: 이번 턴에 +1파일:PvZH_Strength_Icon.webp을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사실 이빨 2개가 있었습니다.
(Little known fact: He used to have two teeth.)

식물 vs 좀비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던 근접 딜러.

좀비의 테니스 선수와 비슷하게 플레이한 턴에만 공격력이 센 카드. 테니스 선수와 비교했을 때 플레이한 턴의 공격력은 격투 청경채가 1 더 낮지만 기본 힘은 1 더 높다. 플레이한 턴에는 힘이 3이므로 팔씨름꾼 좀비, 네 팔 도적, 묘비 조각가를 잡을 수 있어서 매리트가 있다. 무성한 잎 덱에도 채용된다.

2.1.2. 고구마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weet_PotatoH.png
이름 고구마(Sweet Potato)
등급 프리미엄-희귀
종류 뿌리 식물
비용 1 0 체력 3
효과 협력[협력], 플레이할 때: 다른 레인의 좀비 하나를 여기로 옮깁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유니콘, 무지개, 인터넷에서 고양이 보는 걸 좋아합니다.
(Loves unicorns and rainbows... and watching cats on the Internet.)

식물 vs 좀비 2에서의 효과와 비슷하다. 좀비를 옮겨주는 효과는 유용하지만 스위트피에 밀리는 편이다. 귀여운 모습은 여전하지만, 죽을 때 인상을 팍 쓰며 죽는다.

2.1.3. 완두콩 슈터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PeashooterH.png 파일:external/72dfedf21c91c2fef88d8cab89eae30f906c10cac46ce6b19283465541a210d9.png(과거)
이름 완두콩 슈터(Peashooter)
등급 기본-보통
종류 완두콩 식물
비용 1 1 체력 1
효과 -
플레이버 텍스트 2009년에 좀비와 전투를 시작한 후로 한번도 멈춘 적이 없습니다.
(Started fighting Zombies in 2009... and never stopped.)

플레이버 텍스트는 대충 식물 vs 좀비의 출시일부터 싸워왔다는 소리다.

횃불 나무의 효과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바닐라 1/1 식물 중에서는 꽤 오랫동안 쓸 수 있다. 물론 턴이 시작할 때 능력치가 증가하는 콩깍지파벌 완두콩 같은 상위호환 카드가 많이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버려진다.

2.1.4. 우산잎

파일:Umbrella_LeafH.png
이름 우산잎(Umbrella Leaf)
등급 콜로설-희귀
종류 무성한 잎 꽃 식물
비용 1 0 체력 1
효과 협력[협력], 여기와 이웃의 다른 식물은 속임수 불가[속임수불가]입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그녀는 젖는 걸 즐기지 않아요.
(She's not very frond of getting wet.)

식물 vs 좀비의 지붕 맵에서 나왔던 그 우산잎이다. 자기 자신은 속임수 불가가 아니지만 우산잎 2개를 같이 설치하면 서로 속임수 면역을 얻는다. 고코스트 식물이나 오이 선장 등 처치기에 취약한 식물들을 보호할 수 있어 쓸만하다.

전작과는 달리 꽃을 달고 있다.

2.1.5. 즐거운 백리향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Party_ThymeH.png
이름 즐거운 백리향(Party Thyme)
등급 프리미엄-슈퍼 레어
종류 무성한 잎 식물
비용 1 2 체력 2
효과 식물이 보너스 공격을 할 때, 카드 한 장을 뽑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아주 외향적인 성격입니다.
(A real extrovert, this one.)

식물이 보너스 공격을 할 때 컵케이크를 먹는 모션과 함께 카드를 한 장 뽑는다.

추가타를 가하는 식물들과의 궁합이 아주 좋다. 이단공격을 가진 식물, 특히 바나나 사우루스와의 조합이 훌륭하고, 반복 이끼꼬투리 파이터와의 조합으로 끝없이 패를 불려나갈 수도 있다.

명칭은 백리향을 뜻하는 thyme와 시간을 뜻하는 time의 발음이 비슷하다는 것을 이용하여 party thyme(time)이라고 이름 지은 것.

1.16.10 패치로 등급이 레어에서 슈퍼 레어가 되고 체력이 1에서 2가 되었다.

2.1.6. 콩깍지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Pea_PodH.png
이름 콩깍지(Pea Pod)
등급 프리미엄-희귀
종류 완두콩 식물
비용 1 1 체력 1
효과 각 턴 시작 때: +1파일:PvZH_Strength_Icon.webp/+1파일:PvZH_Health_Icon.webp을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가끔씩 티격태격하지만, 콩깍지 속 콩처럼 잘 지냅니다.
(Sometimes they squabble, but they usually get along like five peas in a pod.)

식물 vs 좀비 2에서 등장한 식물. 전작에서는 단순한 이론 상 최강이었고 여기서도 비슷하지만, 본가보다는 훨씬 쓰기가 좋다. 시간이 지날수록 힘과 체력이 계속 불어나기 때문에 오래 살릴수록 강력해지는 식물. 초반에 잘 보호해주면 이 식물을 막을 수 있는 좀비가 적어진다. 어느 정도 안정성을 갖추었을 때 횃불나무를 소환하면 그야말로 엄청난 양의 폭딜을 퍼붓는다.

원작처럼 턴이 지나면서 머리 수가 불어나지만, 힘을 직접 강화시킨다고 머리가 늘어나지는 않는다.

2.1.7. 파벌 완두콩

파일:Clique_PeasH.png
이름 파벌 완두콩(Clique Peas)
등급 이벤트
종류 콩 완두콩 식물
비용 1 1 체력 1
효과 플레이할 때: 파벌 완두콩 두 장을 덱에 섞습니다. 남은 게임 내내 모든 파벌 완두콩이 +1파일:PvZH_Strength_Icon.webp/+1파일:PvZH_Health_Icon.webp를 얻고 +1파일:PvZH_Sun_Icon.webp를 소비합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수요일에는 선글라스를 씁니다.
(On Wednesdays we wear sunglasses.)

너프를 먹기 전까지 히어로즈의 판을 뒤흔들었던 최강의 사기 식물. 일단 콩과 완두콩 시너지를 받아 먹을 수 있고, 낼 때마다 능력치와 비용이 증가한다. 특히 낼 때마다 이 녀석을 덱에 2장씩 섞으므로 한 번이라도 내면 운에 막힐 위험이 줄어들고 내면 낼 수록 파벌 완두콩을 뽑을 확률이 늘어난다.

