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20:13:47

스플래툰 3/무기/스트링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스플래툰 3/무기
파일:Splatoon3nonbg.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EDED3D><colcolor=#1a473d,#f9f7da> 파일:sp3_영역.png
게임 모드
랭크 룰(카오폴리스 매치) · 페스티벌 · 이벤트 매치 ·
새먼 런 NEXT WAVE(연어) · 히어로 모드

파일:스플래툰3_슈터_스플랫슈터2.png
무기
슈터 · 롤러 · 차저 · 슬로셔
스피너 · 머누버 · 셸터
블래스터 · · 스트링거 · 와이퍼
파일:배트로징어.webp
기어
기어 파워 · 액세서리 · · 신발
기타 콘텐츠
(발매 전 정보)
스테이지 · 아카이브 · 배지
업데이트 내역 · 익스팬션 패스
파일:sp3_사이드오더로고.png 컬러 칩 · 팔레트 · 해킹 · 스켈레톤
}}}}}}}}} ||
← 스플래툰 2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DED3D><tablebgcolor=#EDED3D> 파일:Splatoon3nonbg.png스플래툰 3의
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메인 웨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8e74ec>파일:스플래툰3_슈터 아이콘.png 슈터 <colbgcolor=#E6E6FA,#2e3035><colcolor=black,white>새싹 슈터단풍 · 스플랫 슈터히어로 오더 컬래버 옥타 · 프라임 슈터컬래버 · 프로모델러RG · N-ZAP89 · 볼드 마커네오 · 샤프 마커네오 · .52 갤런데코 · 96 갤런데코 · L3 릴 건D · H3 릴 건D · 제트 스위퍼커스텀 · 보틀 가이저포일 · 스페이스 슈터컬래버
파일:스플래툰3_롤러 아이콘.png 롤러 스플랫 롤러오더 컬래버 · 카본 롤러데코 · 다이너모 롤러골드 · 베리어블 롤러포일 · 와이드 롤러컬래버
파일:스플래툰3_차저 아이콘.png 차저 스플랫 차저오더 컬래버 · 스플랫 스코프컬래버 · 스퀵 클린αβ · 리터 4K커스텀 · 4K 스코프커스텀 · 14식 대나무 총 · 소이 튜버커스텀 · R-PEN5B
파일:스플래툰3_슬로셔 아이콘.png 슬로셔 버킷 슬로셔오더 데코 · 물통 · 스크루 슬로셔네오 · 오버플로셔데코 · 익스플로셔커스텀 · 몹 링D
파일:스플래툰3_스피너 아이콘.png 스피너 배럴 스피너오더 데코 · 스플랫 스피너컬래버 · 하이드런트커스텀 · 노틸러스 4779 · 쿠겔 슈라이버 · 이그재미너
파일:스플래툰3_머누버 아이콘.png 머누버 스플랫 머누버오더 컬래버 · 듀얼 스위퍼커스텀 · 스퍼터리 · 쿼드 호퍼화이트 · 켈빈 525데코 · 소방 FF커스텀
파일:스플래툰3_셸터 아이콘.png 셸터 파라 셸터오더 소렐라 · 캠핑 셸터소렐라 · 스파이 가젯소렐라 · 24식 도돌이 우산
파일:스플래툰3_블래스터 아이콘.png 블래스터 핫 블래스터커스텀 · 롱 블래스터커스텀 · 래피드 블래스터데코 · R 블래스터 엘리트데코 · 노바 블래스터오더 네오 · 크래시 블래스터네오 · S-BLAST91
파일:스플래툰3_붓 아이콘.png 붓 호쿠사이오더 · 파블로 · 빈센트
파일:스플래툰3_스트링거 아이콘.png 스트링거 트라이 스트링거오더 컬래버 · LACT-450데코· 플루이드 V커스텀
파일:스플래툰3_와이퍼 아이콘.png 와이퍼 드라이브 와이퍼데코 · 사무 와이퍼오더 · 덴탈 와이퍼잉크
}}}}}}}}}||
{{{#!wiki style="margin: -15px -10px"<colbgcolor=#8e74ec>파일:sp3_스플래시 밤.png 서브 웨펀 <colbgcolor=#E6E6FA,#2e3035><colcolor=black,white>스플래시 밤 · 빨판 밤 · 퀵 밤 · 스프링클러 · 스플래시 실드 · 탄산 밤 · 컬링 밤 · 로봇 밤 · 점프 비컨 · 포인트 센서 · 트랩 · 포이즌 미스트 · 라인 마커 · 토피도
파일:스플래툰3_스페셜_멀티미사일1.png 스페셜 웨펀 울트라 샷 · 그레이트 배리어 · 쇼크 원더 · 멀티 미사일 · 먹구름 · 나이스옥 · 홉 소나 · 흡입기 · 메가폰 레이저 5.1ch · 제트 팩 · 울트라 스탬프 · 크랩 탱크 · 샤크 라이드 · 트리플 토네이도 · 에너지 스탠드 · 디코이 캐넌 · 로열 크라켄 · 스플래터컬러 스크린 · 울트라 착지 · 슈퍼 착지
}}}||
← 스플래툰 2의 무기

1. 개요2. 설명3. 트라이 스트링거 시리즈
3.1. 트라이 스트링거
3.1.1. 오더 스트링거 레플리카
3.2. 트라이 스트링거 컬래버
4. LACT-450 시리즈
4.1. LACT-4504.2. LACT-450 데코
5. 플루이드 V 시리즈
5.1. 플루이드 V5.2. 커스텀 플루이드 V

[clearfix]

1. 개요

파일:스플래툰3_스트링거 아이콘.png
스트링거
ストリンガー / Stringer
파일:스플래툰3_스트링거잉클링.jpg

스플래툰 3의 무기 중 스트링거군을 설명하는 문서.

