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1 14:23:38

스코틀랜드 교회

스코틀랜드 국교회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교단 상징 교단 설립 성향 교세
파일:스코틀랜드 국민교회 상징.svg 스코틀랜드 교회 1560년
[🏴󠁧󠁢󠁳󠁣󠁴󠁿종교개혁]
스코틀랜드 교회 설립.]
진보[2] 2023년
교인: 259,200명
교회: 1,136개
파일:스코틀랜드 자유교회 상징.png 스코틀랜드 자유교회 1900년[3] 보수[4] 2021년?
교인: 8,000명
교회: 111개
파일:스코틀랜드 연합자유교회 상징.jpg 스코틀랜드 연합자유교회 1900년[5] 중도 2024년·2023년 말
교인: 1,782명
교회: 47개
파일:스코틀랜드 자유장로교회 배너.jpg 스코틀랜드 자유장로교회 1893년[6] 보수[7] 2025년
교인: 미상
교회: 49개
파일:스코틀랜드 자유교회(지속) 상징.svg 스코틀랜드 자유교회(지속) 2000년 보수 2025년
교인: 미상
교회: 38개
파일:APC 상징.png 연합장로교회(APC) 1989년[8] 보수[9] 교인: 미상
교회: 6개
파일:스코틀랜드 개혁장로교회 상징.png 스코틀랜드 개혁장로교회 1690년[10] 보수[11] 교인: 250명
교회: 5개
스코틀랜드 교회 분열사
파일:Churches_of_Scotland_timeline.svg

[🏴󠁧󠁢󠁳󠁣󠁴󠁿종교개혁] 스코틀랜드 최초 개혁교회 교단이자, 세계 최초 장로회 교단인[2] 동성애자 목사 안수, 동성결혼 허용. 다만 임산부의 생명에 위협이 가는 경우 등 일부 경우를 제외하면 낙태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반대한다.[3] 본래 1843년에 설립되었으나, 스코틀랜드 연합자유교회 설립으로 인해 현재 자유교회는 그때 연합자유교회 설립에 반대한 소수의 잔류파이다.[4] 극단적인 보수주의는 아니지만, 자유교회 교인인 현재 스코틀랜드 자치정부 행정부수반 케이트 포브스가 과거 스코틀랜드 국민당 당대표 선거에서 보수적인 종교적 신념이 화두가 되어 낙선한 전례가 있다.[5] 위에 있는 스코틀랜드 자유교회가 이 교단 설립에 반대한 것이다. 연합자유교회는 스코틀랜드 자유교회 교단의 다수파와 스코틀랜드 연합장로교회(United Presbyterian Church·약칭 UP)가 통합하여 결성된 것이다. 1929년, 연합자유교회의 대부분은 스코틀랜드 교회로 통합되었고, 소수가 잔류하여또... 명맥을 잇는 중이다.[6] 스코틀랜드 연합자유교회 합류를 위한 조치였다고 추측되는 (구)스코틀랜드 자유교회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완화 조치에 반발하여 독립.[7] 1980년대, 자유장로교회의 장로였던 귀족원 의원, 제임스 맥케이가 가톨릭 장례 미사에 참석했다는 이유로 교회에서 퇴출되는 일이 있었고, 이로 인해 교단 하나가 더 생겼다. 자세한 건 스코틀랜드 자유장로교회 문서 참조.[8] 위에 언급한 사건으로 스코틀랜드 자유장로교회에서 독립한 교단이 이곳이다. 1989년 이래로 대부분의 교회는 스코틀랜드 자유교회로 소속을 바꿨다.[9] 스코틀랜드 자유교회, 국제장로교회, 스코틀랜드 자유교회(지속), 스코틀랜드 개혁장로교회와 비슷한 성향이다.[10] 스튜어트 왕조가 스코틀랜드 교회에 주교를 앉혀서 통제하려고 했던 것에 저항하다가 전사한 리처드 카메론의 정신을 계승한다.[11] 스코틀랜드 자유장로교회같은 폐쇄적인 보수주의는 아니며, 나중에 다수는 스코틀랜드 연합자유교회 설립에 참여하기도 했다.
}}}}}}}}} ||
스코틀랜드 교회
The Kirk o Scotland | Church of Scotland |
Eaglais na h-Alba
파일:스코틀랜드 국민교회 상징.svg
Nec tamen consumebatur
Yet it was not consumed
그러나 소멸되지 않았다. (출애굽기 3장 2절)[1]
불타는 떨기나무에 대한 내용이다. 불타는 떨기나무를 상징으로 사용하는 교단으로는 스코틀랜드 교회, (구)프랑스 개혁교회, 대만기독장로교회 등이 있다.]
<colbgcolor=#003057><colcolor=#ffffff> 설립일 1560년 8월 ([age(1560-08-01)]주년)
신학 개혁주의
교파 장로회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코틀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코틀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설립자 존 녹스
총회장 로즈마리 프루 목사
고등판무관 엘리시 앙지올리니 여사
신자 283,600명[2021년]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파일:스코틀랜드 국민교회 깃발.svg 파일:스코틀랜드 왕실기.svg
<colbgcolor=#003057><colcolor=#ffffff> 깃발 <colbgcolor=#003057><colcolor=#ffffff> 고등판무관 상징기[3]

1. 개요2. 교세3. 총회장4. 고등판무관5. 노회6. 소속 교회7. 협력 교회8. 여담9. 유명 교인10. 둘러보기

1. 개요

스코틀랜드 (國民)敎會
Church of Scotland (영어)
Kirk o Scotland (스코트어)
Eaglais na h-Alba (스코틀랜드 게일어)
스코틀랜드에서는 간단히 Kirk라고도 한다.#

전세계 장로회의 시초가 된 스코틀랜드의 장로회 교단.

1560년, 종교개혁자 존 녹스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장로제를 실시하는 교단답게 교단의 수장이 없다.

교단명은 직역하여 '스코틀랜드 교회'[4] 또는 스코틀랜드에서의 국교회급 위상[5]국민교회적 특성을 고려해 '스코틀랜드 국민교회'로 번역한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고수하는 교단이다.

2. 교세

스코틀랜드 주민의 20.4%가 자신을 스코틀랜드 교회 신자라고 밝혔다.2022년 조사 결과 스코틀랜드에서 가장 교세가 큰 교단으로 그 뒤를 가톨릭 교회와 스코틀랜드 성공회가 따른다.