1.22.12 패치로 이제 비용도 추가로 늘어나게 되었다. 여전히 강력하긴 하지만, 2턴에 동시에 두개가 올라오는 끔찍한 광경은 더 이상 안 볼수 있게 되었다.

2.1.8. 횃불 나무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TorchwoodH.png
이름 횃불 나무(Torchwood)
등급 기본-보통
종류 나무 식물
비용 1 0 체력 3
효과 협력[협력], 이 뒤에 있는 완두콩 사수가 +2파일:PvZH_Strength_Icon.webp를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불타올라라! 이건 명령이다!"
("Feel the burn, I COMMAND YOU!")

초기작부터 등장했던 식물. 하지만 본가에서 영 찬밥 취급인 것과 다르게 완두콩 덱에서는 충분히 제 값을 한다.

가격 대비 체력이 준수한 편이고, 효과 설명과는 달리 뒤에 있는 식물이 '완두콩' 분류이기만 하면 전부 강화 효과를 받는다.

힘이 없기 때문에 공격을 하지 않으나, 힘을 얻으면 머리에서 불꽃을 쏘는 공격을 한다.

2.2. 2 태양

2.2.1. 검은 눈 완두콩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lack-Eyed_PeaH.png
이름 검은 눈 완두콩(Black-Eyed Pea)
등급 프리미엄-슈퍼 레어
종류 콩 완두콩 식물
비용 2 2 체력 2
효과 좀비가 속임수를 쓸 때: +1파일:PvZH_Strength_Icon.webp/+1파일:PvZH_Health_Icon.webp을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다른 사람을 봤어야 했는데!"
("You shoulda seen the other guy!")

권투 선수 모습을 한 콩으로, 장갑은 있는데 팔이 없다. 좀비 영웅이 속임수를 쓸 때마다 능력치가 1/1씩 증가하기에 속임수 사용을 부담스럽게 만드는 좋은 식물.

약점은 이 카드를 한 장만으로 치워버릴 수 있는 속임수. 튼튼의 구르는 돌과 광기의 번지 배관공이 이에 해당된다.

종류도 버프가 많고 연계 효과도 많은 콩 완두콩 식물이다. 좀비에 의해 패로 되돌려지면 다른 식물들도 마찬가지지만 무조건 능력치가 원래대로 2/2이 된다.

1.16.10 패치로 등급이 레어에서 슈퍼 레어가 되었다.

1.60.79 패치로 체력이 3에서 2로 줄어들었다.

2.2.2. 더블 민트

파일:Doubled_MintH.png
이름 더블 민트(Doubled Mint)
등급 프리미엄-전설
종류 무성한 잎 식물
비용 2 1 체력 2
효과 턴 시작 때: 이 식물의 힘과 체력이 2배가 됩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잘 자랄 겁니다. 시간을 좀 주세요.
(He'll grow on you. Just give him time.)

처음 스탯은 형편없지만 턴이 지날수록 무지막지하게 강해지는 식물. 사용한 턴에 구르는 돌이나 번지 배관공에 맞는게 아닌 이상 손해는 안본다. 효과가 효과인지라 어그로도 잘 끌린다.

초반 능력치가 너무 약해서 별로 좋은 카드까진 아니지만, 은방울꽃이나 초목 돌연변이 같은 카드와 같이 쓰면 생각보단 쓸만하다. +2/+2를 제공하기에 힘이 3이 돼서 처치기에도 강해지고 생존력도 크게 증가한다. 초반에 막지 못하면 몇 턴 뒤에는 치명적 효과나 바운스, 처치기로만 잡을 수 있고 그마저 실패하면 단 한 방에 게임이 끝나기도 한다.

턴이 지날 때마다 뒤에 잎의 개수가 늘어난다. 날개 같이 생긴 잎이 난 뒤에는 더 이상 나지 않는다.

2.2.3. 바나나 껍질

파일:PvZH_Card_BananaPeel.png
이름 바나나 껍질(Banana Peel)
등급 은하계-레어
종류 과일 속임수
비용 2
효과 좀비를 움직입니다. 바나나를 소환[소환]합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좀비들은 예상하지 못하는 슬랩스틱 코미디의 중심지입니다.
(A slapstick comedy staple that, somehow, the Zombies never see coming.)

좀비는 좀비대로 옮기고 바나나 카드까지 얻을 수 있어 가성비가 높다.

1.60.79 패치로 비용이 1에서 2로 늘어났다.

2.2.4. 반쪽 바나나

파일:Half-BananaH.png
이름 반쪽 바나나(Half-Banana)
등급 트라이아스기-희귀
종류 과일 식물
비용 2 2 체력 2
효과 처치당할 때: 보유한 모든 과일 카드가 +1파일:PvZH_Strength_Icon.webp/+1파일:PvZH_Health_Icon.webp을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내 나머지 반쪽 못 봤나요? 여기 어딘가에 있을 거에요."
("Have you met my better half? She's around here somewhere.")

비용이 1이었을 때는 1코 식물들 중 능력치가 준수한 편이었지만 바나나 식물 자체가 적은 지라 채용할 만한 덱이 많이 없어서 그나마 다혈질 대장만이 제대로 써먹어보는 편이었다.

1.26.3 패치로 처치당할 때 주는 능력치에 체력+1도 주게되었다.

1.60.79 패치로 비용이 2로 늘어나고 모든 바나나에게 버프를 주던 능력이 모든 과일에게 버프를 주게 바뀌었다. 또한 동일한 패치에서 바나나 식물이었던 카드들이 모두 과일 식물로 바뀌었으므로 능력만 봤을 때는 더 좋아진 셈이다.

2.2.5. 스위트피

파일:Sweet_PeaH.png
이름 스위트피(Sweet Pea)
등급 은하계-희귀
종류 완두콩 식물
비용 2 2 체력 3
효과 플레이할 때: 좀비 하나를 이 레인으로 옮깁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좀비들은 이가 4개밖에 없는데, 그 중 하나는 단 것을 맛보는 역할을 합니다.
(Zombies may only have four teeth left, but one of them's a sweet tooth.)

식물 vs 좀비 어드밴쳐에서 나왔던 식물.

고구마 대용으로 쓸 수 있고 주로 완두콩 덱에 쓰인다.

여담으로 비용 2 이하의 식물 중 팔씨름꾼 좀비를 이길 수 있는 유이한 식물이다.[6]하지만 팔씨름꾼 좀비가 1비용인 걸 생각하면 큰 이득은 아니다...

