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1 18:09:09

슬로바키아-헝가리 전쟁

전간기(1918~1939)
{{{#!wiki style="min-height:calc(1.5em + 10px); padding-top: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666, #000);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22><colcolor=#fff> 주요 사건
제1차 세계 대전의 끝
(1918~1920)
부쿠레슈티 조약 ·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 세브르 조약 · 로잔 조약 · 뇌이 조약 · 트리아농 조약 · 생제르맹 조약 · 베르사유 조약
전간기 초기
(1918~1931)
러시아 내전 · 튀르키예 독립 전쟁 · 외몽골 출병 · 카프 폭동 · 로마 진군 · 루르 점령 · 메멜 점령 · 리프 전쟁 · 뮌헨 폭동 · 독일-폴란드 무역 전쟁 ·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 · 로카르노 조약 · 국민혁명(제1차 국공합작) · 황고둔 사건 · 켈로그-브리앙 조약 · 대공황 · 런던 해군 군축조약
만주사변
(1931~1933)
만주사변 · 제1차 양광사변 · 나카무라 사건 · 만보산 사건 · 제3차 초공작전 · 류탸오후 사건 · 천진사변 · 영월합작 · 진저우 침공 · 사쿠라다몬 의거 · 마옥산 사건 · 제1차 상하이 사변 · 훙커우 공원 의거 · 송호정전협정 · 이시모토 사건 · 열하사변 · 당고정전협정
나치당 집권 후
(1933~1939)
복건사변 · 라이히스탁 방화 사건 · 수권법 통과 · 장검의 밤 · 신강 침공 · 영국-독일 해군조약 ·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 스페인 내전 · 라인란트 재무장 · 제2차 런던 해군 군축조약 · 수정의 밤 · 오스트리아 병합 · 하산 호 전투 · 뮌헨 협정 · 슬로바키아-헝가리 전쟁
중일전쟁
(1937~1939)
루거우차오 사건 · 상하이 전투 · 난징 전투 · 난징 대학살 · 파나이 호 사건 · 트라우트만 공작
국제 기구
}}}}}}}}}
슬로바키아-헝가리 국경전쟁
작은 전쟁
Kis háború
Malá vojna[1]
전간기의 일부
1939년 3월 23일 ~ 1939년 3월 31일
<nopad> 파일:전쟁 이후 헝가리에게 할양된 영토.png
전쟁 이후 헝가리에게 할양된 영토(파란색, 3번)[2]
장소
슬로바키아 동부
교전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지휘관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문서명}}}{{{#!if 출력 != null
}}}}}}]]
요제프 티소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문서명}}}{{{#!if 출력 != null
}}}}}}]]
아구스틴 말라르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호르티 미클로시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안드라스 리타이
전력
3개 보병연대
2개 포병연대
전차 3대
장갑차 9대
5개 보병대대
2개 기병대대
1개 차량화대대
경전차 5대
탱켓 70대
장갑차 3대
결과
헝가리 왕국의 승리
영향
슬로바키아의 영토 할양
피해규모
22명 전사
671명 포로[3]
전투기 9기 손상 및 파괴
8명 전사
30명 부상
숫자 미상의 차량 손실
전투기 1기 파괴

1. 개요2. 전쟁 이전3. 전투 서열4. 지상전5. 공중전
5.1. 슬로바키아 공군과 헝가리 왕립 공군의 상황5.2. 전투
5.2.1. 스피슈스카 노바 베스 폭격
6. 피해7. 기타8. 관련 문서9. 둘러보기

1. 개요

슬로바키아-헝가리 국경전쟁 또는 작은 전쟁1939년 3월 23일부터 3월 31일까지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헝가리 왕국간의 슬로바키아 동부에서 벌어진 전쟁이었다.

2. 전쟁 이전

뮌헨 협정 이후, 체코슬로바키아 제2공화국이 약해지자 헝가리군은 슬로바키아 국경에서 위협적인 태세를 유지했다. 다만 헝가리군은 작전 수행에 필요한 포탄을 36시간 분량만 가지고 있었고, 독일의 부추김을 받아 사실상 허세를 부리고 있었다. 이에 체코슬로바키아군은 장애물이 없는 국경에 콘크리트 진지를 추가로 설치했다.