3. 총회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4689, #005eb8 20%, #005eb8 80%, #004689); word-break: norma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제1-100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fff,#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존 윌록
존 어스킨
<rowcolor=#fff,#fff>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존 어스킨
조지 뷰캐넌
존 로우
<rowcolor=#fff,#fff>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존 윌록
데이비드 린제이
윌리엄 크리스틴슨
존 크레이그
<rowcolor=#fff,#fff>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로버트 폰트
조지 헤이
길버트 가든
로버트 해밀턴
존 어스킨
<rowcolor=#fff,#fff>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데이비드 퍼거슨
알렉산더 아버스노트
앤드류 헤이
존 던컨슨
제임스 보이드
<rowcolor=#fff,#fff>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로버트 폰트
존 로우
존 크레이그
알렉산더 아버스노트
데이비드 린지
<rowcolor=#fff,#fff>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존 로우
데이비드 퍼거슨
토머스 스미턴
제임스 로슨
<rowcolor=#fff,#fff>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앤드루 헤이
로버트 폰트
존 크레이그
<rowcolor=#fff,#fff>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데이비드 린지
토머스 스미턴
로버트 폰트
데이비드 린지
<rowcolor=#fff,#fff>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로버트 브루스
토머스 뷰캐넌
제임스 멜빌
패트릭 갤러웨이
<rowcolor=#fff,#fff>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제55대
니콜 달글리시
로버트 브루스
데이비드 린지
로버트 폰트
<rowcolor=#fff,#fff>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제임스 니콜슨
데이비드 린지
피터 블랙번
로버트 폰트
로버트 롤록
<rowcolor=#fff,#fff>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로버트 윌키
존 홀
패트릭 갤러웨이
알렉산더 흄
<rowcolor=#fff,#fff> 제66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존 포브스
데이비드 레잇
제임스 니콜슨
알렉산더 흄
제임스 로
<rowcolor=#fff,#fff> 제71대 제72대 제73대(상임총회장) 제74대 제75대
존 스포티스우드
로버트 로치
존 헤이
존 스포티스우드
<rowcolor=#fff,#fff> 제76대 제77대 제78대 제79대 제80대
존 스포티스우드
알렉산더 헨더슨
데이비드 딕슨
앤드루 램지
알렉산더 헨더슨
<rowcolor=#fff,#fff> 제81대 제82대 제83대 제84대 제85대
로버트 더글러스
알렉산더 헨더슨
제임스 보너
로버트 더글러스
로버트 블레어
<rowcolor=#fff,#fff> 제86대 제87대 제88대 제89대 제90대
로버트 더글러스
조지 길레스피
로버트 더글러스
앤드루 칸트
로버트 더글러스
<rowcolor=#fff,#fff> 제91대 제92대 제93대 제94대 제95대
가브리엘 커닝엄
데이비드 딕슨
휴 케네디
윌리엄 크라이튼
존 로
<rowcolor=#fff,#fff> 제96대 제97대 제98대 제99대 제100대
패트릭 심슨
윌리엄 크라이튼
조지 멜드럼
조지 해밀턴
데이비드 블레어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제101-200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fff,#fff> 제101대 제102대 제103대 제104대 제105대
토머스 윌키
데이비드 윌리엄슨
조지 멜드럼
토머스 윌키
윌리엄 커스테어스
<rowcolor=#fff,#fff> 제106대 제107대 제108대 제109대 제110대
윌리엄 위샤트
존 스털링
윌리엄 커스테어스
존 커리
윌리엄 미첼
<rowcolor=#fff,#fff> 제111대 제112대 제113대 제114대 제115대
윌리엄 커스테어스
윌리엄 해밀턴
윌리엄 위샤트
윌리엄 미첼
윌리엄 커스테어스
<rowcolor=#fff,#fff> 제116대 제117대 제118대 제119대 제120대
윌리엄 해밀턴
윌리엄 미첼
윌리엄 위샤트
제임스 그리어슨
윌리엄 해밀턴
<rowcolor=#fff,#fff> 제121대 제122대 제123대 제124대 제125대
토머스 블랙
윌리엄 미첼
제임스 스미스
윌리엄 위샤트
제임스 올스턴
<rowcolor=#fff,#fff> 제126대 제127대 제128대 제129대 제130대
윌리엄 미첼
윌리엄 해밀턴
윌리엄 위샤트
제임스 올스턴
윌리엄 해밀턴
<rowcolor=#fff,#fff> 제131대 제132대 제133대 제134대 제135대
제임스 스미스
닐 캠벨
존 가우디
제임스 고든
알렉산더 앤더슨
<rowcolor=#fff,#fff> 제136대 제137대 제138대 제139대 제140대
닐 캠벨
제임스 램지
제임스 배너타인
조지 로건
제임스 램지
<rowcolor=#fff,#fff> 제141대 제142대 제143대 제144대 제145대
토머스 툴리데프
로버트 월리스
존 애덤스
윌리엄 위샤트
존 럼스던
<rowcolor=#fff,#fff> 제146대 제147대 제148대 제149대 제150대
로버트 킨로크
조지 위샤트
패트릭 커민
로버트 패턴
제임스 매키
<rowcolor=#fff,#fff> 제151대 제152대 제153대 제154대 제155대
패트릭 커민
알렉산더 웹스터
로버트 해밀턴
조지 리드
패트릭 커민
<rowcolor=#fff,#fff> 제156대 제157대 제158대 제159대 제160대
윌리엄 리치먼
토머스 턴불
조지 케이
존 하인드먼
로버트 트레일
<rowcolor=#fff,#fff> 제161대 제162대 제163대 제164대 제165대
윌리엄 로버트슨
알렉산더 제라드
제임스 오스왈드
존 해밀턴
제임스 뮤리슨
<rowcolor=#fff,#fff> 제166대 제167대 제168대 제169대 제170대
길버트 해밀턴
제임스 매크나이트
알렉산더 칼라일
로버트 워커
애덤 퍼거슨
<rowcolor=#fff,#fff> 제171대 제172대 제173대 제174대 제175대
존 드라이즈데일
로버트 헨리
데이비드 쇼
존 커
제임스 브라운
<rowcolor=#fff,#fff> 제176대 제177대 제178대 제179대 제180대
패트릭 그랜트
제임스 질레스피
해리 스펜스
윌리엄 달림플
조지프 매코믹
<rowcolor=#fff,#fff> 제181대 제182대 제183대 제184대 제185대
헨리 그리브
존 드라이즈데일
헨리 몬크리프웰우드
던컨 쇼
로버트 리스턴
<rowcolor=#fff,#fff> 제186대 제187대 제188대 제189대 제190대
아치볼드 데이비슨
조지 힐
존 워커
로버트 스몰
앤드루 헌터
<rowcolor=#fff,#fff> 제191대 제192대 제193대 제194대 제195대
토머스 하디
로버트 아노트
제임스 믹
윌리엄 그린필드
존 애덤슨
<rowcolor=#fff,#fff> 제196대 제197대 제198대 제199대 제200대
윌리엄 테일러
윌리엄 무디
조지 베어드
윌리엄 리치
제임스 핀레이슨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제201-300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fff,#fff> 제201대 제202대 제203대 제204대 제205대
길버트 제라드
존 잉글리스
조지 해밀턴
윌리엄 테일러
제임스 셰리프스
<rowcolor=#fff,#fff> 제206대 제207대 제208대 제209대 제210대
앤드루 그랜트
프랜시스 니콜
휴 미클존
알렉산더 랭컨
윌리엄 맥모린
<rowcolor=#fff,#fff> 제211대 제212대 제213대 제214대 제215대
앤드루 브라운
데이비드 리치
루이스 고든
존 쿡
개빈 기브
<rowcolor=#fff,#fff> 제216대 제217대 제218대 제219대 제220대
존 캠벨
던컨 맥팔런
토머스 맥나이트
던컨 미언스
데이비드 라몬트
<rowcolor=#fff,#fff> 제221대 제222대 제223대 제224대 제225대
알렉산더 브런턴
앤드루 던컨
조지 쿡
토머스 테일러
로버트 홀데인
<rowcolor=#fff,#fff> 제226대 제227대 제228대 제229대 제230대
스티븐슨 맥길
패트릭 포브스
윌리엄 싱어
제임스 월리스
토머스 챌머스
<rowcolor=#fff,#fff> 제231대 제232대 제233대 제234대 제235대
존 스털링
패트릭 맥팔런
윌리엄 에어드 톰슨
노먼 맥레오드
매튜 가디너
<rowcolor=#fff,#fff> 제236대 제237대 제238대 제239대 제240대
윌리엄 뮤어
헨리 던컨
앵거스 맥켈러
로버트 고든
데이비드 웰시
<rowcolor=#fff,#fff> 제241대 제242대 제243대 제244대 제245대
던컨 맥팔런
존 리
알렉산더 힐
제임스 폴
존 폴
<rowcolor=#fff,#fff> 제246대 제247대 제248대 제249대 제250대
조지 뷰이스트
알렉산더 로크하트 심프슨
존 그레이엄
존 맥레오드
루이스 윌리엄 포브스
<rowcolor=#fff,#fff> 제251대 제252대 제253대 제254대 제255대
제임스 바르
제임스 그랜트
앤드루 벨
존 크롬비
제임스 로버트슨
<rowcolor=#fff,#fff> 제256대 제257대 제258대 제259대 제260대
매튜 리시먼
존 쿡(세인트앤드루스)
제임스 메이틀랜드
콜린 스미스
제임스 비셋
<rowcolor=#fff,#fff> 제261대 제262대 제263대 제264대 제265대
제임스 크레이크
윌리엄 로빈슨 피리
제임스 맥팔런
존 쿡(해딩턴)
토머스 잭슨 크로퍼드
<rowcolor=#fff,#fff> 제266대 제267대 제268대 제269대 제270대
제임스 스트래컨 바르티
노먼 맥레오드
조지 리치
로버트 혼 스티븐슨
로버트 제이미슨
<rowcolor=#fff,#fff> 제271대 제272대 제273대 제274대 제275대
로버트 길런
새뮤얼 트레일
제임스 셀러
조지 쿡
케네스 맥레이 핀
<rowcolor=#fff,#fff> 제276대 제277대 제278대 제279대 제280대
존 툴록
제임스 크리스털
아치볼드 왓슨
제임스 스미스
윌리엄 밀리건
<rowcolor=#fff,#fff> 제281대 제282대 제283대 제284대 제285대
존 랭킨
피터 매켄지
알렉산더 페리에 미첼
존 커닝엄
조지 허치슨
<rowcolor=#fff,#fff> 제286대 제287대 제288대 제289대 제290대
윌리엄 헨리 그레이
페이턴 제임스 글로그
앤드루 K. H. 보이드
제임스 맥그리거
아치볼드 차터리스
<rowcolor=#fff,#fff> 제291대 제292대 제293대 제294대 제295대
존 마셜 랭
로버트 허버트 스토리
도널드 맥레오드
아치볼드 스콧
윌리엄 마이르
<rowcolor=#fff,#fff> 제296대 제297대 제298대 제299대 제300대
토머스 리시먼
존 페이건
노먼 맥레오드
제임스 미첼
제임스 커디 러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제301-400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fff,#fff> 제301대 제302대 제303대 제304대 제305대
존 길레스피
존 맥머트리
앤드루 J. 밀른
토머스 B. W. 니븐
제임스 R. M. 미첼
<rowcolor=#fff,#fff> 제306대 제307대 제308대 제309대 제310대
시어도어 마셜
제임스 로버트슨
피어슨 맥애덤 뮤어
알렉산더 스튜어트
새뮤얼 마커스 딜
<rowcolor=#fff,#fff> 제311대 제312대 제313대 제314대 제315대
앤드루 월리스 윌리엄슨
토머스 니콜
데이비드 폴
존 브라운
제임스 쿠퍼
<rowcolor=#fff,#fff> 제316대 제317대 제318대 제319대 제320대
제임스 니콜 오길비
윌리엄 P. 패터슨
토머스 마틴
제임스 A. 맥클리몬트
존 스미스
<rowcolor=#fff,#fff> 제321대 제322대 제323대 제324대 제325대
조지 밀리건
데이비드 캐슬스
존 화이트
존 도널드슨 맥컬럼
노먼 맥클린
<rowcolor=#fff,#fff> 제326대 제327대 제328대 제329대 제330대
제임스 몽고메리 캠벨
조지프 미첼
존 화이트
앤드루 니즈벳 보글
존 앤더슨 그레이엄
<rowcolor=#fff,#fff> 제331대 제332대 제333대 제334대 제335대
휴 로스 매킨토시
로클런 맥클린 왓트
피터 도널드 톰슨
마셜 B. 랭
다니엘 라몬트
<rowcolor=#fff,#fff> 제336대 제337대 제338대 제339대 제340대
두걸드 맥팔런
제임스 블랙
아치볼드 메인
제임스 레이 포건
제임스. H. 코크번
<rowcolor=#fff,#fff> 제341대 제342대 제343대 제344대 제345대
찰스 윌리엄 그레이 테일러
존 베일리
에드워드 제임스 헤이건
A. J. 캠벨
존 맥켄지
<rowcolor=#fff,#fff> 제346대 제347대 제348대 제349대 제350대
매튜 스튜어트
알렉산더 맥도널드
조지 심프슨 던컨
휴 왓트
윌리엄 화이트 앤더슨
<rowcolor=#fff,#fff> 제351대 제352대 제353대 제354대 제355대
조지 존스턴 제프리
제임스 피트왓슨
어니스트 데이비드 자비스
조지 D. 헨더슨
로버트 F. V. 스콧
<rowcolor=#fff,#fff> 제356대 제357대 제358대 제359대 제360대
조지 맥클라우드
존 A. 프레이저
로버트 헨리 위샤트 셰퍼드
존 H. S. 벌리
아치볼드 캠벨 크레이그
<rowcolor=#fff,#fff> 제361대 제362대 제363대 제364대 제365대
네빌 데이비슨
제임스 스튜어트 스튜어트
던컨 프레이저
아치볼드 왓트
레너드 스몰
<rowcolor=#fff,#fff> 제366대 제367대 제368대 제369대 제370대
윌리엄 로이 샌더슨
제임스 보이드 롱뮤어
토머스 모팻 머치슨
휴 O. 더글러스
앤드루 헤런
<rowcolor=#fff,#fff> 제371대 제372대 제373대 제374대 제375대
로널드 셀비 라이트
조지 T. H. 리드
데이비드 스틸
제임스 건 매더슨
토머스 F. 토런스
<rowcolor=#fff,#fff> 제376대 제377대 제378대 제379대 제380대
존 로저 그레이
피터 브로디
로버트 A. S. 바버
윌리엄 브라이스 존스턴
앤드루 베버리지 도이그
<rowcolor=#fff,#fff> 제381대 제382대 제383대 제384대 제385대
존 맥킨타이어
제임스 F. 맥러스키
존 M. K. 패터슨
데이비드 M. B. A. 스미스
로버트 크레이그
<rowcolor=#fff,#fff> 제386대 제387대 제388대 제389대 제390대
던컨 쇼
제임스 A. 화이트
윌리엄 J. G. 맥도널드
로버트 데이비슨
윌리엄 B. R. 맥밀런
<rowcolor=#fff,#fff> 제391대 제392대 제393대 제394대 제395대
휴 R. 윌리
제임스 L. 웨더헤드
제임스 A. 심프슨
제임스 하크니스
존 H. 맥인도
<rowcolor=#fff,#fff> 제396대 제397대 제398대 제399대 제400대
알렉산더 맥도널드
앨런 메인
존 B. 케언스
앤드루 맥렐런
존 밀러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제400대 이후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fff,#fff> 제401대 제402대 제403대 제404대 제405대
핀레이 맥도널드
이언 토런스
앨리슨 엘리엇
데이비드 레이시
앨런 맥도널드
<rowcolor=#fff,#fff> 제406대 제407대 제408대 제409대 제410대
실라 M. 케스팅
데이비드 W. 루넌
윌리엄 C. 휴잇
존 크리스티
앤드루 D. K. 아노트
<rowcolor=#fff,#fff> 제411대 제412대 제413대 제414대 제415대
앨버트 O. 보글
로나 후드
존 챌머스
앵거스 모리슨
러셀 배어
<rowcolor=#fff,#fff> 제416대 제417대 제418대 제419대 제420대
데릭 브라우닝
수전 M. 브라운
콜린 싱클레어
마틴 페어
짐 월리스
<rowcolor=#fff,#fff> 제421대 제422대 제423대 제424대
이언 그린실즈
샐리 포스터풀턴
쇼 패터슨
로즈메리 프루
}}}}}}}}}}}}}}}