명칭에 대해 의견이 갈린다. 달콤한 완두콩이나 사탕 사수로 지어야 한다는 의견과, 스위트피로 유지하는 게 낫다는 의견.

2.2.6. 스플릿 완두콩

파일:Split_PeaH.png
이름 스플릿 완두콩(Split Pea)
등급 콜로설-슈퍼 레어
종류 완두콩 식물
비용 2 4 체력 1
효과 여기서 전투 전: 식물 영웅에 피해를 1 줍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삶에 필요한 모든 것이 앞에 있습니다. 하지만 내 앞에서 자랐습니다. 미래를 어덯게 대비해야 할까요? 두 가지 생각에 머리가 복잡해요."
("All I wanted in life was to get ahead. But it kinda grew on me. How to face the future? I'm of two minds.")

비용에 비해 힘이 상당히 강하지만 체력이 약하고 식물 영웅에 피해를 1 주는 페널티가 있다. 이 페널티로도 식물 영웅의 방어 미터가 작동하니 그 점은 주의.

높은 공격력과 효과가 무색하게 뒤에 있는 머리는 가만히 있고 모든 일을 앞의 머리가 다한다.

2.2.7. 양배추 투석기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Cabbage-PultH.png
이름 양배추 투석기(Cabbage-Pult)
등급 기본-보통
종류 무성한 잎 식물
비용 2 1 체력 3
효과 고지대에서 플레이할 때: +1파일:PvZH_Strength_Icon.webp/+1파일:PvZH_Health_Icon.webp을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하늘에서 온 코울슬로!"
("Coleslaw from above!")

초기작부터 등장했던 곡사형 식물의 원조. 곡사 공격이 다이렉트 어택이 되는 원작과는 달리, 고지대에 소환했을 때 능력치가 강화되는 것으로 효과가 변경되었다.[7] 이 효과로 얻은 능력치는 다른 곳으로 옮겨져도 내려가지 않는다.

능력치를 강화해도 힘이 2밖에 안돼서 별로 쓰이진 않는다.

2.2.8. 은방울꽃

파일:Lily_of_the_ValleyH.png
이름 은방울꽃(Lily of the Valley)
등급 이벤트
종류 꽃 식물
비용 2 1 체력 2
효과 고지대에서 식물 하나를 플레이할 때, 해당 식물이 +2파일:PvZH_Strength_Icon.webp/+2파일:PvZH_Health_Icon.webp를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그녀는 항상 친구들을 올려주려고 해요. 그렇게 하는 걸 좋아하거든요.
(She's always trying to elevate her friends. She's good like that.)

고지대 관련 식물이지만, 특이하게도 자신이 고지대에 플레이 될 때가 아니라 다른 식물이 플레이 될 때 능력치를 올려준다.

고지대에 플레이하면 능력치를 올려주므로, 협력 식물을 같이 고지대에 올려주면 은방울꽃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이끌어 낼 수 있다. 관통이나 이단 공격이 달린 식물에게 주는 것도 충분히 강력하다.

단점은 낮은 스탯. 중후반이라면 그냥 능력 발동시키고 죽는 고기방패 정도로 써먹어도 되지만, 3턴에 낼 식물을 위해 2턴에 미리 소환해두는 경우 부각되는 단점이다.

또 의외의 카운터로는 스모 레슬러가 있다. 은방울꽃이 고지대로 올라가버리면 다시 옮기거나 협력 식물을 플레이하지 않는 한, 이 식물의 효과를 발휘하기가 힘들어진다.

1.24.6 패치로 체력이 3에서 2로 낮아졌다.

2.2.9. 초목 돌연변이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Vegetation_MutationH.png
이름 초목 돌연변이(Vegetation Mutation)
등급 은하계-희귀
종류 속임수
비용 2
효과 고지대와 환경의 모든 식물이 +2파일:PvZH_Strength_Icon.webp/+2파일:PvZH_Health_Icon.webp를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최상의 환경 결정론입니다.
(Environmentalism at its finest.)

환경은 물론이고 고지대의 식물까지 키워준다. 다혈질 대장의 경우는 퍼프 버섯과 연계해 3턴에 3/3 식물을 둘 만들 수 있는데 여기에 이전 턴에 낸 은방울꽃이 살았다면 5/5 식물 둘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환경은 내가 추가 태양을 써서 깔아야 하기에 버프를 빨리 하려면 고지대 버프를 주 목적으로 하고 환경 버프는 덤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Vegetation_MutationH.png
이름 싹 트는 강화(Sprouting Expansion)
등급 프리미엄-희귀
종류 슈퍼 파워 속임수
비용 2
효과 식물 하나에게 +1파일:PvZH_Strength_Icon.webp/+1파일:PvZH_Health_Icon.webp을 부여합니다.

이 속임수의 초기 설정 때는 위와 같은 능력이었다. 정식 출시 이전에 존재했던 슈퍼 파워 속임수로 각 히어로마다 슈퍼 파워가 정해지면서 삭제되었다.

2.2.10. 커피 그라운드

파일:Coffee_GroundsH.png
이름 커피 그라운드(Coffee Grounds)
등급 은하계-희귀
종류 콩 환경
비용 2
효과 이곳의 식물이 이단 공격[이단공격]을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좀비를 향한 추가 공격은 아침에 잠을 확 깨게 만들어 주죠. 마치 커피처럼요!
(Nothing wakes you up in the morning like extra attacks on zombies. Well OK, coffee does.)

이 환경의 식물을 살려낼 자신이 있다면 유용하게 써 먹을 수 있다. 이단 공격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단 공격이 있는 식물이라면 효과가 전혀 없다.

2.2.11. 콩 패치

파일:Pea_PatchH.png
이름 콩 패치(Pea Patch)
등급 트라이아스기-레어
종류 무성한 잎 완두콩 식물
비용 2 2 체력 2
효과 퓨전[퓨전]: 식물 하나가 여기에서 플레이 시 +2파일:PvZH_Strength_Icon.webp/+2파일:PvZH_Health_Icon.webp를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애완견 산책가의 접근을 막으세요.
(Don't let the Dog Walker anywhere near it.)

약간 더 싸고 약한 비료처럼 쓸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그냥 전투요원으로 쓸 수도 있다.

무성한 잎 완두콩 식물이라 개틀링 완두콩이나 야만 시금치와의 조합이 좋다.

