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2 22:17:05

시어도어 루스벨트 암살 미수 사건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81018><tablebgcolor=#e81018> '''[[시어도어 루스벨트|{{{+1 파일:시어도어루즈벨트.svg]]'''시어도어 루스벨트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81018> 일생 생애
가족 조카 엘리너 루스벨트 · 친척 프랭클린 루스벨트
역대 선거 1904년 미국 대통령 선거 · 1912년 미국 대통령 선거
관련 정치인 윌리엄 매킨리 ·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 우드로 윌슨 · 프랭클린 루스벨트 · 부커 T. 워싱턴
사건사고 미국-스페인 전쟁 · 암살 미수 사건
조직 공화당 · 진보당
평가 평가
기타 테디 베어 · 박물관이 살아있다 시리즈 · 루스벨트 가문 · 미국의 현대자유주의
TR 행정부
정책 반독점법 · 뉴 내셔널리즘 · 스퀘어 딜 · 자유제국주의 · 자유주의적 매파
사건사고 가쓰라-태프트 밀약 · 샌프란시스코 지진 · 스티븐스 저격사건 · 이로쿼이 극장 화재 사고 · 인류학의 날 · 포츠머스 조약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colcolor=#fff> 시어도어 루스벨트 암살 미수 사건
Attempted assassination of Theodore Roosevelt
파일:Theodore_Roosevelt_speaking_from_a_car_in_Milwaukee_Wisconsin_on_Oct._14,_1912.webp
▲ 총을 맞기 직전의 시어도어 루스벨트
▲ 사건 발생 위치
<colbgcolor=#bc002d> 발생일 1912년 10월 14일
유형 살인미수
발생 위치 미국 위스콘신 밀워키 길패트릭 호텔 인근
가해자 존 슈랭크
범행 동기 가해자의 음모론 신봉
피해자 <colbgcolor=#bc002d> 부상 시어도어 루스벨트 1912년 진보당 대통령 선거 후보

1. 개요2. 전개

[clearfix]

1. 개요

1912년 10월 14일 존 슈랭크시어도어 루스벨트를 암살하려다 미수에 그친 사건.

2. 전개

존 슈랭크는 바이에른 출신의 독일계 이민자로, 술집을 운영하며 살던 도중 정신질환을 앓게 된다. 이 정신질환으로 인해 슈랭크는 윌리엄 매킨리 전임 미국 대통령 암살 사건을 루스벨트가 사주했다고 믿게 되었다.[1]

그리고 1912년 10월 14일,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1912년 미국 대통령 선거 유세를 위해 밀워키에 있는 길패트릭 호텔을 방문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슈랭크는 루스벨트 암살을 시도하게 된다. 슈랭크는 6연발 콜트 오피셜 폴리스 리볼버 권총을 구해 연설 중이던 루스벨트에게 발사했다.
파일:TR-Xray.jpg 파일:Schrank's_revolver_LCCN2014690859.jpg
루스벨트의 가슴 X선 사진. 슈랭크의 리볼버

하지만 루스벨트의 가슴에 맞았음에도 슈랭크는 루스벨트 암살에 실패하였다. 연설 중에 가슴을 정통으로 맞았는데, 루스벨트는 곧 일어섰다. 루스벨트 대통령은 평소에도 연설하는 걸 그렇게 좋아했는데, 그래서 연설문 종이가 정말로 두꺼웠다. 그리고 총알이 그 두꺼운 종이와 자신이 가지고 있던 안경집에 맞은 것이다. [2] 그의 치유를 기원하며 한동안 여야 모두 선거운동이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


[1] 슈랭크가 이러한 믿음을 가지게 된 이유는, 어느 날 매킨리 대통령의 영혼이 나타나 자신의 죽음을 복수해 달라고 하는 꿈을 꾸었기 때문이었다.[2] 덕분에 루스벨트 대통령은 치명상 없이 살아남았고, '역대 미국 대통령 중 최초로 저격을 당했으나 살아남은 대통령'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 물론 이때는 전(前) 대통령 때인 관계로, 이것도 보통은 로널드 레이건에게 붙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6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6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