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쿠알로돈(스콸로돈) Squalodon | |
| 학명 | Squalodon Grateloup, 1840 |
| 분류 |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 Animalia |
| 문 | 척삭동물문 Chordata |
| 강 | 포유강 Mammalia |
| 목 | 우제목 Artiodactyla |
| 과 | †스쿠알로돈과 Squalodontidae |
| 속 | †스쿠알로돈속 Squalodon |
| 종 | |
| |
1. 개요
고진기 올리고세에서 신진기 마이오세 기간인 2,800만년 전부터 1,500만년 전까지 생존했던 고래의 일종. 속명의 뜻은 '돔발상어/곱상어 이빨'. 속명이 돔발상어/곱상어속을 뜻하는 (Squalus)에서 따온 것이기 때문이다.2. 연구사 및 특징
1840년 프랑스의 장 피에르 박사에 의해 명명되었다. 화석은 유럽, 북아메리카, 아르헨티나, 뉴질랜드 등에서 발견되었다. 장은 이 동물의 화석을 이구아노돈류의 것으로 추정했으나 이후 고래로 분류를 정정했다. 외형은 현생 가장 가까운 친척인 아마존강돌고래와 유사하게 주둥이가 길쭉하고 가늘며 등지느러미가 작지만 덩치는 훨씬 커서 몸길이는 가장 큰 휘트모레이종이 5.5m 정도로 돌고래라고 불리는 고래 중 가장 큰 흰돌고래보다 큰 고래다.먹잇감의 살점을 쉽게 찢거나 잡을 수 있도록 톱니 모양의 이빨이 줄줄이 나있으며 오늘날의 돌고래들처럼 물고기나 오징어를 한 마리씩 잡아먹었을 것이며 기각류나 바다새 등도 적극적으로 포식했을것이다.
기후 변화와 다른 이빨고래들과의 경쟁에서 밀려나 멸종한 것으로 추정된다.[1]
| |
| 리비아탄에게 쫓기는 스쿠알로돈 무리 |
대표적인 천적으로는 메갈로돈과 리비아탄같은 대형 포식성 고래나 상어가 있었을 것이며, 경쟁자로는 브리그모피세테르, 지고피세테르 등의 중형 포식성 고래들이 있었을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