2.2.12. 화염 완두콩 슈터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Fire_PeashooterH.png
이름 화염 완두콩 슈터(Fire Peashooter)
등급 프리미엄-희귀
종류 완두콩 식물
비용 2 3 체력 2
효과 -
플레이버 텍스트 "여기가 더워진 건가요, 아니면 나만 더운 건가요?"
("Is it getting hot in here or is it just me?")

식물 vs 좀비 2에서는 유료 식물이었다. 효과는 없지만 비용 대비 능력치가 나쁘지 않기 때문에 완두콩 덱에선 나름대로 쓸만하다.

불이 이미 붙었는데도 횃불나무의 효과를 받는다.

2.3. 3 태양

2.3.1. 근육 새싹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Muscle_SproutH.png
이름 근육 새싹(Muscle Sprout)
등급 프리미엄-전설
종류 무성한 잎 식물
비용 3 3 체력 2
효과 다른 식물 하나를 플레이할 때: +1파일:PvZH_Strength_Icon.webp/+1파일:PvZH_Health_Icon.webp을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날 찾을 수 있겠어, 형씨?"
("Can you spot me, bro?")

성장 속성 답게 기본 능력치는 낮은 편이지만 잘 성장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졌다. 이 카드를 넣어 운용할 땐 위니 및 협력 식물이나 아니면 다른 식물을 많이 소환해주는 식물과 같이 쓰는 것이 좋다. 대표적으로 쌍둥이 버섯이나 톡톡튀는 양귀비, 버섯 그로토 환경 등이 있다.
1.16.10 패치로 등급이 슈퍼 레어에서 전설이 되었다.

2.3.2. 꼬투리 대부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The_PodfatherH.png
이름 꼬투리 대부(The Podfather)
등급 프리미엄-레어
종류 완두콩 식물
비용 3 2 체력 3
효과 완두콩 하나를 플레이할 때, 완두콩이 +2파일:PvZH_Strength_Icon.webp/+2파일:PvZH_Health_Icon.webp를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이 가족에게서 완두콩을 지켜내기란 쉽지 않습니다."
("It ain't easy keeping the peas in this family.")

완두콩 덱에서는 상당히 좋은 버프 요원으로 활약한다. 버프 효과 자체도 횃불 나무의 상위호환.

우선 이 식물을 최대한 빠르게 전개하고 강력한 딜을 가하는 연발 사수나 광역 공격이 가능한 삼발슈터를 가운데 레인에 소환하는 것이 주요한 전법. 물론 이 식물도 완두콩이라 횃불나무나 다른 꼬투리 대부의 효과를 받는다.

단점은 어그로가 잘 끌리는 것에 비해 잘 죽는 것으로, 특히 튼튼의 구르는 돌이 문제다. 그나마 1.60.79 패치 이후로 배관 번지공에 죽는 일은 없어졌다.

1.60.79 패치로 체력이 3으로 늘어났다.

2.3.3. 달 콩

파일:MoonbeanH.png
이름 달 콩(Moonbean)
등급 은하계-슈퍼 레어
종류 콩 식물
비용 3 2 체력 5
효과 피해를 줄 때마다, 마법의 콩나무 두 개를 섞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해바라기와 절친한 친구지만, 서로 너무 바빠 만나기 힘들다는 게 안타깝습니다.[10]
(She and Sunflower are besties. It's just too bad their schedules make it hard for them to get together.)
파일:PvZH_Card_MagicBeanstalk.png
이름 마법의 콩나무(Magic Beanstalks)
등급 토큰
종류 무성한 잎 콩 식물
비용 1 4 체력 4
효과 플레이할 때: 카드 한 장을 뽑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거인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Giant not included.)

마법 콩 심기를 식물화 한 듯한 식물. 체력이 높기 때문에 웬만하면 4개 정도는 섞을 수 있다. 콩 덱에서 무난하게 쓰인다.

2.3.4. 대형 버섯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Grow-ShroomH.png
이름 대형 버섯[11](Grow-Shroom)
등급 기본-보통
종류 버섯 식물
비용 3 2 체력 1
효과 플레이할 때: 다른 식물이 +2파일:PvZH_Strength_Icon.webp/+2파일:PvZH_Health_Icon.webp를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그녀는 언제나 다른 이들의 효과를 최대한 이끌어 냅니다.
(She's always bringing out the best in others.)

버프용으로 나쁘지 않은 버섯이다. 수다쟁이와는 달리 자신에게는 효과를 못쓰므로 유의.

2.3.5. 비료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FertilizeH.png
이름 비료(Fertilize)
등급 기본-보통
종류 속임수
비용 3
효과 한 개의 식물이 +3파일:PvZH_Strength_Icon.webp/+3파일:PvZH_Health_Icon.webp을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악취가 나지만 강력합니다. 식물들에게 물어보세요.
(Stinky, sure, but powerful stuff. Ask any Plant.)

식물을 강력하게 만드는 심플한 속임수. 주로 능력치 싸움에서 밀리는 식물이나 반복 이끼에게 사용한다. 성능은 좋으나 비용이 약간 높다는 단점이 있다.

2.3.6. 연발 사수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RepeaterH.png
이름 연발 사수(Repeater)
등급 기본-보통
종류 완두콩 식물
비용 3 2 체력 2
효과 이단 공격[이단공격]
플레이버 텍스트 "좋아요! 빨리해요! 어서요!"
("Yes! Yes! Let's do this! Let's do this!")

초기작부터 등장한 2연발 완두콩. 이전작들에서는 더블슈터로 번역되었는데, 여기에서는 연발 사수로 번역되었다.

기본 화력도 나름대로 쓸만하지만 이단 공격 덕에 한 턴에 2번 공격이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 본가처럼 횃불나무와의 조합은 여전히 강력하다. 그래서인지 본가보다 조금 비싸다.

2.3.7. 오이 선장

파일:Captain_CucumberH.png
이름 오이 선장(Captain Cucumber)
등급 은하계-전설
종류 과일 식물
비용 3 1 체력 4
효과 소환한 카드의 비용이 1 감소합니다. 피해를 줄 때마다 전설 카드 한 장이 소환[소환]됩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그는 피클을 사용하여 대원들을 이끌었습니다.
(He's steered his crew through many a pickle.)

다른 전설 식물들을, 그것도 비용을 1 감소시켜 소환하는 데다가 다른 소환류 카드들처럼 상대 영웅에게 피해를 줄 때가 아니라 단순히 피해를 줄 때 소환하는 정신나간 전설 식물. 또한 소환한 카드의 비용 감소는 지속 효과라서 다른 소환 카드에도 적용이 된다. 필드에 오이 선장 2기만 있어도 패가 비용이 낮아진 카드들로 꽉 차는 경우가 많다. 당연히 자신도 전설이므로 효과로 비용 2 오이 선장을 얻을 수 있다.