1938년 중반, 헝가리는 체코슬로바키아를 압박하기 위해 슬로바키아 남부와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에 침투한 롱요스 가르다[4]를 무장시키기 시작했고 상황이 심각해지자 독일과 이탈리아는 체코슬로바키아에게 제1차 빈 중재안을 받아들이라고 압박하여 헝가리계가 대부분인 슬로바키아 남부를 할양하도록 했다. 이로인해 슬로바키아는 두번째로 큰 도시인 코시체를 잃었고 수도 브라티슬라바가 헝가리의 위협에 취약해 졌다.

제1차 빈 중재의 결과에 만족하지 못한 헝가리는 1938년 11월 2일부터 1939년 1월 12일까지 22번의 국경분쟁을 일으켰다.

1939년 9월, 체코슬로바키아의 에밀 하하 대통령은 요제프 티소의 슬로바키아 정부를 해산하고 카롤 시도르를 새로 슬로바키아 총리로 임명한다. 그러자 슬로바키아는 독립을 선포하고 독일에 헝가리로부터 보호를 해달라는 요청을 전한다.[5] 이후 체코가 독일에 의해 점령되고 슬로바키아가 독립하자 헝가리는 슬로바키아의 독립을 인정한다.[6] 하지만 헝가리는 현재 슬로바키아와의 국경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슬로바키아는 헝가리 제20보병연대와 국경수비대가 우주호로드 인근의 고지를 점령시도를 격퇴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후 이어진 국경 마을에 대한 포격으로 인해 13명이 사망했다고 주장하며 독일에게 독일이 보호해주기로한 약속을 지켜달라고 요청한다.

이후 헝가리 외무부는 독일에 헝가리는 슬로바키아 동부 국경을 두고 슬로바키아와 협상을 원한다고 밝혔다. 헝가리는 기존 국경선이 체코슬로바키아의 내부 행정 구역일 뿐, 국제적으로 공인된 영토가 아니기 때문에 카르파티아-우크라이나가 헝가리에 편입되었으니 이제 국경을 명확히 해야한다는 것이었다. 헝가리가 주장한 영토에는 1910년 당시의 인구조사에서 헝가리인과 루테니아인의 비율이 높게 나왔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폴란드와 연결된 주요 철도를 보호하기 위해 내린 결정이었다.

독일은 헝가리와 슬로바키아에게 국경 수정에 동의할 것을 알렸다. 보호조약 서명을 위해 에 모인 슬로바키아 지도자들은 이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고, 슬로바키아 민정 당국과 군에게 철수를 명령했다. 그리고 헝가리의 다른 요청은 받아들이지 않기로 했다. 헝가리는 슬로바키아가 방위조약에 서명했으며, 독일이 이에 서명하면 발효될 것임을 알고있었다. 따라서 헝가리는 통합되지 않은 슬로바키아군을 이용하기 위해 즉시 행동하기로 결정했고, 그리하여 카르파티아 루테니아 서부의 헝가리군은 리벤트로프가 조약에 서명하기 6시간 전인 3월 23일 새벽에 슬로바키아 동부 국경을 향해 진격하기 시작했다.

3. 전투 서열

  • 슬로바키아군
  • 제6군단 ( 사령관 : 아구스틴 말라르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6보병연대[일부]
  • 제20보병연대
  • 제37보병연대[일부]
  • 제12포병연대[일부]
  • 제112포병연대[일부]
  • 장갑차소대
  • 전차소대
    }}}
  • 슬로바키아 공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5비행대
  • 제49비행대
  • 제12비행대
  • 제13비행대
    }}}

  • 헝가리군
  • 제7군단 ( 사령관 : 안드라스 리타이 소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9독립대대[일부]
  • 제7독립대대
  • 제24독립대대
  • 제8혼베드대대
  • 제1기병대대
  • 제2기병대대
  • 제2차량화대대
    }}}
  • 제1군단/제1전투연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1전투기중대
  • 제1/2전투기중대
  • 제1/3전투기중대
  • 제6근거리정찰중대
  • 제7근거리정찰중대
    }}}
  • 제2군단/제2폭격연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3중형폭격기중대
  • 제3/4중형폭격기중대
  • 제3/5중형폭격기중대
    }}}

4. 지상전

3월 23일 새벽에 헝가리군은 슬로바키아를 기습공격 했다. 헝가리는 선전포고 없이 공격을 했는데, 이는 많은 슬로바키아군이 체코 지역에서 이동중 이었기 때문에 슬로바키아군이 아무런 준비를 하지 않은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슬로바키아 내의 체코 병사들은 슬로바키아를 떠나려고 했지만, 헝가리의 공격 이후 이전 부대에 남기로 결정했다.