2. 설명

2024 봄 Fresh Season 기준으로 총 2종의 무기가 있으며, 컬래버 및 레플리카까지 포함 시 총 5종이다.[1]

본작에서 처음 등장하는 활의 형태를 한 무기. 잘 보면 화살을 발사하는 것이 아니라, 시위의 장력으로 펌프를 밀어내 잉크를 발사하는 구조다. 기본적으로 차저와 유사하게 ZR을 길게 눌러 차징한 뒤 뻗어나가는 잉크를 쏘아 공격하는 방식이며 차저와 마찬가지로 충전 중에는 렌즈 플레어가 발생한다.

차저와 비슷해 보이지만 운영 방식은 다르다. 차저는 원거리에서 확실히 킬을 따내 아군의 수적 우위를 점하는 형식으로 운영하지만, 스트링거는 잉크 3줄기 동시 발사, 긴 사정거리와 곡사를 이용해 아군의 뒤에서 화력을 지원하거나 고저차 지형 너머에 있는 적을 견제하는 방식이 주가 된다. 또한 차지가 사거리와 집탄율만 증가시킬 뿐 발당 피해량은 반차지와 풀차지 둘 다 동일하므로 반차지샷 난사로 중거리를 견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저처럼 운용할 수도 있지만, 말 그대로 운용만 가능할 뿐 거의 권장되지 않는다. 잉크 줄기를 전부 맞히지 못하면 원 샷 킬이 안나서 결정력이 차저보다 확연히 낮은데다 관통샷도 안 되고 차지 중 무기가 발광해서 눈에 확 띄는 것도 똑같아서 차저처럼 운용하면 차저보다 나은 점이 거의 없다. 차지해도 전탄명중이 어렵기 때문에 스트링거로 킬을 하고 싶다 한다면 차저를 쓰는게 더 좋다. 차저는 저격소총 컨셉으로 만들어진 무기라 스트링거보다 사거리도 더 길다.

또한 스트링거의 경우 난전 중 근거리로 들어온 적을 처리하기 쉽지 않은데, 집탄률이 애매해 근접한 적에겐 2발이나 1발만 맞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스트링거가 무기로서의 이점을 살리려면 반드시 중거리를 유지하며 전투해야 하고, 상대하는 쪽에서는 무조건 근접하면 유리해지므로 근접 깡패 무기들과 함께 다니며 빈약한 근접 대응력을 커버해야만 한다. 새싹 슈터를 든 초보라도 근접하면 스트링거 유저는 그 초보에게 죽을 수 있다.

스플랫 시리즈가 없는 무기군이지만 표준 무기는 트라이 스트링거로 추정된다. 히어로 모드에서 스트링거를 사용하는 스테이지는 전부 트라이 스트링거를 사용하며,[2] 사이드 오더 보상으로 받을 수 있는 표준 무기의 색놀이 버전도 트라이 스트링거로 지정되어 있다.

스포너에서는 스포너가 비스듬하게 떠있으며 사용자는 쏘려고 준비하는 포즈를 취하며, 승리시 본작의 기본 포즈 기준으로 뛰어오른뒤 3번쏘고 착지후 다시 한번 쏠 준비를 한다.[3]
  • 배리에이션이나 신규 메인 웨펀 추가 시 틀에 괄호 제거 후 이름과 파일 명, 정보를 넣어주세요.
(이름) (일칭) / (영칭)
{{{#!wiki style="margin: -15px -10px" width=80% 서브 웨펀 스페셜 웨펀
해금 레벨 스페셜 게이지
(해금레벨) (게이지포인트) }}}

3. 트라이 스트링거 시리즈

파일:스플래툰3_스트링거_트라이스트링거.jpg
<rowcolor=white> 사거리 충전속도 기동성 무게
88 40 40 보통

최초 공개 트레일러에서 3호가 들고있는 모습으로 처음 모습을 비췄다. 발사 시 세 갈래의 잉크를 발사하며, 지상에서는 활을 가로로 들고 잉크를 쏘고, 공중에서는 세로로 들고 잉크를 쏜다. 노차지 샷은 세 갈래의 잉크를 발사하며 피해량은 발당 30이다. 칠 성능이 우수한 편이지만 피해량은 좋지 못하다. 최대 두 바퀴까지 차징되며, 차저처럼 조준선이 표시되는건 아니지만 발광은 하니 주의. 1바퀴 이상 차징하면 잉크를 급속 냉각시켜 발사하고, 지면에 닿으면 잠시 뒤 폭발한다. 대미지는 발당 35[4], 1바퀴 이상 충전시 생성되는 냉각 폭발탄은 발당 30. 2바퀴 충전해도 피해량이 올라가지 않지만, 대신 탄이 더 모여서 발사되는게 특징.