이처럼 브레인나나, 다크 매터 용과와 비슷한 사기 카드 반열에 들어가는 식물이나, 공격력이 1이기 때문에 구르는 돌, 잡초 스프레이에 처치되기 쉬우며, 갉아먹기, 외계인 습지 등으로 힘을 0으로 만들면 공격도 못하기에 카드 소환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성장 속성이라 은방울꽃, 초목 돌연변이로 힘을 3으로 만들어 처치기를 쓰지 못하게 난들어버릴 수도 있고, 아예 우산 잎으로 속임수 불가를 만들어 버리는 것으로 단점을 없앨 수도 있다.

2.3.8. 완전 콩나무

파일:Typical_BeanstalkH.png
이름 완전 콩나무(Typical Beanstalk)
등급 트라이아스기-희귀
종류 무성한 잎 콩 식물
비용 3 3 체력 3
효과 무성한 잎 식물 옆에서 플레이할 때: +1파일:PvZH_Health_Icon.webp을 얻고, 무성한 잎 카드 한 장을 소환[소환]합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모두 저마다 특별한 방식의 마법이 있지. 난 아니지만."
("Everyone's magic in their own special way. Everyone except me.")

마법의 콩나무를 정식 카드로 만든 듯한 느낌의 식물. 잎 카드 한 장을 소환할 수 있지만 조건이 까다로운 데다가, 효과를 발동하지 않고 사용할 시 바닐라와 다름이 없다. 근육 새싹이나 몰리케일, 민트 등 전설 식물도 가끔 나오므로 참고하자.

1.26.3 패치로 비용이 5에서 4로 낮아졌다.

1.30.5 패치로 비용 4에 4/4 스탯에서 비용 3에 3/3 스탯으로 바뀌었고, 잎 식물 옆에서 플레이할 때 발동하는 능력이 카드 한 장을 드로우하는 것에서 무성한 잎 카드를 한장 소환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2.3.9. 포도 파워

파일:Grape_PowerH.png
이름 포도 파워(Grape Power)
등급 콜로설-슈퍼 레어
종류 베리 속임수
비용 3
효과 식물의 파일:PvZH_Strength_Icon.webp이 2배가 됩니다. 포도 책임을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공룡이 좋아하는 원시 스낵입니다.
(A dinosaur's favorite primordial snack.)

버프를 주는 식물의 힘이 높을 수록 효율이 좋은 버프 카드. 부가 효과로 주는 포도 책임까지 쓰면 4 태양으로 식물의 스탯을 2배로 만들 수도 있다. 같은 비용의 비료가 +3/+3 버프이니 못해도 식물의 힘이 3보다는 높아야지 이득이다.

플레이버 텍스트는 포도 책임 1장을 소환하는 능력으로 다이노로어를 발동시킬 수 있다는 뜻인 듯.

2.3.10. 플로리시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FlourishH.png
이름 플로리시(Flourish)
등급 기본-보통
종류 꽃 속임수
비용 3
효과 카드 두 장을 뽑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급성장이라고도 하죠.
(Call it a growth spurt.)

좀비측의 즐거운 좀비 모집처럼 카드 두 장을 뽑는 속임수. 카드 보충을 하기 위해서나 다이노로어를 발동시키기 위해서 쓰인다.

2.4. 4 태양

2.4.1. 바나나 사우루스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ananasaurus_RexH.png
이름 바나나 사우루스(Bananasaurus Rex)
등급 프리미엄-전설
종류 짐승 과일 식물
비용 4 3 체력 3
효과 이단 공격[이단공격], 다이노로어[다이노로어]: +1파일:PvZH_Strength_Icon.webp/+1파일:PvZH_Health_Icon.webp을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그녀는 공룡보다 바나나를 더 좋아하지만, 큰 차이는 없습니다.
(She's a banana first and a dinosaur second. But it's a close second.)

식물 전설 중 최상위를 다투는 카드. 단독으로 나와도 이단 공격 때문에 6딜을 우겨넣을 수 있고, 턴마다 자동 성장에 우주 완두콩, 오이 선장, 플로리시 등으로 카드를 뽑아 추가로 성장시킬 수 있기에 잠시라도 내버려두면 순식간에 죽는다. 시작 힘이 3이라서 대부분의 좀비 조건부 제거기를 피하는 것도 장점. 다이노로어 식물이라 다른 속성인 콩 계산기, 포도의 행성, 포토신디사이저, 우주 콩 등의 식물하고도 궁합이 좋다.

최악의 약점은 전기볼트, 케이크, 좀봇의 분노, 파이널 미션 등의 저비용 고피해 속임수. 스탯 강화가 쉬운 만큼 로켓 공학도 주의해야 한다.

2.4.2. 바나나 스플릿

파일:Banana_SplitH.png
이름 바나나 스플릿(Banana Split)
등급 이벤트
종류 과일 식물
비용 4 4 체력 4
효과 처치당할 때: 주변에 2/2 반쪽 바나나를 만듭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자랑하고 싶지는 않지만, 하루 종일 아이스크림으로 가득 찬 튜브에서 놀아요... 같이 노는 것도 나쁘지 않을 텐데."
("I don't want to brag, but hanging out in a tub full of ice-cream all day ... not a bad gig if you can get it.")

기본 능력치가 나쁘지 않으면서 처치당하면 2/2 식물을 양 옆에 만든다. 통 굴리는 좀비쪽과는 달리 반쪽 바나나는 수륙양용이 없으므로 주의.

2.4.3. 반복 이끼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Re-Peat_MossH.png
이름 반복 이끼(Re-Peat Moss)
등급 프리미엄-레어
종류 이끼 식물
비용 4 2 체력 3
효과 속임수를 사용할 때마다 보너스 공격을 합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제 일은... 까다로워요. 그냥 내버려 둘래요."
("To do what I do... it's TRICKY. I'll leave it at that.")

비용 대비 능력치는 낮지만, 속임수 사용 시 보너스 공격이라는 사기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다. 비료나 포도 파워, 초목 돌연변이를 반복 이끼에게 사용하면 강해진 공격력으로 보너스 공격까지 하는 식물 푸드의 상위호환 카드가 되며, 식물 푸드하고도 좋은 궁합을 자랑한다.