슬로바키아군도 이에 대응해 북쪽에서는 2개의 보병대대와 포병대대가 집결했고, 남쪽 미할로브체인근에서는 4개의 보병대대와 여러개의 포병대를 집결했다. 더 서쪽인, 헝가리 보병여단이 있는 코시체-프레쇼우 전선에서도 슬로바키아군이 집결했다. 후방에서는 기병대와 일부 전차가 마르틴에서 출발하였고 브라티슬라바, 트렌친에 포병 분견대가 배치되었다. 하지만 독일군의 방해로 인해 5군단은 이동할 수 없었다. 헝가리에게 할양된 영토에 최전선인미할로브체휴메네로 가는 유일한 철도가 헝가리군에게 넘어 가버려서 모든 슬로바키아의 지원군의 움직임이 지연되었기 때문이다.

헝가리군은 슬로바키아 동부로 빠르게 진격해 슬로바키아와 독일을 놀라게 했다. 동원령과 심각한 장교 부족으로 인한 혼란에도 불구하고 미할로브체의 슬로바키아군은 다음날까지 충분히 반격할 수 있을 만한 병력을 확보했다. 슬로바키아군은 프레쇼우에서 파괴된 OA vz. 30 장갑차를 수리할 부품을 확보한 뒤 3월 24일, 미할로브체 남쪽에 있는 부드코브체를 정찰하도록 했으나 헝가리군의 흔적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래서 슬로바키아군은 동쪽으로 반격하기로 결정했다. 헝가리군의 가장 가까운 전초기지가 자바드카에 있다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도로를 따라 이동하던 슬로바키아군의 장갑차는 앞쪽의 헝가리군의 포위망을 정면에서 공격하기 시작했고, 슬로바키아 보병들은 헝가리군의 측면을 공격했다. 그리고 수적으로 열세였던 헝가리군은 니즈나 리브니차의 아크나 강변의 본진으로 후퇴했다. 슬로바키아군의 장갑차들은 자바드카를 조금 지나 도로를 따라 계속 나아갔고, 보병들은 흩어져서 우브레지와 비슈네 레비스티아 마을 사이, 양측으로 4km에 걸쳐 전선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보병들은 도로 북쪽의 우브레지를 점령하는 동안 헝가리군의 포격을 받았다. 3월 24일 23시에 니즈나 리브니차의 헝가리군의 주요 전선에 대한 총공격을 시작했다. 하지만 헝가리군의 반격은 효과적이었다. 슬로바키아군은 개활지를 가로질러 아크나 강 1km 지점까지 진격한 후, 헝가리군의 야포와 대전차포의 포격을 받기 시작했다. 슬로바키아군의 장갑차 중 1대가 엔진을 피격당해 후퇴해야했고, 다른 한대는 37mm 대전차포에 의해 도로 한가운데에서 격파되었다. 새로운 장교들을 처음 만나 작전을 한 슬로바키아군의 신병들은 공황상태에 빠지며 후퇴했고 남은 장갑차들은 기관총으로 보병을 엄호하며 헝가리군의 추격을 차단했다.

3월 24일의 늦은 시간에는 마르틴에서 출발한 OA vz.30 장갑차 4대와 LT vz. 35 경전차 3대, 37mm 대전차포 1문이 미할로브체에 도착하여 혼란을 발견했다. 그 다음날인 3월 25일에 이들은 동쪽으로 진격하여 보병들을 안정시키고 헝가리군이 점령하지 못한 우브레지-비슈네 레비슈티아 방어선을 재점령했다.

이때쯤에 슬로바키아군의 제41보병연대와 제202산악포병연대 일부가 미할로브체에 도착했고, 슬로바키아군은 새로 도착한 전차와 장갑차를 선두로 정오에 대규모 반격 작전을 준비했으나 독일의 압력에 의해 작전 시작 전에 휴전이 성립되었다.

