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5 01:42:55

시온 엘트남 아틀라시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Fate/Grand Order에서의 시온}}}에 대한 내용은 [[시온 엘트남 소카리스(Fate/Grand Order)]]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시온 엘트남 소카리스(Fate/Grand Order)#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시온 엘트남 소카리스(Fate/Grand Order)#|]]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Fate/Grand Order에서의 시온: }}}[[시온 엘트남 소카리스(Fate/Grand Order)]]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시온 엘트남 소카리스(Fate/Grand Order)#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시온 엘트남 소카리스(Fate/Grand Order)#|]]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시온 엘트남 아틀라시아
シオン・エルトナム・アトラシア
Sion Eltnam Atlasia
파일:Melty_Sion.png
<colbgcolor=#993399><colcolor=white> 성별 여성
연령 16세/17세/18세[1] (MELTY BLOOD / 카니발 판타즘)
10세 미만 (로드 엘멜로이 2세의 모험)[2]
20세 전후 (Fate/Grand Order)[3]
혈액형 O형
신장 / 체중 161cm / 48kg
생일 1984년 6월 1일[4]
쓰리사이즈 B86-W55-H83
좋아하는 것 분석
소속 아틀라스원
뒷골목 동맹 (MELTY BLOOD / 카니발 판타즘)
노움 칼데아 (Fate/Grand Order)
성우 나츠키 리오 (MELTY BLOOD / 카니발 판타즘)
파일:일본 국기.svg 아오키 시키[5]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서현 (CM 한정)

1. 개요2. 특징
2.1. 능력
3. 작중 행적4. 인간 관계5. 기타

1. 개요

파일:dibELe1r.jpg 파일:rWLypC1r.jpg
카니발 판타즘
파일:FGO 시온.png파일:시온_진CM.jpg
Fate/Grand Order
TYPE-MOON/세계관의 등장인물이자 게임MELTY BLOOD》의 주인공.

이집트에 소재한 아틀라스원 출신의 연금술사로, 여러 부분에서 알퀘이드 브륜스터드와 상반되는 주인공.[6] 멜티블러드 무인편의 게스트 히로인.

옛 이름은 시온 엘트남 소카리스. '아틀라시아'란 성은 아틀라스원의 차기 원장을 가리킨다.[7]

2. 특징

디자인상 특징은 사이 하이 삭스미니스커트, 길게 땋은 머리. 주 컬러는 보라색. 그 외 특징으로 엄청나게 긴 머리카락이 있는데, 땋고 있을 때도 이미 다리에서 찰랑거리고 있고 머리를 풀었을 때는 아예 땅에 끌릴 정도다. 디자인 모티브는 Fate/stay night의 3대 히로인인 세이버마토 사쿠라, 토오사카 린의 탈락된 컨셉 디자인들을 한데 뭉뚱그려 월희풍으로 리파인한 것이라고.

멜티 블러드의 스토리 모드에서는 토오노 시키의 시점에서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다 시키 하렘에 편입되었으며 RE ACT와 AC에서는 주인공 자리에서 밀려나서 페이크 주인공 취급을 받았었다. 본래는 멜티 블러드의 주인공으로 기획했지만, 여러사정으로 제대로 활약을 하지 못했었다. 그러다 AA부터 주인공으로 제대로 활약하고 코믹스도 이를 중점으로 그려냈다.

프로레슬링 만우절 특집에서 나온 출신지가 이집트였고, 엘트남 가의 유래 자체도 이집트와 연관이 있는 데다가, '고양이를 신성시하는 나라에서 왔다'고 하는 배경 설정도 보면 빼도박도 못하는 이집트 출신이지만 정작 시온 본인은 이집트인으로 불리는 걸 싫어하는 듯.[8][9]

덧붙여서 시온은 에테라이트로 만든 권총을 배럴 레플리카와 별개로 소지하고 있다.

2.1. 능력

무기는 블랙 배럴의 모조품인 '배럴 레플리카'라는 이름의 권총. 그리고 가문에 전해내려 오는 미크론 단위의 모노 필라멘트인 에텔라이트를 가지고 있는데, 팔찌에 수납된 시온의 에텔라이트의 경우 엘트남 가에 전해지고 있는 마술품으로 무기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이것을 연결한 상대의 사고와 기억을 읽을 수 있고 행동마저 강제로 조작이 가능하다. 행동 조작의 범위는 단순한 꼭두각시 놀음은 물론이고 대상의 리미터 해제까지 가능한 수준.[10] 코믹스판에서 시키의 리미터를 해제시켜 강제적으로 카지바노 쿠소치카라를 발동시키는 묘사가 나왔다. 참고로 이 에테라이트는 본래 의료용으로 만들어낸 의사신경으로 잘려나간 신경을 대신할 수도 있다. 사실 이 쪽이 본래 사용법.