다만 기사 좀비나 묘비에 쉽게 막히고, 능력치를 올리지 않았다면 구르는 돌과 잡초 스프레이에 처치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바나나 발사 장치나 식물 푸드 등을 이용하면 상대가 풀피여도 원콤각이 나온다.

2.4.4. 식물 푸드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Plant_FoodH.png
이름 식물 푸드(Plant Food)
등급 프리미엄- 레어
종류 속임수
비용 4
효과 식물 하나가 +1파일:PvZH_Strength_Icon.webp/+1파일:PvZH_Health_Icon.webp을 얻은 다음 보너스 공격을 합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하루 중 가장 중요한 식사입니다.
(The most important meal of the day.)

식물 vs 좀비 2에서 등장한 비료라고 불리던 것으로 식물들이 기분 좋다고 콩을 난사하거나 태양열을 마구 생산하게 하던 그것이다.

기습 공격 또는 좀비 견제 용으로 사용한다. 꽤 유용한 편.

2.4.5. 야만 시금치

파일:Savage_SpinachH.png
이름 야만 시금치(Savage Spinach)
등급 트라이아스기-슈퍼 레어
종류 무성한 잎 식물
비용 4 3 체력 6
효과 잎 진화: 모든 레인의 식물과 보유한 모든 식물이 +2파일:PvZH_Strength_Icon.webp를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넵튜나는 완벽한 트라이아스기 침공을 계획했습니다. 하지만 다른 정복자들처럼, 그녀도 시금치를 과소평가했습니다.
(Neptuna planned her Triassic Invasion perfectly. But like so many conquerors before her, she underestimated the Spinach.)

무성한 잎 식물로 진화하는 식물로 보유한 모든 식물과 필드 위의 식물들의 힘을 2 올려주는 효과를 가졌으나, 잎 진화가 쉬운 편이 아니기 때문에 써먹기는 힘든 편. 즐거운 백리향이나 우산 잎 등을 가져가는 것이 좋으며, 가장 궁합이 좋은 식물은 퓨전 효과가 있는 콩 패치. 2코스트라 부담도 적고, 능력치도 올려주며 동시에 진화까지 발동시킬 수 있다.

여담으로 팩의 이미지가 리뉴얼 된 후 각 팩의 전설 식물들이 팩 표지를 장식하는데 그렇게 장식된 유닛중 유일하게 전설이 아닌 슈퍼 레어 식물이다.

1.26.3 패치로 체력이 6으로 증가하고 본인 뿐 아니라 필드의 모든 식물이 힘+2를 얻을 수 있게 바뀌었다.

2.4.6. 우주 완두콩

파일:Cosmic_PeaH.png
이름 우주 완두콩(Cosmic Pea)
등급 은하계-레어
종류 완두콩 식물
비용 4 2 체력 2
효과 이단 공격[이단공격], 플레이할 때: 완두콩 하나를 소환[소환]하고, 그 완두콩이 이단 공격을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우주는 정말 크고, 콩은 정말 작아요. 그것이 저를 생각에 잠기게 만들어요."
("The cosmos is so big and a pea is so small. The juxtaposition just really makes me think, you know?")

우주 소환 식물 중 하나. 이단 공격은 꽤나 유용하지만 우주 식물 아니랄까봐 본체의 스탯은 형편없다.

1.60.79 패치로 비용이 4로 늘어났고, 힘과 체력이 2로 올라갔다.

2.4.7. 하늘 사수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kyshooterH.png
이름 하늘 사수(Skyshooter)
등급 프리미엄-희귀
종류 완두콩 식물
비용 4 3 체력 2
효과 고지대에서 플레이할 때: +2파일:PvZH_Strength_Icon.webp/+2파일:PvZH_Health_Icon.webp를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파일럿 자격을 딴 최연소 완두콩 사수이자 파일럿 자격을 딴 유일한 완두콩 사수입니다.
(The youngest Peashooter ever to earn a pilot's license. Also the only Peashooter ever to earn a pilot's license.)

양배추 캐터펄트의 강화버전. 고지대에서 쓰지 않으면 가성비가 굉장히 구리므로 양배추 캐터펄트처럼 고지대 배치가 반강제된다. 현재는 게틀링 완두콩에게 완전히 밀렸다.

2.5. 5 태양

2.5.1. 개틀링 완두콩

파일:Gatling_PeaH.png
이름 개틀링 완두콩(Gatling Pea)
등급 콜로설-전설
종류 완두콩 식물
비용 5 5 체력 4
효과 이단 공격[이단공격], 완두콩 혁명[완두콩_혁명]: 보너스 공격을 합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더 많은 콩들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는 없습니다.
(There is no problem that cannot be solved by more peas.)

완두콩계의 진화식물. 완두콩 진화를 거치면 나오자마자 보너스 공격을 한다.

힘이 5인데다 이단 공격이 달려 완두콩 식물 중에서도 화력은 독보적이며, 체력도 연약한 수준은 아니다. 사실상 완두콩 덱의 필수 식물이나 다름없다.

잔디 주먹이라면 유일한 수륙양용 완두콩 식물인 가시 넛을 이용해, 게틀링 완두콩을 물 레인에 낼 수 있다.

1.24.6 패치로 능력치가 4/5에서 5/4가 되었다.

2.5.2. 꼬투리 파이터

파일:Pod_FighterH.png
이름 꼬투리 파이터(Pod Fighter)
등급 은하계-슈퍼 레어
종류 완두콩 식물
비용 5 3 체력 4
효과 이곳이나 주변의 식물을 플레이할 때 보너스 공격을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단지 콩의 시대를 만들고 싶을 뿐입니다.
(They're just trying to create peas in our time.)

협력 식물이나 쌍둥이 버섯과 궁합이 좋다. 횃불나무를 이 식물 앞에 두면 바로 힘 5로 보너스 공격을 한다. 출시 전엔 양 옆에 완두콩 2놈이 더 있었지만 어째선지 사라졌다.

1.22.12 패치로 혼자 있던 완두콩에게 친구가 생겼다.

2.5.3. 덩굴 채찍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WhipvineH.png
이름 덩굴 채찍(Whipvine)
등급 프리미엄-레어
종류 뿌리 식물
비용 5 6 체력 5
효과 플레이할 때: 좀비를 옮깁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잘 지내보자고, 좀비 친구"
("Get along, little Zombie.")