3월 26일에는 제202산악포병연대의 나머지 병력과 제7보병연대 및 제17보병연대의 일부가 도착했다. 이때 미할로브체 안팎에는 1만 5천여명의 슬로바키아군이 있었지만 이런 증원군에도 불구하고 두번째 반격 작전은 첫번째 작전보다 성공 가능성이 거의 없었다. 헝가리군은 수적으로도 우세였고 조직력도 잘 갖추었으며 참호도 잘 되어 있었을 뿐더러 슬로바키아의 유일한 이점이었던 경전차 3대를 효과적으로 제압할 수 있는 37mm 대전차포도 충분히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5. 공중전

5.1. 슬로바키아 공군과 헝가리 왕립 공군의 상황

슬로바키아 공군은 체코슬로바키아 분단 이후, 구 체코슬로바키아 공군의 6개 연대도 분할되었다. 슬로바키아 내의 핵심 항공대는 제3항공연대였고, 이 연대는 슬로바키아군으로 편입된다. 하지만 장교나 숙련된 조종사, 항공 전문가들은 모두 체코인이었다.

3월 14일 이전에 슬로바키아 공군은 1,400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분할 이후에는 824명만이 남아있었다.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에서 돌아온 승무원들은 신생 슬로바키아 공군을 천천히 강화시켰다. 전술적 상황은 동부의 스피슈스카 노바 베스 공항이 가장 위급했다. 공항에는 전투기 조종사가 9명 뿐이었고 본부에는 장교가 3명밖에 없었다. 또한 헝가리군의 공격이 증가함에 따라 상황은 점점 더 좋지 않아졌다. 당시 조종사들은 슬로바키아의 다른 지역에서 왔고 함께 훈련 할 시간이 없었기 때문에 준비되어있던 헝가리 공군에 비해 불리한 상황이었다.

당시 가장 뛰어났던 슬로바키아의 전투기는 체코의 아비아B-534였다.

제3항공연대의 다른 부대들은 니트라, 질리나같은 서부 도시에 집중되어 있었다. 게다가 조종사 부족으로 작전 효율성이 크게 저하되기도 했다. 피에슈타니와 질리나의 일부 조종사들은 스피슈스카 노바 베스 지원에 투입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슬로바키아 공군은 전투중인 지상군을 지원하고 헝가리군의 보급로를 공격해야 했기 때문에 저공 비행을 해야 했었고, 이는 헝가리 포병이나 심지어 지상군에게 좋은 표적이 되었다.

헝가리 왕립 공군은 전투 지역인 슬로바키아 동부에 항공 자산을 집중시켰다.

헝가리 왕립 공군에서 가장 뛰어난 전투기는 피아트CR.32였다. 슬로바키아 공군의 B-534보다 엔진 출력이 약했지만 조종이 더 쉬웠다는 장점이 있었다. 기관총 성능도 더 좋았다고 한다.

5.2. 전투

3월 15일, 헝가리 공군은 슬로바키아 동부에 대한 정찰을 시작했다. 다음낭, 헝가리 공군의 비행중대는 슬로바키아 국경 인근의 비행장으로 이동하고 경계태세를 유지했다.

3월 23일 아침, 스피슈스카 노바 베스에서 작전을 수행하던 슬로바키아군 정찰대 2개가 적을 수색했지만, 아직 지상군과 조율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었다. 그날 늦게 슬로바키아군의 사령부는 모든 지역에 대한 전면적인 공중 정찰 명령을 내렸다. 정찰대는 슬로바키아 영토 내에서 헝가리군의 광범위한 이동을 포착했다. 13시에, 레토프 Š-328[12] 정찰기 3기가 울리치, 우블라 같은 국경 인근의 적을 공격하기 위해 출격했으나, 안개로 인해 피아식별이 어려워졌고 임무는 실패했다. 나중에 밝혀진 바에 따르면, 이들은 우블라에서 콜로니차로 이동중이던 헝가리군이었다고 한다.