노차지 샷은 칠 성능이 우수한 편이지만 DPS는 형편없다. 1차지 샷부터 나가는 냉각 폭발탄은 곡사가 가능하고 지연 폭발로 적을 제압하는 능력이 뛰어나지만 칠 능력은 부족하다. 탄이 워낙 퍼져나가는 관계로 1히트 킬을 하려면 2차지 샷 후 세로 쏘기로 맞춰야 하지만 범위가 좁아서 적극적으로 노리긴 힘들다. 이렇듯 단독으론 킬 결정력이 약해 아군을 지원하는 플레이가 주가 되는 무기이다.

노차지 / 1차지 / 2차지의 특성이 모두 다르므로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기본인 고난이도 무기이다. 칠 / 보조 / 저격이 모두 가능하지만 한 가지 방식으로만 운용하면 다른 무기의 하위 호환 신세를 면치 못하니, 전황을 읽고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새먼 런에서는 1차지 이후에도 피해량이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2바퀴 충전 후에는 발당 피해량이 150이 되며, 따라서 세 발을 모두 맞추면 450이라는 높은 피해량을 줄 수 있다. 박쥐를 공격 2번 만에 처리할 수 있고, 악명 높은 철 구슬도 풀 차지 샷 3번이면 잡을 수 있을 정도.

정식 발매 때는 삭제되었지만, 닌텐도 스위치 OLED 트레일러에선 차지 킵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사이드 오더에서 충전 유지 컬러 칩을 착용하면 차지 킵 기능을 쓸 수 있다.

"개발자에게 물어보았습니다."에 의하면, 모티브는 낚싯대를 무기 처럼 만든 것이라 한다. 이 때문에 낚싯대의 처럼 생긴 부분이 있다.

▲ 2.0.0 업데이트로 낙하하는 비말에 의한 칠 면적이 증가했으며, 멀리 쏠 때 중간을 칠해주는 비말의 수가 증가해 칠 성능이 개선되었다.
S▲ 4.0.0 업데이트로 새먼런에서 1바퀴 이상 충전시 300 이상의 데미지를 뽑아낼 수 있도록 약간 충전시 데미지를 상향 조정하였다. 기존 2바퀴 풀차징 데미지는 450으로 동일하다.
▲ 4.1.0 업데이트로 탄 폭발 피해가 28에서 30으로 증가했으며, 충전 중 및 충전 완료 시 이동 속도가 약 13% 증가했다.
▲ 8.0.0 업데이트로 낙하하는 비말에 의한 칠 면적이 증가했으며, 비말의 배열 방식이 조정되어 칠이 일직선으로 연결되기 쉬워졌다.

3.1. 트라이 스트링거

파일:스플래툰3_스트링거_트라이스트링거2.png
트라이 스트링거 トライストリンガー / Tri-Stringer
{{{#!wiki style="margin: -15px -10px" 파일:sp3_트라이 스트링거.png 서브 웨펀 스페셜 웨펀
||<tablewidth=100%><bgcolor=#E6E6FA,#63638c> 파일:sp3_포이즌 미스트.png
포이즌 미스트
||
해금 레벨 스페셜 게이지
4 180 }}}
표준 트라이 스트링거.

스페셜은 트라이 스트링거의 낮은 킬 결정력을 보완해준다. 서브는 적의 접근을 차단하는 용도로 미리 뿌려두는 것이 좋다. 서브와 스페셜 모두 칠을 전혀 해주지 않고 단독으로 제 성능이 나오지 않는 무장이지만, 적의 접근을 차단하는 능력이 우수해 접근하는 적에게 약한 스트링거에게는 궁합이 괜찮은 편.

▲ 3.0.0 업데이트로 스페셜 포인트가 190 > 180으로 변경되었다.

3.1.1. 오더 스트링거 레플리카

파일:sp3_오더 스트링거 레플리카.webp
오더 스트링거 레플리카 オーダーストリンガー レプリカ / Order Stringer Replica
{{{#!wiki style="margin: -15px -10px" 파일:sp3_오더 스트링거.png 서브 웨펀 스페셜 웨펀
||<tablewidth=100%><bgcolor=#E6E6FA,#63638c> 파일:sp3_포이즌 미스트.png
포이즌 미스트
||
해금 조건 스페셜 게이지
사이드 오더 클리어 180 }}}
오더 스트링거로 사이드 오더 최상층을 클리어 시 얻을 수 있다. 성능은 트라이 스트링거와 동일하다.

발사음이 트라이 스트링거와 약간 다르다.

3.2. 트라이 스트링거 컬래버

파일:트라이 스트링거 컬래버 아이콘.webp
트라이 스트링거 컬래버 トライストリンガーコラボ / Inkline Tri-Stringer
{{{#!wiki style="margin: -15px -10px" 파일:sp3_트라이 스트링거 컬래버.png 서브 웨펀 스페셜 웨펀
||<tablewidth=100%><bgcolor=#E6E6FA,#63638c> 파일:sp3_스프링클러.png
스프링클러
||
해금 레벨 스페셜 게이지
11 190 }}}
2023 가을 Drizzle Season에 추가된 배리에이션으로, 브랜드 '잉크라인'과 컬래버레이션 한 제품이다.