파일:스코틀랜드 교회 총회장 문장.png
Moderator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Church of Scotland/
Moderator of the General Assembly[6]

매년 에든버러에서 열리는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의 사회를 맡도록 선출되는 직책으로, 다음 총회가 열리고 새 총회장이 선출될 때까지 스코틀랜드 교회를 대표하여 봉사한다. 목사 또는 장로일 경우 선출 가능하다.

여담으로 1953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대관식부터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장이 대관식 당사자에게 성경을 선물하는 관례가 생겼다. 엘리자베스 2세의 대관식에서는 제임스 피트왓슨(James Pitt-Watson) 총회장이, 찰스 3세의 대관식에서는 이언 그린실즈(Iain Greenshields) 총회장이 참석하여 이 관례를 따랐다.

4. 고등판무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192d, #003057 20%, #003057 80%, #00192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임스 6세
<rowcolor=#fff,#fff> 1580년 1581년 1582년 4월 1582년 10월
런디의 영주&제임스 밸푸어
윌리엄 커닝엄
랄프 커
제임스 핼리버튼&윌리엄 스튜어트
공백기
제임스 핼리버튼
찰스 1세
<rowcolor=#fff,#fff> 1638년 1639년 1640년 1641년 1642년
제임스 해밀턴
존 스튜어트
없음
존 웨미스
찰스 세튼
<rowcolor=#fff,#fff> 1643년 1644-45년 1646년 1647-48년
토마스 호프
없음
없음[1]
없음
찰스 2세[2]
<rowcolor=#fff,#fff> 1649-50년 1651년
없음
존 카마이클
잉글랜드 연방[3]
<rowcolor=#fff,#fff> 1652-53년 1653-59년
없음
총회 미개최
찰스 2세
<rowcolor=#fff,#fff> 1660-85년
총회 미개최
제임스 7세
<rowcolor=#fff,#fff> 1685-88년
총회 미개최
메리 2세 & 윌리엄 2세
<rowcolor=#fff,#fff> 1689-90년 1690년 1692년 1694년
총회 미개최
존 카마이클
로버트 커
존 카마이클
윌리엄 2세
<rowcolor=#fff,#fff> 1695-99년 1700년 1701년 1702년
존 카마이클
제임스 오길비
윌리엄 존스턴
패트릭 흄
<rowcolor=#fff,#fff> 1702년 1703년 1704년 1705년 1706-10년
패트릭 흄
제임스 오길비
윌리엄 로스
윌리엄 존스턴
데이비드 보일
<rowcolor=#fff,#fff> 1711년 1712-14년
윌리엄 존스턴
존 머레이
조지 1세
<rowcolor=#fff,#fff> 1714년 1715-21년 1722년 1723년 1724년
데이비드 보일
존 해밀턴레슬리
휴 캠벨
찰스 호프
핀들레이터 백작
<rowcolor=#fff,#fff> 1725-26년 1727년
휴 캠벨
핀들레이터 백작
조지 2세
<rowcolor=#fff,#fff> 1727년 1728년 1729년 1730-31년 1732-38년
핀들레이터 백작
라우던 백작
부컨 백작
라우던 백작
로디언 후작
<rowcolor=#fff,#fff> 1739-40년 1741-53년 1754년 1755-60년
하인드포드 백작
제10대 레븐 백작
호프타운 백작
캐스카트 경
조지 3세
<rowcolor=#fff,#fff> 1761-63년 1764-72년 1773-76년 1777-82년 1783-01년
캐스카트 경
글래스고 백작
캐스카트 경
달하우지 백작
제10대 레븐 백작
<rowcolor=#fff,#fff> 1802-16년 1817-18년 1819년
네이피어 경
에롤 백작
모튼 백작
조지 4세
<rowcolor=#fff,#fff> 1820-24년 1825-29년
모튼 백작
포브스 경
윌리엄 4세
<rowcolor=#fff,#fff> 1830년 1831-36년
포브스 경
벨헤이븐 및 스텐튼 경
빅토리아
<rowcolor=#fff,#fff> 1837-41년 1842-46년 1847-51년 1852년 1853-57년
벨헤이븐 및 스텐튼 경
뷰트 후작
벨헤이븐 및 스텐튼 경
맨스필드 백작
벨헤이븐 및 스텐튼 경
<rowcolor=#fff,#fff> 1858-59년 1860-66년 1867-68년 1869-71년 1872-73년
맨스필드 백작
벨헤이븐 및 스텐튼 경
해딩턴 백작
스테어 백작
에어리 백작
<rowcolor=#fff,#fff> 1874-75년 1876-77년 1878-80년 1881-85년 1886년
로슬린 백작
갤러웨이 백작
로슬린 백작
애버딘 백작
서로우 경
<rowcolor=#fff,#fff> 1887-89년 1889-92년 1893-95년 1896-97년 1898-00년
호프타운 백작
트위드데일 후작
브레달베인 후작
트위드데일 후작
제11대 레븐 백작
에드워드 7세
<rowcolor=#fff,#fff> 1901-06년 1907-09년
제11대 레븐 백작
제11대 킨네어드 경
조지 5세
<rowcolor=#fff,#fff> 1910년 1911-14년 1915년 1916-17년 1918-20년
제11대 스테어 백작
글렌코너 경
애버딘 경
제5대 몬트로즈 공작
제8대 아솔 공작
<rowcolor=#fff,#fff> 1921-22년 1923년 1924년 1925-26년 1927-28년
서덜랜드 공작
엘핀스톤 경
제임스 브라운
제10대 엘긴 백작
제12대 스테어 백작
<rowcolor=#fff,#fff> 1929년 1930-31년 1932년 1933-34년 1935년
제임스 브라운
이언 콜쿠훈 경
트위즈뮤어 경
에드워드 8세
<rowcolor=#fff,#fff> 1936년
제12대 키네어드 경
조지 6세
<rowcolor=#fff,#fff> 1937년 1938-39년 1940-41년 1942-43년 1944-45년
제12대 키네어드 경
존 길모어 경
이언 콜쿠훈 경
제6대 몬트로즈 공작
린리스고 후작
<rowcolor=#fff,#fff> 1946-48년 1949년 1950년 1951년
조지 매더스 경
조지 매더스 경
엘리자베스 2세
<rowcolor=#fff,#fff> 1952년 1953-55년 1956-57년 1958년 1959-60년
더글라스 더글라스해밀턴
월터 엘리엇
더글라스 더글라스해밀턴
데이비드 차터리스
<rowcolor=#fff,#fff> 1961-63년 1964년 1965-66년 1967-68년 1969년
하랄드 레슬리
존 레이스
여왕이 직접 참석
<rowcolor=#fff,#fff> 1970년 1971-72년 1973-74년 1975-76년 1977년
페기 허비슨
로널드 콜빌
버나드 퍼거슨
헥터 맥레넌
데이비드 차터리스
<rowcolor=#fff,#fff> 1978-79년 1980-81년 1982-83년 1984-85년 1986-87년
윌리 로스
앤드류 브루스
존 길모어
찰스 맥린
존 아버스노트
<rowcolor=#fff,#fff> 1988-89년 1990-91년 1992-93년 1994-95년 1996년
이안 테넌트
도널드 로스
노먼 맥팔레인
마리온 프레이저
<rowcolor=#fff,#fff> 1997년 1998-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노먼 맥팔레인
노먼 호그
조지 영거
여왕이 직접 참석
<rowcolor=#fff,#fff> 2003-4년 2005-6년 2007년 2008-9년 2010-11년
데이비드 스틸
제임스 맥케이
조지 리드
<rowcolor=#fff,#fff> 2012-13년 2014년 2015-16년 2017년 2018-19년
제임스 더글라스해밀턴
데이비드 호프
리처드 스콧
<rowcolor=#fff,#fff> 2020-21년 2022년
패트릭 호지
찰스 3세
<rowcolor=#fff,#fff> 2023년 2024년 2025년
패트릭 호지
엘리시 앙지올리니