그 후 B-534 3기로 이루어진 2개의 전투기 편대가 임무를 위해 파견되었다. 첫 번째 편대는 울리치 기차역에서 헝가리군을 발견하고 공격해 일부 포병장비와 기타 물자를 파괴했다. 두 번째 편대 역시 울리치로 파견되어 헝가리군의 차량 몇대를 파괴하고 더 많은 장비를 손상시켰지만 이 과정에서 전투기 1기가 격추되어 조종사인 얀 스베틀리크가 사망하였다. 또 다른 슬로바키아 공군 편대가 이 지역으로 파견되어 슬로바키아 지상군을 지원했지만 헝가리군의 기관총 사격을 받은 또 다른 전투기 1기가 격추되었다.[13] 다른 두대의 B-534가 헝가리군을 공격했고 심하게 손상된채로 스피슈스카의 기지로 돌아왔다고 한다. 3월 23일의 마지막 슬로바키아 공군의 임무는 Š-328 1기가 소브란체 근처의 다수의 헝가리군의 전차와 차량을 파괴하는 것이었지만, 조종사가 부상을 입어 세크초비체 인근에 착륙해야만 했다. 이날, 슬로바키아 공군 조종사들은 헝가리 공군을 만나지 않았다.

첫날의 슬로바키아 공군은 전투기 2기가 격추되고 4대가 손상을 입었으며 조종사 2명이 사망했다. 이 공격은 헝가리군의 진격을 늦추고 상당한 피해를 입혔다. 하지만 다음날, 상황은 역변하고 만다.

3월 24일 아침, 3기의 B-534로 구성된 1개 편대가 비슈네 레메티에서 슬로바키아군을 지원하기 위해 이륙했다. 하지만 해당 지역에 도착하자 헝가리 공군의 CR.32 전투기 3기의 기습공격을 받았고, B-534 전투기 2기가 격추되고 조종사 1명이 사망한다. 오전 7시에 피에슈타니에서 온 B534 전투기 6기가 스피슈스카의 공항에 도착했다. 그중 3기는 소브란체 인근의 슬로바키아군을 지원하기 위해 이륙했지만, 2기가 격추되었고 조종사 1명이 포로로 잡히게 된다.

미할로브체 근처에서 헝가리 공군의 전투기 9기가 헝가리 지상군을 폭격하던 레토프 Š-328 3기를 엄호하던 B-534 3기를 격추했다. Š-328 1기도 격추되었고 1기는 기계적인 문제로 착륙해야했다. 6기의 비행 편대 중 스피슈스카 기지로 복귀한 전투기는 단 1기뿐이었다.

5.2.1. 스피슈스카 노바 베스 폭격

같은 날인 3월 24일, 헝가리 왕립 공군은 슬로바키아 공군의 항공 작전의 거점이던 스피슈스카 노바 베스를 폭격했다. 폭격기 36기는 임무에 함께 배정된 전투기 27기의 지원을 받았지만, 부실한 편성, 잘못된 항법, 기계적인 문제, 그리고 막판에 작전 변경으로 인해 실제로 폭격에 참여한 폭격기는 약 10기에 불과했다.

슬로바키아에는 조기 경보 시스템이 없었기 때문에 헝가리 공군은 비행장 방어시설이 약하다고 판단했다.[14] 헝가리의 폭격기가 투하한 폭탄 대부분은 공군 기지를 비껴갔지만 몇몇은 비행장, 격납고, 벽돌 공장, 그리고 병영지에 떨어졌다. 많은 폭탄이 진흙에 떨어져 폭발하지 않았다.폭격기는 6기의 항공기와 건물 여러 채를 파괴했지만 비행장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운영되었기 때문에 임무는 완전히 성공적이지 못했다.

3월 27일에는 폭격으로 인해 13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로인해 슬로바키아 내에서 반헝가리 감정이 강해졌다.

전쟁 중에 발생한 헝가리 왕립 공군이 입은 유일한 피해는 헝가리군 포병의 오발로 발생한 CR.32 전투기 1기가 격추 된 것 뿐이었다.

스피슈스카 폭격 이후, 슬로바키아의 얀 암브루스 소령은 3월 25일에 슈스피스카에 도착해 부다페스트에 대한 보복 공습을 준비했지만, 그전에 전쟁이 끝났다.

6. 피해

이 전쟁으로 인해 양측 모두 136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슬로바키아는 22명의 군인이 전사하였고 36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 게다가 포로도 671명이나 발생하였지만 헝가리는 8명의 군인과 15명의 민간인이 사망한 것 뿐, 포로는 나오지 않았다.

7. 기타

슬로바키아는 독일과 보호 조약을 체결한 상태였지만, 독일은 전쟁이 끝날때까지 지원을 거부하며 조약을 위반했다. 또한 독일은 4월 초에 있던 슬로바키아-헝가리 협상에서도 슬로바키아를 지원해 주지 않았다. 이로인해 슬로바키아는 슬로바키아 동부의 일부[15]를 헝가리에게 할양해줄 수 밖에 없었다.