순정과는 다르게 서브와 스페셜 모두 칠과 영역 장악에 특화되어 있다. 사거리가 닿는 곳에 스프링클러를 던져넣어 적군을 유도하거나, 디코이캐넌으로 순간적인 교란과 영역장악, 아군 진입 보조가 가능하다. 킬을 중시한다면 순정을, 전체적인 팀원 보조를 중시한다면 콜라보가 추천되는 편. 출시 이후에는 특히 랭크 에어리어에서 순정보다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4. LACT-450 시리즈

<rowcolor=white> 사거리 충전속도 기동성 무게
70 75 60 가벼움

칠에 특화된 경량 스트링거. 사거리가 짧고 잉크 착탄 폭발이 없는 대신 발당 공격력과 연사력이 높으며, 스퀵 클린처럼 공중 차지 패널티가 없어서 공중에서도 빠른 차지가 가능하다. 또한 차저들처럼 차지 킵 기능이 있다. 지속 시간은 소이튜버를 제외한 다른 차저들처럼 1.25초. 다만 충전 유지 후딜이 풀차지 속도와 별 다를 바 없어 점프샷이나 기습이 아니라면 사용하기 난해하다.

LACT, LACTO는 유산균을 의미하며 활의 앞부분을 보면 마시는 요구르트 정확히는 야쿠르트를 모티브로 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유저들 사이에서도 이름을 그대로 '락트 활', '락토 활'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요구르트 활', '야쿠르트 활'로도 불리운다.

칠 성능이 프로모델러에 버금 갈 정도로 굉장히 좋다. 정신나간 노차지 연사속도와 엄청나게 넓은 좌우 칠 반경 덕분에 무지성 노차지 샷만 남발해도 순식간에 전방 구역을 장악할 수 있다. 작정하고 칠만 한다면 영역 배틀에서 1500p는 보장될 정도로 엄청나다.[5] 다만 5.0 업데이트로 노차지 샷의 확산각이 좁아지는 너프를 먹어서 초기에 비해 칠 성능이 약간 떨어졌다.

발당 피해량은 노차지 30.0, 한바퀴부터 45.0.[6] 사거리는 노차지 연습장 기준 2칸, 풀차지시 3칸까지 증가.

화력 지원 위주의 트라이 스트링거와는 다르게 중거리에서 공격적인 운영을 할 것이 요구된다. 잉크 착탄 폭발이 없기 때문에 무조건 잉크 줄기를 적에게 맞춰야 하는지라 운영 난이도는 상당히 어려운 편. 차저와 비교하자면 차지 킵이 달린 대나무 총 같은 느낌으로 운영해야 한다. 풀차지 3발을 전부 맞추면 피해량 총합 135으로 원샷킬이 가능하지만, 실전에서는 좀처럼 풀히트가 어렵기 때문에 보통 풀차지샷을 한방 먹인 다음 노차지샷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적에게 근거리를 잡혔을 때 패닉샷으로 노차지샷을 연타하는 것은 DPS가 절망적이며, 일단 자리를 벗어나 위기를 모면한 다음 차지샷으로 대응하는 것이 좋다. 다만 적과 완전히 밀착해 영거리 사격이 가능하다면 노차지 연타로도 DPS가 급상승하므로 상황에 따라 노려보도록 하자.

에임 고수라면 풀차지 샷으로 적을 원샷원킬내며 다닐 수 있지만, 그정도 실력이 안된다면 반차지 샷을 익히는 것이 좋다. 풀차지 샷은 원샷킬이 가능하지만 투사체가 좁게 모이기 때문에 맞추기가 어렵고 빗나가면 다시 풀차지샷을 날리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반면 노차지 샷은 3갈래로 발사되지만 사거리가 짧고 피해량도 낮으며 확산각이 커 영거리 사격이 아닌 이상 한번에 투사체 다수를 맞추기 어렵다. 이 풀차지와 노차지의 단점을 보완하는 것이 반차지 샷으로, 완전히 차지가 되기 전 발사하여 산탄총처럼 활용하는 것인데 사거리도 어느정도 보장되고 탄이 좁혀지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일점사는 아니기에 명중률이 높아져 2샷킬이 잘 뜬다. 익숙해지면 노차지 - 반차지 - 풀차지를 상황에 맞춰 구사할 수 있게 된다.

3.1.0에서 충전에 따라 조준점에 더 잘 모이도록 조정되어 반차지샷으로 적극적으로 교전하는 소위 '킬 락토' 유저들이 생겨났다. 이후 5.0.0에서 확산각이 좁아지도록 조정되어 기존에 45 대미지가 들어가던 샷으로도 90 대미지가 들어가게 되어 킬 성능이 굉장히 높아졌다. 배리에이션 무기에 퀵밤을 받는다면 카본 롤러 데코처럼 퀵콤보를 넣을 수도 있는 위력.