'분할사고'라는 능력의 보유자. 말 그대로 사고(思考)를 여러 개로 분할하여 한 번에 여러 가지의 생각 혹은 계산을 할 수 있다. 처리 속도는 구식 컴퓨터와 비슷한 수준. 그 분할사고와 고속사고를 병행한 미래 예측을 바탕으로 전투에 임한다. 시온의 경우 4개, 한 마디로 쿼드코어다. 사람의 체술이라면 그 자리에서 바로 배워서 써먹을 수 있다. 루트에 따라서는 에테라이트를 아키하에게 주고 기본만 가르쳤는데도 아키하의 손에 시온이 나가 떨어지는 모습도 보인다. 그래서 아키하의 액트리스 어게인의 승리대사 중에서 에테라이트와 관련된 말이 나오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철저한 합리주의적인 성격. '계산으로 얻어진 결과야말로 모든 것이다'라는 사고방식을 갖고 있다. 이 캐릭터의 계산기 기질은 후에 라니 Ⅷ가 물려받는데, 정황상 아틀라스의 거의 모든 연금술사들이 가지는 사고방식인 듯 싶다.[11]

3.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온 엘트남 아틀라시아/작중 행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온 엘트남 아틀라시아/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온 엘트남 아틀라시아/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인간 관계

  • 토오노 시키
    처음엔 그냥 서로 '목적이 얼추 비슷해서' 협력하는 사이에 지나지 않았으나,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시키의 상냥함에 감화되어 가면서 결국 반한다. 생전 처음 타인에게 느끼는 호감에 그녀도 마냥 싫지는 않은 눈치. 덧붙여서 그의 무르고 우둔한 기질을 탓하기도 한다. 이 때 시키에게서 '너는 냉혈인이라 하지만 네 실상은 그냥 좋은 사람이야'라는 말을 듣는다. 그녀도 뜯어보면 상당히 자기 모순에 괴로워하고 도망치던 소녀로, 멜티 블러드에서는 그것에서 도망치지 않고 나서기로 하면서 아틀라스원의 정식 원장이 되는 엔딩도 있다.(후일담 리액트.) 코믹스에서는 이 엔딩을 따르고 있다.[12]
  • 토오노 아키하
    에텔라이트의 사용법을 가르쳐준 뒤로 사이가 좋아졌다. 다만 돈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토오노 저택의 연구실을 쓰고 있다는 것이... 그래서 시키가 '아키하들하고 잘 지내는 건 좋은데, 지하 연구는 그만둬'라고 말할 정도. 액트리스 어게인에서 오시리스의 모래가 아키하에게 해 준 대사에 따르면 사실 질투를 하고 있다고 한다.[13]

5. 기타

파일:attachment/시온 엘트남 아틀라시아/sion_with_Arc.jpg
  • 월희의 여주인공인 알퀘이드와 대비되는 특성이 많이 보인다. 머리스타일, 옷 배색과 길이, 성격, 사용도구까지 모두 반대. (시온과 알퀘이드는 흰색, 보라색, 노란색 새가지 색을 기조로 캐릭터가 디자인되어 있다.)
    • 시온 : 보라색 장발과 노란색 장식 + 짧은 보라색 상의 + 흰색 미니스커트 + 가는 실 + 오랜 시간 단련해온 분석적 사고방식과 실력
    • 알퀘이드 : 금발 단발에 장식없음 + 긴 흰색 상의 + 보라색 롱 스커트 + 굵은 쇠사슬 + 긴 수명에 비해 만들어진지 얼마 안 된 천진난만한 성격과 천성적인 힘
  • Fate/EXTRA의 최후의 연금술사 '시아림 엘트남 아틀라시아'는 '출생 때 죽어서 만나지 못한 쌍둥이 언니가 있다'고 한다. 그 '언니'는 아마도 시온일 가능성이 크다. 즉 엑스트라 세계에서는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 타입문 10주년 인기 투표에서는 1691표로 의외로 34위를 했다. 준수한 인기 캐릭터.
  • TYPE-MOON 2010년 만우절 이벤트 때는 거짓 보구 검증 서비스를 만들었다.
  • 월희 리메이크 세계관을 따르는 MELTY BLOOD: TYPE LUMINA에서는 예상 외로 최초 로스터에서 제외되었다. 나스의 인터뷰에 따르면 구작의 왈라키아의 밤 스토리 라인을 따르지 않는 대신 월희 리메이크의 if 스토리 기준으로 스토리를 재구성하기 때문이라는데 이후 DLC 등을 통한 등장 여부는 미지수.