[1] 군주가 고등판무관을 파견할 수 없어 유감이라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2] 1649-1651. 스코틀랜드에서만 재위한 기간.[3]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연방'.
}}}}}}}}}}}}

스코틀랜드 교회에 대한 영국 국왕의 개인 대표자로서,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에 참석하여 군주의 역할을 대리한다. 동군연합 이전에는 스코틀랜드 국왕의 대리자였다.

스코틀랜드 교회 고등판무관은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와 같은 주에 열리는 스코틀랜드 자유교회(1900-) 총회에도 참석한다.

원래 다른 종교나 무종교인 사람은 고등판무관직을 맡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는데, 2025년 2월부터 이 조항을 해제하는 법안이 통과되었고 4월 3일에 왕실에서도 동의하면서, 2025년에 가톨릭 신자인 엘리시 앙지올리니가 고등판무관으로 임명되었다.

고등판무관이었던 주요 인물로는 맡은 시기 순으로 홍콩 총독을 역임한 틸리른의 윌슨 남작(David Clive Wilson, The Lord Wilson of Tillyorn)과 에드워드 왕자, 프린세스 로열 앤, 윌리엄 왕세자(당시 왕세손)이 있다.

2022-2023년 고등판무관은 현 영국 부대법원장인 호지 경(Patrick Stewart Hodge, Lord Hodge)이다. 호지 경은 엘리자베스 2세의 마지막 고등판무관이자 찰스 3세의 첫번째 고등판무관이 되었다.

2024년 고등판무관은 에든버러 공작 에드워드 왕자로, 2014년에 이어 두 번째로 고등판무관직을 수행하게 되었다.

2025년, 관련 법이 개정됨에 따라 아일랜드계 가톨릭 신자인 엘리시 앙지올리니 여사(Lady)가 가톨릭 신자로서는 최초로 스코틀랜드 교회 고등판무관이 되었다. 이전에는 로마 가톨릭 신자가 스코틀랜드 교회 고등판무관에 임명되는 것은 불가능했다.

5. 노회

스코틀랜드 교회는 장로회로써 지역별로 구성된 노회(presbytery)에 산하로 시찰(parish)이 조직되어있다. 노회가 많고 시찰이 적은 한국의 장로회와는 다르게 노회가 적고 시찰이 많다. 시찰명이 유명한 지역 혹은 성인의 이름을 따와서 붙인 경우가 많다. 글래스고 노회가 가장 큰 노회다.
스코틀랜드 교회 노회 현황 (알파벳순)
애버딘
셰틀랜드
애버네스 앵거스 애난데일
에스크데일
아드로산 아가일 에어 부찬
카이트네스 클라이드 덤프리스
커크커드브라이트
던디
던켈드
미글
던스 에든버러 잉글랜드
폴커크 파이프 글래스고 고든
해밀턴 인버네스 어바인
킬마노크
제드버러
예루살렘 킨카딘
디사이드
라나크 루이스
로차버 로츠카론
스카이
로티언 멜로즈
피블스
모레이 오크니 퍼스 로스
스털링 서덜랜드 위스트 웨스트로티언
위그턴
스트란라어

6. 소속 교회

7. 협력 교회

[출처]
  • 아프리카
    • 가나 복음주의 장로교회 (EPC, G)
    • 가나 장로교회(PCG)
    • 동아프리카 장로교회(PCEA)
    • 중앙아프리카 장로교회(CCAP)
    • 블랜타이어 총회
    • 리빙스토니아 총회
    • 은코마 총회
    • 모잠비크 그리스도복음교회(IECM)
    • 나이지리아 장로교회(PCN)
    • 남부 아프리카 연합 장로교회(UPCSA)
    • 남수단 장로교회(PCOSS)
    • 잠비아연합교회
  • 카리브
    • 쿠바 장로교 개혁교회(PRCC)
    • 자메이카와 케이맨 제도 연합교회
    • 트리니다드 토바고 장로교회
  • 중동
    • 이집트 복음주의 나일강 총회
    • 예루살렘과 중동 성공회 교구
    • 시리아와 레바논 전국복음주의총회(NESSL)

8. 여담

  • 교회 일치 운동을 지지하며, 세계 교회 협의회WCRC, 유럽 교회 회의의 회원 교단이다.
  • 1968년부터, 목사직을 비롯한 교회 내 모든 직분이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동등하게 개방되었다.
  • 성소수자 목사 안수가 허용된다.
  • 2022년부터 동성결혼이 허용되었다. 목사는 동성결혼을 주례할 수 있으나, 주례가 강요되지는 않는다.
  • 공식적으로 낙태를 반대하며, 임신이 임산부의 생명에 위협이 되거나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손상을 입힐 경우에만 허용해야 한다고 명시한다.
  • 안락사와 사형 제도에 반대한다.