헝가리는 당시에 경전차 4대와 장갑차 1대를 노획했다고 발표했지만, 슬로바키아의 경전차는 실제로 전투에 투입되지 않았다. 반면 헝가리가 LT vz. 35 경전차 1대와 OV vz. 27 장갑차 1대가 노획한 것은 확실했다. 이는 선전과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에 노획한 기록이 뒤섞여 버리며 일어난 일이다.

슬로바키아군의 사망자는 22명으로 기록되며 모두 이름이 기재되어있다. 헝가리는 3월 25일에 사망자 8명과 부상자 30명을 발표했지만, 이틀 뒤인 3월 27일에는 사망자 23명과 부상자 55명을 발표했다. 이것은 헝가리가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발생한 피해를 합친 수치로 추정된다. 또한 헝가리는 슬로바키아인 360명과 체코인 311명을 포로로 잡고 있다고 보고했는데, 슬로바키아인들 중 상당수는 침공 초기에 막사에서 잠자던 중 기습 공격을 받았다고 알려진 두 중대의 소속으로 추정된다. 체코인들은 카르파티아-우크라이나에서 탈출한 병사들이었다.

슬로바키아는 헝가리와 전쟁을 겪었음에도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같은 편으로 참여했다.

이 전쟁 이후 1942년 슬로바키아가 크로아티아 독립국, 루마니아와 함께 크로아티아-루마니아-슬로바키아 우호선언을 체결하게 된다. 이 선언은 헝가리의 추가 확장에 대항하는 동맹이었다.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파일:헝가리 국장.svg 헝가리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477050> 하람 전투
,1128,
시르미온 전투
,1167,
모히 전투
,1241,
제2차 코소보 전투
,1448,
바이아 전투
,1467,
파일:몰다비아 국기.svg
몰다비아 공국
모하치 전투
,1526,
1848년 헝가리 혁명
,1848,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헝가리-슬로바키아 전쟁
,1939,
제2차 세계 대전
,1940 ~ 1945,
유고슬라비아 전역
,1941 ~ 1945,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왕국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파일:150px-Chetniks_Flag.svg.png 체트니크
독소전쟁
,1941 ~ 1945,
1956년 헝가리 혁명
,1956,
다뉴브 작전
,1968,
걸프 전쟁
,1990 ~ 1991,
}}}}}}}}}

작은 전쟁의 헝가리 왕국군 기갑차량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슬로바키아 -헝가리 전쟁(1939.3.23~1939.3.31)
헝가리 왕국군의 기갑차량
전차 탱켓 <colbgcolor=#fefefe,#191919>35M
경전차 피아트 3000B
노획전차 LT vz. 34, LT-35, OV vz. 27
장갑차 크로슬리 29M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작은 전쟁의 슬로바키아군 기갑차량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슬로바키아-헝가리 전쟁(1939.3.23~1939.3.31)
슬로바키아군 기갑차량
장갑차 <colbgcolor=#ffffff,#393b42>OV vz. 27, OA vz. 30, OA vz. 34
전차 LT vz. 34, LT-35
※ 윗첨자O: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1] 두 언어의 뜻 모두 작은 전쟁 이란 뜻이다[2] 빨간색(2번)은 제1차 빈 중재로 인해 헝가리에게 할양된 영토[3] 슬로바키아인 360명, 체코인 311명[4] 1921년에 창설되었다가 해체 후 1938년에 재창설된 극우 민족주의 민병대이다. 트리아농 조약 이후 영토가 줄어드는 것을 막기 위해 부르겐란트에서 봉기를 일으키기도 했다.[5] 리벤트로프의 말에 따르면, 헝가리는 국경에서 더 많은 영토를 차지하려고 준비하고 있었다고 한다.[6] 이때, 슬로바키아는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고...[일부] [일부] [일부] [일부] [일부] [12] Š-28의 개조형[13] 이 전투기의 조종사는 착륙에 성공했다고 하나, 얼마안가 사망했다고 한다. 전투기는 슬로바키아군이 파괴했다.[14] 실제로 대공포를 운용할 인원과 탄약이 부족했다[15] 1,697km2, 인구 69,930명, 78개 지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