8.0.0에서는 플루이드가 상당히 강력한 성능을 뽐내는데다 반차지 샷 운영은 사실상 LACT-450의 상위호환이 되는 바람에 안그래도 사용자가 적은 마당에 입지가 더 좁아졌다.[7] 해당 업데이트로 공중 차지속도가 지상과 같도록 상향한 것은 LACT-450의 장점인 기동성을 조금 더 특화시키려는 의도로 보인다.

새먼 런에서는 노차지에 발당 34, 1차지 이상이면 발당 70에 총합 피해량 210으로 보정된다. 트라이 스트링거에 비하면 화력이 절반 이하이지만 1차지에서도 풀차지와 화력이 같아지도록 상향되면서 DPS가 상당히 증가해 뛰어난 칠 능력과 더불어 평균 이상 정도의 성능은 발휘하게 되었다.

▲ 3.1.0 업데이트로 충전 정도에 따라 더 잘 조준점이 모이게 변경되었고, 충전 중 이동 속도가 약 20% 증가되었다.
S▲ 4.0.0 업데이트로 새먼런에서 1바퀴 이상 충전시 풀차징과 동일한 피해량인 210이 되게끔 피해량이 상향 조정되었다.
▼ 5.0.0 업데이트로 노차지샷의 확산각이 약 30% 좁아졌으며, 이로 인해 칠 능력이 상당히 감소했다.[8]
▲ 5.0.0 업데이트로 1단계 차지샷의 확산각이 약 29% 좁아졌으며, 이로 인해 조준 정확도가 증가했다.
▼ 7.0.0 업데이트로 1단계 충전까지의 잉크 소비량이 약 17% 증가했다.
▲ 8.0.0 업데이트로 공중에서도 지상과 같은 속도로 차징되도록 변경되었다.

4.1. LACT-450

파일:LACT-450icon.webp
LACT-450 LACT-450 / REEF-LUX 450
{{{#!wiki style="margin: -15px -10px" 파일:sp3_LACT-450.png 서브 웨펀 스페셜 웨펀
||<tablewidth=100%><bgcolor=#E6E6FA,#63638c> 파일:sp3_컬링 밤.png
컬링 밤
||
해금 레벨 스페셜 게이지
10 210 }}}
표준 LACT-450. 서브 웨펀은 컬링 밤. LACT-450 특유의 짧은 사거리를 어느정도 커버할 수 있으며 기습적인 적진 앞마당 칠을 위한 침투용 도구로 쓸 수도 있다. 마침 충전 유지 기능도 있겠다, 풀차지 원힛킬 무기이기도 하니 에임만 좀 받쳐준다면 상대 등 뒤를 노리는 암살 플레이도 충분히 가능하다.

무엇보다 이 무기의 진가는 스페셜 웨펀인 멀티 미사일. 무기의 칠 능력이 뛰어난 만큼 멀티 미사일을 스페셜 웨펀으로 지닌 무기들 중 가장 빠르게 스페셜 게이지를 채울 수 있기 때문에 영역 배틀 매치 종료 직전 발사해 막바지 칠을 하거나, 랭크 매치에서 발사해 오브젝트에서 상대팀을 치우는 등 다양한 활용도로 쓸 수 있다.

상술했듯이 칠 능력이 매우 뛰어나 영역 배틀에서 픽률이 높다. 출시 초기 공식 대회 스타트 대시 배에 출전한 대부분 팀이 1자루 씩 채용하여 홈 색칠 및 화력 지원 역할을 맡아 .52 갤런, 하이드런트 등과 함께 매우 높은 픽률을 보였다.

시즌 1에서는 특유의 엄청난 칠성능과 그로 인한 매우 빠른 스페셜 회전률로 인해 대표적인 멀티 미사일 스팸 무기로 악명을 떨쳤다. 전작의 네오 볼드 마커, N-ZAP 89 등을 계속 사용해왔던 멀티 미사일 스패밍 유저들과, 미사일에 계속 당해 분노한 유입 유저들이 너도나도 락토 활을 들고 미사일만 주구장창 쏴대기 시작한 현상이 일어난 것. 이로 인해 상당수의 락토 유저가 킬, 오브젝트 관리를 싹 다 무시하고 칠과 미사일 발사에만 집중한다든지, 트리컬러 배틀에서 수비팀은 물론 같은 공격팀까지 마구 공격하는 무지성 유저가 득실거리게 되는 상황이 일어났고, 이 때문에 스플래툰 3의 무기들 중 독보적일 정도로 유저들의 혐오도가 상당히 높았다.

이렇듯 멀티 미사일 스패밍에 압도적으로 많이 쓰인 무기였기 때문에, 멀티 미사일에 사용 후 쿨타임이 생기는 꽤나 큰 너프가 가해진 결정적인 빌미를 제공한 무기이기도 하다.