9. 유명 교인

10. 둘러보기

<nopad>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정치 ]
{{{#!wiki style="margin: -5px -1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 상징 유니언 잭 (성 조지의 십자가) · 국장 · 국호 · God Save the King · 존 불 · 브리타니아
왕실·귀족 영국 국왕 · 영국 국왕의 배우자 · 윈저 왕조 · 영연방 왕국 · 웨일스 공 · 웨일스 공비 · 프린세스 로열 · 요크 공작 · 콘월 공작 · 에든버러 공작 · 말버러 공작 · 케임브리지 공작 · 던세이니 남작 · 성 제임스의 궁정 · 근위대 · 가터 기사단 · 영국 왕실 훈장 · 버킹엄 궁전 · 세인트 제임스 궁전 · 홀리루드 궁전 · 윈저 성 · 밸모럴 성 · 런던 탑 · 켄싱턴 궁전 · 클래런스 하우스 · 성 에드워드 왕관 · 영국 제국관 · 커타나 · 운명의 돌 · 영국 왕실과 정부의 전용기 · 벤틀리 스테이트 리무진 · 코이누르 · 왕실령 · 영국 왕실 인증 허가 브랜드 · 웨스트민스터 사원 · 귀족 · 영국의 귀족 목록 · 작위 요구자/유럽/영국
정치 전반 정치 전반 · 연합왕국 · 의회(귀족원 · 서민원) · 총선 · 자치의회 · 총리 · 내각 · 행정조직 · 다우닝 가 10번지 · SIS · MI5 · MHRA · 웨스트민스터 · 웨스트민스터 궁전 · 마그나 카르타 · 권리청원 · 권리장전 · 의전서열
치안·사법 영국의 경찰제도 · 런던광역경찰청 · 영국 국가범죄청 · 영국 국경통제국 · 영국 이민단속국 · 사법 · 영미법 · 근로기준법 · 시민권 · 크라임 펌 · 스코틀랜드 경찰청 · 영국 철도경찰 · 영국 국방부경찰 · 영국 원자력경찰대
정당 정당 · 보수당(레드 토리 · 미들 잉글랜드 · 블루칼라 보수주의 · 일국 보수주의(코커스) · 자유시장 포럼) · 노동당(강성좌파 · 연성좌파) · 자유민주당
사상 근력 자유주의 · 글래드스턴 자유주의 · 대처주의 · 블레어주의 · 왕당파 · 일국 보수주의 · 하이 토리
사건·의제 영국의 자치권 이양 ·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 잉글랜드 자치(웨스트 로디언 질의 · English votes for English laws) · 브렉시트 · 플러브 게이트
외교 외교 전반(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UK ETA · 거주 허가 · 영연방 · 영연방 왕국 · CANZUK · 파이브 아이즈 · 상임이사국 · G7 · G20 · AUKUS · 영미권 · JUSCANZ · 브렉시트(탈퇴 과정과 이슈들 · 영국 내 영향 · 브렉시트/세계 각국의 영향) · 친영 · 반영 · 영빠 · 냉전 · 신냉전 · 미영관계 · 영불관계 · 영독관계 · 영국-캐나다 관계 · 영국-호주 관계 · 영국-뉴질랜드 관계 · 영국-이탈리아 관계 · 영국-스페인 관계 · 영국-포르투갈 관계 · 영국-아일랜드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영인관계 · 영국-홍콩 관계 · 한영관계 · 영러관계 · 미국-캐나다-영국 관계 · 미영불관계 · 영프독 ·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 영국-스페인-지브롤터 관계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 역사 전반 역사 전반() · 이교도 대군세 · 북해 제국 · 노르만 정복 · 백년전쟁 · 장미 전쟁 · 칼레 해전 · 청교도 혁명 · 명예혁명 · 영국 통일 · 해가 지지 않는 나라 · 북아일랜드 분쟁
시대 로만 브리튼 · 로만 브리튼 이후 · 무정부시대 · 대항해시대 · 엘리자베스 시대 · 찰스 시대 · 조지 시대 · 빅토리아 시대
국가 칠왕국 · 노섬브리아 · 켄트 왕국 · 동앵글리아 · 에식스 · 웨식스 · 서식스 · 머시아 · 잉글랜드 왕국 · 스코틀랜드 왕국 · 웨일스 공국 · 아일랜드 왕국 · 잉글랜드 연방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 대영제국
왕조 웨식스 왕조 · 노르만 왕조 · 플랜태저넷 왕조 · 요크 왕조 · 랭커스터 왕조 · 튜더 왕조 · 스튜어트 왕조 · 하노버 왕조 ·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 · 윈저 왕조
세력 젠트리 · 요먼 · 원두당 · 청교도 · 토리당 · 휘그당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사회 · 경제 ]
{{{#!wiki style="margin: -5px -1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 경제 경제 전반 · 산업 혁명 · 무역 · 파운드 스털링 · 영란은행 · 런던증권거래소 · 역사 속의 경제위기 · 한영 FTA · 영국제 · 에어버스 · 롤스로이스 plc
지리 브리튼 · 그레이트브리튼 섬 · 아일랜드섬 · 구성국 · 잉글랜드(하위 지역) · 스코틀랜드(하위 지역) · 웨일스(하위 지역) · 북아일랜드 · 카운티(카운티 목록) · 지역 및 속령 목록 · 주요 도시 · 런던의 행정구역 · 하이랜드 · 미들섹스 · 왕실령 · 영국 해협(도버 해협) · 영국령 남극 지역
사회 사회 전반 · OBE · 젠틀맨 · 신사 · 하이랜더 · 공휴일 · 인구 · NHS
민족 영국인 · 잉글랜드인(앵글로색슨족) · 스코틀랜드인(게일인) · 웨일스인(브리튼인) · 콘월인 · 아일랜드계 · 영국 백인 · 프랑스계 · 폴란드계 · 인도계 · 재영 한인사회 · 러시아계 · 영국 흑인 · 파키스탄계 · 우크라이나계 · 일본계 · 한국계 · 헝가리계 · 튀르키예계 · 독일계 · 아르메니아계 · 그리스계 · 리투아니아계 · 벨라루스계
영국계 영국계 미국인 · 영국계 호주인 · 영국계 뉴질랜드인 · 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잉글랜드계 캐나다인 · 스코틀랜드계 캐나다인 · 웨일스계 캐나다인 · 앵글로아일랜드인 · 영국계 아르헨티나인 · 영국계 칠레인 · 영국계 러시아인 · 영국계 멕시코인 · 재한 영국사회
교육 교육 전반 · 유학 · 장학금 · 급식 · 파운데이션 · 퍼블릭 스쿨 · 식스폼 · IELTS · PTE · A-Level · UCAS · 대학교 일람() · 대학 서열화(옥스브리지 · 러셀 그룹) · 기타 교육 관련 문서
교통 교통 전반 · 공항 · 철도 환경(High Speed 1 · High Speed 2 · Eurostar · 내셔널 레일) · 런던 지하철 · 런던의 대중교통 · 좌측통행 · 채널 터널 · 모터웨이
기타 그리니치 천문대(자오선) · 월드 와이드 웹(팀 버너스리) · 제국 단위계 · 영국/생활 · 혐성국 · TERF의 섬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문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 문화 전반 문화 전반 · 영국의 문화재 · 종교 · 성공회(잉글랜드 국교회) · 장로회(스코틀랜드 교회) · 영국/관광
예술 브릿팝 · 브리티시 인베이전 · 영국 드라마 · 영국 영화 · 웨스트엔드 · 아서 왕 전설 · 로빈 후드 전설 · 마더 구스 · 캔터베리 이야기 · 베오울프 · 셜로키언 · 톨키니스트 · 후비안 · BAFTA · 백파이프
언어 영어 · 영국식 영어 · 용인발음 · 스코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 웨일스어 · 코크니 · 에스추어리 · 콘월어 · 영어영문학과(영어교육과)
음식 요리(종류) · 로스트 디너 · 쇼트브레드 비스킷 · 티타임(애프터눈 티) · 홍차 · · 아침식사 · 피시앤칩스 · 맥주 · 위스키 · 사과주
스포츠 축구(어소시에이션 풋볼) · 잉글리시 풋볼 리그 · 프리미어 리그 · FA(대표팀) · FA컵 ·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 SFA(대표팀) · 컴리 프리미어 · FAW(대표팀) · NIFL · IFA(대표팀) · 럭비(RFU · SRU · WRU · IRFU) · 프리미어십 럭비 · British and Irish Lions ·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 크리켓(잉글랜드 크리켓 대표팀) · 윔블던 · 영국 그랑프리 · 포뮬러 1 70주년 그랑프리
서브컬처 모드족 · 하드 모드 · 로커스 · 카페 레이서 · 펑크 문화 · 차브족 · 영국인 캐릭터
기타 왕립학회 · 대영박물관 · 대영도서관 · 영국 국립미술관 · BBC · 가이 포크스 데이 · 킬트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군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 군사 전반 국방부(국방위원회) · 영국군(스코틀랜드군) · 해외 주둔군 · 계급 · 전투식량/영국군 · 징병제(폐지) · 빅토리아 십자무공훈장 · NATO · 군기분열식
장비 군복(레드 코트) · 군장/영국군 · 군함(1차대전 · 2차대전 · 현대전 · 항공모함 · 원자력 잠수함) · 항공기(2차대전) · 핵무기(튜브 앨로이스, AWE)
부대 육군(연대 · 제3사단 · 제1사단 · 왕립 독일인 군단 · 원정군 · 블랙와치 · 사관학교) · 통합해군(해군 · 해병대 · 함대 보조군 · 대함대 · 본토함대 · 사관학교) · 공군(제617비행대대 · 독수리 비행대대 · 사관학교) · 전략사령부 · 근위대 · 특수작전부대(E Squadron · 제22SAS연대 · 제21SAS연대 · SBS · SRR · SFSG · JSFAW · 제18정보통신연대) · 코만도 · 구르카 · 레인저연대 · 낙하산연대 · 연합합동원정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065bd> 상징 국호 · 국기 · 국가 · 유니콘
역사 역사 · 픽트족 · 달 리어타 · 스코틀랜드 왕국 · 스코틀랜드 반란 · 영국 통일 · 스코틀랜드 국왕(자코바이트 · 로버트 1세 · 제임스 1세) · 윌리엄 월레스
정치 정치 전반(자치권과 자치회의 · 정당 ·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 스코틀랜드 국민당) · 국가원수(에든버러 공작 · 홀리루드 궁전 · 밸모럴 성)
외교 외교
경제 스코틀랜드 파운드 · 스코틀랜드 왕립은행
국방 영국군(스코틀랜드군)