[1] 액트 카덴쟈(AC)와 월희 시점에서의 나이는 16세, 오리지널 멜티블러드와 리액트에서는 17세, 액트리스 어게인(AA)때는 18세이며, 그리고 이 나이는 아시다시피 아키하, 히스이, 코하쿠, 사츠키와 나이가 동갑이다.[2] 월희 시리즈가 리부트되면서 월희 본편의 배경이 2014년으로 변경되었고, 캐릭터들의 출생 시기가 변동됨에 따라, 설정이 리부트 이후에 근거하며 약 2007년 시점을 다루는 로드 엘멜로이 2세의 모험에서는 어린 시절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10세도 안 된다는 서술과 8세에 아틀라스원의 교관이 되었다는 서술이 있기에 8세 또는 9세.[3] 2부 첫 등장 시점인 2018년 기준.[4] 월희 시리즈 리부트 이전으로, 리부트 이후에는 1998년 전후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5] 후지마루 리츠카는 잘 모르겠다에서 등장 5년만에 성우가 정해졌다.[6] 알퀘와 시온 순으로 짧은머리/긴머리, 흰 긴팔 상의에 긴 보라색치마/보라색 반팔 상의에 짧은 흰 치마, 악세서리 없음/있음, 굵은 쇠사슬/가느다란 줄, 성격 등.[7] 소카리스가 이집트의 신 '소카르(세케르라고도 하지만 소카르라는 명칭이 더 흔히 쓰이는 편)'를 그리스식으로 읽은 것이라는 걸 생각해볼 때, 그리스 쪽도 섞이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이 있지만 사실 우리가 이집트의 단어라고 알고 있는 피라미드, 스핑크스, 아누비스, 람세스 등의 단어는 전부 그리스식 발음이다. 이집트어사어인데다 모음을 표기하지 않아서 학자마다 읽는 법을 달리 주장하는 데다 대중성도 떨어지니 만화나 게임에서는 당연히 그리스식 발음이 자주 인용되는 것이다. 참고로 소카르를 섬긴 지방은 아직도 그 이름이 유지된 채로 남아있는데 사카라(saqqara)가 바로 그곳이다.[8] 승리 대사 중에 "한 마디만 하겠습니다. 이집트인이라고 부르는 건 그만두시죠."라는 대사가 있다.[9] 이에 대해서는 현대 이집트인 중 진짜로 고대 이집트인의 혈통을 이어받은 사람들은 겨우 10%밖에 안 되는 콥트교도들이며 나머지 절대 다수는 아랍인과 터키인 등의 후손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있다(생물학적으로만 따지면 현대 이집트인들 대다수가 고대 이집트인의 후손이고 콥트교도들조차도 생물학적으로는 다른 아랍권 주민들과 같은 전형적인 중동 셈계 민족에 가까워서 사실상 무의미한 의견이지만). 애초에 이집트는 이슬람화된 이후로 토착 문화를 등한시하다가 맘루크들이 오스만의 지배로부터 벗어나려는 목적으로 (자기 조상도 아닌) 고대 이집트 문화를 띄우게 된 것이다. 또한 '이집트'라는 이름 자체가 그리스 신화에서 이집트를 까기 위해 묘사된 인물의 이름에서 유래되기도 했으니 '이집트인'이라는 표현을 꺼리는 것이 당연하다. 참고로 이집트 사람을 아랍어에선 '마스리'라고 부르지만, 콥트인들은 콥트어인 '레멘키미'로 일컫는다.[10] 최대 사거리가 5km인 데다가 전류도 통해서 신경을 태워버릴 수도 있다. 이는 에테라이트가 잘려나가도 마찬가지로 연결되어있던 대상의 신경이 다 탄다. 추가로 한 동강만 잘려도 에테라이트는 바로 연소한다. 대상의 주어나 서술어의 정보는 읽지만 접속사는 못 읽는다. 주로 와이어 같이 생긴 형태.[11] 뛰어난 '마술'을 쓸 수 없으니 '계산'을 선택한 것은 어쩔 수 없을지 모르지만, 지나치게 계산적이면 상상력과 응용력이 떨어지게 되고 이 부분이 두 캐릭터의 공통적인 약점이기도 하다.[12] 그런 의미에서 멜티 블러드 당시의 시온이 시키에게 반한 것도 대강 이해할 수 있다. 자기 모순을 인정하지 못한 채 고뇌만 하던 것이 멜티 블러드의 시온인데 끝없는 자기 모순에서 당당히 인정하고 그것을 짊어진 채로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멜티 블러드 당시의 시키이기 때문이다. 어찌보면 전형적인 타입문 주인공의 인상을 그대로 지니고 있는 인물.[13] 자신의 길에 확신을 가지고, 자신에 대해 당당하게 마주보고 나아갈 수 있는 기질을 부러워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