자체 능력치도 뛰어나면서 좀비를 옮기는 능력으로 이득 교환을 만들어 내거나, 좀비 영웅을 노리는 등 다양한 국면에 사용할 수 있으나 비싼 비용 때문에 쓰기가 약간 힘들다. 뿌리가 붙어있어 성장 속성 영웅보다는 시트론, 베타 카로티나로 뿌리 덱을 할 때 더 많이 쓰게 되는 식물.[21]

1.16.10 패치로 등급이 희귀에서 레어가 되었다.

1.60.79 패치로 힘이 6으로 늘어났다.

2.5.4. 붉은 식물

파일:The_Red_Plant-ItH.png
이름 붉은 식물(The Red Plant-It)
등급 은하계-슈퍼 레어
종류 뿌리 환경
비용 5
효과 이곳의 식물이 +5파일:PvZH_Strength_Icon.webp/+5파일:PvZH_Health_Icon.webp를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식물들이 살기 어려운 공간처럼 보이지만, 약간의 다정함과 인내심이 있다면 감자 이상으로 잘 성장할 것입니다.
(It may seem an inhospitable place for Plants, but with a little TLC and some patience, it'll grow more than just potatoes. Much more.)

허약한 식물도 무시무시한 식물이 되는 강력한 환경이나, 구조적으로 환경은 식물이 먼저, 좀비가 나중에 설치하기 때문에 식물 환경이 덮이기 매우 쉽다는 것을 생각하면 좋지 않은 환경. 5코스트이기 때문에 손해를 보기 쉽고, 이단 공격같은 능력을 주는 것도 아니기에 막히기도 쉽다.[22]

인게임에서는 효과 설명이 레이저 부들 효과인 '수륙양용, 협력. 식물을 플레이하면 1/1을 얻습니다.'라고 나오는 번역 오류가 있다.

2.5.5. 양파 링

파일:Onion_RingsH.png
이름 양파 링(Onion Rings)
등급 은하계-전설
종류 뿌리 식물
비용 5 4 체력 4
효과 플레이할 때: 보유한 각 식물이 4/4이 됩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너무 강력해서 울 수도 있습니다.
(So powerful it makes you cry.)

패에 있는 모든 식물의 능력치를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4/4로 만들어 버린다. 때문에 위니 식물들을 강하게 낼 수 있지만 4/4보다 높은 능력치도 4/4가 되어버리니 주의. 또한, 비용 5가 낮은 비용은 아니기 때문에 5턴에 이 카드를 낼 때까지 패에 충분한 식물을 확보해야 한다.

위니 식물이 많은 폭발 클래스를 가진 다혈질 대장이 쓰기 좋으며, 여러 레인을 공격하는 효과가 있는 클래스인 허세 속성을 가진 초록 그림자하고도 궁합이 좋은 편.

2.5.6. 용기 클로버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Plucky_CloverH.png
이름 용기 클로버(Plucky Clover)
등급 이벤트
종류 무성한 잎 식물
비용 5 1 체력 5
효과 플레이할 때: 이벤트 카드 하나를 소환[소환]하며, 용기 클로버가 카드의 비용과 같은 +파일:PvZH_Strength_Icon.webp을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의심하지 마세요. 그녀는 주는 사람이에요. 하지만 그녀가 너무 많이 준거라고도 느끼네요.
(She's a giver, no doubt. But she feels like she gets a lot out of it too.)

블로버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다르다. 4 태양 이상의 이벤트 카드만 소환해도 5 태양 5/5에 카드 한장 소환이므로 나쁘지 않지만, 이벤트 카드들의 비용이 대체로 낮기에 2/5나 3/5 같은 안 좋은 스탯이 되는 경우가 더 많아서 쓰기 힘들다. 오이 선장이 있으면 소환한 카드의 비용이 내려가는 만큼 힘을 못 얻는다.

1.26.3 패치로 체력이 4에서 5로 증가했다.

파일:external/postfiles7.naver.net/Screenshot_2017-01-16-23-09-09-1.png

2.5.7. 천하장사 화분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Potted_PowerhouseH.png
이름 천하장사 화분(Potted Powerhouse)
등급 프리미엄-슈퍼 레어
종류 무성한 잎 식물
비용 5 4 체력 4
효과 보유하면 식물 하나가 힘이나 체력을 얻을 때 +1/+1을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다른 식물과는 달리 화분 밖에서 사는 걸 좋아합니다, 그곳이 그녀의 집이죠.
(She loves living out of a pot. It's not for every Plant. But to her, it's home.)

좀비측의 발키리와 비슷한 효과의 식물.

비용 대비 능력치는 그리 좋은 편이 아니지만, 버프 시너지가 굉장한 편. 안티 히어로로 증가하는 힘으로도 스탯이 증가한다. 이를 이용한 전략 덱이 다혈질 대장의 옻나무 집단.[24] 이 카드를 최대한 빠르게 패에 가져오는 것이 중요하며, 어떻게든 패에 넣고 나서 패에서 썩히고 버프를 계속 쌓아두면 능력치가 두 자릿수는 가뿐히 찍는다. 천재 클래스를 상대할 땐 로켓 공학을 조심해야 한다. 로켓 공학을 다 빼버리게 만들고 쓰든가, 혹은 우산 잎으로 보호를 해주고 배치하는 것이 좋다. 초록 그림자라면 최후반까지 끌고 가서 암흑물질 용과와 같이 쓰는 것도 방법.

1.60.79 패치로 힘, 체력 모두 3에서 4로 올라갔다.

2.6. 6 태양

2.6.1. 뱀부즐

파일:BamboozleH.png
이름 뱀부즐(Bamboozle)
등급 콜로설-레어
종류 무성한 잎 뿌리 식물
비용 6 6 체력 6
효과 식물 혁명[식물_혁명]: 카드 두 장을 뽑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지구 공동의 하이퍼 진화 식물 중에서만 나무보다 앞설 수 있습니다.
(Only among the hyper-evolved Plants of Hollow Earth can you be outwitted by a tree.)

식물 혁명으로 카드 두 장 드로우라는 심플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후반에 카드가 떨어지는 점에 대한 대비책이나 다이노로어와의 궁합을 생각해 볼 수 있겠지만 식물 혁명으로 발동되기 때문에 약간 애매하다. 다혈질 대장이 그나마 쓰기가 좋다.

1.60.79 패치로 힘이 6으로 증가했다.