문화 문화 전반 · 스코틀랜드 계몽주의 · 장로회(스코틀랜드 교회) · 영어 · 스코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 스카치 위스키 · 백파이프 · 킬트 · SFA(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SRU(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지리 에든버러 · 글래스고 · 네스 호 · 로우랜드 · 하이랜드
민족 스코틀랜드인 · 스코틀랜드계 미국인 · 스코틀랜드계 캐나다인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세계 교회 협의회 원형 로고.svg세계 교회 협의회
회원교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감리회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교회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 시온교회 기독교 감리교 감독교회 볼리비아 복음주의 감리회
이탈리아 복음주의 감리회 필리핀 복음주의 감리회 아르헨티나 복음주의 감리회 통가 자유 웨슬리안교회
기독교대한감리회 영국 감리회 가나 감리회 브라질 감리회
피지와 로투마 감리회 인도 감리회 인도네시아 감리회 아일랜드 감리회
케냐 감리회 말레이시아 감리회 싱가포르 감리회 카리브해와 아메리카 감리회
짐바브웨 감리회 나이지리아 감리회 칠레 감리회 멕시코 감리회
뉴질랜드 감리회 페루 감리회 푸에르토리코 감리회 사모아 감리회
남부아프리카 감리회 토고 감리회 우루과이 감리회 시에라리온 감리회
스리랑카 감리회 상(上)미얀마 감리회 베냉 개신교 감리회 연합감리교회
코트디부아르 감리회
개혁교회
아프리카 개신교회 부르키나파소 복음주의 개혁교회 협회 중앙 술라웨시 기독교 교회 숨바 기독교 교회
미나하사 기독교 복음주의 교회 상이헤 탈라우드 기독교 복음주의 교회 중앙아프리카 장로회 블랜타이어 시노드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복음주의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장로회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킨샤사 장로회 공동체 태국 그리스도의 교회 마다가스카르 예수 그리스도 교회
북인도 교회 파키스탄 교회 스코틀랜드 교회 남인도 교회
미국령 사모아 회중 기독교 교회 니우에 회중 기독교 교회 투발루 회중 기독교 교회 체코슬로바키아 후스파 교회
네덜란드 개혁교회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동자바 기독교 교회 리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바바리아와 북서부 독일 복음주의 개혁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할마헤라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타나 파푸아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뉴칼레도니아와 로열티 제도 복음주의 교회 카메룬 복음주의 교회
콩고 복음주의 교회 체코형제복음교회 가봉 복음주의 교회 그리스 복음주의 교회
오스트리아 아우크스부르크 복음주의 교회와 오스트리아 헬베티아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리버 플레이트 복음주의 교회 앙골라 복음주의 회중교회 가나 복음주의 장로회
남아프리카 복음주의 장로회 이집트 복음주의 장로회 나일강 시노드 이란 복음주의 장로회
포르투갈 복음주의 장로회 토고 복음주의 장로회 앙골라 복음주의 개혁교회 중국 그리스도의 교회 홍콩 협의회
미국 헝가리 개혁교회 브라질 독립 장로회 인도네시아 기독교 교회 자바 기독교 교회
칼리만탄 복음주의 교회 카로 바탁 개신교 교회 키리바시 연합교회 재일대한기독교회
레소토 복음주의 교회 마오히 개신교회 마라 복음주의 시리아와 레바논 전국 복음주의 시노드
파순단 기독교 교회 카메룬 장로회PCC 캐나다 장로교회 르완다 장로회
대만기독장로교회 한국기독교장로회 아프리카 장로회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 장로회
카메룬 장로회EPC 콜롬비아 장로회 동아프리카 장로교회 가나 장로회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라이베리아 장로회 모잠비크 장로회 나이지리아 장로교회
파키스탄 장로회 남수단 장로회 트리니다드 토바고 장로회 바누아투 장로교회
웨일스 장로회 미국 장로교(PCUSA) 쿠바 장로교개혁교회 발리 개신교 기독교 교회
인도네시아 개신교회 남동 술라웨시 개신교회 스위스 개신교회 몰루카스 개신교회
네덜란드 개신교회 티모르 로로사에 개신교회 서부 인도네시아 개신교회 알제리 개신교회
티모르 개신교 복음주의 교회 세르비아&몬테네그로 개혁 기독교 교회 슬로바키아 개혁 기독교 교회 미국 개혁교회
헝가리 개혁교회 루마니아 개혁교회 잠비아 개혁교회 짐바브웨 개혁교회
국가를 위한 개혁 그리스도의 교회 적도 기니 개혁 장로회 항의 형제단 스페인 복음주의 교회
토라자 교회
동방정교회
키프로스 교회 그리스 교회 세계 총대주교청 알렉산드리아와 전 아프리카의 총대주교구
안티오키아와 전 동방의 총대주교구 예루살렘 총대주교구 알바니아 정교회 독립교회 아메리카 정교회
일본 정교회 체코 땅과 슬로바키아의 정교회 핀란드 정교회 폴란드 독립 정교회
루마니아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세르비아 정교회
루터교회
바탁 기독교 공동체 교회 볼리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기독교 개신교 앙콜라 교회 인도네시아 기독교 개신교회
노르웨이 교회 스웨덴 교회 중부 독일 복음주의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뷔르템베르크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바이에른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브런즈윅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북부 독일 복음주의 루터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올덴부르크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하노버 복음주의 루터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작센 복음주의 루터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샴부르크-리페 복음주의 루터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에스토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에티오피아 복음주의 교회 메카네 예수스 폴란드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루마니아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슬로바키아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브라질 루터교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미국복음주의루터교회 캐나다복음주의루터교회 칠레 복음주의 루터교회
콩고 복음주의 루터교회 덴마크 복음주의 루터교회 헝가리 복음주의 루터교회 요르단과 성지의 복음주의 루터교회
나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남부아프리카 복음주의 루터교회 탄자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나미비아 공화국 복음주의 루터교회
짐바브웨 복음주의 루터교회 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가나 복음주의 루터교회 아이슬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라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파푸아뉴기니 복음주의 루터교회 루마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인도네시아 기독교 교회
케냐 복음주의 루터교회 해외 라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라이베리아 루터교회 말라가시 루터교회
니아스 기독교 개신교회 개신교 기독교 바탁 교회 사바 개신교회 엘살바도르 루터교회 시노드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실레시아 복음주의 교회 시말룽군 개신교 기독교 교회 세르비아&몬테네그로의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슬로바키아 복음주의 교회 연합 복음주의 루터교회
인도 연합 복음주의 루터교회
마르 토마 교회
말라바르 마르 토마 시리아 교회
모라비아 교회와 역사적 평화 교회
독일 메노나이트 회중 협회 친구들의 종교 협회 캐나다 연례 모임(퀘이커)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메노나이트 공동체 형제단 교회
나이지리아 형제단 교회 네덜란드 메노나이트 교회 동·서인도 제도 지방 모라비아 교회 미국 모라비아 교회
자메이카 모라비아 교회 니카라과 모라비아 교회 남아프리카 모라비아 교회 수리남 모라비아 교회
탄자니아 모라비아 교회 서유럽 모라비아 교회 필리핀 독립 교회 폴란드 전국 가톨릭교회
친구들의 종교 협회: 친구 총회 친구들의 종교 협회: 친구 연합 모임
복고 가톨릭교회
독일 복고 가톨릭 교구 오스트리아 복고 가톨릭교회 네덜란드 복고 가톨릭교회 스위스 복고 가톨릭교회
폴란드 마리아비테 복고 가톨릭교회 폴란드의 폴란드 가톨릭교회
복음주의 교회
남수단과 수단의 아프리카 내륙 교회 라오스 복음주의 교회
성공회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와 폴리네시아 성공회 일본성공회 호주 성공회 부룬디 성공회
캐나다 성공회 케냐 성공회 대한성공회 남아메리카 성공회
남아프리카 성공회 탄자니아 성공회 웨일스 교회 실론 교회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성공회 공동체 잉글랜드 국교회 아일랜드 교회 멜라네시아 교회