멀티 미사일 스패밍 운영이 정립된 무기인 만큼, 시즌 2에서 멀티 미사일 스페셜 자체의 성능 너프 이후로는 덩달아 평가가 급격하게 나빠졌다. 미사일 발사 회전률이 반토막나 예전만큼의 스패밍이 어려워진데다, 무기 자체의 애매한 킬능력(차지 킵의 긴 후딜, 스퀵클린과 달리 점프 중 충전 시 차지 속도가 느려짐, 스트링거 특유의 낮은 킬 결정력 등.)이 부각되었기 때문. 거기에 X매치에서 사용할 경우 최대한 비슷한 사거리 무기를 매칭시켜주는 X매치의 매칭 시스템 특성상 상대방 팀에 높은 확률로 켈빈 525나 보틀가이저 같은 고화력 중장거리 무기를 매칭시켜주어 아군 팀의 무기 밸런스를 망치는 전범 무기로 취급되는 점도 한 몫 했다. 대부분 기존의 스패밍 유저들은 단풍 슈터나 프로모델러 RG로 갈아탄 상황이다.

너프 이후로는 좀처럼 찾아보기 어려운 무기가 되었지만 페스티벌 트리컬러 배틀에서도 공격팀이 종종 사용하곤 하는데, 일단 멀티 미사일을 사용하면 상대 팀을 강제로 이동시킬 수 있기에 슈퍼 시그널을 기습적으로 확보하는 용도로 쓸 수 있다. 슈퍼 시그널을 지키고 있는 방어팀을 향해 멀티 미사일을 날리고, 컬링 밤으로 순식간에 파고들어 방어팀이 잠시 흩어진 사이 슈퍼 시그널을 확보하는 것.

미사일 너프 이후 3.1.0에서 킬 성능이 상향되자 반차지 샷을 이용해 적극적인 교전을 펼치는 유저들이 늘었다. 이후 5.0.0 업데이트로 반차지 샷의 확산각이 줄어드는 버프를 받았지만 노차지 샷의 확산각도 같이 줄어 칠 성능이 떨어졌기에 미사일 스패밍을 하는 식의 운영은 더 어려워졌다.

▼ 1.2.0 업데이트로 스페셜 웨펀 게이지가 200 > 210으로 변경되었다.

4.2. LACT-450 데코

파일:sp3_LACT-450 데코아이콘.webp
LACT-450 데코 LACT-450デコ / REEF-LUX 450 Deco
{{{#!wiki style="margin: -15px -10px" 파일:sp3_LACT-450 데코.png 서브 웨펀 스페셜 웨펀
||<tablewidth=100%><bgcolor=#E6E6FA,#63638c> 파일:sp3_스플래시 실드.png
스플래시 실드
||
해금 레벨 스페셜 게이지
12 200 }}}
2023 겨울 Chill Season에 추가되었다. 원본이 칠을 통한 스페셜로 아군 지원 및 컬링 밤을 통한 기습적인 적진 잠입 등 칠 성능에 집중한 반면 데코는 대면전에 안정성을 더해주는 서브인 스플래시 실드와 기습 및 도주에 유용한 스페셜인 샤크라이드를 받아 전투에 좀 더 치중된 구성이다. 같은 업데이트에서 스페셜인 샤크 라이드도 안정성 면에서 한번 더 상향을 받게 되면서 운용하기 더 편해졌다.

5. 플루이드 V 시리즈

파일:sp3_플루이드V.png
<rowcolor=white> 사거리 충전속도 기동성 무게
83 33 30 무거움

2024 여름 Sizzle Season에 추가되는 신규 스트링거. 신규 와이퍼 민트 덴탈 와이퍼와 함께 스플래툰 3 신규 무기군 2종이 업데이트 추가 무기의 마지막을 장식했다. 덴탈 와이퍼와 마찬가지로 신규 무기군인 스트링거 계열의 세번째 무기다. 무게는 무거움으로, 익스플로셔 이후 6년 만에 추가된 중량급 무기이기도 하다.

수동 펌프형 스트링거로, 한번에 3발을 발사하는 다른 스트링거와 다르게 5발의 투사체를 발사한다. 충전이 2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조준선이 충전 한바퀴째에 가운데로 집중되었다가 다시 분산되며, 한바퀴 충전 완료 시점부터 투사체가 트라이 스트링거처럼 착탄 후 폭발하는 폭발탄이 된다. 한바퀴 차지 전에는 발당 피해량이 24이며 전탄 히트 시 피해량은 120이다. 한바퀴부터 발당 피해량이 증가하기 시작해 풀차지시 발당 피해량은 35이며 전탄 히트 시 피해량은 175이다. 차지샷 폭발 피해는 최대 60, 최소 30이며 전탄 히트 시 피해량은 최대 150으로 보정된다. 사거리는 스트링거가 다 그렇듯 차지 상태에 따라 다른데 노차지는 2칸이며 풀차지시 4칸을 약간 넘어가 5칸을 약간 넘기는 트라이 스트링거보단 짧다. 스트링거가 다 그렇듯 칠 성능은 좋은 편이며 특이하게 뒤로도 어느정도 칠이 된다.

