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3 08:52:06

스페이스프로(구.한국화이바)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wiki style="display:inline; font-size: 0px"
{{{#!html <a href="https://namu.wiki/acl/스페이스프로"><span style="font-size: 0.95rem; 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a>}}}}}}을 확인하세요.
스페이스프로
SPACEPRO
파일:SPACEPRO_시그니처 가로형.png
정식명칭 주식회사 스페이스프로
영문명칭 SPACEPRO CO.,LTD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일 1977년 7월 1일
업종명 유리섬유 및 광학용 유리 제조업
상장유무 비상장기업
대표이사 최용균
주소 밀양시 부북면 춘화로 85 (용지리)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모회사 뉴파워프라즈마
자회사 (주)태림
매출액 205,670,957,237원 (2023)
영업이익 7,067,984,097원 (2023)
순이익 3,294,058,023원 (2023)
자산총액 383,857,985,198원 (2023)
주요주주 (주)뉴파워프라즈마 (62.25%)
종업원수 597명(2023.12)
자본금 6,569,560,000원 (2023)
시장정보 비상장기업

1. 개요2. 회사 연혁3. 사업장4. 대표 생산 품목
4.1. 방산사업4.2. 파이프사업4.3. 철도차량사업

1. 개요

스페이스프로(구.한국화이바)는 복합소재 전문 기업으로 본사는 밀양시 춘화로85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요 사업부문으로 방위산업 및 우주항공산업, 유리 섬유관 철도차량 내·외장재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1]

2. 회사 연혁

  • 2024. 08 - '스페이스프로' 사명 변경
  • 2024. 04 - 대표이사 최용균 취임
  • 2024. 03 - 대표이사 이진광 퇴임
  • 2020. 12 - 대표이사 이진광 취임
  • 2019. 11 - 한국기계산업진흥회 2019 10대 기계기술선정- 고강도 탄소 섬유로 제작된 복합재 격자 구조체 설계 및 제작 기술
  • 2019. 07 - MLRS(230mm발사관) 개발사업착수
  • 2018. 04 - 연소관/노즐 열반응 측정 및 분석 과제 수행 (ADD, 2018~2019)
  • 2017. 10 - ISO 9001:2015 품질경영시스템 전환 인증 획득
  • 2015. 12 - 복합재 Lattice 구조체 기술개발 및 고온 단열재 히터용 탄소복합재 개발 민군과제 협약제결 (민군과제, 2015~2020)
  • 2014. 07 - 대전 설계기술센터 설립(구조, 해석)
  • 2013. 02 -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상 표창 수상
  • 2013. 02 - 과학기술진흥 나로호 발사성공 대통령 표창 수상
  • 2011. 10 - 국방품질경영상 국무총리상 수상
  • 2011. 07 - 서울특별시 환경대상 수상
  • 2010. 10 - Asia JEC(유럽복합재료연합회) 복합차체저상버스 혁신기술상 수상
  • 2010. 02 - 국가녹색기술대상 국토해양부장관상 수상
  • 2009. 10 - Asia 최초 JEC(유럽복합재료연합회) 공로표창 수상
  • 2007. 11 - 대통령 표창 수상
  • 2007. 10 - 한국화이바 복합재료 차량 4대역점과제 수행을 위한 함양 지방산업단지 기공식
  • 2006. 09 - 건설교통부 장관 표창 수상
  • 2006. 07 - 함양 파이프 공장 준공식
  • 2006. 07 - 일체형 복합체 철도차량 차체 제작기술 신기술 인증 (NET)최초 획득
  • 2004. 11 - 환경부 장관상 수상
  • 2003. 08 - (주)한국화이바 ISO 14001 인증 획득
  • 2002. 10 - (주)한국화이바 ISO 9001:2000 인증 획득
  • 2002. 09 - 우수 자본재 개발 "금탑 산업 훈장 수상"
  • 2000. 03 - 철도차량 내장재 BS, NF규격 최상등급 통과
  • 1999. 10 - (주)한국화이바 ISO 9002 인증 획득
  • 1997. 06 - 방사성 폐기물 유리화 처리기법 개발에 대한 "세종대왕상 수상"
  • 1992. 02 - 보잉사 항공 원자재 생산 획득
  • 1984. 04 - "동탑 산업 훈장" 수상(대통령)
  • 1980. 08 - 유리섬유 생산 용융로 개발
  • 1978. 05 - 군수업체 지정
  • 1972. 04 - (주)한국화이바 설립

3. 사업장

4. 대표 생산 품목

4.1. 방산사업

  • KSLV-2 누리호
    • 페이로드 페어링(PLF)
    • 2단 전방동체
    • 1단 전방동체
  • 차기군단 무인기
    • 기체구조
    • 착륙장치
    • 덕트
  • KUH
    • 조종석 버켓
  • KSS 장보고 Ⅱ
    • 복합재 Rudder
    • 배터리 케이스
    • H2 실린더 커버
    • PRS 소나돔
    • Hydro-Plane
  • 울산1급 복합재 하우징
    • 주안테나 레이돔
    • 피아식별 레이돔
    • 덮개
    • 복합재 하우징
  • 현궁
    • 복합재 하우징
    • 발사관
  • 천마
    • 천마 노즐 내열재
  • 핵심개발과제
    • 고온단열재 및 히터용 복합재(원통형 니들펀칭 카본 프리폼)
  • 복합재 격자구조 기술 개발
    • 복합재 콘형 격자(Lattice) 구조물

4.2. 파이프사업

  • 유리섬유 복합관
  • 유리섬유 복합맨홀
    • GRP 맨홀
    • 현장 타설식 맨홀
  • 유리섬유 펌프장 맨홀
    • 상부슬래브
  • 플랜트

4.3. 철도차량사업

  • 완성차량
    • 한빛 200 - 나쁜 선형에 대응하기 위한 틸팅열차. 하지만 나쁘던 철도 선형이 개선되어버려서 결국 시제차만 나오고 양산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 iMax - 유리카모메 차량을 만든 일본의 IHI사와 공동으로 개발한 고무차륜 경전철이다. K-AGT와 다른 점은 양측 안내 방식이 아니라 편측 안내 방식이라는 점이다.
  • 철도차량 부품 종류
    • 외장재
    • 운전실
    • 객실
    • 부속실
    • 화장실 모듈
  • Nomex Honeycomb Panel
  • AI. Honeycomb Panel
  • Cab Mask & Driver Console
  • Module

[1] 그 이외에도 차량 사업부가 존재했으나, 중국과 한국 기업에 두 차례 매각 이후 현재는 KGM커머셜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