나이지리아 교회 중앙아프리카관구 교회 미얀마 교구 교회 인도양 교구 교회
서아프리카 교구 교회 우간다 교회 브라질 성공회 예루살렘과 중동 성공회
필리핀 성공회 포르투갈 루시타니아 교회 르완다 성공회 교구 남수단 성공회 교구
수단 성공회 교구 스코틀랜드 성공회 스페인 개혁 성공회 알렉산드리아 성공회 교구
미국성공회
아시리아 교회
아시리아 동방교회
아프리카 토착교회
아프리카 형제단 교회 아프리카 기독교 교회 & 학교 성령의 아프리카 교회 아프리카 이스라엘 니느웨 교회
그리스도의 교회 - 해리스 선교(해리스 교회) 성령의 빛 그리스도의 교회 남부아프리카 아프리카 토착교회 협의회 아프리카 교회
전세계 주의 교회(기도 동역회) 제일 아프리카 교회 선교
연합교회
중국기독교협의회 방글라데시 교회 브레멘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베를린-브란덴부르크-실레시아 오버라우지츠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바덴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라인란트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안할트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쿠르헤센-발데크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팔츠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베스트팔렌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헤센과 나사우 개신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독일 복음주의교회
공동체 교회 국제 협의회 알자스와 로렌 연합 개신교회 근동 아르메니아 복음주의 교회 연합 웨일스 독립 연합
자메이카와 케이맨 제도 연합교회 파푸아뉴기니 연합교회 솔로몬 제도 연합교회 캐나다 연합교회
그리스도연합교회 그리스도연합교회 - 마셜 제도 회중 일본기독교단 필리핀 그리스도연합교회
짐바브웨 그리스도연합교회 잠비아 연합교회 남부아프리카 연합회중교회 스코틀랜드 연합자유교회
브라질 연합장로교회 벨기에 연합개신교회 퀴라소 연합개신교회 프랑스연합개신교회
호주 연합교회 스웨덴 연합교회 남부아프리카 연합장로교회 남부아프리카 연합개혁교회
발도파 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킬리키아 성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성지 에치미아진의 모교구) 콥트 정교회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시리아 정교회 안티오키아와 전 동방의 총대주교구
오순절교회
하나님의 교회 협회 기독교 성경 교회 앙골라 복음주의 오순절 선교 칠레 자유 오순절 선교 교회
국제 복음주의 교회 칠레 오순절교회 오순절 선교 교회 남아프리카 사도적 믿음 선교
제자회 / 그리스도의 교회
크리스천 교회(제자회) 캐나다 크리스천 교회(제자회) 미국 뉴질랜드 크리스천 교회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제자회 공동체
호주 그리스도의 교회 아르헨티나 제자회 복음주의 교회 연합개혁교회
침례회
미국 침례회 르완다 침례회 협회 방글라데시 침례회 상가 엘살바도르 침례회 협회
아이티 침례회 총회 니카라과 침례회 총회 덴마크 침례회 연합 영국 침례회 연합
헝가리 침례회 연합 뉴질랜드 침례회 연합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침례회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아프리카 개신교 침례회 / 아프리카 감독제 침례회 공동체
중앙아프리카 침례회 공동체 필리핀 침례회 총회 북동 인도 침례회 협의회 앙골라 복음주의 침례회
이탈리아 복음주의 침례회 연합 자메이카 침례회 연합 미얀마 침례회 전국침례교총회(NBCA)
전국침례교총회(NBCUSA) 카메룬 원주민 침례회 나이지리아 침례회 총회 진보전국침례교총회
텔루구 침례회 사마베삼 카메룬 침례회 연합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WCRC 엠블럼.png세계개혁교회커뮤니온
회원교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프리카
알제리 개혁교회 앙골라 복음주의 회중교회 앙골라 복음주의 개혁교회 보츠와나 네덜란드 개혁교회
부르키나파소 개혁 복음주의 교회 협회 카메룬 복음주의 교회 카메룬 장로회(PCC) 카메룬 장로회(EPC)
아프리카 개신교회 왕이신 그리스도의 개신교회 콩고 복음주의 교회 아프리카 믿음 있는 자들의 침례회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복음주의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장로교인들의 개혁 공동체(CPRA)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아프리카 개혁 장로회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동카사이 장로회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킨샤사 장로회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카탕가 개신교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장로교인들의 개혁 공동체(CRP) 이집트 복음주의 교회 나일강 시노드
적도 기니 개혁 장로회 에티오피아 복음주의 교회 메카네 예수스 가나 복음주의 장로회 가나 장로회
삼위일체 신학교* 동아프리카 개혁교회 동아프리카 장로교회 레소토 복음주의 교회
중앙아프리카 장로회 블랜타이어 시노드 중앙아프리카 장로회 은코마 시노드 모리셔스 장로회 모로코 복음주의 교회
모잠비크 그리스도의 복음주의 교회 모잠비크 장로회 모잠비크 개혁교회 모잠비크 그리스도연합교회
니제르 공화국 복음주의 교회 나이지리아 기독교 개혁교회 그리스도의 복음주의 개혁교회 국가를 위한 그리스도의 개혁교회
나이지리아 장로교회 나이지리아 그리스도연합교회 그리스도의 국제 개혁교회 르완다 장로회
세네갈 개신교회 네덜란드 개혁교회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아프리카 네덜란드 개혁교회 아프리카 화란드 개혁교회
남아프리카 복음주의 장로회 그리스도의 마라나타 개혁교회 아프리카 인민교회 아프리카 장로회
아프리카 개혁교회 남부아프리카 연합회중교회 남부아프리카 연합개혁교회 남부아프리카 연합장로교회
수단 아프리카 내륙 교회 수단 개혁교회 수단과 남수단 장로회 스와질란드 개혁교회
토고 복음주의 장로회 동아프리카 기독교 개혁교회 우간다 개혁 장로회 아프리카 개혁 장로회(우간다)
중앙아프리카 장로회 잠비아 시노드 잠비아 개혁교회 중앙아프리카 장로회 하라레 시노드 짐바브웨 개혁교회
아시아
방글라데시 교회 방글라데시 복음주의 개혁 장로회 중국기독교협의회 중국 그리스도의 교회 홍콩 협의회
동티모르 기독교 교회 북인도 교회 남인도 교회 인도 회중교회(마랄랜드)
복음주의 교회 협회 마랄랜드 복음주의 교회 북동 인도 개혁 장로회 인도 장로교회
중앙 술라웨시 기독교 교회 루욱 방가이 기독교 교회 남술라웨시 기독교 교회 남수마트라 기독교 교회
자바 기독교 교회 숨바 기독교 교회 미나하사 기독교 복음주의 교회 상이헤-탈라우드 기독교 복음주의 교회
토라자 마마사 교회 동자바 기독교 교회 할마헤라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칼리만탄 복음주의 교회
파푸아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볼라앙 몽곤도우 복음주의 교회 인도네시아 복음주의 교회 시노드 부올 톨리톨리 인도네시아 개신교회
고론탈로 인도네시아 개신교회 동갈라 인도네시아 개신교회 카로 바탁 개신교 교회 파순단 기독교 교회
발리 개신교 기독교 교회 인도네시아 개신교회 몰루카스 개신교회 남동 술라웨시 개신교회
서인도네시아 개신교회 티모르 개신교 복음주의 교회 일본그리스도교회 재일대한기독교회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한국기독교장로회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말레이시아 장로회
미얀마 기독교 개혁교회 미얀마 복음주의 장로회 미얀마 독립 장로회 마라 복음주의 교회
미얀마 개혁 장로회 미얀마 장로회 파키스탄 교회 파키스탄 장로회
필리핀 기독교 개혁교회 필리핀 그리스도연합교회 그리스도의 연합 복음주의 교회 싱가포르 장로교회
스리랑카 기독교 개혁교회 랑카 노회 대만기독장로교회 태국그리스도교회
베트남 장로회
카리브해
쿠바 모라비아 교회 쿠바 장로교개혁교회 도미니카 공화국 기독교 개혁교회 도미니카 복음주의 교회
그레나다 장로회 가이아나 회중 연합 가이아나 장로회(GPC) 가이아나 장로회(PCG)
자메이카와 케이맨 제도 연합교회 트리니다드 토바고 장로회
유럽
오스트리아 헬베티아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벨기에 연합개신교회 불가리아 복음주의 회중교회 연합 크로아티아 개혁 기독교 칼뱅주의 교회
체코형제복음교회 덴마크 개혁교회 프랑스 말라가시 개신교회 프랑스 개신교 개혁 복음주의 교회 전국연합
프랑스연합개신교회 알자스와 로렌 개신교회 연합 리페 교회 복음주의 개혁교회
저(低)작센 복음주의 구 개혁교회 개혁 연맹 그리스 복음주의 교회 헝가리 개혁교회
발도파 복음주의 교회 라트비아 개혁교회 리투아니아 복음주의 개혁교회 룩셈부르크 개신교 개혁교회
네덜란드 자유 복음주의 교회 언약 항의 형제단 네덜란드 개신교회 폴란드 개혁 복음주의 교회
포르투갈 복음주의 장로회 루마니아 개혁교회 트란실바니아 개혁교회 지구 세르비아 개혁 기독교 교회
슬로바키아 개혁 기독교 교회 슬로베니아 개혁 기독교 교회 스페인 복음주의 교회 스웨덴 연합교회
스위스 개신교회 스코틀랜드 교회 아일랜드 장로회 웨일스 장로회
웨일스 독립 연합 스코틀랜드 연합자유교회 연합개혁교회
라틴아메리카
리버 플레이트 복음주의 교회 복음주의 회중교회 아르헨티나 개혁교회 볼리비아 복음주의 장로회
브라질 복음주의 개혁교회 브라질 독립 장로회 브라질 연합장로교회 칠레 복음주의 장로회
칠레 장로회 콜롬비아 장로회 코스타리카 복음주의 장로회 엘살바도르 개혁 칼뱅주의 교회
과테말라 전국 복음주의 장로회 온두라스 기독교 개혁교회 멕시코 연합 개혁 장로회 개혁 장로회 멕시코 커뮤니온