원래 스트링거 계열이 충전 단계에 따라 성능이 변하기 때문에 운영 난이도가 좀 있는 무기군인데, 플루이드는 충전 단계에 따른 변수가 더 많기 때문에 가장 난이도가 높다. 그저 사격 실력이 좋아야 하는 게 아니라 변화무쌍한 전장에서 적시 적소에 어떻게 사용할지 빠른 판단력과 경험으로 쌓은 노하우도 필요하다. 실력을 갈고 닦아 플루이드를 확실하게 익히면 칠, 전면전, 화력지원, 저격, 오브젝트 철거 전부 가능한 만능 무기가 되지만, 마지막 양심으로 무게가 무거워 이동속도가 느리다는 단점, 그리고 TTK이 느려 근거리를 잡히면 생존이 어렵다는 단점만큼은 근본적인 극복이 어렵다.
  • 노차지샷
    타 스트링거와 마찬가지로 칠 용도, 혹은 초근접전 용이다.
  • 한바퀴 충전 직전 발사
    이른바 반차지샷으로, 적과 근~중거리에서 대치하는 전면전 시 주로 사용된다. LACT-450의 반차지샷과 상당히 유사한 샷건 같은 효과를 자랑하며, 운 좋게 전탄을 맞춘다면 원샷원킬도 가능하지만 집중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없는 플루이드 특성 상 실전에서는 원샷원킬은 제한된 상황에서, 또는 운이 따라줘야 노릴만하지 실제로는 반샷이 잘 나므로 적당히 탄이 집결되었을 때를 노려 여러번 쏜다는 생각으로 전투에 임하는 것이 좋다.
    플루이드의 근~중거리전을 책임지는 기술이기에 이걸 잘 활용할 수 있느냐 여부에 따라 전투력이 크게 갈린다. 같은 플루이드끼리 1:1로 싸울 땐 이 반차지샷을 잘 쓰는 유저가 대부분 이긴다. 플루이드가 추가된 직후 수많은 유저가 신규 무기인 플루이드를 써본답시고 원거리 풀차지샷 곡사포만 쏴댔는데, 원래 비인기 무기인 LACT-450로 반차지샷을 터득한 소수 유저들은 이런 곡사포 플루이드 유저들을 압살하고 다녔다.
    다만 발사하기까지 어느정도 충전이 필요하다는 특성상 TTK은 느릴 수 밖에 없으므로 지나치게 앞서가거나 빠른 TTK를 가진 상대에게 근거리를 잡히는 건 피해야 한다.
  • 한바퀴 충전 직후 발사
    한바퀴를 충전하는 순간부터 발사체가 폭발탄으로 바뀌므로, 한바퀴 충전 직후 발사하면 폭발탄이 모여 발사된다. 사실상 플루이드 운영의 핵심으로, 사거리 내 지면 또는 표면에 적을 폭사시킬 수 있는 폭발물을 설치한다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된다. 직접 적의 발 밑에 쏴 폭사시키는 기본적인 용도부터 근접을 잡혔을 때 자신의 발 밑에 쏴 상대방의 추격을 떨치는 등 활용도는 무궁무진하며 사용자의 센스가 중요하다.
    다만 이 한바퀴를 채운 후 발사한 탄은 적에게 직격 시 기대 DPS가 한바퀴 직전 반차지샷보다 낮기 때문에[9] 이 폭발탄 모아쏘기를 할 땐 반드시 적 발치, 또는 바로 옆 벽면 등 폭발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곳을 노려야 한다.
  • 풀차지샷
    익스플로셔와 비슷한 느낌의 원거리 화력지원 포격이다. 탄이 넓게 퍼지는 특성때문에 킬을 노리긴 다소 어렵고 엄폐물이나 전위대 아군을 적 사이에 끼고 화력 투사를 한다는 느낌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난전에서 빛을 발하는데, 당하는 상대방은 안그래도 싸우느라 바쁜데 사방에 폭발탄이 우루루 떨어지면 굉장히 당혹해진다.
    이 풀차지 상태에서는 탄이 넓게 확산된다는 특성상 근거리를 잡히면 굉장히 취약해 지는데, 이럴 땐 적당히 코앞 지면에 발사해 상대방의 접근을 막는 벽을 생성한 후 뒤로 빠지거나 반차지샷 샷건으로 대응하면 된다. 다르게 말하자면, 폭발탄을 꽂을 수 없는 지면, 즉 철망 위는 오버플로셔와 마찬가지로 플루이드에게 아주 위험한 지형이므로 가능한 피하는 것이 좋다.
  • 풀차지샷 세로쏘기
    장거리 저격 용도로 사용된다. 한바퀴 충전 직후 발사와 마찬가지로 플루이드를 잘 쓰려면 필수적으로 익혀야 하는 요소. 타 스트링거들과 마찬가지로 플루이드 역시 점프 중 발사로 탄 분산을 가로에서 세로로 전환할 수 있는데, 탄의 낙차 각도에 따라 지면에 착탄할 무렵 밀집도가 달라진다는 점과, 풀차지 시 발휘할 수 있는 약 4.5칸 정도의 긴 사거리를 활용하여 사거리 최대거리에 있는 적에게 폭발탄을 다수 내리꽂아 폭살시키는 것이다.
    평지 기준에서 정면으로 세로쏘기를 하면 폭발탄이 일렬로 넓게 퍼지기 때문에 많아봤자 2개 정도만 맞고 만다. 15~30도 정도 상향 조준하면 폭발탄이 오밀조밀 모여져 적을 한방에 폭살시킬 수 있다.[10] 허나 이보다 더 쉬운 방법은 바로 고지대를 활용하는 것으로, 고지대에서는 정면으로 쏴도 낙차로 인해 폭발탄이 밀집하는 효과가 생긴다.[11]