2.6.2. 아포테이토사우루스

파일:ApotatosaurusH.png
이름 아포테이토사우루스(Apotatosaurus)
등급 트라이아스기-전설
종류 뿌리 짐승 식물
비용 6 5 체력 5
효과 속임수 불가[속임수불가], 플레이 할 때: 뿌리 하나를 소환[소환]합니다. 다이노로어[다이노로어]: +1파일:PvZH_Strength_Icon.webp/+1파일:PvZH_Health_Icon.webp을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달콤한 감자도 있으면, 공룡 감자도 있습니다.
(Some potatoes are sweet. Others are dinosaurs.)

손에 카드가 꽉 차있지만 않으면 사실상 6/6의 식물. 속임수 불가 때문에 생존력이 미친듯이 높다는 장점이 있으나, 교활 속성의 치명적을 조심해야 한다. 특히 무한의 임프로 데드비어드 통/폭죽 좀비+통의 통/레이저 베이스 알파/지독한 악취의 조합에 쉽게 처치당하니 주의.

2.6.3. 잘나가는 사탕무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Super_Phat_BeetsH.png
이름 잘나가는 사탕무(Super Phat Beets)
등급 프리미엄-레어
종류 뿌리 식물
비용 6 4 체력 4
효과 플레이할 때: 각 식물과 좀비당 +1파일:PvZH_Strength_Icon.webp/+1파일:PvZH_Health_Icon.webp을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사탕무를 떨어뜨리면 모두 알아채죠. 특히 좀비가요.
(When he drops the beet, everyone feels it. Especially the Zombies.)

식물 vs 좀비 2의 패트 비트. 플레이 효과로 이론상 최대 18/18까지 강화될 수 있다. 물량 덱에서 강한 식물이며 자기 자신의 필드 상태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폭발 클래스가 있는 다혈질 대장이 위니 덱의 피니셔로 종종 기용한다. 다혈질 대장으로 10턴까지 기다리고 사탕무+식물 푸드를 쓰면 방어 미터에 막히거나 좀비가 꽉 차있는 게 아니라면 대부분 원콤이 난다.

1.60.79 패치로 힘과 체력 모두 3에서 4로 올라갔다.

2.7. 8 태양

2.7.1. 에스프레소 축제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Espresso_FiestaH.png
이름 에스프레소 축제(Espresso Fiesta)
등급 프리미엄-슈퍼 레어
종류 콩 속임수
비용 8
효과 식물 하나가 3번 보너스 공격을 합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오후 5시 이후에는 먹지 마세요. 밤에 한숨도 못잘 거에요.
(Don't consume after 5 p.m. You'll be up all night.)

주로 스탯이 높은 식물에게 쓰는 피니시기. 다만 고정 공격을 달고있는 게 아닌 이상, 방어미터에 막힐 수 있는 데다, 관통이 없으면 좀비에 공격이 막혀 각을 보기 힘든 경우가 많다. 거인 마임이 있다면 더욱 조심해서 사용해야 하는데, 역으로 3방 후드려맞고 자폭할 수도 있다.

예전엔 피니시용으로 자주 기용됐었으나 은하계 팩 출시 이후로 게임의 템포가 빨라져 잘 보이지 않게 되었다.

3. 관련 문서


[협력] 이 레인에 식물 두 개 놓기 가능.[협력] [속임수불가] 좀비 속임수의 영향을 받지 않음.[협력] [소환] 이 종류의 무작위 카드 획득.[6] 로토바가도 한 레인 옆에 소환하면 이길 수 있다.[7] 광기의 멀리 쏘기와 겹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 멀리 쏘기는 좀비만 가지고 있다.[이단공격] 여기서 전투 후: 보너스 공격을 가함.[퓨전] 식물을 여기에 플레이하여 이 능력 사용.[10] 해바라기가 태양만 바라보느라, 정작 달과는 만나기 힘들다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해바라기 문서에도 나와있다시피, 해바라기는 사실 하루 종일 태양만을 보는 식물이 아니다.[11] 'Grow'는 이런 뜻이 아닐텐데 어째서인지 정식 번역명은 대형 버섯이다. 제대로 번역하면 성장 버섯.[이단공격] [소환] [소환] [이단공격] [다이노로어] 카드 한 장을 뽑은 때 이 능력 사용.[이단공격] [소환] [이단공격] [완두콩_혁명] 완두콩에서 플레이하여 이 능력 사용.[21] 둘 다 성장 속성을 가진 영웅은 아니나, 전분 경으로 이 식물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22] 애초에 환경은 좀비가 나중에 깔지만 식물 측 환경과 비교하면 코스트가 훨씬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좀비 측의 환경은 3코스트를 넘지 않고, 1코스트 환경이 3개, 2코스트 환경이 5개로 싸면서도 효과가 좋은 환경이 많은 반면, 식물은 0코스트 환경이 뜨거운 용암 하나 뿐이고 1코스트 환경은 아예 없으며, 2코스트 환경도 커피 그라운드, 계몽의 늪지가 끝이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 때문에 식물은 쓸만한 환경이 많지 않다.[소환] [24] 다만 스탯을 올리는 카드가 많은 성장 클래스이기에, 굳이 저렇게까지 안티 히어로 효과를 이용할 필요는 없다.[식물_혁명] 식물에서 플레이하여 이 능력 사용.[속임수불가] [소환] [다이노로어]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식물 vs 좀비 히어로즈/카드일람/식물|식물 vs 좀비 히어로즈/카드일람/식물]]}}}{{{#!if external != "o"
[[식물 vs 좀비 히어로즈/카드일람/식물]]}}}}}}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식물 vs 좀비 히어로즈/카드일람/식물?uuid=19dec5f8-36e3-4665-94e9-662393589fe0|r655]]}}}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식물 vs 좀비 히어로즈/카드일람/식물?uuid=19dec5f8-36e3-4665-94e9-662393589fe0#s-4|4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식물 vs 좀비 히어로즈/카드일람/식물?from=655|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식물 vs 좀비 히어로즈/카드일람/식물|식물 vs 좀비 히어로즈/카드일람/식물]]}}}{{{#!if external != "o"
[[식물 vs 좀비 히어로즈/카드일람/식물]]}}}}}}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식물 vs 좀비 히어로즈/카드일람/식물?uuid=19dec5f8-36e3-4665-94e9-662393589fe0|r655]]}}}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식물 vs 좀비 히어로즈/카드일람/식물?uuid=19dec5f8-36e3-4665-94e9-662393589fe0#s-4|4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식물 vs 좀비 히어로즈/카드일람/식물?from=655|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