멕시코민족장로교회 멕시코 장로교개혁교회 리버 플레이트 발도파 복음주의 교회 베네수엘라 장로회
중동
이란 복음주의 교회 바라카 장로회 시리아와 레바논 전국 복음주의 시노드 레바논 전국 복음주의 연합
근동 아르메니아 복음주의 교회 연합
북아메리카
캐나다 장로교회 캐나다 연합교회 북미주 개혁교회 컴벌랜드 장로회
ECO 복음장로교회 미국 헝가리 개혁교회 해외한인장로회
리투아니아 복음주의 개혁교회 미국장로교 미국 개혁교회 그리스도연합교회
태평양
미국령 사모아 회중 기독교 교회 호주 연합교회 호주와 뉴질랜드 회중 연합 마오히 개신교회
키리바시 연합교회 개혁 회중교회 그리스도연합교회 - 마셜 제도 회중 뉴칼레도니아와 로열티 제도 복음주의 교회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 장로회 니우에 회중 기독교 교회 사모아 회중 기독교 교회 솔로몬 제도 연합교회
투발루 기독교 교회 바누아투 장로교회
국제 교단
제자회 세계 친교회** 국제개혁신학연구소* 아프리카 회중신학 네트워크*
* : 제휴 회원
** : 준회원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유럽 교회 회의 로고.png유럽 교회 회의
회원교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가 교단
알바니아 파일:알바니아 정교회 상징.svg 알바니아 정교회
아르메니아 파일: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로고.svg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아우크스부르크 복음교회 상징.png 오스트리아 아우크스부르크 복음주의교회 · 파일:오스트리아 H.C. 복음주의 교회 상징(바탕).jpg 오스트리아 H.C. 복음주의 교회 · 파일:오스트리아 구가톨릭 교회 상징.png 오스트리아 구가톨릭 교회 · 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오스트리아 연합감리교회
벨기에 파일:벨기에 연합 개신교회.png 벨기에 연합개신교회
불가리아 불가리아 오순절교회 · 불가리아 복음주의 침례교회 연합
크로아티아 파일:크로아티아 침례회 연합 상징.png 크로아티아 침례회 연합 · 크로아티아 하나님의 교회[1] · 크로아티아 공화국 복음주의 교회 · 크로아티아 복음 오순절교회 · 크로아티아 개혁 기독교(칼뱅주의) 교회
키프로스 파일:키프로스 정교회 상징.png 키프로스 정교회
체코 체코슬로바키아 후스파 교회 · 파일:체코형제복음교회 상징.svg 체코형제복음교회 · 체코 공화국 구가톨릭 교회 · 체코와 슬로바키아 정교회 · 체코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실레지아 복음교회 · 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체코 연합감리교회
덴마크 덴마크 침례회 연합 · 파일:덴마크 교회 로고.svg 덴마크 교회
에스토니아 에스토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파일: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 상징.png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
핀란드 파일: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상징.svg 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 파일:핀란드 정교회 로고.svg 핀란드 정교회
프랑스 프랑스 복음주의 침례교회 연맹 · 프랑스 마다가스카르 개신교회 · 알자스와 로렌 개신교 연합 · 파일:프랑스연합개신교회 상징.png 프랑스연합개신교회
조지아 조지아 복음주의 침례회
독일 독일 구가톨릭 교구 ·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독일 복음주의교회 · 독일 복음주의 자유 교회 연합(침례회 연합) · 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독일 연합감리교회
그리스 파일:그리스 교회 상징.svg 그리스 교회 · 그리스 복음주의 교회
헝가리 헝가리 침례회 연합 · 헝가리 복음주의 루터교회 · 파일:팔각별.svg 헝가리 개혁교회 · 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헝가리 연합감리교회
아이슬란드 파일:아이슬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상징.png 아이슬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성공회 로고.png 아일랜드 교회[I] · 파일:브리튼 영국 감리회 로고.png 아일랜드 감리회[I] · 파일:아일랜드 장로회 로고.png 아일랜드 장로회[I] · 파일:구세군 방패(영문).svg 영국-아일랜드 구세군[UK-I]
이탈리아 이탈리아 기독교 복음주의 침례회 연합회 · 이탈리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이탈리아 복음주의 감리교회 · 이탈리아 발도파 교회
라트비아 라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해외 라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리히텐슈타인 리히텐슈타인 공국 복음주의 루터교회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개신교 교회
네덜란드 네덜란드 메노나이트 교회 · 네덜란드 구가톨릭 교회 · 파일:네덜란드 개신교회 상징.svg 네덜란드 개신교회 · 항의 교회
북마케도니아 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연합감리교회 마케도니아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민교회 상징.svg 노르웨이 교회
폴란드 폴란드 침례회 연합 · 폴란드 아우크스부르크 고백 교회 · 폴란드 복음 개혁교회 · 폴란드 구가톨릭 마리아비테 교회 · 폴란드 독립 정교회 · 폴란드 가톨릭 교회(구가톨릭) · 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폴란드 연합감리교회
포르투갈 포르투갈 복음주의 감리회 · 포르투갈 복음주의 장로회 · 루시타니아 가톨릭 사도적 복음주의 교회
루마니아 루마니아 아우크스부르크 복음주의교회 · 루마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루마니아 개혁교회(키랄리고멜릭 지구) · 파일:루마니아 정교회 상징.png 루마니아 정교회 · 트란실바니아 개혁교회
러시아 러시아 복음주의 기독교인-침례회 연합 · 러시아 잉그리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파일:Cross_of_the_Russian_Orthodox_Church_01.svg.png 러시아 정교회[6]
세르비아 세르비아 개혁교회 · 파일:세르비아 정교회 십자가.svg 세르비아 정교회 · 세르비아 아우크스부르크 복음주의교회 · 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세르비아 연합감리교회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교회 · 체코와 슬로바키아 정교회 · 슬로바키아 개혁교회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 공화국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복음주의교회
스페인 스페인 복음주의교회 · 스페인 개혁 성공회
스웨덴 파일:스웨덴 교회 로고.svg 스웨덴 교회 · 스웨덴 연합교회
스위스 파일:스위스 개신교회 로고(영어).svg 스위스 개신교회 · 스위스 구가톨릭 교회 · 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스위스 연합감리교회
우크라이나 트란스카르파티아 개혁교회
영국 파일:영국침례회연합로고.png 영국 침례회 연합 · 파일:웨일스관구문장.png 웨일스 교회 · 파일:영국 국교회 세로 로고.png 잉글랜드 국교회 · 파일:스코틀랜드 국민교회 상징.svg 스코틀랜드 교회 · 파일:회중연합로고.png 회중 연합회 · 파일:아프리카 및 아프리카-카리브해 교회 협의회 로고.png 아프리카 및 아프리카-카리브해 교회 협의회 · 파일:브리튼 영국 감리회 로고.png 영국 감리회 · 파일:웨일즈장로교로고.png 웨일스 장로회 · 파일:구세군 방패(영문).svg 영국-아일랜드 구세군[UK-I] · 파일:스코틀랜드 성공회 로고.png 스코틀랜드 성공회 · 파일:실로 전 세계 그리스도 사도 연합교회 로고.png 실로 전 세계 그리스도 사도 연합교회 · 파일:영국연합개척교회로고.png 연합개혁교회 · 파일:아일랜드 성공회 로고.png 아일랜드 교회[I] · 파일:브리튼 영국 감리회 로고.png 아일랜드 감리회[I] · 파일:아일랜드 장로회 로고.png 아일랜드 장로회[I]
국제 조직 파일:Coat_of_Arms_of_the_Ecumenical_Patriarchate_Constantinople_(St._George's_Cathedral,_Istanbul).svg 정교회 세계 총대주교청 · 유럽 침례회 연맹 · 러시아 및 기타 국가의 복음주의 루터교회 연맹 · 유럽 대륙 관구 모라비안 교회 · 파일:구세군 휘장.svg 구세군 국제본영 · 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북유럽 및 발트 지역 연합감리교회

[1] 오순절운동의 일파인 정통 개신교 교단.[I] 아일랜드 - 북아일랜드 통합 관할[I] [I] [UK-I] 영국 - 아일랜드 통합 관할[6] 2009년 회원 자격 정지[UK-I] [I] [I] [I]
}}}}}}}}}

[1] 위그노들이 상징으로 채택한 이후 전세계 장로회/개혁교회 교단의 상징으로 꾸준히 사용되는 모세 앞에서[2021년] 2021년 통계.[3]스코틀랜드 왕국의 왕실기. 고등판무관직이 스코틀랜드 국왕 대리인으로 시작했기 때문에 영국 국왕 대리인인 현재도 상징기로 사용된다.[4] 위키백과[5] 잉글랜드에서의 잉글랜드 국교회의 위치 정도로 생각할 수 있다.[6] 출처[출처] 스코틀랜드교회[8] The Reformed Church in Hungary[9] Hungarian Reformed Church(Hungarian Reformed Communion) 영어 위키백과.