새먼 런에서는 노차지샷은 발당 50, 반차지샷은 발당 80, 풀차지샷은 발당 120, 폭발탄은 발당 40으로 위력이 보정된다. 사실상 열화된 Mr. 베어 스트링거에 가까운 고화력 무기인데, 노차지샷 점사는 볼드마커와 비비는 dps를 자랑하며, 반차지샷은 덩치연어를 한 발에 골로 보내버린다. 풀차지샷은 조준점이 분산되고 시간이 걸리는 특성 상 별로 쓸 타이밍이 안나오지만, 준비 시간에 벽을 칠하거나, 세로쏘기로 철 구슬, 타워, 냄비 뚜껑을 잡는 등 멀리서 화력 지원을 할 때 유용하다.

의도한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오브젝트 공격력 업 기어 파워와 조합 시 크랩 탱크, 랭크 피시 배리어를 풀차지 한 방으로 박살낸다. 또한 오브젝트 공격력 업 기어를 끼지 않아도 기본 대미지 비율 자체가 굉장히 강력해서 그레이트 배리어, 홉 소나, 스플래시 실드 등의 오브젝트를 굉장하 잘 부수기 때문에 오브젝트를 봐주는게 좋다.

출시 직후 평가는 스트링거 중에선 가장 강하다는 평이다. 하지만 스트링거 무기군 자체가 약체를 벗어난 적이 없다 보니 어디까지나 그 중에서 강한 것이지 사기 무기로 보긴 어렵다.

5.1. 플루이드 V

파일:플루이드 V 아이콘.png
플루이드 V フルイドV / Wellstring V
{{{#!wiki style="margin: -15px -10px" 파일:sp3_플루이드 V.png 서브 웨펀 스페셜 웨펀
||<tablewidth=100%><bgcolor=#E6E6FA,#63638c> 파일:sp3_로봇 밤.png
로봇 밤
||
해금 레벨 스페셜 게이지
19 200 }}}
2024 여름 Sizzle Season에 추가되었다. 상당히 공격적인 구성으로 전면전에 좋은 선택이다.

5.2. 커스텀 플루이드 V

파일:커스텀 플루이드 V 아이콘.png
커스텀 플루이드 V フルイドVカスタム / Custom Wellstring V
{{{#!wiki style="margin: -15px -10px" 파일:sp3_커스텀 플루이드 V.png 서브 웨펀 스페셜 웨펀
||<tablewidth=100%><bgcolor=#E6E6FA,#63638c> 파일:sp3_포인트 센서.png
포인트 센서
||
해금 레벨 스페셜 게이지
24 200 }}}
2024 여름 Sizzle Season에 추가되었다. 본작에서 최초로 순정과 동시에 추가됐기 때문에 커뮤니티에서는 이번 시즌이 마지막 업데이트임을 암시하는 것이라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색적에 특화된 구성으로 원거리 포격용도로 쓰기에 좋은 무기다.


[1] 레플리카 제외 시 4종이다.[2] 락토를 쓸 수 있는 스테이지 자체가 없다.[3] 오더폴리스 시티 포즈를 선택하면 뒤돌아 있다가 스트링거를 돌리며 이쪽을 바라보고 양궁 선수와 비슷한 자세를 취한다. 오더폴리스 스퀘어 포즈를 선택하면 공중에 스트링거를 던지고 잡은 뒤 몇번 빙글빙글 돌고 등을 보인 상태로 이쪽을 보며 사선으로 활시위를 당긴다.[4] 이 풀차징을 맞아 105 피해량으로 적을 일격사시켰을 경우, H3 릴건처럼 일격사 성공 시의 효과음이 발생된다.[5] 이렇듯 칠 성능이 굉장히 좋기 때문에, 레귤러 매치 안에서 상대방과 합심하여 특정 지역에서만 칠을 반복해서 덮어씌워 서로의 칠 포인트를 매우 크게 불리는 이른바 "락트 담합(ラクト談合)"이 돈벌이 노가다 수단으로 성행하기도 했다.[6] .52 갤런이나 켈빈 525처럼 이름에 피해량이 들어 있는 무기들 중 하나다.[7] 다른 말로 하자면 LACT-450 반차지샷을 연마한 유저들은 굉장히 쉽게 플루이드로 갈아탈 수 있었다.[8] 확산각이 좁아지면 일반적으로는 정확도가 증가해 상향이지만, 락토의 노차지샷은 대부분 칠하는 용도였기에 하향으로 보는 편이다.[9] 플루이드의 탄은 한바퀴 충전 시점부터 점점 위력이 강해지지만, 한바퀴를 충전한 순간부터 조준선이 빠르게 확산되기 때문에 한번에 히트하는 탄 수가 적어진다.[10] 여기서 더 각도를 올리면 다시 탄착군이 퍼지는데다 사거리도 짧아진다.[11] 이 역시 발사하는 위치와 탄착점 간 높이 차이에 따라 밀집도가 달라지므로 적절히 하향/상향 조준하는 센스가 필요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8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8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